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마어
Baima language바이마 | |
---|---|
PE | |
白马语 | |
네이티브: | 간쑤 성 쓰촨 성 |
지역 | 중국 |
민족성 | 바이마인 1만4000명(2007)[1] |
원어민 | 10,000 (2007)[1] |
방언 |
|
언어 코드 | |
ISO 639-3 | bqh |
글로톨로지 | baim1244 |
ELP | 바이마 |
바이마어(Baima:자명: pe˥˧)[2]는 티베트 국적의 바이마어족 [3][citation needed]1만 명이 중국 쓰촨 성 중북부 및 간쑤 성에서 사용하는 언어다.[3] 바이마는 바이마 마을의 부모로부터 아이들에게 전해진다. 그것은 홈 도메인 내에서 사용되며,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어떤 매체에서도 사용되지 않는다.[3]
Baima는 제목-객체-verb(SOV) 단어 순서, 단어-초기 자음 군집을 사용하며 tonal이다. 그것은 중국-티베탄 내에서 분류되지 않는다; 암도, 캄스, 중우 티베트어로부터의 차용 층과 치앙어와의 어휘적, 문법적 연관성이 있다. 기본 어휘는 약 85% Tibetic과 15% Qiangic이며, Tibetic 단어는 Tibetic 언어의 어떤 기성 그룹과도 연결되지 않는다. 치르코바(2008)는 치앙어 어휘가 "7세기 티비틱의 형태로 바뀌기 전에 바임어가 원래 말하는 언어로부터 유지될 것"이라고 제안한다. 그녀는 바이마를 티베트어로 받아들이지만 티벳어족 내의 고립자로 받아들인다.[4]
역사
바이마 화자는 약 1만 명에 이르며, 쓰촨성과 간쑤성의 국경을 가로지르는 산악 지역에서 대대로 살아왔다. 바이마 연사들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후 여러 차례에 걸쳐 이들에게 독립민족으로 인정해 줄 것을 요청해 왔다.[5] 역사학자들은 바이마족이 중국 고대 디족의 후손이라고 믿는다.[6] 서기 551년의 중국 기록에는 더 디(The Di)가 바이마(Baima)라고도 부른다고 언급되어 있다. 어느 사학자 주,"는 디 국적의 간쑤 성, 쓰촨성, 산시 성에서 삼국 시대(220–265 AD)동안 살았던 반마 부족 가장 큰 부족."[7]티베트인들은 7세기에서 아마도 나중에 티베트의 한 형태 그 침략자에 의해 말해진다로 바꾸었다는 지역 주민들, 빠르게 동화되었다는 디 영토를 침공했다.[8] 언어학자들은 바이마를 티베트 가지의 독립된 언어라고 생각하지만 그 언어 자체는 티베트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5] 게다가, DNA 전문가들은 바이마가 티베트인들보다 유전적으로 치앙 사람들과 더 가깝다는 것을 발견했다.[5]
방언
바이마어 자체에는 구별이 있다. 바이마는 주로 세 가지 방언 그룹으로 나뉜다. 남부 바이마(핑우 바이마), 북부 바이마(웬시아 바이마), 서부 바이마(주자이거우 바이마, 송판 바이마).[9] 주자이거우 및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바이마는 간쑤 성 아바 티베트창족 자치주 송판 현과 원셴 현에서 사용되는 것과 다르다.[5]
쑨훙카이 외 ([2]2007) 바이마(Baima)의 방언 3개를 다음과 같이 문서화한다.
분류
바이마 분류는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을 일으켰다. 바이마는 여러 가지 암도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캄스 그룹과 잠정적으로 분류된다.[4] 그 이유는 아마도 음절 구조의 대폭적인 단순화, 고대 티베트 음절 코다의 제거, 음조의 존재일 것이다.[4] 많은 학자들이 바이마는 그 자체로 티베트-부르만 부분군이라고 믿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바이마가 티베트 방언으로 식별되어야 한다고 믿는다.[10] 바이마와 티벳은 많은 기본적인 유사점을 공유하지만 본질적으로 다르다. 사실, 바이마와 티베트의 차이는 중국 영토 내에서 사용되는 세 가지 주요 티베트 방언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점들을 훨씬 능가했다.[5] 이 때문에 바이마 학자인 쑨훙카이 교수는 "바이마는 티베트와 다르지만 티베트 가지에 속하는 독립언어로 봐야 한다"[5]고 주장했다.
지리적 분포
멸종위기 언어 프로젝트에 따르면 바이마 언어는 주자이거우 현, 송판 현, 핑우 현, 원 현 등 4개 군에서 사용된다.[3]
바이마는 핑우 현 바이마 티베트족 촌(중국어: 白白藏乡)에서 쓰인다.[11]
원 현 내에서는 티엘루 티베트족 촌[3]에서 바이마(Baima)가 사용되고 있으며, 바이마구헤(중국어: 河河河 ()에서는 바이마(중국어: 白马谷河)가 사용되고 있다.[citation needed]
어휘
전반적으로 바이마 어휘는 이질성이 매우 높다. 티벳의 투명함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캄스와 암도의 특징을 결합한 것으로 보인다.[12] 그러나 표준문 티베트어 표기법과 바이마어 표기법에 반영된 고대 티베트어 음계 간의 음역 대응은 문어 티베트어 표기법과 현대 티베트어 방언의 확립된 집단 사이의 음역보다 덜 규칙적이다.[12] 바이마 어휘는 또한 다른 모든 방언에는 없는 두 가지 특징을 보여준다: 첫째, 무성 흡인 스톱과 코 접두사 뒤에 붙는 발음의 목소리, 둘째, 티베트 문자 맞춤법 치료.[4] 게다가 바이마는 기본적인 어휘에도 불분명한 어원을 가진 단어들이 있다. 이 단어들의 비율은 추정된 적이 없고, 기본적인 어휘도 세부 조사의 화두가 된 적이 없다.[12] 에카테리나 치르코바의 글에서 "티베트어로 바이마(Baima)의 입장에 관하여: 그녀는 "기본 어휘에서 바라보기"에서 100단어의 스와데시어 목록을 Baima의 어휘 층으로 조사했는데, 이는 거의 틀림없이 변하는데 저항할 수 없고 따라서 이 언어의 유전적 연관성을 밝혀낼 수 있는 층이다.[12] 그 후 그녀는 바히메 100단어의 스와데시 리스트에 티벳어 기원이 84단어, 출처가 불분명한 15단어, 부분 인지된 다른 7단어가 들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4개의 단어는 이중음절로, 대부분이 출처가 불분명한 한 단어와 티베트어의 어원을 결합한 것이다.[12] 그녀의 분석에 따르면 바이마는 단순한 음절 구조를 가지고 있다. 모든 바이마 음절은 (n)(C)V makeup an have a (n)(C)V makeup으로, 여기서 "n"은 태교를 의미하며 다음과 같은 자음을 가진 homorganic이다.[12] 대부분의 바이마 동사는 두 줄기의 불완전성으로, 태음, 대부분 높은 하강음으로 표시되며, 높은 상승음으로 표시되는 완벽/불완전성을 가지고 있다.[12] 바이마 동사는 방향성을 가지는데, 다른 접두사가 동사와 결합하여 특정한 방향에서 작용의 진행을 나타낸다.[5] 방향성을 보여주기 위해 접두사를 사용하는 것은 바이마 언어에서 중요하고 독특한 특징이다. 요약하면, 치르코바는 바이마가 티베트 방언의 확립된 집단으로부터 어휘와 음운학에서 현저하게 차이가 난다고 결론지었다.[12]
문법
- 1인칭의 바이마 이중 및 복수 대명사는 배타적 형식을 포함한다. 바이마 단수 개인 대명사는 모음의 변곡적 변화로 표현되는 주적 고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단수든, 이중이든, 복수든 제3자에 대한 바이마 대명사의 형태는 티베트 방언에 나오는 것과 매우 다르다.[5]
- 티베트에 비해 바이마는 분류자가 훨씬 많다. 티베트와 중국어로 표기된 바이마 어휘론의 연구에 포함된 3천 개 이상의 공통 어휘 항목들 중에는 110개 이상의 특정 또는 대출 분류자가 있었다. 예를 들어, 바이마에서는 분류자와 결합할 수 있는 숫자 "one"에 대해 여러 가지 다른 단어가 있으며 그 이유는 불분명하다. 분류자의 수가 증가하면서 바이마 문법에서도 기능이 증가했고, 그 사용 방식도 변화하고 있다.[5]
- 방향성은 바이마에서 중요한 문법적 특징이다.[5]
- 바이마에는 매우 중요한 구문 기능을 수행하는 사례 표시 기사가 다수 있다.[5]
음운론
바이마의 음운론은 캄스 티베트어와 매우 유사하다. 그들은 둘 다 음성으로-음성으로-음성으로-대조를 유지했고 암도 방언과는 반대로 4-5의 대조적인 음색을 가지고 있다.[5]
아첨: 바이마어에는 네 세트의 아첨이 존재한다. 그것들은 비정형, 역행성, 소행성, 그리고 소행성 전이다.[5]
라임: 바이마 라임은 캄스 티베트어와 매우 유사하지만 모음 체계는 훨씬 더 복잡하다. 코다스는 본질적으로 소실되었고 모음은 많은 백 디프통들의 출현으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일반적으로 바이마에서의 음의 수도 캄스 티베트와 비슷하다. 그러나 바이마 톤, 온셋, 그리고 티베트어의 운율 사이의 대응은 캄스 티베트와 티베트어 사이의 그것만큼 명확하지 않다.[5]
논란
바이마어의 위상은 학자들과 지역 내 사람들 사이에서 큰 논란을 일으켰다. 티베트 지역의 원주민들이 사용하는 모국어로서 바이마는 확실히 티베트 방언과 유사성을 공유했다. 바이마족은 1960년대부터 독립민족으로서 자신들의 주장을 추구해 왔지만 바이마어는 티베트어의 방언으로 분류되어 있었다. 바이마와 티베트의 문법적, 어휘적, 음운적 차이를 광범위하게 분석한 송홍카이, 니시다 타츠오, 카티아 치르코바 등 바이마 학자들이 행한 언어 연구에 따르면 바이마는 티베트어 방언으로 볼 것이 아니라 티베트어 지부 내에서 독립된 언어라고 보아야 한다. 소수 언어로서의 지위 때문에 바이마어의 사용은 종교적 의식과 바이마 마을 간의 상호 소통에 한정되어 있어 바이마 언어의 위험성을 크게 손상시켰다. 또한, 바이마 거주 지역 전체에 걸쳐 이웃 공동체와의 의사소통 언어는 만다린 중국어다.[13] 바이마족 자체에 대해서는 "티베트인으로 등재된 민족을 재분류하는 것은 PRC에서 민감한 문제로 남아 있으며, 많은 티베트인들이 중국 정부에 의한 티베트 정체성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이유로 티베트인의 한 분파가 아닌 개별 민족으로 공식 재분류된 적이 없다.[13] 그 결과 바이마 언어는 오늘날까지 서툴게 문서화되어 있으며, 문화 생존의 역할에 있어서 언어의 문제를 계속 제기하고 있다.
참조
- ^ a b Ethnologue의 바이마 (2015년 제18회 에드워드)
- ^ a b c 쑨훙카이 외 (2007). Baimayu yanjiu 白马语研究. 베이징: 민족출판사 民出版社社.
- ^ a b c d e "Did you know Baima is threatened?". Endangered Languages. Retrieved 2016-05-02.
- ^ a b c d 카티아 치르코바, 2008년, 루보츠키 외 (eds), 증거와 반증거, 2권.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Sun, Hongkai (2003). "Is Baima a dialect or vernacular of Tibetan ?". Cahiers de Linguistique Asie Orientale. 32 (1): 61–81. doi:10.3406/clao.2003.1626.
- ^ "Is Baima a dialect or vernacular of Tibetan ? – Persée". www.persee.fr. doi:10.3406/clao.2003.1626. Retrieved 2016-05-02.
- ^ Project, Joshua. "Baima in China". joshuaproject.net. Retrieved 2016-05-02.
- ^ Lubotsky, Alexander; Schaeken, Jos; Wiedenhof, Jeroen (2008-01-01). Evidence and Counter-evidence: General linguistics. Rodopi. ISBN 978-9042024717.
- ^ "Baima". Ethnologue. Retrieved 2016-05-02.
- ^ Waterhouse, David (2004-10-28). The Origins of Himalayan Studies: Brian Houghton Hodgson in Nepal and Darjeeling. Routledge. ISBN 1134383630.
- ^ Chirkova, Ekaterina (2005). "Words for 'one' in Baima" (PDF). Cahiers de Linguistique Asie Orientale. 34: 69–99 – via HAL (open archive).
- ^ a b c d e f g h 에카테리나 치르코바. 티베트어로 바이마(Baima)의 위치에 관하여: 기본 어휘에서 살펴보기. 알렉산더 루보츠키, 조스 샤켄, 제로엔 비덴호프. 로도피, 2008 페이지 23, 증거 및 반증: 페스트슈리프트 F. 코틀랜드트. <할스-00104311>
- ^ a b "Katia Chirkova The Baima Language Project". www.katia-chirkova.inf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3-30. Retrieved 2016-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