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피온산혈증
Propionic acidemia프로피온산혈증 | |
---|---|
기타 이름 | 케토아시드와 백혈구감소증을 동반한 고글리신혈증 |
![]() | |
프로피온산 | |
전문 | 내분비학 ![]() |
증상 | 부실한 근육톤, 무기력, 구토 |
진단법 | 유전자 검사, 소변 프로피온산 고농도 |
치료 | 저단백질식 |
예후 | 발육이 정상일 수도 있고, 환자가 평생 학습 장애를 가질 수도 있다. |
프로피온산혈증은 프로피온산뇨증 또는 프로피오닐-CoA 카르복실라제 결핍증(PCC 결핍증)[1]으로도 알려져 있는 희귀한 자가 열성 대사 장애로, 브랜치 체인 유기산혈증으로 분류된다.[2][3]
이 장애는 신생아 초기에는 영양부족, 구토, 무기력, 근력부족으로 나타난다.[4]치료를 받지 않으면 2차 고암모니아혈증, 감염, 심근병증, 뇌손상으로 사망이 빠르게 발생할 수 있다.[5]
증상 및 징후
프로피온산혈증은 신생아들에게서 거의 즉각적으로 나타난다.증상은 영양부족, 구토, 탈수, 산도증, 낮은 근육음(하이포토니아), 발작, 무기력 등이다.프로피온산혈증의 영향은 곧 생명을 위협하게 된다.
장기 합병증은 만성 신장질환,[6] 심근병증, QTc 간격이 길어질 수 있다.[7]
병리학

건강한 개인에서 프로피오닐-CoA 카르복실라아제는 프로피오닐-CoA를 메틸말로닐-CoA로 변환한다.이것은 특정 아미노산과 지방을 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많은 단계 중 하나이다.프로피온산혈증을 가진 개인은 프로피오닐-CoA 카르복실라아제 효소가 기능하지 않기 때문에 이 변환을 수행할 수 없다.필수 아미노산 발레린, 메티오닌, 이솔레우신, 트레오닌은 변환할 수 없으며 이는 프로피오닐-CoA의 축적을 이끈다.프로피오닐-CoA는 메틸말로닐-CoA로 전환되는 대신 프로피오닐-CoA를 프로피온산으로 전환해 혈류 속에 쌓이게 된다.이것은 차례로 위험한 산과 독소의 축적을 유발하여 장기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citation needed]
프로피온산혈증은 뇌, 심장, 신장, 간 등을 손상시켜 발작을 일으키고 걷거나 말하는 등 정상적인 발달을 지연시키는 경우가 많다.몸 안의 단백질이 분해되는 것을 막기 위해 환자를 입원시켜야 할 수도 있다.식이요법은 세심하게 관리해야 한다.[citation needed]
PCCA나 PCCB 유전자의 양쪽 복사본에서 돌연변이는 프로피온산혈증을 유발한다.[8]이 유전자들은 프로피오닐-CoA 카르복실라아제라고 불리는 효소인 PCC의 알파와 베타 서브유닛을 형성하는 지침을 포함하고 있다.
PCC는 필수 아미노산 발레린, 이솔레우신, 트레오닌, 메티오닌과 특정 괴사체 지방산물의 정상 분해에 필요하다.PCCA나 PCCB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효소의 기능을 방해하여 이들 산이 대사되는 것을 막는다.그 결과 프로피오닐-CoA, 프로피온산, 케톤, 암모니아 등 독성 화합물이 혈액 속에 축적돼 프로피온산혈증의 징후와 증상이 나타난다.고암모니아혈증은 프로피오닐-CoA가 N-Acetylgutamate synthase에 미치는 억제 효과로 인해 발생하며, 간접적으로 요소 주기의 둔화를 초래한다.[9]
진단
정상 바이오티니다아제 수치와 함께 혈액 및 소변에서 발견되는 프로피온산 대사물(예:[7] 3-히드록시프로피온산, 메틸시티레이트, 티글리글리신, 프로피온글리신)의 상승 대사물.
관리
프로피온산혈증 환자들은 가능한 빨리 저단백질 식이요법을 시작해야 한다.메티오닌, 트레오닌, 발레린, 이솔레우신 등이 없는 단백질 혼합물 외에 L카르니틴 치료도 받아야 하며, 장내 프로피오제인 식물군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매월 10일 항생제를 투여해야 한다.단백질 함량이 낮은 '웰데이 다이어트', 단백질 요구량의 절반을 포함하는 '반긴급 다이어트', 단백질 함량이 없는 '긴급 다이어트'로 이들을 위한 다이어트 프로토콜을 갖춰야 한다.이러한 환자들은 감염 중에 혼수상태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고암모니아혈증의 위험에 처해 있다.[10]
간 이식수술은 이들 환자의 관리에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작은 시리즈는 삶의 질이 향상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역학
프로피온산혈증은 자가 열성적 패턴으로 유전되며, 미국에서 약 35[8],000명의 살아있는 출생아 중 1명에게서 발견된다.이 증상은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더 흔한 것으로 보이며,[11] 빈도는 약 3,000분의 1이다.[8]이 질환은 또한 아미쉬, 메노나이트, 그리고 합병증 빈도가 더 높은 다른 집단에서도 흔하게 나타난다.[12]
역사
1957년 한 남자 아이가 태어나면서 정신발달이 잘 안 되고, 반복적으로 산성화가 일어나며, 혈중 케톤과 글리신 수치가 높다.식이요법 검사 결과 바톤 차일즈 박사는 아미노산 레우신, 이졸레우신, 발레린, 메티오닌, 트레오닌 등을 투여했을 때 증상이 악화되는 것을 발견했다.1961년 메릴랜드 주 볼티모어에 있는 존스홉킨스 병원의 의료진은 이 질환을 케톤성 고글리신혈증이라고 부르며 이 사례를 발표했다.1969년, 과학자들은 원환자의 언니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로피온산혈증이 열성 질환이며 프로피온산혈증과 메틸말론산혈증은 동일한 효소 경로의 결핍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13]
참고 항목
참조
- ^ 온라인 멘델리안 상속인(OMIM: 606054
- ^ Ravn K; Chloupkova M; Christensen E; Brandt NJ; Simonsen H; Kraus JP; Nielsen IM; Skovby F; Schwartz M (July 2000). "High incidence of propionic acidemia in greenland is due to a prevalent mutation, 1540insCCC, in the gene for the beta-subunit of propionyl CoA carboxylase".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67 (1): 203–206. doi:10.1086/302971. PMC 1287078. PMID 10820128.
- ^ Deodato F, Boenzi S, Santorelli FM, Dionisi-Vici C (2006). "Methylmalonic and propionic aciduria". Am J Med Genet C Semin Med Genet. 142 (2): 104–112. doi:10.1002/ajmg.c.30090. PMID 16602092. S2CID 21114631.
- ^ "Propionic acidemia". National Center for Advancing Translational Sciences. 2 Dec 2015. Retrieved 6 June 2018.
- ^ Hamilton RL, Haas RH, Nyhan WC, Powell HC, Grafe MR (1995). "Neuropathology of propionic acidemia: a report of two patients with basal ganglia lesions". Journal of Child Neurology. 10 (1): 25–30. doi:10.1177/088307389501000107. PMID 7769173. S2CID 12674920.
- ^ Shchelochkov, Oleg A.; Manoli, Irini; Sloan, Jennifer L.; Ferry, Susan; Pass, Alexandra; Van Ryzin, Carol; Myles, Jennifer; Schoenfeld, Megan; McGuire, Peter; Rosing, Douglas R.; Levin, Mark D. (2019-06-28). "Chronic kidney disease in propionic acidemia". Genetics in Medicine. 21 (12): 2830–2835. doi:10.1038/s41436-019-0593-z. ISSN 1530-0366. PMC 7045176. PMID 31249402.
- ^ a b Shchelochkov, Oleg A.; Carrillo, Nuria; Venditti, Charles (1993), Adam, Margaret P.; Ardinger, Holly H.; Pagon, Roberta A.; Wallace, Stephanie E. (eds.), "Propionic Acidemia", GeneReviews®,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PMID 22593918, retrieved 2019-09-29
- ^ a b c http://mayoresearch.mayo.edu/mayo/research/barry_lab/ropionic-Aciademia.cfmArchived 2008-08-29 웨이백 머신에서
배리 랩 - 벡터 및 바이러스 엔지니어링프로피온산혈증 유전자 치료 - ^ Dercksen, M.; IJlst, L.; Duran, M.; Mienie, L. J.; van Cruchten, A.; van der Westhuizen, F. H.; Wanders, R. J. A. (December 2014). "Inhibition of N-acetylglutamate synthase by various monocarboxylic and dicarboxylic short-chain coenzyme A esters and the production of alternative glutamate esters".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Molecular Basis of Disease. 1842 (12 Pt A): 2510–2516. doi:10.1016/j.bbadis.2013.04.027. ISSN 0006-3002. PMID 23643712.
- ^ Saudubray JM, Van Der Bergh G, Walter J : 선천적 대사 질환 진단 및 치료(2012)
- ^ Al-Odaib AN, Abu-Amaro KK, Ozand PT, Al-Hellani AM (2003). "A new era for preventive genetic programs in the Arabian Peninsula". Saudi Medical Journal. 24 (11): 1168–1175. PMID 14647548.
- ^ Kidd JR, Wolf B, Hsia E, Kidd KK (1980). "Genetics of propionic acidemia in a Mennonite-Amish kindred". Am J Hum Genet. 32 (2): 236–245. PMC 1686010. PMID 7386459.
- ^ Hsia, T. (2003). "How Ketotic Hyperglycinemia Became Propionic Acidemia" (PDF). Paresearch.org. Retrieved 7 June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