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요어
Choyo language초요 | |
---|---|
계유, 초유 | |
네이티브: | 중국 |
원어민 | (7,000개 1995년 인용)[1] |
언어 코드 | |
ISO 639-3 | qvy |
글로톨로지 | quey1238 |
ELP | 케이유 |
큐유(초요, 초유)는 티베트는 물론, 야장 현과 쓰촨 신룽 현에서 잘 증명되지 않은 치앙어다. 자바와 비슷하고 이름을 공유하지만, 두 언어는 서로 구별된다.
방언
초요의 사투리는 다음과 같다.[2]
- 신룽 현 영락시 township拉市(왕 1991년; 황에드 1992년)[3][4] (서양 호르파 스피커도[5] 있음)
- 리탕군 룽바읍면 绒坝乡(니시다 2008년)[6]
- 야장 현 투안지 읍 (结乡 (Lu 1985; Sun Ed. 1991년)[7][8]
- 시알라 타운쉽 呷拉乡, 야장 현 (프린스 & 나가노 2013)[9] (다오 스피커도[10] 있음)
스즈키&왕모(2016년)[2]는 위에 열거한 4개의 방언으로 구성된 '라강초유어'가 '초유 고유어'와 비슷하지만 일부분은 아니라고 본다.
황앤다이(1992)는 [4]쓰촨 현 간지 현 신룽 현 영락시 읍내에서 사용되는 케유 사투리를 문서화한다.
라강초우
라강초우(중국어: 타공큐 yu tag域)는 스즈키&왕모(2018)가 최근 기술한 초유와 비슷한 치앙어다.[11] 타게[Thabs-mkhas] 햄릿, 남서 타공[lha-sgang]타운, 캉딩[다르-mdo] 중국 쓰촨성 시에서 쓰인다. 같은 읍의 시야 雅 hamlet 햄릿(스즈키&왕모 2016:63)에서 말하곤 했다. 라강초우는 100여 명의 스피커가 있는 멸종위기 언어다.
참조
- ^ 엣놀로그의 초요 (2015년 18회)
- ^ a b 스즈키, 히로유키, 소남왕모. 2016. "라강 초유: 그것의 사회 언어학적 지위를 먼저 살펴봐라." 아시아 지리언어학 II: 쌀. pp.60–69.
- ^ 왕, 톈시. 1990. "큐유 [초유]." 칭샤 다이, 부판황, 아일란 푸, 릭스진 드방모, 주황 류. Zangmianyu Shiwuzhong. 페이지 46–63. 63. 베이징: 베이징 옌산 추반시.
- ^ a b 황부판과 다이 칭샤, 1992년 ED. 짱미안유즈유얀시후이 《《語族族語》》》[티베토-부르만 렉시콘. 베이징: 중앙 소수민족 연구소.
- ^ 선, 잭슨 T.S 2018 호파의 조상: 추가 형태론적 증거. 타이베이: 학계 시니카.
- ^ 니시다, 후미노부. 2008. "Tyuyugo no on-in taike [초유의 포놀로지 시스템]" Tyuugoku Kenquu 16. 페이지 77–85.
- ^ 루, 샤오쥔 1985년 "자바유 가이쿠앙 [자바 개요]." 민즈 유웬 2. 페이지 67–76.
- ^ 선홍카이 외 1991. 짱미안유유인헤 cihui 藏缅音oburbur [티베토-부르만 음운론과 어휘론] 중국사회과학신문.
- ^ 프린스, 마리엘레, 나가노 야스히코(에드). 2013. r지알롱어군 데이터베이스.
- ^ 예스 보드살 앳쇼그 / 이쉬웨이사 아쿠오 [意西微萨·阿错] 2004. A study of Dao [倒话研究]. 베이징: 민족출판소[民族出版社]. ISBN978-7-105-06016-0
- ^ 스즈키, 히로유키, 소남 왕모. 2018. "민야그 랍강캄스(Lhagang, Khams Minyag)의 탐카스 사투리가 있는 라캉 초유 단어 목록" 아시아 및 아프리카 언어학과 언어학 12. 페이지 133–160.
- 니시다, 후미노부. 2008년 추유고노인타이케이 주고쿠 겐큐 / 레이타쿠 대학 16. 77-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