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타티오니누리아
Cystathioninuria시스타티오니누리아 | |
---|---|
기타 이름 | 낭포성분해효소 결핍증 |
![]() | |
시스타티오닌 | |
전문 | 의학유전학 |
시스타티온아제 결핍증이라고도 불리는 시스타티온뇨증은 자가 열성[1] 대사 장애다.혈장낭시스타티오닌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돼 소변 속에 과다한 낭포성낭염으로 이어지는 것이 특징이다.유전성 낭포성 낭포증은 효소 낭포성 감마-류아제의 활동 감소와 관련이 있다.[2]그것은 생화학적 변칙으로 여겨진다.광범위한 질병과 그 모순을 연관시켰기 때문이다.
시스타티오나제는 시스타티오닌을 시스테인과 α-케토부티이트로 촉매한다.[3]시스테인은 필수 아미노산이며, 시스타티오닌으로부터의 변환은 트랜스-황화 경로에서 발생한다.시스틴의 가용성은 중요한 항산화 글루타티온의 합성에 필요하다.[2]시스타티오나제는 비타민 B6의 활성 형태인 피리독살 인산염이라는 코엔자임(co-enzyme), 피리독살 인산염을 가지고 있다.이것은 비타민 B6가 세포질 효소의 기능에 필수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시스타티오니뇨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일차 낭포성낭염은 낭포성 유전효소의 열성 유전 결핍에 의해 발생한다.[4]2차 낭포성낭염은 과잉 낭포성낭염의 비유전적 조건에 의해 설명된다.2차 낭포성낭종에는 미숙아의 일시적인 과잉 낭포성낭종, 심각한 일반화된 간 손상, 흉선독성증, 간성형종 또는 신경블라스토마가 포함된다.[4]2차 낭포성낭염의 경우는 비타민 B6 투여에 반응하지 않는다.[3]
종류들
CTH 유전자의 유전적 돌연변이인 일차 낭포성낭염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비타민 B6는 반응이 없고 비타민 B6는 반응성 낭포성낭염이다.[5]비타민 B6 – 반응이 없는 형태는 낭포성분해효소의 합성이 부족해서 생긴 것으로 생각된다.이것은 이 형태의 낭포성낭뇨에서 발생하는 CST의 돌연변이가 낭포성낭염의 부재를 초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그것은 또한 크게 변이된 낭포성분해효소의 합성으로 인해 전혀 기능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6]반면에, 비타민 B6 – 반응 형태는 여전히 세포질 효소의 합성을 가지고 있다.그러나 낭포성 섬유소는 비타민 B6, 즉 코엔자임과 결합할 수 있는 변형된 능력을 가지고 있다.[6]이렇게 변화된 상호작용은 낭성분해효소의 효율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낭성분해효소도 변환시킬 수 없다.[citation needed]
유전학

시스타티오니뇨증은 자가 열성적으로 유전된다.[1]이는 장애의 원인이 되는 결함이 있는 유전자가 오토솜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장애를 가지고 태어나기 위해서는 결함이 있는 유전자의 2부(각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1부)가 필요하다.자가 열성 장애를 가진 개인의 부모는 둘 다 결함이 있는 유전자의 사본 한 부를 가지고 있지만, 대개는 그 장애의 어떠한 징후나 증상도 경험하지 않는다.[citation needed]
흥미롭게도, 동형체들과 이형체들은 한 연구에서 혈장 수치와 낭포성 비뇨기 수치를 통해서 구별될 수 있었다.[3]호모지오노테 개인은 크레아티닌 1mg 당 0.5 moles 이상의 시스타티오닌 수치를 가지고 있었다.호모지오테 개인은 혈장에도 상당한 양의 세포질소를 가지고 있었다.대조적으로, 헤테로지오테 개인은 호모지오테 개인으로서 약 10분의 1의 세포질 분비를 배출했다.헤테로조테 개인은 또한 혈장에서 검출할 수 있는 양의 세포질소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3]
낭포성분해효소의 유전자, CST가 염기서열화되었고 여러 돌연변이가 낭포성분해증의 발달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CTH의 8번과 11번번에서 두 개의 말도 안 되는 돌연변이가 발견되었다.주로 exon 2와 exon 7에서 두 개의 오감 돌연변이도 발견되었다.또한 exon 12의 일반적인 비동기식 단일 뉴클레오티드 다형성도 확인되었다.다양한 CST 돌연변이의 존재는 낭포성 신경증과 관련된 다양한 범주와 일치한다.[2]
진단
낭포성 낭포증을 진단하는 주된 방법은 단순히 낭포성 소변 배설을 증가시키는 것이다.유전자 검사를 채용하는 경우도 있다.[7]
치료
가능한 치료법은 환자가 가지고 있는 낭포성낭염의 범주에 따라 다르다.비타민 B6 – 반응하는 형태는 비타민 B6의 섭취 증가에 의해 가장 잘 치료된다.[2]이러한 소비 증가는 비타민 B6의 활성 형태와 결합하는 세포질소화효소의 변화된 능력에 도움을 준다.[citation needed]
참조
- ^ a b 온라인 멘델리안 상속인(OMIM): 219500
- ^ a b c d e Wang, Jian; Hegele, Robert (April 2003). "Genomic basis of cystathioninuria (MIM 219500) revealed by multiple mutations in cystathionine gamma-lyase (CTH)". Human Genetics. 112 (4): 404–8. doi:10.1007/s00439-003-0906-8. PMID 12574942.
- ^ a b c d Scott, Ronald; Dassell, Steven; Clark, Sandra; Chiang-Teng, Cecilia; Swedberg, Kathryn (April 1970). "Cystathioninemia: A benign genetic condition". Journal of Pediatrics. 76 (4): 571–577. doi:10.1016/S0022-3476(70)80407-3. PMID 5420794.
- ^ a b Rajnerc, J.R.; Gennip, A.H.; Abeling, N.G.G.M.; van der Zee, J.M.; Voute, P.A. (1984). "Cystathioninuria in patients with neuroblastoma". Medical and Pediatric Oncology. 12 (2): 81–4. doi:10.1002/mpo.2950120203. PMID 6422219.
- ^ Pascal, Theresa; Gaull, Gerald; Beratis, Nicolas; Gillam, Bruce; Tallan, Harris (February 1978). "Cystathionase deficiency: evidence for genetic heterogeneity in primary cystathioninuria". Pediatric Research. 12 (2): 125–133. doi:10.1203/00006450-197802000-00012. PMID 417288.
- ^ a b Pascal, T.A.; Gaull, G.E.; Beratis, N.G.; Gillam, B.M.; Tallan, H.H.; Hirschhorn, K. (December 1975). "Vitamin B6-Responsive and Unresponsive Cystathioninuria: Two Variant Molecular Forms". Science. 190 (4220): 1209–11. doi:10.1126/science.1198108. PMID 1198108.
- ^ "Gamma-cystathionase deficiency". Genetic and Rare Diseases Information Center. National Center for Advancing Translational Sciences.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