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마호
Chonma-ho천마호 | |
---|---|
![]() 조선인민군 60주년 기념 열병식 때 천마호 5세(마) | |
유형 | 주전차 |
원산지 | 북한 |
서비스 이력 | |
전쟁 | 에티오피아 내전 이란-이라크 전쟁 |
생산이력 | |
디자이너 | 제2기계공업국[1] |
설계된 | 1980년[2] 이전 |
생산됨 | 1971[3] |
No. 지은 | 1200개[4][5] 이상 |
사양 | |
미사 | 40톤 |
길이 | 선체 길이: 6.63m(21.8ft) |
폭 | 3.52m(11.5ft) |
높이 | 2.4m(7.9ft) |
크루 | 4 |
갑옷 | 캐스트 터렛, 스페이스 아머, 폭발성 반응성 장갑 |
메인 무장을 하다 | 115mm 2A20 스무스보어 건 |
이차적 무장을 하다 | KPV 14.5mm 중기관총, 동축장착 7.62mm 기관총 |
엔진 | 디젤 750hp(560kW) |
힘/중량 | 18.75 hp/ton |
현수 | 비틀림 막대 |
운영 범위 | 450km |
최대 속도 | 시속 50km |
천마호 또는 천마호(천마호: 天馬湖; 한자: '페가수스'라는 뜻)는 북한의 비밀스러운 토착전차 설계의 하나이다. 이 탱크는 모리마 마차(마馬 전 or 또는 "콜리마 탱크")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원래의 천마호는 소비에트 T-62에 기반을 두고 있다. 천마호 작전본은 적어도 다섯 가지가 있다. 천마호는 개항 이래 몇 차례 대대적인 개량을 거친 것으로 보인다. 이 탱크에 대한 공개적인 정보는 거의 없고, 가장 최근에 공개된 것은 2010년 10월 10일 북한 평양에서 열린 북한 집권 65주년 기념 퍼레이드였다.
배경
1953년 한국전쟁 정전협정 이후 북한은 훨씬 더 현대적인 장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공개 적대시 시작 전 북한은 소련으로부터 379대의 T-34를 획득했다. 2000년 미국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군은 한국 비무장지대(DMZ)를 따라 최대 2,000대의 탱크를 주둔시키고 있었다.[6] 이는 1954년에서 2000년 사이에 북한 주민들이 소련제 T-55와 T-62, 중국제 59형과 62형 등 2000여대의 탱크를 비축할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월남한 한 북한 장군도 2000년대 초반 "연비군사훈련이 부족해 한계가 있다"고 했다.[7] 북한 인민군들이 사용한 노후 차량 중 상당수가 정비 상태가 좋지 않아 수년 간 불용에 시달렸을 가능성도 있다. 이는 좋은 유지보수를 가정하더라도 여전히 사실이며, 북한군만이 이를 경험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625전쟁 이후 북한군에 대해 알려진 것은 많지 않지만 다양한 종류의 탱크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는 유형 59와 유형 62뿐만 아니라 T-54, T-62 및 T-72가 포함된다. T-54는 1960년대와 1970년대 사이에 북한에 팔렸을 가능성이 높은 반면 T-62는 1980년대 중반에 팔린 것으로 알려졌다. 확인되지 않은 보도들은 몇몇 T-72가 1990년대 초에 북한에 제공되었을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북한 주민들은 여전히 제2차 세계대전 T-34s는 물론 소련 시절 PT-76/85 수륙양용 탱크를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대 5,400대의 전차와 최소한 1만 2천 개의 자주포와 수천 개의 미지의 종류와 양의 다른 견인포들이 결합되어 있다.[8] 북한은 또한 BMP-1을 포함하여 최소한 9개의 다른 종류의 장갑 수송선을 보유하고 있다.
역할
천마호는 북한의 최고 기갑부대에 발령되었고, 남한의 방어망을 뚫기 위한 초기 시도에 앞장설 것이다. 다른 무기는 이 군단이나 북한의 4개 기계화 군단의 부차적인 역할로 좌천된다. 북한의 연합무기 개념과 무기의 중요성, 따라서 천마호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북한의 유일한 무기군단은 2개의 기계화군단과 1개의 포병단으로 직접 묶는다.[9] 그러나 이는 북한의 비무장지대(DMZ) 배치의 제2의 실마리를 이루고 있으며, 제1의 실대는 보병 4개 군단으로 구성되고,[9] 나머지는 전략예비군으로 구성된다. 북한군이 심층적으로 배치돼 있고, 비무장지대(DMZ)를 따라 남한의 돌파구를 봉쇄할 수 있는 기동방어(Mobile Defense)로 구성된 제2의 에켈론(Echelon)과 공격력을 제공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10]

천마호는 북한이 주체, 즉 자주포를 접근시킨 산물로, 여러 토착 자주포도 포함되어 있다. 주체사상은 동맹국인 중국과 소련/러시아가 버린 북한 정서에서 나온다.[11] 이는 그들이 과잉생산과 최근의 북한 핵 개발, 그리고 북한에 더 긴 사거리를 제공하는 장거리 미사일의 생산에 대한 추진력을 설명한다. 이 모든 것이 북한 군사 개발의 '삼각형' 즉, 무기와 포병, 미사일 안에서 드러난다. 사실 이것은 소련 군사론에서 연상되는 것으로 보이는데, 여기에는 압도적인 포병 지원의 적용과 초기 포병 교란 이후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대량의 무기가 동원되었다. 그런 점에서 북한 군사전략은 매우 기동성이 있고, 많은 수의 탱크가 이를 강조한다. 천마호는 현재 한국 K1A1과 미국 M1 에이브람스 전차와의 기술 격차를 일부 해소하기 위한 시도다.[12]
생산이력
천마호 1호에는 1970년대 말 시리아 T-62의 사본과 소련에서 수출한 원본 T-62D의 두 가지 버전이 있을 수 있다.[13] 천마호는 중국식 62형과 관련이 없다. 전마호는 T-62와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갑옷이 얇아 결과적으로 가벼웠다.[14][unreliable source?] 이 버전의 탱크는 상부 빙하 판의 하단 부분에 두 개의 독특한 볼트가 있다. 천마호 I이름도 수입된 T-62에 (적어도 서양과 한국 백서에 의해) 주어져 나중에 IM 버전으로 약간 업그레이드되었다. 천마호 1호는 날짜가 잡히지는 않았지만, 이후 맨틀 위에 레이저 레인지파인더를 장착하여 II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15] 온라인 소식통에 따르면 이 천마호는 아마도 1980년대 중반에 '붐 실드'로 다시 한번 업그레이드 되었다고 한다. 천마호 3호도 원래 115mm 주포를 위한 풀홀 스커팅과 새로운 보온 장막이 추가되면서 갑옷이 업그레이드되었을 것이다.[16]
가장 현대적인 천마호 탱크는 IV와 V 버전인 것 같다. 천마호 4호에는 가벼운 폭발 반응형 장갑벽돌과 비슷한 것이 설치돼 있다. 사진으로 판단하건대, 이것들은 특히 터렛 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한 면당 최소 8개의 벽돌을 가지고 있다. 천마호 4호기는 측면 장착형 신형 연막 발사대로 개량된 것으로 알려졌다.[15] 북한은 1992년 이후 T-72s의 사례를 몇 차례 받았고, 2001년 8월 T-90S 주력 전차 1대만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는 후문이다.[16] 천마호가 T-72나 T-90S의 표준으로 격상되었는지에 관한 어떤 결론도 현시점에서는 매우 추측성적일 것이다.
천마호의 약 90%가 빈약하게 생산된다.[17] 그러나 북한이 슬로바키아로부터 엔진 전체, 즉 엔진 부품을 구입했다는 증거가 있다.[18] 게다가, 업그레이드된 장갑 계획을 위한 세라믹 부품은 화재 통제 부품뿐만 아니라 외국으로부터 온 것이라고 생각된다.[17] 천마호의 여러 변종과 관련하여 얼마가 부족하게 생산되고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비록 많은 주요 기능들이 특히 탱크의 개량을 위해 해외에서 구입될 것이라는 점을 감안해야 했지만, 원래의 천마호 I과 천마호 V사이의 수치에는 상당한 변화가 있을 수 있었다. 북한이 스스로 생산할 수 있는 여력이 어느 정도인지, 아니면 그 문제에 대해 수입할 수 있는 여력이 어느 정도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북한은 자원, 특히 돈이 상당히 부족하다고 생각되며 2006년 북한의 핵실험 사건 이후 이런 믿음이 영속돼 왔다.[19] 확실한 증거는 없지만 러시아가 천마호와 M-2002를 포함한 북한의 탱크 사업을 위해 북한에 여러 가지 부품을 공급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2010년 8월 북한 매체들은 1990년대 초부터 개발 중이고 2002년 성능시험을 치렀다는 소문이 나돌던 신형 주력 전차인 '폭풍호(M-2002라고도 한다)'의 모습을 공개했다. 정확한 성능의 세부사항은 아직 불분명하지만, 포풍호는 천마호를 한층 더 발전시킨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보인다.[20]
배포 기록
조선인민군의 어느 부대에 천마호가 붙을지는 알 수 없다. 천마호는 T-62, T-34, 59형 중형 전차 등 기존에 채용된 전차의 대체형 전차임이 분명하다.[21] 천마호가 북한 기갑부대의 선봉과 정예들을 갖추게 될 가능성은 매우 크다. 그들은 전략적으로 중요할 만큼 충분히 배치되어 있다. 북한군에는 1000대가 넘는 천마호 외에 무려 800대의 T-62가 있을 수 있는데,[22] 그 중 어떤 숫자도 다섯 개의 천마호 변종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에티오피아는 천마호 탱크를 구입해 에티오피아 남북전쟁 당시 반군에 대항해 사용했다. 반군이 수도 아디스아바바를 전복했을 때 천마호 전차 중 일부는 다른 탱크와 함께 버려진 채 발견되었다.
모델
- 천마호 1호 - T-62의 사본.[23]
- Ch'ŏnma-ho II - Similar to a stock T-62, but has several differences, has a laser rangefinder housed in a blister above the main gun atop the turret (though the original T-62 does have a laser rangefinder, the Ch’onma-ho 1 does not – and the laser rangefinder of the T-62 is an integral part of the fire control system, rather than an add-on part like'온마호2') Turret 주변 링에 Turret("붐 실드")에 스페이스 애플리케이션 아머를 장착하고 있으며, Turret attop Barbar에 용접된 얇은 강철 판은 보호막과 Turret armor 사이의 공간을 제공하여 스페이스 아머에 상당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승무원 장비와 차량 장비에 Turreet baskbasks를 두 배로 늘릴 수 있다.[23]
- 천마호 III - 천마호 2호의 간단한 점진적인 업그레이드로, 주포용 열 슬리브와 장갑 트랙 스커트가 추가되었다. 평균자책점을 위한 러그가 도입 이후 추가된 것은 가능하지만 가능성이 낮다고 간주된다. 러그가 존재한다면 빙하와 터렛 쪽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 야간 시력 업그레이드.[23]
- 천마호 4세 - 빙하와 포탑 전방에 복합 갑옷과 다른 곳에 응용되거나 두꺼워진 갑옷 등 갑옷 보호가 대폭 업그레이드되었다. 심지어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두꺼운 갑옷도 이전 모델보다 더 발전된 것처럼 보이지만, 큰 체중이 늘어난 것 같지는 않다. 화재 진압 스위트룸에 탄도 컴퓨터가 추가됐고, 화재 진압 스위트룸은 업그레이드의 패치워크가 아닌 완전한 시스템으로 통합되었다. 총기 안정화가 개선되었다. 라디오가 개선되고, 서스펜션이 강화되었다. 신형 엔진은 750마력 모델로 배기구에 디젤 연료를 주입해 두껍고 기름진 연막도 깔 수 있다. 평균자책점용 러그(러시아 콘탁트-3 방어율과 유사)가 터렛 면에 추가됐고, 장갑 트랙 스커트나 빙하 위 러그도 추가됐다. 터렛 전방의 방어벽용 러그. 포탑 옆면에는 4개의 연막탄 발사대가 있고, 포탑 뒤편에는 4개의 연막탄 발사대가 포워드 대신 뒤쪽으로 발사된다.[24]
- 천마-98(일명 천마-호 V) 용접 포탑의 크기가 커진 것으로 열 이미저와 신형 탄도 컴퓨터가 장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4]
- 천마-214 - 측면의 갑옷, 운전석 출입구 앞 육각형 도포, 천마-98에 비해 낮은 전방 빙하에 고무 시트를 부착한다.[24]
- 천마호 6세 - 천마-215에 대한 서양식 명칭.[24]
- 천마호 II - 수입 T-62의[23] 명칭
- 천마호 IM - 수입 T-62[25] 개선
변형
- 천마호 ARV – 건널목 상부 구조물이 있는 장갑차
- 천마호 사령부 – 가짜 주포를 장착한 탱크의 지휘 변종
- 주체포 – 수정된 천마호 섀시에 자주포. 주체포는 ATS-59 섀시에 탑재된 독촌포보다 개량형이다. 주체포에는 최소한 4개의 M1991 버전이 있으며, 각각 다른 총을 장착하고 있다: D-30 122mm, D-74 122mm, M-46 130mm, ML-20 152mm. 5번째 M1992 버전은 SM-4-1 130mm 하우처로 무장되어 있다. 이들 포대는 6개의 노면 차륜과 포탑에서 돌출한 반동 원통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큰 차이점은 주체포에는 이전에 사용되었던 구형 자주포와는 달리 완전히 포개진 둥근 포탑이 있다는 점이다.
연산자
현재 연산자
에티오피아: 알려지지 않은 수의 천마호들은 80년대 초반에 구입했는데, 1987년 열병식에서 가장 많이 보여진다.[26]
이란 - 1981년 북한에 150개를 주문하고 1982년과 1985년 사이에 인도했다.[2][4][5]
북한 - 470호는 1980년과 1989년 사이에 생산되었다(1976년 원래 주문이 들어왔다).[2] 전체적으로 1,200개 이상이 생산되었다.[4][5] 현재 약 800대의 T-62와 함께 1,000대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참고 항목
메모들
- ^ 버뮤데즈 주니어, 페이지 50.
- ^ a b c "SIPRI Arms Transfers Database". Retrieved 5 November 2014.
- ^ https://fas.org/irp/doddir/army/atp7-100-2.pdf
- ^ a b c ""softla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June 2008. Retrieved 3 November 2018.
- ^ a b c Igor Witkowski. Czołgi Świata. W-wa.
- ^ "U.S. Department of Defense". U.S. Department of Defense. Retrieved 3 November 2018.
- ^ "About:Military Histo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October 2006. Retrieved 3 November 2018.
- ^ "2000 Report to Congress". Retrieved 5 November 2014.
- ^ a b 호지, 페이지 6
- ^ 헤서링턴, 페이지 9
- ^ 헤서링턴, 페이지 3
- ^ Tessitori, Massimo. "chonma-ho I, II, III". www.massimotessitori.altervista.org. Retrieved 3 November 2018.
- ^ 워퍼드(2005), 페이지 2
- ^ http://www.jedsite.info, 천마호(등록 필요)
- ^ a b 제드사이트
- ^ a b 워포드(2005년), 페이지 3
- ^ a b "Armor: July 8, 2002". www.strategypage.com. Retrieved 3 November 2018.
- ^ 버뮤데즈(2001), 페이지 51.
- ^ 매킨타이어, 타임 아시아
- ^ "S. Korea Studies North's New Battle Tank". DefenseNews. 17 August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2, 2013.
- ^ 버뮤데즈(2001), 페이지 50.
- ^ 이센베르크
- ^ a b c d http://www.massimotessitori.altervista.org/armoursite/nkindigenoustanks/chonma-songun/chonma-ho123.htmlM[영구적 데드링크]
- ^ a b c d Tessitori, Massimo. "Chonma-ho IV, V, VI". www.massimotessitori.altervista.org. Retrieved 3 November 2018.
- ^ "Chonma-ho (Pegasus) Main Battle Tank (MBT) - North Korea". Retrieved 3 November 2018.
- ^ "North Korea and Ethiopia, brothers in arms - NK News - North Korea News". 4 September 2014. Retrieved 3 November 2018.
참조
- Bermudez Jr., Joseph S. (2001-03-14). The Armed Forces of North Korea. I.B. Tauris. ISBN 1-86064-486-4.
- 게이벨, 아담(2002) 갑옷 - 2002년 7월 8일 strategypage.com
- 헤서링턴, 제이 A. (2004년), 북한: Strom Thurmond Institute, Looking Glass, Strom Thurmond Institute.
- 호지, 호머 T. (2003) 북한 군사전략, 매개변수, 미군전대학
- 이센베르크, 데이비드 "북한이 새 탱크를 내놓는다"아시안타임즈
- 매킨타이어, 도널드 "킴스 워 머신", 타임 아시아.
- 워포드, 제임스(1998년). 2005년 9월 1일 갑옷 입고 '천마호 본전차: 북한 '날아다니는 말'의 현재와 미래를 바라본다. 포트 녹스, KY: 미군 갑옷 센터. ISSN 0004-2420.
- 2000년 의회 보고: 한반도 군사 정세 defenselink.mil
- T-62 전차 하르키브 모로조프 웹사이트 하르키브 현대화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력 abou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