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식(탱크)
Type 61 (tank)61식 | |
---|---|
![]() GSDF 캠프 젠츠지에 전시된 타입 61 탱크. | |
유형 | 주전차 |
원산지 | 일본. |
서비스 이력 | |
가동중 | 1961–2000 |
생산이력 | |
디자이너 | 미쓰비시 중공업 |
설계된 | 1955–1960 |
제조사 | 미쓰비시 중공업 |
생산됨 | 1961–1975 |
No. 지은 | 560 |
변형 | 변종 참조 |
사양 | |
미사 | 35톤 |
길이 | 8.19 / 6.03m |
폭 | 2.95m |
높이 | 2.49m |
크루 | 4 |
갑옷 | 55mm(높이) – 114mm(터릿) |
메인 무장을 하다 | 90mm L/52 대포를 샅샅이 뒤져 입마개 속도: 910m/s(M318AP-T) |
이차적 무장을 하다 | 7.62mm 브라우닝 M1919A4 기관총 12.7mm M2 브라우닝 기관총 |
엔진 | 미쓰비시 12HM21WT 4행정 V형 12기통 수직공기냉각 디젤 570hp(430kW) / 2100rpm, 29600cc |
힘/중량 | 17.14 hp/tonne(12.28 kW/tonne) |
현수 | 비틀림 막대 |
운영 범위 | 200km |
최대 속도 | 45km/h(일반 도로) |
61식 전차(61式戦, Roku-ichi Shiki sensha)는 일본 육상자위대(JGSDF)가 개발해 사용하는 주력 전차로서 미쓰비시중공업이 건설했다.
1955년에 개발이 시작되었고 1961년 4월에 차량이 처음 배치되었다. 유형 번호는 배치 연도에 따른다. 생산이 중단된 1961년부터 1975년까지 총 560개의 타입 61이 제조되었다. 74타입에 의해 계승되었다.[1][2][3]
역사
일본 제국은 광범위한 기갑 전투 차량을 생산했었다. 그러나 일본의 항복 이후 모든 AFV 개발과 건설은 중단되었고, 일본은 탱크와 장갑차를 건설하고 제조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상실했다. 그러나 한국 전쟁으로 인해 연합국 최고사령관은 일본에 다시 군사화를 지시하여 무장 경찰력(초기 경찰 예비군, 후에 국가안전보위부로 불리며, 마침내 일본 지상 자위대로 개칭)을 결성하고 M4A3E8 셔먼 중전차와 M24 채피 경전차를 제공하였다.[4]
이 탱크들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많이 사용되었고, 일본으로 인도된 후 불과 몇 년 만에 총 기계식 오버홀을 필요로 했다. 한반도에서 많은 양의 부품이 소비되고 있었기 때문에 일본에서 사용되는 예비품을 국내에서 생산할 필요가 있었고, 미국식 탱크 설계와 유지보수에 대한 절차적 지식이 축적되기 시작했다.[4] 셔먼호와 채피가 일본용으로 공유하는 한 가지 보너스는 일본 승무원의 평균 신장이 미군에 비해 짧고, 탱크도 일본 기준으로는 넓다고 생각한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국방청장은 1955년 기술연구개발원(國文學院, 지주쓰켄큐혼부)에 새로운 국산 전차 개발을 명령하였다.[4] 한국전쟁 당시 T-34와 M26 퍼싱의 성능으로 신형 일본 전차는 90mm 주포를 필요로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3]
JGSDF의 탱크 장교들 중에는 새로운 탱크를 위한 두 가지 설계안이 있었다. 하나는 일본의 험난한 지형에 걸맞게 25톤짜리 탱크였는데, 논밭과 지반이 약했다. 다른 한 척은 35톤짜리 탱크로, 90mm의 총을 실을 수 있을 만큼 큰 것이었다. 두 계획 모두 장단점이 있었지만 치열한 논의 끝에 35t급 디자인을 채택했다. [Note 1] 1956년부터 1960년까지, STA1부터 STA4까지 번호가 매겨진 4개의 시제품이 연속적으로 생산되었고, 1957년부터 테스트가 시작되었다. STA3/4는 JGSDF에 만족하였으며 1961년 4월에 도입되었다.[2]
디자인
61형은 통상적으로 배치돼 있으며, 중앙 터렛과 엔진은 선체 뒤쪽에 위치한다. 이 탱크에는 지휘관, 운전자, 포병, 적재함 등 4명의 선원이 있다. 선체는 강철로 용접되어 있고 주철 터렛으로 되어 있다. 최대 장갑 두께는 64mm로 인용된다. 운전자는 선체 오른쪽 앞쪽에 앉아 바로 위 해치를 하고, 앞쪽 호를 덮는 시야 잠망경 3개가 있다. 운전석 왼쪽에는 변속기가 있는데, 이 변속기는 선체 전면에 있는 대형 패널을 제거해 서비스를 위해 접근할 수 있다. 지휘관과 포병대는 오른쪽의 포탑에 앉아 지휘관은 뒤쪽에 해치가 달린 커다란 돔 모양의 큐폴라를 제공했다. 포병은 해치가 없고 지휘관 앞에 앉아 있다.[3]
보통 툴 보관함은 버슬 후면에 외부로 장착하고, 3기의 연막탄 발사대는 포탑 양쪽에 각각 장착했다. 두 개의 대형 라디오 안테나도 후미에는 부착되어 있었다.[3]
엔진 및 구동
이 탱크는 570마력의 미쓰비시 HM21 WT V12 터보차지 디젤이 선체 후면에 탑재돼 선체 후면의 양쪽에 있는 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방식으로 구동됐다. 이 엔진은 미츠비시 수동 변속기 시스템과 결합되어 제어되는 디퍼렌셜 스티어링 시스템을 사용한다. 트랙은 전방에서 구동되며, 양쪽에 6개의 고무 로드 휠과 3개의 리턴 롤러가 있다. 서스펜션은 1, 2, 6번 로드 휠에 유압 쇼크 업소버가 장착된 비틀림 바 시스템이다.[3]
당초 일본 기술자들은 일본에서 행해진 미군 M47 패튼의 보수공사를 관찰해 연구한 크로스 드라이브 시스템을 채택할 계획이었으나 이를 실현하지 못했다.[3]
군비
M36 탱크 구축함은 1955년경 임대되어 90mm포 장착 방법의 참고자료로 사용되었다. 이 기간 동안 100mm 고경구 대포로 무장한 탱크가 일본 국외에 나타나기 시작했기 때문에, 국내에서 새로 생산된 탱크에 유사하게 큰 칼리브르 총을 사용하는 것이 고려되었다. 그러나 M36을 살펴본 결과, 90mm 탄약은 일본 유조선 평균이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의 상한선이라고 느꼈다. 게다가 일본의 산악 지형으로 인해 장거리 교전이 자주 일어날 것 같지 않았고 90mm 포로도 충분할 것으로 생각되었다.[4]
이 결정에 따라 61식 90mm 칼리브레 총이 주총으로 채택되었다. 총에는 t자 모양의 주둥이가 달려 있어 발화 가스를 옆으로 발산하고 발화로 인해 차올려지는 먼지 양을 줄여준다. 이 제품은 고정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평 슬라이딩 브릭 블록을 장착한다. 로더에는 손으로 사용후 쉘 케이스를 배출하기 위한 작은 플랩이 있는 작은 해치가 제공된다. Turret 후면의 Burstle에서 18라운드를 보관할 수 있으며, 탱크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추가 라운드가 분배된다.[5]
사령관의 큐폴라에는 위로 각진 4개의 시력블록과 x7배율의 1m 베이스 입체 레인지파인더가 있다. 포병은 x6배율망원경과 ×6배율망원경을 가지고 있다.[5]
M1919A4 7.62mm 기관총은 동축 기관총으로 총 옆에 장착하고, M2 12.7mm 기관총은 일반적으로 대공 사용을 위해 지휘관의 큐폴라 위에 장착한다.[5]
배포 기록
초기 생산률은 낮았는데, 1961년과 1962년에 생산된 전차가 10대에 불과하여 1964년에는 20대, 1965년과 1966년에는 30대로 늘어났다. 1970년까지 총 250개가 생산되었고, 생산은 종료된 1975년까지 증가된 속도로 계속되었다. 총 560개가 생산되었다.[6] 이 탱크는 1990년대에 단계적으로 사용이 중단되었고, 1990년에는 400대가 사용되었고, 1995년에는 190대가 사용되었다. 모두 원래 배치된 지 39년 만인 2000년 해체됐다.[7] 이 기간 동안 61타입은 적외선 검색등 및/또는 연기 배출자의 형태로 경미한 업그레이드를 받았다. 1980년부터 61타입은 보다 현대적인 74MBT형으로 보완되기 시작했다.
연산자
일본 – 1961년부터 2000년 사이에 560개 서비스 중
변형
- 67식 AVLB(Armed Vehicle Launch Bridge)(6767式橋橋)
- 70식 ARV(Armed Rescue Vehicle) (7070車車回車)
참고 항목
메모들
참조
책들
- Foss, Christopher F. (1977). Jane's World Armoured Fighting Vehicles. St. Martin's Press. ISBN 978-0312440473.
- Furuze, Mitsuharu; Ichinohe, Takao (2009). Postwar Japanese Tanks (in Japanese). Vol. 6. KAMADO. NCID BB01834038.
- Hayashi, Iwao (2005). History of Japanese tank development after the war (in Japanese). Ushio-shobō Kōjin-sha. ISBN 978-4769824725.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JGSDF Type 61 탱크와 관련된 미디어를 보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