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보플라틴
Carboplatin![]() | |
![]() | |
임상자료 | |
---|---|
발음 | /ˈkɑːrboʊˌplæən/ |
상명 | 파라플라틴 등 |
AHFS/Drugs.com | 모노그래프 |
메드라인플러스 | a695017 |
경로: 행정 | 정맥주사 |
ATC 코드 | |
법적현황 | |
법적현황 |
|
약동학 데이터 | |
생체이용가능성 | 완성의 |
단백질 결합 | 매우 낮음 |
제거 반감기 | 1.1-2시간 |
배설 | 신체의 |
식별자 | |
| |
CAS 번호 | |
펍켐 CID | |
드러그뱅크 | |
켐스파이더 | |
유니 | |
케그 | |
체비 | |
켐벨 | |
CompTox 대시보드 (EPA) | |
ECHA InfoCard | 100.050.388 ![]() |
화학 및 물리적 데이터 | |
공식 | C6H12N2O4PT |
어금질량 | 371.256 g·190−1 |
3D 모델(JSmol) | |
| |
| |
![]() ![]() |
카보플라틴은 여러 형태의 암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요법 약물이다.[1] 여기에는 난소암, 폐암, 머리와 목암, 뇌암, 신경블라스토마 등이 포함된다.[1] 정맥에 주사하여 쓴다.[1]
부작용은 일반적으로 발생한다.[1]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저혈구 수치, 메스꺼움, 전해질 문제 등이 있다.[2][1] 다른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알레르기 반응과 또 다른 암의 미래 위험 증가가 있다.[1] 임신 중에 사용하면 아기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1] 카보플라틴은 백금을 기반으로 한 항소플라스틱 약품군에 속하며 DNA 복제를 방해하여 작용한다.[1][3]
카보플라틴은 1972년에 특허를 받았고 1989년에 의료용으로 승인되었다.[4] 그것은 세계보건기구의 필수 의약품 목록에 올라 있다.[5]
의학적 용법
카보플라틴은 다양한 형태의 암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에는 난소암, 폐암, 머리와 목암, 뇌암, 신경블라스토마 등이 포함된다. 그것은 고환암의 일부 유형에 사용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시스플라틴이 더 효과적이다.[1] 3중 음성 유방암 치료에도 쓰였다.
부작용
시스플라틴에 비해 카보플라틴의 가장 큰 장점은 부작용 감소, 특히 신독성 효과의 제거다. 메스꺼움과 구토는 덜 심하고 더 쉽게 조절된다.
카보플라틴의 주된 단점은 골수 억제 효과다. 이것은 신체의 골수의 혈구와 혈소판 출력이 상당히 급격하게 감소하게 하고, 때로는 평상시 생산량의 10%까지 낮아지게 한다. 이러한 골수저압의 저변은 보통 첫 번째 치료 후 21-28일 후에 발생하며, 그 후 혈액 속의 혈구와 혈소판 수치가 안정되기 시작하고, 종종 카르보플라틴 이전 수준에 근접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백혈구 감소(중성세포)는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필라심 같은 약으로 치료하기도 한다. 중성미자의 가장 두드러진 합병증은 기회주의적 유기체에 의한 감염 확률을 증가시켜 병원 재입원과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다.
화학
그 구조로 볼 때 카보플라틴은 시스플라틴에 남아 있는 2개의 염화 리간드 대신 바이덴산 디카르복실산(리간드는 사이클로부탄 디카르복실산, CBDCA)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시스플라틴과 차이가 있다. 이 때문에 의학 문헌에서 카보플라틴을 가리키는 약어로 "CBDCA"를 쓰기도 한다. 카보플라틴은 시스플라틴과 동등한 용량에서 시험관내 동일한 반응생산을 형성하지만 반응도가 낮고 DNA 결합운동이 느리다. 시스플라틴과 달리 카보플라틴은 대체 메커니즘에 취약할 수 있다. 일부 결과는 시스플라틴과 카보플라틴이 세포독성 작용을 발휘하면서 MCF-7 세포 라인에 서로 다른 형태학적 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을 보여준다.[6] 반응성이 저하되면 배설되는 단백질-카보플라틴 복합체가 제한된다. 카보플라틴의 배설률이 낮다는 것은 더 많은 것이 체내에 유지되고, 따라서 그 효과가 더 오래 지속된다는 것을 의미한다(시스플라틴의 경우 1.5-3.6시간과 비교하여 카보플라틴의 경우 30시간의 유지 반감기).
작용기전
DNA를 가진 카보플라틴의 분자 작용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두 가지 이론이 존재한다.
전자는 이전의 시스플라틴과 떠나는 집단의 유사성 때문에 더 많이 받아들여지는 반면 후자의 가설은 활성 Pt2+ 종을 방출하기 위한 생물학적 활성화 메커니즘을 계획하고 있다.
복용량
Calvert의 공식은 카보플라틴의 선량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크레아티닌 간격과 곡선 아래 원하는 영역을 고려한다.[7] 24시간 후에는 거의 70%의 카보플라틴이 변치 않고 소변으로 배설된다. 이것은 신장 기능에 장애가 있을 경우 카보플라틴의 선량을 조절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8]
수식: s (m )= A ( + )
카보플라틴의 곡선(AUC) 아래의 일반적인 면적은 3-7(mg/ml)*min이다.[8]
역사
카보플라틴은 미시간 주립 대학에서 발견되었고,[9] 런던 암 연구소에서 개발되었다.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는 1989년 3월 파라플라틴이라는 상표명으로 카보플라틴에 대한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얻었다. 2004년 10월부터 이 약의 일반 버전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리서치
카보플라틴은 또한 1기 반모세포성 고환암의 보조요법에도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부작용은 적지만 이 치료에는 보조 방사선 치료보다 덜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10] 이로 인해 카보플라틴 기반의 보조요법이 임상실무에서 보조방사선요법보다 일반적으로 선호되고 있다.[11]
헥사데실체인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결합한 카보플라틴은 지방 분해능과 PEGylation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화학요법, 특히 비소세포폐암에 유용하다.[12]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d e f g h i "Carboplatin".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December 2016. Retrieved 8 December 2016.
- ^ Oun R, Moussa YE, Wheate NJ (2018). "The side effects of platinum-based chemotherapy drugs: a review for chemists". Dalton Transactions. 47 (19): 6645–6653. doi:10.1039/c8dt00838h. PMID 29632935.
{{cite journal}}
: CS1 maint: 작성자 매개변수 사용(링크) - ^ Apps, M. G.; Choi, E. H. Y.; Wheate, N. J. (2015). "The state-of-play and future of platinum drugs". Endocrine-Related Cancer. 22 (4): 219–233. doi:10.1530/ERC-15-0237. PMID 26113607.
- ^ Fischer, Janos; Ganellin, C. Robin (2006).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John Wiley & Sons. p. 513. ISBN 978352760749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12-20.
-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25771. WHO/MVP/EMP/IAU/2019.06. License: CC BY-NC-SA 3.0 IGO.
- ^ Natarajan G, Malathi R, Holler E (November 1999). "Increased DNA-binding activity of cis-1,1-cyclobutanedicarboxylatodiammineplatinum(II) (carboplatin) in the presence of nucleophiles and human breast cancer MCF-7 cell cytoplasmic extracts: activation theory revisited". Biochemical Pharmacology. 58 (10): 1625–29. doi:10.1016/S0006-2952(99)00250-6. PMID 10535754.
- ^ O'Cearbhaill, MD, Roisin; Sabbatini, MD, Paul S. (September 1, 2012). "New Guidelines for Carboplatin Dosing". 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10-31. Retrieved 2014-03-27.
- ^ a b Calvert, A H; Newell, D R; Gumbrell, L A; O'Reilly, S; Burnell, M; Boxall, F E; Siddik, Z H; Judson, I R; Gore, M E (1989-11-01). "Carboplatin dosage: prospective evaluation of a simple formula based on renal functio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7 (11): 1748–1756. doi:10.1200/JCO.1989.7.11.1748. ISSN 0732-183X. PMID 2681557.
- ^ "Discovery to Market: Fact She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2-08.
- ^ Oliver RT, Mason MD, Mead GM, von der Maase H, Rustin GJ, Joffe JK, de Wit R, Aass N, Graham JD, Coleman R, Kirk SJ, Stenning SP (2005). "Radiotherapy versus single-dose carboplatin in adjuvant treatment of stage I seminoma: a randomised trial". Lancet. 366 (9482): 293–300. doi:10.1016/S0140-6736(05)66984-X. PMID 16039331. S2CID 6001898.
- ^ Toner GC (2015). "Testicular cancer: Optimal management of stage I seminoma in 2015". Nat Rev Urol. 12 (5): 249–51. doi:10.1038/nrurol.2015.85. PMID 25896179. S2CID 8072355.
- ^ Lang, Tingting; Li, Nuannuan; Zhang, Jing; Li, Yi; Rong, Rong; Fu, Yuanlei (2021). "Prodrug-based nano-delivery strategy to improve the antitumor ability of carboplatin in vivo and in vitro". Drug Delivery. 28 (1): 1272–1280. doi:10.1080/10717544.2021.1938754. PMC 8238065. PMID 34176381.
추가 참조
- Canetta R, Rozencweig M, Carter SK (September 1985). "Carboplatin: the clinical spectrum to date". Cancer Treat. Rev. 12 (Suppl A): 125–36. doi:10.1016/0305-7372(85)90027-1. PMID 3002623.
- Yang XL, Wang AH (September 1999). "Structural studies of atom-specific anticancer drugs acting on DNA". Pharmacol. Ther. 83 (3): 181–215. doi:10.1016/S0163-7258(99)00020-0. PMID 10576292.
외부 링크
- 크레아티닌 클레런스 [sic] 계산기
- "Carboplatin". Drug Information Portal.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