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라눔
Mediolanum현재 밀라노가 서 있는 고대 도시 메디올라눔은 원래 인수브리아 도시였지만, 이후 이탈리아 북부의 중요한 로마 도시가 되었다.그 도시는 기원전 600년경에 인슈브르에 의해 정착되었고, 기원전 222년에 로마에 의해 정복되었고, 서양 기독교의 중심이자 서로마 제국의 비공식 수도로 발전했다.그것은 고딕 전쟁의 황폐화, 569년 롬바르드족에 의해 점령, 그리고 티치눔을 이탈리아 왕국의 수도로 만들기로 한 그들의 결정으로 쇠퇴했다.
서기 200년에 인구는 40,000명이었다; 이 도시가 막시미아누스 황제 (재위 286–305) 치하에서 서로마 제국의 수도가 되었을 때, 인구는 100,000명으로 증가했고, 따라서 밀라노는 로마 이탈리아에서 [1][2][3]가장 큰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역사

Mediolanum은 기원전 390년경에 켈트 인슈브레스에 의해 설립된 것으로 보이며, 그 후 이탈리아 북부의 이 지역은 인슈브리아라고 불렸습니다.리비에 의해 보고된 전설에 따르면, 갈리아 왕 암비카투스는 그의 조카 벨로베수스를 다양한 갈리아 부족에서 끌어온 당의 선두로 이탈리아 북부로 보냈다; 이 벨로베수스는 (이 [4]전설에 따르면, 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 시대에) 메디올라눔을 세웠다고 한다.집정관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칼부스가 이끄는 로마인들은 인수브레스와 싸웠고 기원전 222년에 도시를 점령했다. 인수브레스의 족장은 로마에 항복하여 로마가 [5]도시를 지배하게 되었다.그들은 결국 이 지역 전체를 정복하고 새로운 지방인 "알프스 산맥의 이쪽 갈리아"라고 불렀고, 이 지역에 라틴화된 켈트어 이름을 붙였을지도 모른다: 갈리아어로 *medio – "중간, 중심"을 의미하고, 이름 요소 -lanon은 라틴어 -planum "plain"의 켈트어인 "mediolan" (라틴어로 "중간")에 해당한다.벌판 [6][7]한가운데 개미.
Mediolanum은 북부 이탈리아의 도로망에서 거점으로서의 위치 때문에 중요했다.Polybius는 그 나라에 와인과 모든 종류의 곡물과 훌륭한 양털이 풍부하다고 묘사했다.공공과 민간을 위한 돼지떼가 숲에서 사육되었고,[8] 사람들은 그들의 관대함으로 잘 알려져 있었다.
아우구스탱 시대에 메디올라눔은 학교들로 유명했다. 그것은 극장과 원형 극장을 가지고 있었다[9].큰 돌담은 시저 시대에 도시를 에워쌌고, 나중에 3세기 말에 막시미아누스에 의해 확장되었다.메디올라눔은 하드리아누스에 의해 리구리아(Praaefectus Ligurie)의 지위가 되었고, 콘스탄티누스는 이곳을 이탈리아의 대리(Vicarius Italiae)의 지위가 되었다.3세기에 메디올라눔은 [10]조폐국, 호레, 황제의 무덤을 소유했다.259년 갈리에누스 황제가 이끄는 로마 군단은 메디올라눔 전투에서 알레마니족을 완파했다.
286년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서로마 제국의 수도를 로마에서 메디올라눔으로 옮겼다.그는 동료 막시미안을 메디올라눔에 남겨두고 동제국의 니코메디아에 거주하기로 결정했다.막시미아누스는 몇 개의 거대한 기념물, 대형 서커스(470 x 85m), 테르마에 또는 "헤라클레스의 목욕"을 지었다.막시미안은 많은 24개의 측면 타워가 있는 375에이커의 지역을 둘러싼 새롭고 더 큰 돌담으로 둘러싸인 도시 면적을 증가시켰다.이 기념비적인 지역에는 두 개의 탑이 있었다; 산 마우리치오 마조레 수녀원에 포함된 탑 중 하나는 16,60m 높이로 남아 있다.
콘스탄틴 황제가 서기 313년 현재 밀라노 칙령으로 알려진 것을 발표하여 제국 내의 모든 종교에 관용을 부여함으로써 기독교가 제국의 지배적인 종교가 될 수 있는 길을 연 것은 메디올라눔에서였다.콘스탄티누스는 그의 여동생과 동방 황제 리키니우스의 결혼을 축하하기 위해 메디올라눔에 있었다.메디올라눔에는 기독교 공동체가 있어 박해 [11]때 순교자의 몫에 기여했지만, 밀라노의 첫 번째 주교는 313년 로마 공의회에 참석했던 메로클레스였다.4세기 중반, 아리안 논쟁은 메디올라눔의 기독교인들을 분열시켰다; 콘스탄티우스는 아리안 주교들을 지지했고 때때로 경쟁하는 주교들이 있었다.밀라노의 오센티우스(Auxentius of Milan, 374년 사망)는 존경받는 아리안 신학자였다.
주교 성모 마리아 때.아리안들을 진압한 암브로세 (비숍 374–397)와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 메디올라눔은 고대 권력의 [12]정점에 도달했다.
그 도시에는 AD 4세기 말에 추가된 많은 바실리카들이 있었다.이들은 산 심플리아노, 산 나자로, 산 로렌조 그리고 산 암브로지오 성당에 위치한 산 비토레 예배당입니다.일반적으로 후기 제국은 메디올라눔에서 응용 미술의 발전을 장려했고, 공공 건축 프로젝트에서는 상아와 은의 작업이 일반적이었다.두오모의 지하에는 세인트 테클라의 고대 교회와 세인트 테클라가 있는 세례당의 유적이 남아 있다.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세례를 받았다.
402년, 도시는 고트족에게 포위되었고 황실은 라벤나로 옮겨졌다.452년 아틸라에 의해 다시 포위되었지만, 고딕 전쟁 기간인 538년 고트족 왕 위티게스의 조카인 우라이아에 의해 메디오라눔이 [13]폐허로 만들어지면서 제국의 과거와의 진정한 결별이 찾아왔다.롬바르드족은 티시눔을 수도로 삼았고, 초기 중세 밀라노는 대주교들에 의해 통치되었다.
현존하는 구조물
밀라노에서는 로마 메디올라눔의 기념물 중 일부를 볼 수 있다.
- 성 암브로지오 대성당:
- 산 로렌조 교회 앞에 있는 콜로네 디 산 로렌조 성당
- Archi di Porta Nuova에 있는 로마의 라피다리 재료.
- 현재 그들의 보존을 위해 만들어진 고고학 공원에 있는 거대한 원형 경기장의 빈약한 잔해
- 현재 콘벤토 디 산 마우리치오 마조레 안에 있는 서커스 타워(16.6m 높이)
- 약간의 모에니아(벽)와 24면이 있는 탑(맥시미아, 3세기)
- 산 로렌조 교회(IV-V sec.)와 산 아퀼리노 예배당.
- 황궁의 폐허
- 헤라클레스 목욕탕의 일부 폐허; 더 많은 천장과 바닥의 유적은 고고학 박물관에 있다.
- 성체Ambrose (d. 397)와 아마도 SS의 그것들.Gervasius와 Protasius - 또는 적어도 세인트루이스에서 발견된 초기 남자들.암브로즈의 시간은 S. Ambrogio 교회의 지하실에서 여전히 목격되고 있다.
- 콘카의 산 조반니 묘지
- 미소리 광장과 밀라노 메트로의 이름 같은 역에 있는 약간의 모에니아와 일부 포장도로의 잔재.
레거시
고대 도시 이름은 아사고의 메디올라눔 포럼과 밀라노의 메디올라눔 코퍼레이트 대학에서 기념되고 있습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 ^ Morley, Neville (19 December 2002). Metropolis and Hinterland: The City of Rome and the Italian Economy, 200 BC-AD 2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82. ISBN 9780521893312.
- ^ A Companion to Latin Studies. CUP Archive. 1963. p. 356.
- ^ Macadam, Alta; Rossiter, Stuart; Blanchard, Paul; Muirhead, Findlay; Bertarelli, Luigi Vittorio (1971). Northern Italy, from Alps to Florence. A & C Black.
- ^ 리비우스, 아브 우르베 콘디타 5.34-35.3
- ^ 폴리비우스, 역사
- ^ Delamarre, Xavier (2003).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in French) (2nd ed.). Paris: Errance. pp. 221–222. ISBN 2-87772-237-6.
- ^ G를 비교합니다.퀸텔라와 뷔.마르코 '로마 시대 이전의 스페인 북서부의 켈트 요소' e-Keltoi: 2005년, "복합 메디오-라눔의 두 번째 부분에 분명히 있는 지명(=Celtoi), 즉 '평탄한 지역'을 지칭하는 학제간 켈트 연구 저널.."
- ^ Harry Thurston Peck,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rchities (1898): "갈리아 치살피나"
- ^ Benario, Herbert W. (1981). "Amphitheatres of the Roman World". The Classical Journal. 76 (3): 255–258. JSTOR 3297328. 페이지 257에 제시된 측정치; 때때로 주장되듯이, 로마의 플라비안 원형경기장과 카푸아의 광대한 원형경기장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것은 아니었다.
- ^ 트라야누스 데키우스는 메디올라눔에서 동전을 주조했을지 모르지만, 그 순서는 갈리에누스, c258에서 시작된다; 아우렐리아인에 의해 티키눔으로 이전된, 로마와 시시아(현 크로아티아에서는 시사크)와 함께 제국의 3대 조폐국 중 하나이다.Mattingly, H. (1921). "The Mints of the Empire: Vespasian to Diocletian". Journal of Roman Studies. 11: 254–264 [p. 259]. doi:10.2307/295905. JSTOR 295905.
- ^ 밀라노의 성 제르바시우스와 프로타시우스, 성 빅토르 마우루스(304세), 성모 마리아스 등이 있었다.나보르와 펠릭스, 그리고 세인트루이스.나자리우스와 셀수스와 전설의 성 세바스찬.
- ^ 프린스턴 클래식 사이트 백과사전(에드).리처드 스틸웰, 윌리엄 L.맥도날드, 마리안 홀랜드 맥칼리스터)
- ^ 프로코피우스에 따르면 밀라노에서의 손실은 30만 명에 달했다.
레퍼런스
- Polybius (1889). Histories. London, New York: Macmillan.[1]
- Thurston Peck, Harry (1898).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New York: Harper and Brothers.[2]
- MacDonald Stillwell, Richard; McAlister, William L.; Holland, Marian (1976).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Classical Site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0691035423.[3]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