불가리아의 유대인의 역사
History of the Jews in Bulgaria![]() | |
인구가 많은 지역 | |
---|---|
![]() | 1,363명(2001년 인구조사)[1] – 전체 또는 일부 유대인 혈통의 불가리아 시민 6,000명(OJB 추정치) |
![]() | 75,000[2] |
언어들 | |
히브리어, 불가리아어, 라디노어 | |
종교 | |
유대교 |
시리즈의 일부 |
유대교와 유대교 |
---|
불가리아의 유대인들의 역사는 거의 2,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유대인들은 기원후 2세기 이전부터 불가리아의 역사적인 영토에 계속 존재해왔고 불가리아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오늘날 대부분의 불가리아 유대인들은 이스라엘에 살고 있는 반면, 오늘날의 불가리아는 소수의 유대인들을 계속 수용하고 있다.
로마 시대
유대인들은 서기 [when?]46년 로마의 정복 이후 이 지역에 정착한 것으로 여겨진다."호화로운"[3] 2세기 유대교 회당 유적들이 필립폴리스[4], 니코폴리스,[3] 울피아 외스쿠스[5], 그리고[6] 스토비에서 발굴되었다.로마 속주 모에시아에 유대인 공동체가 존재했음을 증명하는 가장 오래된 문서 유물은 2세기 후반 울피아 외스쿠스에서 발견된 라틴어로 메노라와 아치시나고스를 언급하고 있다.요세푸스는 그 도시에 유대인의 존재를 증언한다.379년부터 유대인의 박해와 일리리아와 트라키아의 유대교 회당 파괴에 관한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의 명령도 불가리아에 유대인이 일찍 정착했다는 증거이다.
불가리아 제1 및 제2제국
681년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이 수립되고 그 인정을 받은 후, 비잔틴 제국에서 박해를 받는 많은 유대인들이 불가리아에 정착했을지도 모른다.불가리아는 9세기 전성기에 보이보디나, 크리샤나, 클루즈 미하이 비테아즈와 같은 유대인과 관련된 9세기 유적지를 포함했다.유대인들은 또한 967년에 니코폴에 정착했다.
일부는 이반 아센 2세에 의해 불가리아 제2제국에서 상인들이 무역을 할 수 있도록 허락받았을 때 라구사 공화국과 이탈리아에서 왔다.나중에, 차르 이반 알렉산더는 기독교로 개종하고 궁정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가진 유대인 여성 사라와 결혼했다.어머니에 따르면 종교를 결정하는 유대인 율법에 따라 유대인인 아들 이반 시슈만을 위해 비딘의 차르돔을 만들도록 배우자에게 영향을 미쳤다.유태인의 과거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맹렬하게 친교회였고, 그 당시에는 반유대주의가 수반되었다.예를 들어, 1352년 교회 평의회는 "이단 활동"[7]을 이유로 불가리아에서 유대인을 추방할 것을 명령했다.유대인에 대한 물리적 공격이 이어졌다.[8]사형선고를 받은 유대인 3명이 [9]차르에 의해 형량이 취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폭도들에 의해 살해된 사례도 있다.
불가리아의 중세 유대인 인구는 헝가리와 유럽의 다른 지역에서 아슈케나짐이 도착하기 시작한 14세기에서 15세기까지 로마니오테였다.
오스만 통치
오스만 제국이 불가리아 제국을 정복한 1396년까지, 비딘, 니코폴, 실리스트라, 플레벤, 소피아, 얌볼, 플로브디프(필리포폴리스), 스타라 자가라에는 상당한 규모의 유대인 공동체가 있었다.
1470년 바이에른에서 추방된 아슈케나짐이 도착했고, 동시대의 여행자들은 소피아에서 이디시어를 자주 들을 수 있다고 말했다.16세기 중반 소피아의 랍비에 의해 살로니키에서 아슈케나지 기도서가 인쇄되었다.1494년부터 스페인의 세파르딕 망명자들은 살로니카, 마케도니아, 이탈리아, 라구사, 보스니아를 거쳐 불가리아로 이주했다.그들은 오스만 통치하의 불가리아의 주요 무역 중심지이기도 한 기존의 유대인 인구 중심지에 정착했다.이 시점에서 소피아는 세 개의 독립된 유대인 공동체를 주최했다.로마니오테스, 아슈케나짐, 세파르딤.이것은 1640년까지 계속되었고, 그 때 세 [citation needed]집단 모두에 단일 랍비가 임명되었다.
17세기에, Sabbatai Zevi의 사상은 불가리아에서 인기를 끌었고, Gaza의 Nathan과 Samuel Primo와 같은 그의 운동의 지지자들은 소피아에서 활동했습니다.유대인들은 파자르지크와 같은 새로운 무역 중심지에 계속해서 정착하였고, 그들이 주어진 특권과 1688년 치프로브치 봉기에 참여한 많은 라구산 상인들의 추방 덕분에 그들의 경제 활동을 확장할 수 있었다.
현대 불가리아
불가리아는 1877년부터 1978년까지 러시아-터키 전쟁을 끝낸 베를린 조약에 따라 근대 민족국가가 형성되었다.그 조약의 조건에 따라, 새로운 나라의 불가리아 유대인들은 동등한 권리를 부여받았다.1909년, 거대하고 웅장한 새로운 소피아 회당은 불가리아의 차르 페르디난트 1세뿐만 아니라 장관들과 다른 중요한 손님들 앞에서 축성되었는데, 불가리아 [10]유대인들에게 중요한 행사였다.유대인들은 불가리아 군대에 징집되어 세르보-불가리아 전쟁 (1885년), 발칸 전쟁 (1912년-13년), 그리고 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3] 불가리아 군대의 유대인 병사 211명은 1차 세계대전 중에 사망한 것으로 기록되었다.제1차 세계대전 후의 노이리 조약은 유대인과 다른 불가리아 [citation needed]시민들과의 평등을 강조했다.1936년 민족주의 및 반유대주의 단체인 라트니크가 설립되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 몇 년 동안, 유대인 공동체의 인구 증가율은 다른 민족 집단들에 비해 뒤처졌다.1920년에는 유대인이 1만6000명으로 불가리아인의 0.9%에 달했다.1934년까지 유대인 공동체의 규모는 48,565명으로 증가했고 절반 이상이 소피아에 살았지만, 그것은 일반 인구의 0.8%에 불과했다.라디노는 대부분의 공동체에서 지배적인 언어였지만, 젊은이들은 종종 불가리아어 말하기를 선호했다.시온주의 운동은 호베이 [citation needed]시온 이후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완전히 지배적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불가리아는 1939년 8월 Molotov-Ribbentrop 조약의 잠재적 수혜국으로서 나치 독일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반유대주의 법률의 제스처를 취함으로써 그러한 국가들과 경쟁했다.불가리아는 1939년 불가리아의 교역의 65%가 독일이 차지해 경제적으로 독일에 의존했고,[11][12] 군사적으로 무기 협상은 불가리아의 무역의 65%를 차지했다.불가리아 극단적 민족주의자들은 1878년 산 스테파노 [13]조약의 확장된 국경으로 돌아가기 위해 로비를 벌였다.1940년 9월 7일, 1913년 부쿠레슈티 조약으로 루마니아에 빼앗긴 남부 도브루자는 독일의 [11]압력으로 제정된 크라이오바 조약에 의해 불가리아의 지배로 돌아갔다.1940년 11월 21일 시민권법이 제정되어 불가리아 시민권을 로마, 그리스, 터키, 로마인과 [14][11]함께 약 500명의 유대인을 포함한 합병 영토의 주민에게 양도하였다.이 정책은 전쟁 중 불가리아가 점령한 영토에서는 재현되지 않았다.
1939년 외국인이었던 유대인들은 불가리아를 [15]떠나야 했다.이 행위는 반유대주의 선전 및 입법의 시작을 알렸다.1940년 7월부터 불가리아 당국은 [16]유대인에 대한 차별 정책을 펴기 시작했다.1940년 12월, 불가리아 유대인 공동체의 352명이 바르나에서 팔레스타인행 S.S. 살바도르에 탑승했다.그 배는 이스탄불 서쪽 실리브리 해안에서 100미터 떨어진 곳에서 좌초한 후 침몰했다.223명의 승객들이 차가운 물에 빠져 죽거나 익사했다.생존자 123명 중 절반은 불가리아로 돌려보내졌고 나머지는 영국 위임통치국에 [17]의해 아틀리트에 수감된 다롄 2호에 승선해 팔레스타인으로 가는 것이 허용됐다.
며칠 후, 차르 보리스 3세는 국가수호를 위한 법을 제정하여 지난 10월 불가리아 의회에 상정하여 1940년 12월 24일 의회에서 통과시켰다.이 법은 불가리아의 유대인에게 많은 법적 제한을 가했다.이 법안은 1940년 10월 내무부 장관이자 전 라트니크 지도자였던 페타르 가브로프스키에 의해 의회에 발의되었다.1941년 1월 24일 발효된 이 법은 뉘른베르크법을 모델로 작성되었다.이 법은 혼혈, 직업에 대한 접근을 금지하고 유대인 재산에 대해 20%의 추가 세금을 부과했다.유대인들은 "통금시간을 존중하고, 특정 상점에서 음식을 사고, 공공장소를 피하고, 심지어 정치와 사회적 [15]문제에 대한 논의를 중단하기 위해" 다비드 배지를 달아야 했다.프리메이슨 [15]같은 비밀 조직도 박해받았다.
라트니크의 변호사인 라트니크의 변호사와 동료인 알렉산더 벨레브는 1933년 독일 뉘른베르크 법을 공부하기 위해 파견되었고 그 초안에 밀접하게 관여했다.이 선례를 본떠서, 이 법은 프리메이슨주의 및 불가리아 국가 [11]안보에 "위협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의도적인 조직들과 함께 유대인들을 대상으로 했다.구체적으로, 이 법은 유대인들이 투표를 하거나, 공직에 출마하거나, 관직에 종사하거나, 군대에 복무하거나, 불가리아 민족과 결혼하거나, 불가리아인 이름을 사용하거나, 시골 땅을 소유하는 것을 금지했다.당국은 유대인들이 소유한 모든 라디오와 전화기를 압수하기 시작했고 유대인들은 순자산의 20%[18][19][20][21]에 달하는 일회성 세금을 내야 했다.이 법은 또한 불가리아 [21][22]대학의 유대인 수를 제한하는 할당량을 설정했다.이 법은 유대인 지도자뿐만 아니라 불가리아 정교회, 일부 전문 단체, 21명의 [21][23]작가들에 의해서도 항의되었다.그 해 말 1941년 3월 불가리아 왕국은 독일의 요구에 따라 추축국과 군사동맹을 맺었다.
국가수호법은 유대인들이 정규군이 아닌 노동대대에서 의무적인 병역을 이행하도록 규정했다.강제 노동 대대는 불가리아 군대의 규모를 제한하고 [11]정규군으로의 징병을 끝낸 노이리쉬르세느 조약을 피하기 위한 방법으로 1920년에 불가리아에 설립되었다.알렉산다르 스탐볼리스키 정부에 의해 설립된 강제 노동 서비스(트루도바 포비노스트)는 정부 프로젝트와 제1차 세계대전의 [11]제대 군인들에게 고용을 위한 값싼 노동력을 제공했다.설립 첫 10년 동안,[11] 15만 명 이상의 불가리아 국민들, "주로 소수민족(특히 이슬람교도)과 다른 가난한 사회 계층"이 복무하도록 징집되었다.1930년대,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되면서 트루도바 포비노스트는 군국화되었고, 1934년 육군성에 [11]소속되어 1936년에 군사 계급이 부여되었다.
전쟁이 시작된 후 1940년 "노동병사" (트루도비 보이스키)는 "2차 세계대전 중 반유대 정책을 시행하는 데 사용된" 별도의 부대로서 전반적인 "탈북"[11] 계획의 일부로 창설되었다.1941년 8월, 소피아 주재 독일 전권 공사 아돌프 하이네스 베커레의 요청으로, 육군부는 모든 유대인 강제 노동에 대한 통제를 건축, 도로, 공공 [24][11]사업부에 이양했다.1941년 8월부터 의무 징병제가 적용되었다: 처음에는 20~44세의 남성이 징집되었고, 1942년 7월에는 45세로, 그리고 1년 [25][11]후에는 50세로 연령 제한이 높아졌다.불가리아인들은 더 이상 [11]제복을 입을 자격이 없는 유대인 노동부대의 지휘에서 유대인들을 대체했다.1942년 1월 29일, 새로운 유대인 강제 노동 대대가 발표되었고, 1942년 말까지 그 수는 24개로 두 배가 되었다.유대인 단위는 다른 민족과 분리되었다. 강제 노동 대대의 4분의 3은 소수 민족이었다.터키인, 러시아인, 불가리아가 점령한 영토의 주민들, 나머지는 불가리아 [26][11]실업자로부터 끌어온 것이다.
강제 노동에 시달리는 유대인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엄격해지는 차별 정책에 직면했다. 즉, 근속 연수가 늘어나고 음식, 휴식,[11] 휴일의 허용이 줄어드는 것이다.1942년 7월 14일 새로운 징벌적 제재를 가하기 위해 징계 부대가 창설되었다: 매트리스나 뜨거운 음식, "제빵과 물 식사" 그리고 [27][11]한 번에 몇 달 동안 방문객의 출입 금지.전쟁이 진행되어 1943년 유대인들의 집회가 시작되면서 유대인들은 탈출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했고 처벌은 점점 [28][11][29]가혹해졌다.
1938년 말과 1939년 초에 불가리아 경찰과 내무부는 이미 중앙유럽에서 [30][31][11]유대인 난민들의 입국을 점점 더 반대했다.소피아 주재 영국 외교관의 질의에 따라 외무성은 1939년 4월부터 독일 루마니아 폴란드 이탈리아 등 체코슬로바키아(나중에 헝가리)에서 온 유대인은 입국, 통과,[31][32] 비자를 확보하기 위해 외무성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는 방침을 확인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가리아 외교관들이 외국 유대인들에게 발급한 비자는 최소 430개(약 1,000개)이며,[33][11] 이 중 불가리아에는 1941년에 무려 4,000개가 있었다.1941년 4월 1일, 경찰국은 불가리아가 "외국 [34][35]요소로부터 스스로를 해방"한다는 분명한 목적을 위해 대부분 미성년자인 302명의 유대인 난민들을 중앙 유럽으로 떠나도록 허락했다.
1941년 불가리아 민족주의자들이 그리스와 유고슬라비아로부터 탐나는 영토를 압류하고 스코페, 비톨라, 벨로모라의 새로운 성지가 형성되면서 불가리아의 유대인 인구는 약 6만 [36]명으로 늘어났다.이들은 [11]국민보호법에 따라 불가리아 국적을 갖는 것이 금지됐다.
전쟁 초기부터 그리스와 유고슬라비아의 불가리아 점령 당국은 추축 유럽에서 탈출한 유대인 난민을 게슈타포로 넘겼다.1941년 10월 불가리아 당국은 게슈타포에 의해 불가리아가 관리하는 스코페에서 적발된 세르비아계 유대인 213명의 등록을 요구했다.이들은 11월 24일 체포됐으며 이들 중 47명은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에 있는 반히카 강제수용소로 끌려가 [37][11][38]1941년 12월 3일 살해됐다.
1942년 봄, 반제 회의 이후 독일 외교관들은 왕국이 불가리아가 통치하는 영토에 거주하는 모든 유대인들을 독일에게 풀어줄 것을 요청했다.불가리아 측은 이에 동의하고 [16]유대인들의 계획된 추방 조치를 취하기 시작했다.
이 법은 1942년 8월 26일 유대인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유대인의 정의를 넓히며 비유대인 신분과 면제(프라이버시)를 증명하는 데 필요한 증거의 부담을 증가시킨 법령(네어디)[39]에 따라 이루어졌다.그 후 유대인들은 기독교 성체를 실천하는 세례를 받은 사람들만 제외하고 노란색 별을 달도록 요구받았다.불가리아의 유대인들은 1940년 9월 1일 이전에 기독교 의식에 의해 비 유대인과 결혼하여 1941년 1월 23일 국가보호를 위한 법 시행 전에 세례를 받았고, 법으로 허용된 그러한 경우에 대한 면제를 철회했다.전쟁 고아, 전쟁 미망인 및 상이군인에 대한 면제는 "다른 유대인과 경쟁하는 경우"에만 적용되며, 그러한 모든 특권은 개인이 범죄로 유죄판결을 받거나 "반정부" 또는 "공산주의자"[11]로 간주되면 취소되거나 거부될 수 있다.
1943년 봄 불가리아 당국은 소피아(8,000명)와 불가리아가 점령한 트라키아, 마케도니아, 피로트(약 13,000명)[16]의 유대인을 대상으로 한 제1차 추방 계획을 독일 보안본부와 마무리했다.1943년 2월, 불가리아 정부는 아마도 전쟁의 물결 변화에 대응하여, 스위스 외교 채널을 통해 유대인들이 흑해를 건너 영국 선박을 타고 팔레스타인으로 떠나는 것을 기꺼이 허용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만약 우리가 그렇게 한다면 세계의 유대인들은 우리가 폴란드와 독일에서 비슷한 제안을 하기를 원할 것이다."라는 이유로 불가리아 서곡은 [40]영국 외무장관 앤서니 에덴에 의해 거절당했다.
3월 1943년 상반기에, 불가리아 군과 경찰은, 불가리아의 전쟁 전의 국경을 초월한Bulgarian-occupied 지역들로부터, 기차로 불가리아를 통해 임시 수용소 목적이 거기에 설정된 시스템을 통해서 몇 그리고 보트와 비 엉행에 승선했다 대부분의 유대인, 13,341[표창 필요한]총의 추방을 실시했다.나치 Germa에 저추방 예정 전날 불가리아 정부는 추방자의 행선지에 대해 문의하고 추방 비용을 변제해 달라고 요청했다.독일 대표들은 추방자들이 농업과 [citation needed]군사 프로젝트에서 노동자로 사용될 것이라고 시사했다.독일 기록보관소에 기록된 바와 같이 나치 독일은 3,545명의 성인들과 592명의 아이들을 트레블링카 [41]강제 추방하는 데 7,144.317레바를 지불했다. 그리스 트라키아와 동마케도니아에서 4,500명의 유대인들이 점령된 폴란드로 추방되었고,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와 포모라벨에서 7,144명이 트레블링카로 보내졌다.아무도 [42]살아남지 못했다.1943년 3월 20일, 불가리아 헌병대는 독일 군인들의 도움을 받아 코모티니와 카발라에서 유태인들을 여객선 카라게에서 데려가 학살하고 배를 [43][44]침몰시켰다.
불가리아에서 제대로 추방된 유대인은 없었다.점령지에서의 추방 소식은 불가리아의 야당 정치인, 성직자, 지식인들 사이에서 항의를 불러일으켰다.차르 보리스 3세는 당초 계획된 추방을 계속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의회의 부의장과 집권당의 저명한 의원인 디미타르 페셰프는 차르 보리스 3세를 연기하도록 설득했다.1943년 3월 19일, 페셰프는 추방을 멈추는 의회 결의안을 제출했다; 그 결의안은 여당에 의해 거부되었고, 월말까지 그의 사임을 강요했다.페셰프의 사임은 1943년 5월 차르에게 추방을 무기한 중단하도록 설득한 메트로폴리탄 스테판 1세의 항의로 이어졌다.그 직후 불가리아 정부는 2만 명의 유대인을 소피아에서 지방으로 추방했다.특별열차가 마련되었고 유대인들은 가족 구성원을 분리하여 특정한 출발을 배정받았다.1인당 최대 30kg의 재산이 [45]허용되었고, 나머지는 강제로 남겨두거나, "약간" 싼 가격에 팔거나, 그렇지 않으면 도둑맞거나 [11]도난당했다.불가리아 관리들과 이웃들은 [11]수익의 혜택을 받았다.
불가리아 정부는 불가리아 유대인의 독일 구류를 거부하는 이유로 노동력 부족을 꼽았다.추방된 남자들은 불가리아 내에서 강제 노동으로 징집되었다.남겨진 재산의 일부가 [16]몰수되었다히틀러와의 8월 14일 만남에서 소피아로 돌아온 직후 보리스는 1943년 8월 28일 명백한 심부전으로 사망했다.[11]
디미타르 페셰프, 야당 정치인, 불가리아 교회, 차르 보리스, 그리고 일반 시민들, 작가와 예술가부터 변호사, 전직 외교관까지 불가리아 유대인들을 추방으로부터 구했다는 다양한 공로를 인정받았다.[46][47][16] 나중에, 불가리아는 공식적으로 이스라엘 정부로부터 나치 [citation needed]독일에 대한 저항의 감사를 받았다.이 이야기는 소련에 의해 비밀에 부쳐졌는데, 왜냐하면 불가리아 정부, 불가리아의 왕, 그리고 교회는 그들의 유대인 친구들과 [citation needed]이웃들을 보호하기 위해 불가리아 사람들의 엄청난 항의와 요구에 기여하는 행동을 취했기 때문이다.공산주의자인 소련 정권은 세 사람 모두 공산주의의 [citation needed]적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이전 당국, 교회 또는 왕에게 공로를 돌리는 것을 용납할 수 없었다.따라서, 불가리아의 유대인들을 구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문서는 [citation needed]1989년 냉전이 끝난 후에야 밝혀졌다.히틀러에게는 48,000명의 불가리아 유대인이 알려져 있었지만 [46]나치에 의해 추방되거나 살해된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
1998년, 차르 보리스에게 감사하기 위해, 미국에 있는 불가리아 유대인들과 유대인 국가 기금은 차르 보리스에게 경의를 표하는 기념비를 이스라엘의 불가리아 숲에 세웠다.그러나 2003년 7월 모셰 베이스키 대법원장이 이끄는 공공위원회는 불가리아가 마케도니아와 트라키아 점령지에서 독일군에 [48]유대인을 인도하는 데 동의했기 때문에 기념비를 철거하기로 결정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와 디아스포라
전쟁이 끝난 후, 대부분의 유대인들은 이스라엘로 떠났고, 현재 불가리아에 살고 있는 유대인들은 약 천 명 정도 밖에 남지 않았다.이스라엘 정부 통계에 따르면 1948년부터 2006년 사이에 불가리아에서 43,961명이 이스라엘로 이주하여 불가리아 유대인들이 소련, 루마니아,[49] 폴란드에 이어 유럽 국가에서 온 네 번째로 많은 집단이 되었다.불가리아 밖에서의 다양한 이주는 주로 이스라엘, 미국, 캐나다, 호주, 그리고 일부 서유럽과 중남미 국가들에서 불가리아 유대인들의 후손들을 낳았다.
역사적 유대인 인구
불가리아 센서스의 정보([50]2010년 제외):
| ![]() |
|
불가리아의 저명한 유대인
- Albert Aftalion (1874년-1956년), 경제학자, Ruse 출신
- 미라 아로요(1977년생), 음악가이자 레이디트론의 멤버, 소피아 출신
- Gredi Assa [ ](1954년 플레벤 출생), 소피아 미술 아카데미 교수
- 막심 베하르(1955년생), 사업가이자 홍보 전문가, 슈멘 출신
- 아브람 베나로야(1887년-1979년), 좌파 정치운동가
- 이스라엘 칼미(1885년-1966년), 불가리아의 유대인 회의 멤버
- 루세 출신의 노벨상 수상 작가 엘리아스 카네티(1905년~1994년)
- 솔로몬 아브라함 로사네스(1862년-1938년)로, 루슈크 출신 발칸 반도의 유대인 역사에 크게 공헌했다.
- 코스투르 출신의 탈무디스트이자 시인 토비야 벤 엘리저(11세기)
- 이츠하크 핀치(1933년 ~ ), 배우, 소피아 출신
- 새뮤얼 핀지(1966년생), 배우, 플로브디프 출신
- 솔로몬 골드스타인(1884년-1968년-1969년), 공산당 정치인 슈멘 출신
- Moshe Geron(1926년생), 심장내과 의사이자 연구원, 소피아 출신
- 요세프 카로(1488년-1575년), 니코폴에서 자란 슐찬 아루치의 작가
- 니콜라이 카우프만(1925–2018), 음악학자 겸 작곡가, 루세 출신
- 플로브디프 출신의 작곡가이자 음악가 밀초 레비예프(1937년생)
- 예후다 레비(1979년생), 이스라엘 배우 겸 남성 모델
- 제이콥 L. 모레노(1889년-1974년), 사이코 드라마 창시자, 플레벤 출신의 아버지
- 유다 리온 벤 모세 모스코니(1328–?), 오흐리드 태생 탈무디스트
- 엘리제르 파포(1785년–1828년)는 사라예보에서 태어나 실리스트라에서 랍비가 되었다.
- 비딘 출신의 모더니즘 화가 줄스 파스신(1885년-1930년)
- 아이작 패시(1928년~2010년), 철학자, 플로브디프 출신
- 솔로몬 패시(1956년생), 정치인, 전 외무장관, 플로브디프 출신
- 발레리 페트로프(1920~2014), 작가, 소피아 출신
- Solomon Rozanis(1919년–2004년), 대법관 겸 변호사, Ruse 출신
- 사라 테오도라(14세기), 차르 이반 알렉산더의 아내
- 판초 블라디게로프(1899~1978) 작곡가, 교사.어머니는 유대인이었다.소피아에 있는 불가리아 국립음악원은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 엔젤 바겐슈타인(1922년생), 영화감독, 플로브디프 출신
- 알렉시스 바이센버그(1929-2012), 피아니스트, 플로브디프 출신
Knesset 멤버
- 소피아 출신 빈야민 아르디티(1897년-1981년)
- 미하엘 바르-조하르(1938년생), 소피아 출신
- 플로브디프 출신의 시몬 베자라노(1910-1971년
- 야아코프 네호슈탄(1925~2019), 카잔락 출신
- 플로브디프 출신 야아코프 니차니(1900년-1962년)
- 빅터 셈토브(1915~2014), 사모코프 출신
- 플로브디프 출신의 이매뉴얼 지스만(1935~2009년)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2001 census data". nsi.bg (in Bulgarian). 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of Bulgaria. March 1, 20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7, 2012. Retrieved October 25, 2016. "Ethnic Minorities in Bulgaria". nccedi.government.bg (in Bulgarian). National Council for Cooperation on Ethnic and Integration Issues.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April 16, 2009. Retrieved October 25, 2016.
- ^ "History". shalompr.org (in Bulgarian). Организация на евреите в България "Шалом" (Organization of Jews in Bulgaria "Shalom"). 2015. Retrieved October 4, 2015.
- ^ a b c Stefanov, Pavel (2002). "Bulgarians and Jews throughout History". Occasional Papers on Religion in Eastern Europe. Newberg, Oregon: George Fox University. 22 (6): 1–11. ISSN 1069-4781. Retrieved October 4, 2015.
- ^ Kesiakova, E. (1989). "Antichna sinagoga vuv Philipopol". Arheologia. 1: 20–33.
- ^ Kochev, N. (1978). "Kum vuprosa za nadpisa ot Oescus za t. nar. arhisinagogus". Vekove. 2: 71–74.
- ^ Kraabel, A. T. (1982). "The Excavated Synagogues of Late Antiquity from Asia Minor to Italy". 16th Internationaler Byzantinistenkongress (in German). Vienna. 2 (2): 227–236.
- ^ Chary, Frederick B. (1972-11-15). The Bulgarian Jews and the Final Solution, 1940–1944.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p. 28. ISBN 9780822976011.
- ^ Rădvan, Laurențiu (2010-01-01). At Europe's Borders: Medieval Towns in the Romanian Principalities. Brill. p. 109. ISBN 978-9004180109.
- ^ Congress, World Jewish. "World Jewish Congress". www.worldjewishcongress.org. Retrieved 2017-01-04.
- ^ "The Jewish Community of Sofia". The Museum of the Jewish People at Beit Hatfutsot.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Ragaru, Nadège (2017-03-19). "Contrasting Destinies: The Plight of Bulgarian Jews and the Jews in Bulgarian-occupied Greek and Yugoslav Territories during World War Two". Online Encyclopedia of Mass Violen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6-03. Retrieved 2020-03-08.
- ^ Chary, Frederick B. (1972). The Bulgarian Jews and the final solution, 1940-1944. Pittsburgh: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ISBN 978-0-8229-7601-1. OCLC 878136358.
- ^ Seton-Watson, Hugh (1945). Eastern Europe Between the Wars, 1918-1941. CUP Archive. ISBN 978-1-001-28478-1.
- ^ 자콘 자우레즈단 나 포단스트보토 대 도브루자, D.V., n° 263, 21.11.1940.
- ^ a b c Stefanov, Pavel (May 1, 2006). "The Bulgarian Orthodox Church and the Holocaust: Addressing Common Misconceptions". Occasional Papers on Religion in Eastern Europe. 26 (2): 11. ISSN 1069-4781. OCLC 80921771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9, 2016.
- ^ a b c d e "Bulgaria".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Retrieved 2016-11-09.
- ^ "Bulgarian Jews fleeing the Nazis drown in Sea of Marmara". haaretz.com. Haaretz.
- ^ Marushiakova, Elena; Vesselin Popov (2006). "Bulgarian Romanies: The Second World War". The Gypsies during the Second World War. Univ of Hertfordshire Press. ISBN 0-900458-85-2.
- ^ Fischel, Jack (1998). The Holocaust. Greenwood Publishing Group. p. 69. ISBN 0-313-29879-3.
- ^ Wyman, David S.; Charles H. Rosenzveig (1996). The world reacts to the Holocaust. JHU Press. p. 265. ISBN 0-8018-4969-1.
- ^ a b c Benbassa, Esther; Aron Rodrigue (2000). Sephardi Jewry: a history of the Judeo-Spanish community, 14th-20th centuri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174. ISBN 0-520-21822-1.
- ^ Levin, Itamar; Natasha Dornberg; Judith Yalon-Fortus (2001). His majesty's enemies: Great Britain's war against Holocaust victims and survivors. Greenwood Publishing Group. ISBN 0-275-96816-2.
- ^ Levy, Richard S (2005). Antisemitism: A Historical Encyclopedia of Prejudice and Persecution. ABC-CLIO. p. 90. ISBN 1-85109-439-3.
- ^ 규칙 n° 113, 각료회의, 의정서 132, 12.08.1941.
- ^ Hoppe, Jens (2007). "Juden als Feinde Bulgarians? Zur Politik gengenüber den bulgarischen Juden in der Zwischenkriegszeit". In Dahlmann, Dittmar; Hilbrenner, Anke (eds.). Zwischen grossen Erwartungen und bösem Erwachen: Juden, Politik und Antisemitismus in Ost- und Südosteuropa 1918-1945. Paderborn: Schöningh. pp. 217–252. ISBN 978-3-506-75746-3.
- ^ Derrjaven Voenno-Istoricheski Arhiv [주 군사역사문서] DVIA, F 2000, o 1, ae 57, 57–74.
- ^ 규칙 n° 125, 각료회의, 의정서 94, 14.07.1942.
- ^ 제7차 인민법원 기록, 1945년 3월 - CDA, F1449, o1, ae181.
- ^ Troeva, Evgenija (2012). "Prinuditelnijat trud prez Vtorata svetovna vojna v spomenite na bălgarskite evrei [Forced Labor during World War Two in the Memory of the Bulgarian Jews]". In Luleva, Ana; Troeva, Evgenija; Petrov, Petăr (eds.). Принудителният труд в България (1941-1962): спомени на свидетели [Prinuditelnijat trud v Bălgarija (1941-1962). Spomeni na svideteli] [Forced Labor in Bulgaria (1941-1962). Witnesses' Memories]. Sofia: Академично издателство "Проф. Марин Дринов" [Akademično izdatelstvo “Marin Drinov”]. pp. 39–54. ISBN 9789543224876.
- ^ CDA, F 370K, o 6, ae 928, l 75 r/v.
- ^ a b CDA F 176K, o 11, ae 1775, L.10
- ^ CDA F 176K, o 11, ae 1775, l.9
- ^ Chary, Frederick B. (1972). The Bulgarian Jews and the final solution, 1940-1944. Pittsburgh: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ISBN 978-0-8229-7601-1. OCLC 878136358.
- ^ CDA, F 176 K, o 11, ae 2165, L. 10-25
- ^ CDA, F 176K, o 11, ae 1779, L. 10
- ^ Megargee, Geoffrey P.; White, Joseph R. (2018).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Encyclopedia of Camps and Ghettos, 1933–1945, vol. III: Camps and Ghettos under European Regimes Aligned with Nazi Germany. Indiana University Press. ISBN 978-0-253-02386-5.
- ^ Centralen Dürjaven Arhiv [Central State Archives], CDA, F2123 K, o1, ae 22286, l. 56-57.
- ^ Micković, Evica; Radojčić, Milena., eds. (2009). Logor Banjica: Logoraši: Knjige zatočenika koncentracionog logora Beograd-Banjica (1941-1944), Vol. I. Belgrade: Istorijski arhiv Beograda. pp. 163–166. ISBN 9788680481241.
- ^ 규칙 n°70, 각료회의, 프로토콜 111, 26.08.1942(DV, n°192, 29.08.1942)
- ^ 이스라엘의 역사: 시오니즘의 부상부터 하워드 M의 우리 시대까지. 사차, 알프레드 A.Knopf, 뉴욕, 2007, 페이지 238. 페이지 238.
- ^ "MINA Breaking News - German Archives show Bulgarians rounded up and transported Macedonian Jews". MacedoniaOnline.eu. 4 February 2013. Retrieved 29 December 2016.
- ^ De Wever, Bruno, ed. (2006). Local government in occupied Europe: (1939–1945). Gent: Academia Press. p. 206. ISBN 978-90-382-0892-3.
- ^ 2016-01-05년 불가리아 헬싱키 그룹의 과거와의 만남
- ^ "The Virtual Jewish History Tour Bulgaria". Jewish Virtual Library. Retrieved 2006-11-26. "Encyclopedia Judaica: Cuomotini, Greece". Jewish Virtual Library. Retrieved October 1, 2015.
- ^ 규칙 n° 70, 각료회의, 의정서 74, 21.05.1943.
- ^ a b Bar-Zohar, Michael (2001-07-04). Beyond Hitler's Grasp: The Heroic Rescue of Bulgaria's Jews. Adams Media Corporation. ISBN 9781580625418. Retrieved 19 February 2014.
- ^ Todorov, Tzvetan (2003). The Fragility of Goodness: Why Bulgaria's Jews Survived the Holocaust.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11564-1.
- ^ Alfassa, Shelomo (August 17, 2011). Shameful Behavior: Bulgaria and the Holocaust. Judaic Studies Academic Paper Series. p. 108. ISBN 978-1-257-95257-1. ISSN 2156-039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2, 2012.
{{cite book}}
: CS1 maint: bot: 원래 URL 상태를 알 수 없습니다(링크). - ^ "Immigrants by period of immigration, country of birth and last country of residence" (in Hebrew and English). The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Israe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6-10. Retrieved 2008-08-22.
- ^ Berman Institute. "World Jewish Population, 2010". University of Connecticut. Retrieved 2013-10-30.
추가 정보
- Ben-Yakov, Avraham (1990). "Encyclopedia of the Holocaust". Encyclopaedia of the Holocaust. Vol. 1. New York: Macmillan. pp. 263–272. ISBN 0-02-896090-4. (맵, 일러스).
- Stefanov, Pavel (2002). "Bulgarians and Jews throughout History". Occasional Papers on Religion in Eastern Europe. Newberg, Oregon: George Fox University. 22 (6): 1–11. ISSN 1069-4781. Retrieved October 4, 2015.
- Stefanov, Pavel (2006). "The Bulgarian Orthodox Church and the Holocaust: Addressing Common Misconceptions". Occasional Papers on Religion in Eastern Europe. Newberg, Oregon: George Fox University. 26 (2): 10–19. ISSN 1069-4781. Retrieved October 4, 2015.
- Trankova, Dimana; Georgieff, Anthony (2011). A Guide to Jewish Bulgaria. Sofia: Vagabond Media. p. 168. ISBN 978-954-92306-3-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9-08.
- Aladjem Bloomfield, Martha; Comforty, Jacky (2021). The Stolen Narrative of the Bulgarian Jews and the Holocaust. Maryland: Rowman & Littlefield. p. 456. ISBN 978-1-7936-3291-3.
- Comforty, Jacky (2001). "The Optimists: A film about the Rescue of the Bulgarian Jews during the Holocaust". 같은 웹 사이트의 [Resourcesources
- Chary, Frederick B. (1972). The Bulgarian Jews and the Final Solution, 1940-1944.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p. 45. ISBN 9780822932512.
- L. 이바노프불가리아의 기본역사는 7페이지로 되어 있다.소피아, 2007년
외부 링크
- "Records of the Open Media Research Institute (OMRI): Bulgarian Subject Files - Social Issues: Minorities: Jews". osaarchivum.org. Budapest: Blinken Open Society Archives. Retrieved September 7, 2021.
- 빈 박스카(2011) IMDb 다큐멘터리 및 YouTube 동영상
- Alfassa, Shelomo. "Clarifying 70 Years of Whitewashing and Inaccuracies: The Bulgarian Government and its Interaction with Jews During the Holocaust".
- "Saving the Jews of Bulgaria" (in Bulgarian). Bulgarian State Archives Agency. Retrieved October 4,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