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난어

Bonan language
보난 시
네이티브:중국
지역칭하이시 간쑤시
원어민
6,000 (1999)[1]
몽고릭
  • 시롱굴리
    • 보난 시
언어 코드
ISO 639-3peh
글로톨로지bona1250
ELP
이 글에는 IPA 음성 기호가 수록되어 있다. 적절한 렌더링 지원이 없으면 유니코드 문자 대신 물음표, 상자 또는 기타 기호를 볼 수 있다. IPA 기호에 대한 소개 가이드는 도움말을 참조하십시오.IPA.

보난어(보난어 [naaouncednaon]), 바오낭어; 중국어: 保安語, bo'annyǔ; 암도 티베트어: 도르케)는 중국 보난족몽고어다. 1985년 현재 간쑤 성 및 칭하이 성에서 전체 보난족 인구의 약 75%와 많은 몽구오르족 등 약 8,000명이 이 말을 하고 있다. 여러 방언들이 있는데, 중국어티베트의 영향을 많이 받는 반면, 우툰에서는 이중언어주의가 덜 흔하다. 가장 일반적으로 연구되는 것은 통런 방언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문자 체계는 없다.[2] 이 언어는 또한 "마네가차"라고도 불리며, 본래는 "마네가차"라고 불린다.[3]

음운론

보난 음운학은 티베트의 영향을 많이 받아왔다. 자음은 대조를 이룬다. 대부분 소수가 감소하는 초기 자음 군집은 비록 둘 다의 내용이 심하게 제한되어 있지만, 무거운 두통처럼 고유어로 존재한다. 보난에서 가능한 단어초음파 군집은 [mp, nt, nt nt, nt nt, ntʂ, ,k, tʰ, ,tχ, rt͡, lt͡, ft, fk, ʂp, ʂk]이다.

뇨토크 바오안은 /ə/[4]를 제외한 6개의 모음 /a, e, ə, i, ɵ, u/를 가지고 있다.

자음
빌라비알 미완성 치조류 레트로플렉스 알베올로-팔라탈 구개체 벨라르 구개체 글로탈
멈추다 무성음의 p t k
목소리 있는 b d g ɢ
애프랙레이트 무성음의 ss Tɕɕ
목소리 있는 드즈 D͡ʑ
프리커티브 무성음의 f s ʂ ɕ χ h
목소리 있는 ʑ
콧물 m n ŋ
근사치 l j w
트릴 r

형태학

보난은 다른 몽고어족과 마찬가지로 응고적이다.

보난 명사에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사례 표시가 있다. 주적, 고발적-일반적, 데이티브-로커티브, 애블러티브-비교적 및 계기적.

언어 형태학은 꽤 복잡하다. 증거성은 지시적 분위기에서 특정 접미사 또는 보조 동사와 함께 "확실성" 또는 "확실성"으로 표시된다. 현재 확실한 것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면, 현재의 무기한은 동물의 습성을 나타낸다. 무기한은 또한 의지를 표시할 수 있다. 미래, 연속, 완벽 접미사 또한 부정 표시에 자주 사용되는 증거 표지를 가지고 있다.

구문

보난은 1차 SOV(주체-객체-verb)를 가지고 있지만, 물체의 국소화는 일반적이다. 그것은 코풀라의 독특한 이중 표시로 알려져 있다. 다른 의미를 가진 여러 개가 있는 몽굴 코풀라는 Bonan SOV 단어 순서에 따라 문장으로 오는 반면, 중국어 / /ɨ̂̂/"to be"의 코풀라 [ʂɪ]가 중국 SVO 단어 순서와 같이 코풀라의 주제와 보완 사이에 나타난다. 이 중국식 코풀라는 선택 사항으로, 주제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정된 동사들을 따르는, 그러나 무한하지 않은 코풀라 역시 분사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ənə

ʂɪ

COP

콰이앤드

공동의GEN

ɕʰitʂəʂə

자동차

o

IND.COP

ənə ku ku ku-nə t͡itʂə o

이 COP-GEN 자동차 인디.COP

"이것이 코뮌의 차다."(부헤&류 1985:65)

몽고어 중에서 특이하게 형용사는 그들이 수정한 명사를 따른다. 티베트의 영향 때문이다.

메모들

  1. ^ 에트놀로그보난(Bonan at Ethnologue, 2009년 제16회 에드)
  2. ^ Mi, Shoujiang; You, Jia (2004). Islam in China. Translated by Min, Chang. China Intercontinental Press. p. 57. ISBN 7-5085-0533-6.
  3. ^ https://www.facebook.com/gerald.roche/posts/10156389317729276
  4. ^ Nugteren, Hans (2011). Mongolic Phonology and the Qinghai-Gansu Languages (Ph.D. thesis). Leiden University. hdl:1887/18188.

참조

  • Üjiyediin Chuluu (Chaolu Wu) (1994). Introduction, Grammar, and Sample Sentences for Baoan (PDF). Sino-Platonic Papers, 58.
  • Bu, He 布和; Liu, Zhaoxiong 刘照雄, eds. (1982). Bǎo'ānyǔ jiǎnzhì 保安语简志 [A Brief Description of Baonan] (in Chinese). Beijing: Renmin chubanshe.
  • Chen, Naixiong 陈乃雄, ed. (1985). Bǎo'ānyǔ cíhuì 保安语词汇 [Baoan Vocabulary] (in Chinese). Huhehaote: Neimenggu renmin chubanshe.
  • ———, ed. (1986). Bǎo'ānyǔ huàyǔ cáiliào 保安语话语材料 [Baoan Language Materials] (in Chinese). Huhehaote: Neimenggu renmin chubanshe.
  • Chen, Naixiong 陈乃雄; Cinggaltai 清格尔泰 (1986). Bǎo'ānyǔ hé Ménggǔyǔ 保安语和蒙古语 [Baoan and Mongolian Languages] (in Chinese). Huhehaote: Neimenggu renmin chubanshe.
  • Fried, Robert Wayne (2010). A Grammar of Bao'an Tu: A Mongolic Language of Northwest China (Ph.D. thesi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 via PQDT Op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