콕사키바이러스

Coxsackievirus

콕사키바이러스폴리오바이러스에코바이러스를 포함한 엔테로바이러스속뿐만 아니라 피코나바이러스과 비포장 선형 단가닥 RNA 바이러스에 속하는 몇몇 관련 장바이러스이다.장바이러스는 가장 흔하고 중요한 인체 병원체 중 하나이며, 일반적으로 그 구성원들은 분변-구강 경로를 통해 전염된다.콕사키바이러스는 폴리오바이러스와 많은 특징을 공유한다.폴리오바이러스 감염을 통제하면서 콕사키바이러스와 같은 비폴리오 장바이러스를 이해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이 집중되었다.

콕사키바이러스는 무균성 뇌수막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콕사키바이러스의 세포, 특히 내피세포로의 진입은 콕사키바이러스와 아데노바이러스 수용체에 의해 매개된다.

무리

콕사키바이러스는 신생아 [1]생쥐의 병원성 조기 관찰에 따라 A군과 B군으로 나뉜다.그룹 A의 콕사키예비러스는 (전반적인 근염에 의해 야기된) 쇄석 마비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반면 그룹 B의 콕사키예비러스는 (부분적인 근육 손상과 신경 조직의 퇴화로 인해) 경련성 마비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그룹 A의 혈청형(1~22, 24)은 최소 23종, 그룹 B의 혈청형(1~6)은 6종이다.

그룹 A

일반적으로, A그룹 콕사키예비러스는 피부와 점막을 감염시켜 헤르페니나, 급성 출혈성 결막염, 그리고 수족구병을 [2]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그룹 A와 그룹 B 모두 비특이적 열성 질환, 발진, 상기도 질환, 무균성 수막염을 일으킬 수 있다.

콕사키 바이러스 A16(Cox A16)의 기본 생식 번호(R0)는 사분위간 범위가 1.96 - 3.67인 2.[3]50의 중앙값으로 추정되었다.

그룹 B

B군 콕사키바이러스는 심장, 흉막, 췌장, 간을 감염시켜 흉막염, 심근염, 심막염, 간염(간소변성 바이러스와 관련이 없는 간염)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콕사키 B형 심장 감염은 심막 삼출로 이어질 수 있다.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IDDM)의 발달은 최근 장바이러스 감염, 특히 콕사키바이러스 B 췌장염과 관련이 있다.이 관계는 현재 더 연구되고 있다.

셰그렌 증후군은 2010년 [4]1월 현재 콕사키 바이러스와 관련하여 연구되고 있다.

분류법

1999년까지 29종의 콕사키비루스가 있었는데, 그 중 2종이 폐지되고 나머지는 다른 [5]종으로 통합되었다.

이전 이름 현재[5] 이름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A1 엔테로바이러스C[6]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A2 엔테로바이러스A[7]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A3 엔테로바이러스A[7]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A4 폐지되었다[8]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A5 엔테로바이러스A[7]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A6 폐지되었다[9]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A7 엔테로바이러스A[7]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A8 엔테로바이러스A[7]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A9 엔테로바이러스B[10]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A10 엔테로바이러스A[7]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A11 엔테로바이러스C[6]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A12 엔테로바이러스A[7]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A13 엔테로바이러스C[6]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A14 엔테로바이러스A[7]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A15 엔테로바이러스C[6]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A16 엔테로바이러스A[7]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A17 엔테로바이러스C[6]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A18 엔테로바이러스C[6]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A19 엔테로바이러스C[6]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A20 엔테로바이러스C[6]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A21 엔테로바이러스C[6]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A22 엔테로바이러스C[6]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A24 엔테로바이러스C[6]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B1 엔테로바이러스B[10]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B2 엔테로바이러스B[10]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B3 엔테로바이러스B[10]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B4 엔테로바이러스B[10]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B5 엔테로바이러스B[10]
인간 콕사키바이러스 B6 엔테로바이러스B[10]

역사

콕사키비러스는 1948-49년 뉴욕주 올버니의 뉴욕주 보건부에서 일하는 과학자 길버트 달도르프에 의해 발견되었다.

달도르프는 그레이스 시클스와 협력하여 [11][12]소아마비 치료법을 찾고 있었다.Daldorf가 원숭이들을 대상으로 한 이전 연구에서는 비폴리오 바이러스 제제에서 채취한 액체가 소아마비의 심각한 영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Daldorf는 갓 태어난 쥐를 매개체로 사용하여 소아마비 환자의 배설물에서 그러한 보호 바이러스를 분리하려고 시도했다.이러한 실험을 수행하면서, 그는 종종 가벼운 또는 비충격성 소아마비를 모방하는 바이러스를 발견했다.그가 발견한 바이러스 가족은 결국 콕사키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는데, 이는 달도르프가 최초의 분뇨 표본을 [13]얻은 허드슨 강변의 작은 마을인 뉴욕 콕사키에서 유래했다.

Daldorf는 또한 많은 초기 [14][15][16][17]논문들에서 Gifford와 협력했다.

그 후 콕사키바이러스는 유행성 흉막디니아(본홀름병)를 포함한 다양한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신생 생쥐의 병리학에 따라 그룹 A와 B로 세분되었다(Coxsackie A 바이러스는 광범위한 골격근 괴사를 유발하고, Coxsackie B는 감염을 덜 유발한다).심장, 뇌, 간, 췌장, 골격근과 같은 더 많은 장기 시스템에 손상을 준다.)

쥐 젖을 빨고 있는 것은 달도르프의 생각이 아니었지만 1947년 덴마크 과학자 오르스코프와 안데르센이 쥐 바이러스를 연구하기 위해 쥐를 사용했다는 논문에서 그의 관심을 끌게 되었다.콕사키바이러스의 발견은 많은 바이러스학자들이 이 시스템을 사용하도록 자극했고, 궁극적으로 폴리오바이러스와 관련이 없는 소위 "장내" 바이러스들을 위장관에서 분리하는 결과를 낳았고, 그 중 일부는 암을 유발했다.

콕사키바이러스의 발견은 바이러스가 때때로 숙주 동물 내에서 서로의 성장과 복제를 방해할 수 있다는 더 많은 증거를 제시했습니다.다른 연구원들은 이러한 간섭이 현재 간섭으로 알려진 단백질인 숙주 동물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그 이후로 간섭은 다양한 암과 전염병의 치료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2007년 중국 동부 지역에서 콕사키 바이러스가 발생했다.22명의 어린이가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800명 이상의 사람들이 피해를 입었고 200명의 아이들이 병원에 [18]입원했다.

야생형 콕사키바이러스 A21인 카바탁은 인간 임상시험에서 용혈성 바이러스로 사용되고 있다.

레퍼런스

  1. ^ Pedro-Pons, Agustín (1968). Patología y Clínica Médicas (in Spanish). Vol. 6 (3rd ed.). Barcelona: Salvat. p. 598. ISBN 978-84-345-1106-4.
  2. ^ Seitsonen, Jani; Shakeel, Shabih; Susi, Petri; Pandurangan, Arun P.; Sinkovits, Robert S.; Hyvönen, Heini; Laurinmäki, Pasi; Ylä-Pelto, Jani; Topf, Maya; Hyypiä, Timo; Butcher, Sarah J. (2012). "Structural analysis of coxsackievirus A7 reveals conformational changes associated with uncoating". Journal of Virology. 86 (13): 7207–7215. doi:10.1128/JVI.06425-11. PMC 3416324. PMID 22514349.
  3. ^ Ma E, Fung C, Yip SH, Wong C, Chuang SK, Tsang T (Aug 2011). "Estimation of the basic reproduction number of enterovirus 71 and coxsackievirus A16 in hand, foot, and mouth disease outbreaks". Pediatr Infect Dis J. 30 (8): 675–9. doi:10.1097/INF.0b013e3182116e95. PMID 21326133. S2CID 25977037.
  4. ^ Triantafyllopoulou, Antigoni; Tapinos, Nikos; Moutsopoulos, Haralampos; et al. (2004). "Evidence for Coxsackievirus Infection in Primary Sjogren's Syndrome". Arthritis & Rheumatism. 50 (9): 2897–2902. doi:10.1002/art.20463. PMID 15457458.
  5. ^ a b ICTV 7차 보고서 반 리젠모텔, M.H.V., 포케트, C.M., 비숍, D.H.L., Carstens, E.B., Estes, M.K., Lemon, S.M.M., Maniloff, J.M., May.A.바이러스 분류법국제 바이러스 분류 위원회의 일곱 번째 보고서.학술 출판사, 샌디에이고. https://talk.ictvonline.org/ictv/proposals/ICTV%207th%20Report.pdf 1162 페이지, 웨이백 머신에서 2018-06-12 아카이브
  6. ^ a b c d e f g h i j k "ICTV Taxonomy history: Enterovirus C".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ICTV). Retrieved 6 February 2020.
  7. ^ a b c d e f g h i "ICTV Taxonomy history: Enterovirus A".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ICT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February 2020. Retrieved 6 February 2020.
  8. ^ "ICTV Taxonomy history: Human coxsackievirus A4".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ICTV). Retrieved 6 February 2020.
  9. ^ "ICTV Taxonomy history: Human coxsackievirus A6".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ICTV). Retrieved 6 February 2020.
  10. ^ a b c d e f g "ICTV Taxonomy history: Enterovirus B".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ICTV). Retrieved 6 February 2020.
  11. ^ Dalldorf G, Sickles GM (July 1948). "An Unidentified, Filtrable Agent Isolated From the Feces of Children With Paralysis". Science. 108 (2794): 61–62. Bibcode:1948Sci...108...61D. doi:10.1126/science.108.2794.61. PMID 17777513.
  12. ^ DALLDORF G, SICKLES GM (June 1949). "A virus recovered from the feces of poliomyelitis patients pathogenic for suckling mice". J. Exp. Med. 89 (6): 567–82. doi:10.1084/jem.89.6.567. PMC 2135891. PMID 18144319.
  13. ^ Coxsackie NYWayback Machine에서 Archived 2017-05-28로 명명된 바이러스는 Virology Blog 2009년 8월 10일에 Vincent Racaniello 교수에 의해 게시되었습니다.2012년 8월 20일 인터넷을 통해 접속.
  14. ^ Dalldorf G, Gifford R (June 1951). "Clinical and epidemiologic observations of Coxsackie-virus infection". N. Engl. J. Med. 244 (23): 868–73. doi:10.1056/NEJM195106072442302. PMID 14843332.
  15. ^ Dalldorf G, Gifford R (November 1952). "Adaptation of Group B Coxsackie virus to adult mouse pancreas". J. Exp. Med. 96 (5): 491–7. doi:10.1084/jem.96.5.491. PMC 2136156. PMID 13000059.
  16. ^ Dalldorf G, Gifford R (January 1954). "Susceptibility of gravid mice to Coxsackie virus infection". J. Exp. Med. 99 (1): 21–7. doi:10.1084/jem.99.1.21. PMC 2136322. PMID 13118060.
  17. ^ DALLDORF G, GIFFORD R (February 1955). "Recognition of mouse ectromelia". Proc. Soc. Exp. Biol. Med. 88 (2): 290–2. doi:10.3181/00379727-88-21566. PMID 14357417. S2CID 19245364.
  18. ^ 를 클릭합니다"China says it controls viral outbreak in children". Reuters. 2007-05-1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