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밀 시오란

Emil Cioran
에밀 시오란
루마니아의 시오란, 1947
태어난
에밀 시오란

(1911-04-08) 1911년 4월 8일
레진사르, 오스트리아-헝가리 (오늘날 루마니아의 ăș나리
죽은1995년 6월 20일 (1995-06-20) (84세)
파리, 프랑스
국적.루마니아어; 루마니아가 공산국가가 된 1948년 이후 무국적자
모교
파트너시몬 부에
시상식
지역서양철학
학교
주요관심사
미학, 안티나티즘, 윤리, 하지학, 문학비평, 음악, 허무주의, , 종교, 자살
서명

에밀 시오란 ( 루마니아어:ˈ밀트 ʃˈ란(, 1911년 4월 8일 ~ 1995년 6월 20일)은 루마니아의 철학자, 산문가, 수필가이며, 루마니아어와 프랑스어로 작품을 출판했습니다.그의 작품은 널리 퍼진 철학적 비관론, 문체, 격언으로 유명합니다.그의 작품들은 종종 고통, 부패, 허무주의의 문제들을 다루었습니다.1937년, 시오란은 파리 라틴 지구로 이주했고, 그곳은 그의 영구 거주지가 되었고, 1995년 사망할 때까지 그의 파트너인 시몬 부에와 함께 은둔 생활을 했습니다.

젊은 시절

ăș나리에 있는 시오란의 집

시오란은 헝가리 왕국 제벤 현 레제나르(오늘날 루마니아 시비우 현 ăș나리)에서 태어났습니다.그의 아버지 에밀리아 키오란은 정교회 사제였고, 어머니 엘비라는 기독교 여성 연맹의 수장이었습니다.[2]

10살 때 학교를 다니기 위해 시비우로 이사를 갔고, 17살 때 부쿠레슈티 대학교의 문학 철학과에 입학하여 외젠 아이오네스코와 그의 친구가 된 미르체아 엘리아데를 만났습니다.[1]미래의 루마니아 철학자 콘스탄틴 노이카와 미래의 루마니아 사상가 페트레 ț ț레아는 그의 가장 가까운 학문적 동료가 되었습니다. 세 사람 모두 투도르 비아누와 내 이오네스쿠 밑에서 공부했습니다.시오란, 엘리아데, 그리고 ț ț레아는 트르 ă리즘으로 알려진 이오네스쿠의 사상의 지지자가 되었습니다.

시오란은 어린 나이에 독일어를 배울 정도로 뛰어난 독일어 구사 능력을 가졌고, 독일어로는 가능하지만 루마니아어로는 불가능한 철학을 읽기 시작했습니다.키오란의 청소년기에 대한 기록은 프리드리히 니체, 발자크, 아르투르 쇼펜하우어,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등에 대한 연구를 보여줍니다.[3]그는 "존재의 불편함"을 공리로 삼아 불가지론자가 되었습니다.대학에 있는 동안, 그는 게오르크 심멜, 루트비히 클라게스, 마르틴 하이데거의 영향을 받았고, 또한 러시아 철학자 레프 셰스토프의 영향을 받았는데, 그의 공헌은 삶이 자의적이라는 믿음이었습니다.시오란의 졸업 논문은 앙리 베르그송에 관한 것이었는데, 그는 베르그송이 삶의 비극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주장하며 나중에 거절했습니다.[citation needed]

시오란은 20살부터 평생 앓았던 불면증에 시달리기 시작해 글에 스며들었습니다.[4]시오란이 그의 첫 번째 책 절망의 고지대에서 자신의 경험에 대해 쓰기로 결심한 것은 불면증 에피소드에서 비롯되었습니다.[5]

직업

베를린 루마니아

1933년, 그는 요한 고틀립 피히테, 헤겔, 에드먼드 후설, 임마누엘 칸트, 게오르크 심멜, 쇼펜하우어, 그리고 니체를 공부했던 베를린 대학에 장학금을 받았습니다.[3]여기서 그는 클라게스와 니콜라이 하트만과 접촉했습니다.베를린에 있는 동안, 그는 나치 정권의 정책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그 주제를 다루는 칼럼을 Vremea에 기고했습니다. (여기서, Cioran은 "는 히틀러보다 더 동정적이고 존경받는 오늘날의 정치인은 없다"고 고백하면서,[6] "만약 인류가 긴 칼의 밤을 잃는다면 무엇을 잃었는가"라는 그의 지지를 표명했습니다.페트루 코마르네스쿠(Petru Comarnescu)에게 쓴 편지에서 자신을 "히틀러주의자"라고 묘사했습니다.[7][8]그는 이탈리아의 파시즘에 대해 비슷한 견해를 가졌으며, 제2차 이탈리아-아비스시니아 전쟁에서 승리한 것을 환영하며 "파시즘은 충격적인 것이며, 그것이 없으면 이탈리아는 오늘날 루마니아에 버금가는 타협이다"[9]라고 주장했습니다.

시오란의 첫 번째 책, Peculmile disper ării (문자 그대로 번역: "절망의 고지에서")는 1934년 루마니아에서 출판되었습니다.출판되지 않은 젊은 작가가 쓴 최고의 책 중 하나로 위원회상과 젊은 작가상을 수상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후에 시오란은 "이 책은 어떤 문체도 없이 매우 형편없이 쓰여진 책입니다"[10]라고 부정적으로 말했습니다.

뒤이어 루마니아에서도 망상의 서(1935), 루마니아의 변모(1936), 눈물과 성자(1937)가 출판되었습니다.Tears and Saints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형편없이 받아 들였고, 그것이 출판된 후, Cioran의 어머니는 그에게 그 책이 그녀의 대중적인 당혹감을 야기한다는 이유로 그 책을 철회해 달라고 부탁하는 편지를 썼습니다.[11]

시오란은 이 단체의 회원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초기까지 그가 지지했던 민족주의 이념을 가진 극우 단체철위대가 제시한 아이디어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루마니아에서 이 시기였습니다.후에 시오란은 파시즘을 비난하면서 1970년에 그것을 "나의 젊은 시절의 최악의 어리석음"이라고 묘사했습니다.만약 내가 한 병만 낫는다면, 그것은 틀림없이 그 병입니다."[12]

시오란은 1990년대에 발표된 두 번째 판에서 루마니아의 변형을 크게 수정하여 극단주의자 또는 "가식적이고 멍청하다"고 생각하는 수많은 구절들을 삭제했습니다.이 책은 원래 형태로 전체주의에 대한 공감을 나타냈는데,[13][14] 이 견해는 당시 키오란이 쓴 여러 글에도 나타나 '도시화산업화'를 '떠오르는 민족의 두 집념'으로 정착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15]

그러나 그의 초기 근대화 요구는 철위대의 전통주의와 조화를 이루기 어려웠습니다.[16]1934년, 그는 "루마니아에서 유일하게 비옥하고, 창조적이며, 활력을 불어넣는 민족주의는 전통을 무시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부정하고 물리치는 것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라고 썼습니다.[17]그의 작품에는 그가 특별히 루마니아의 특성이라고 생각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존재했습니다. (어떤 격언에서도, 어떤 속담에서도, 어떤 반성에서도, 우리 국민들은 삶 앞에서 똑같은 수줍음을 표현하고, 같은 망설임과 체념을 표현합니다. ...) 매일 루마니아어 [트루시즘]은 어안이 벙벙합니다.")[18] 극우파 군디레아(군디레아)로부터 비판을 받았습니다.편집장 니치포르 크레이니치루마니아의 변형을 여러 철수비대 신문에서뿐만 아니라 "오늘날의 루마니아에 대한 피비린내 나는 무자비한 대학살"[19]이라고 평했습니다.[20]

프랑스.

시오란의 초상

1936년 베를린에서 돌아온 후, 시오란은 브라 ș프에 있는 안드레이 ș구나 고등학교에서 1년 동안 철학을 가르쳤습니다.1937년, 그는 부쿠레슈티에 있는 프랑스 인스티튜트 지부로부터 장학금을 받고 파리로 떠났고, 그 후 1944년까지 연장되었습니다.1940년 11월부터 1941년 2월까지 고국에 잠시 머물렀던 후, 시오란은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습니다.[21]루마니아에서의 이 마지막 시기는 그가 그 당시 권력을 잡은 철위대와 더욱 긴밀한 관계를 보여준 시기였습니다(국립 군단 국가 참조).11월 28일, 국영 루마니아 라디오에서 키오란은 전 운동 지도자인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의 초상화를 중심으로 연설을 녹음했고, 그 중에서도 "루마니아인들에게 목적을 준 것"에 대해 그와 근위대를 칭찬했습니다.[22]

그는 나중에 철위대에 대한 지지뿐만 아니라 그들의 민족주의 사상을 포기했고, 철위대에 대한 자신의 감정적인 영향에 대해 자주 유감과 회개를 표명했습니다.예를 들어, 1972년 인터뷰에서 그는 "운동의 복잡성; 이것보다 더 정신 나간 종파와 정당"이라고 비난하며 "나는 그때 아주 희미한 확신의 흔적도 없이 파도에 실려가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나는 이제 그것에 면역력이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23]

Cioran은 1940년에 열정적인 핸드북을 쓰기 시작했고 1945년까지 그것을 마쳤습니다.이 책은 그가 루마니아어로 쓴 마지막 책이었지만, 서정적인 격언을 통해 비관론비인간성을 다룬 마지막 책은 아니었습니다.시오란은 그 후 오직 프랑스어로만 책을 출판했습니다.루마니아 사람들에 대한 시오란의 명백한 경멸이 나타난 것은 바로 이 시점이었습니다.그는 친구에게 "루마니아 사람들의 배타적 사용을 위해"라는 부제가 붙은 "실패의 철학"을 쓰고 싶다고 말했습니다.[24]또한, 그는 파리로 이주한 것을 "가장 똑똑한 일"이라고 묘사했고, "태어나서의 문제"에서 그는 "나는 내 조상에 대한 지속적인 반항으로, 스페인인, 러시아인, 식인종, 내가 그랬던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무언가가 되고 싶어 평생을 보냈습니다."[25]라고 말했습니다.

1942년, 시오란은 그의 여생을 함께 살았던 또 다른 불면증 환자인 시몬 부에를 만났습니다.시오란은 그들의 관계를 전적으로 사적으로 유지했고, 그의 글이나 인터뷰에서 부에와의 관계에 대해 말한 적이 없습니다.[26]

1949년, 그의 첫 번째 프랑스 책, 붕괴짧은 역사Gallimard에 의해 출판되었고, 1950년에 프랑스인이 아닌 작가가 쓴 최고의 책으로 리바롤 상을 받았습니다.[27]그의 경력 내내, 시오란은 그에게 주어지는 대부분의 문학상을 거절했습니다.[28]

나중의 삶과 죽음

시오랑과 시몬 부에의 무덤

파리 라틴 지구는 시오랑의 영구 거주지가 되었습니다.그는 그의 인생의 대부분을 대중을 피하며 은둔 생활을 했지만, 미르체아 엘리아드, 외젠 이오네스코, 폴 셀란, 사무엘 베케트, 앙리 미쇼, 페르난도 사바테르를 포함한 수많은 친구들과 여전히 연락을 유지했습니다.[citation needed]

1995년, 시오란은 알츠하이머병으로[29] 사망했고 몬파르나스 묘지에 묻혔습니다.[1]

주요 테마 및 스타일

어린 시절에 전통적인 철학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다고 주장하면서, 시오란은 개인적인 성찰과 열정적인 서정성을 선호하는 추상적인 추측을 일축했습니다."난 아무것도 발명하지 않았습니다.저는 제 자신만의 감각을 가진 유일한 비서였습니다."라고 나중에 말했습니다.[30][31]

격언은 시오란의 참고 문헌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태어나면서 겪는 문제와 같은 그의 책들 중 일부는 전적으로 격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이 결정에 대해 Cioran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설명하는 것이 너무 지루해서 이런 글만 씁니다.그래서 제가 격언을 썼을 때 다시 피로에 빠졌다고 하는 겁니다. 왜 신경 쓰십니까?그래서, 그 격언은 "심각한" 사람들에 의해 경멸되고, 교수들은 그것을 경시합니다.그들이 격언의 책을 읽을 때, 그들은 "오, 이 친구가 10페이지 전에 한 말을 보세요, 지금 그는 반대의 말을 하고 있습니다.그는 진지하지 않습니다."저, 상반되는 두 가지 격언을 바로 옆에 놓을 수 있습니다.격언은 순간적인 진리이기도 합니다.그건 법령이 아닙니다.그리고 제가 왜 이런 문구를 썼는지, 언제인지 거의 모든 경우에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그것은 항상 만남, 사건, 성미에 의해 움직이게 됩니다. 하지만 그들은 모두 이유가 있습니다.그것은 전혀 공짜가 아닙니다.[32]

철학적 비관론은 많은 비평가들이 그의 어린 시절의 사건들로 거슬러 올라가는 그의 모든 작품들을 특징짓습니다 (1935년 그의 어머니는 만약 그녀가 그가 너무 불행할 것이라는 것을 알았다면 를 낙태시켰을 것이라고 그에게 말한 것으로 유명합니다).그러나 시오란의 비관론(사실, 그의 회의론, 심지어 허무주의)은 지칠 줄 모르고, 그 나름대로 즐거움으로 남아 있습니다. 그것은 단순한 기원, 단일 기원 자체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비관론이 아닙니다.시오란의 어머니가 낙태에 대해 그에게 말했을 때, 그는 그것이 그를 방해한 것이 아니라, 존재의 본질에 대한 통찰로 이끌었던 특별한 인상을 주었다고 고백했습니다("나는 단순한 사고입니다.").나중에 사건과 관련해서는 왜 그렇게 심각하게 생각하느냐"고 말했습니다.[33]

그의 작품들은 종종 고통의 분위기, 시오란 자신이 경험했던 상태를 묘사하며 서정성과 종종 강렬하고 심지어 폭력적인 느낌의 표현에 의해 지배되기에 이르렀습니다.그가 루마니아어로 쓴 책들은 특히 후자의 특징을 잘 보여줍니다.죽음과 고통의 문제에 몰두한 그는 자살에 대한 생각에 끌렸고, 그것이 그가 절망고지에서 충분히 탐구했던 생각인, 한 사람이 삶을 영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생각이라고 믿었습니다.그는 그 주제에 대한 격언의 한 부분을 포함하는 The New Gods에서 자살에 대해 깊이 있게 이야기합니다.장 폴 사르트르알베르 카뮈가 제시한 가장 중요한 실존주의적 주제인 인간 소외에 대한 주제는 1932년 젊은 시오란이 "존재가 우리의 망명이고 무가 우리의 집이라는 것이 가능한가?"라는 절망의 고지에서 공식화했습니다.[34]

시오란의 작품들은 원죄, 비극적인 역사의식, 문명의 종말, 믿음을 통한 위로의 거부, 절대자에 대한 집착, 인간의 형이상학적 망명의 표현으로서의 삶 등 다른 많은 주제들도 포함하고 있습니다.는 "퇴폐 운동"과 관련된 작가들을 널리 읽으며 역사에 대해 열정적인 사상가였습니다.이 작가들 중 한 명은 인간과 문명의 운명에 대한 영지주의적 성찰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키오란의 정치 철학에 영향을 미친 오스왈드 스팽글러였습니다.시오란에 따르면, 인간은 자신의 기원과 접촉하고 자신과 단절하지 않는 한, 퇴폐에 저항해왔습니다.오늘날 그는 자기 대상화, 흠잡을 데 없는 생산과 재생산, 자기 분석과 투명성의 과잉, 인위적인 승리를 통해 자신의 파멸을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citation needed]

시오란은 에 대해 "바흐가 없다면 신은 완전한 이류 인물이 될 것"이며 "바흐의 음악은 우주의 창조를 완전한 실패로 간주할 수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유일한 주장"이라고 언급했습니다.[35]시오란은 이어서 "바흐, 셰익스피어, 베토벤, 도스토예프스키, 니체유일무이신론에 반대하는 주장"이라고 말했습니다.[36]

윌리엄 H. 가스시오란의 "존재의 유혹"을 "소외, 부조리, 지루함, 허무함, 부패, 역사의 폭정, 변화의 저속함, 고통으로서의 자각, 질병으로서의 이성이라는 현대적 주제에 대한 철학적 로맨스"라고 불렀습니다.[37]

시오란은 루마니아어가 아닌 프랑스어로 글을 쓰면서 가장 유명해졌는데, 이 언어는 그가 어렸을 때부터 고생했던 언어입니다.시오란의 일생 동안, 생존 페르세는 그를 " 발레리의 죽음 이후 우리 언어를 기릴 가장 위대한 프랑스 작가"라고 불렀습니다.[38]그의 채택된 언어에서 키오란의 말투와 사용법은 루마니아어만큼 가혹하지는 않았습니다 (그의 루마니아어 사용이 더 독창적이라고 하지만).[citation needed]

유산

시오란의 오랜 동반자였던 시모네 부에(Simone Boué)가 사망한 후, 2005년 경매를 시도한 관리인에 의해 이 부부의 아파트에서 시오란의 원고(30권이 넘는 공책)들이 발견되었습니다.파리 항소 법원의 판결로 이 컬렉션의 상업적 판매가 중단되었습니다.그런데 2011년 3월 항소법원은 원고의 정당한 소유자는 매도인이라고 판결했습니다.원고는 루마니아 사업가 George Br ăiloiu가 405,000 유로에 구입했습니다.

나이든 시오란은 루마니아 극작가이자 배우인 마테이 비 ș니에크, 만사르 ă 라 파리 큐베데레 스프레 모아르테("죽음을 바라보는 파리의 다락방")의 연극에서 주인공입니다.비 ș닉과 시오란의 상상의 만남을 묘사한 이 연극은 2007년 라두 아프림의 지휘 아래 루마니아와 룩셈부르크 배우들과 함께 처음 무대에 올랐습니다. 시오란은 콘스탄틴 코조카루가 연기했습니다.무대 장치는 루마니아[40][41] 시비우와 룩셈부르크의 에슈쉬르알제트에서 조직되었습니다 (시비우와 룩셈부르크 모두 올해의 유럽 문화의 수도였습니다).[40]2009년 루마니아 아카데미는 시오란에게 사후 회원 자격을 부여했습니다.[42]

니콜라에 차우 ș레스쿠의 통치하에서, 시오란의 작품들은 금지되었습니다.1974년 프랑코주의자 스페인사악한 데미우르지가 "무신자적이고 신성모독적이며 반기독교적"이라는 이유로 금지시켰는데, 이는 시오란이 "그의 부조리한 존재에서 가장 위대한 농담 중 하나"라고 여겼습니다.[1]

미국의 일렉트로닉 음악가 원오트릭스 포인트 네버는 2009년 발매된 Zones Without People에서 에밀을 위한 곡의 이름을 지어준 적이 없습니다.[43]

덴마크 네오폴 음악가 킴 라센(Kim Larsen)은 2021년 앨범 Your Love Can't Hold This Hwarse of Sorrow의 커버에 시오란의 숨막히는 팔 사진을 재연했습니다.

주요작품

루마니아어

  • 푸쿨마일 디스퍼 ă리 ("절망의 고지에서"로 번역), Editura "Funda Pentru Literaturi Artă", 부쿠레슈티 1934
  • 카르테아ă 기릴로르("망상의 책"), 1936년 부쿠레슈티
  • 1936년 부쿠레슈티의 심바레아 라 파 ță a Romnieniei (루마니아의 변모)
  • 라크리미 ș이 스핀 ț디("눈물과 성자들"), 1937년
  • 1991년 부쿠레슈티 후마니타스, ș드렙타르î티마 ă("열정 핸드북")

프렌치

시오란의 프랑스어 주요 작품들은 모두 리차드 하워드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습니다.

  • 붕괴짧은 역사, 갈리마르 1949
  • 삼단논법(tr. "모든 갈은 나뉜다"), Gallimard 1952
  • 1956년 갈리마드 영어판 라 텐테이션 디엑시스터("The Temptation to Exist"): ISBN978-0-226-10675-5
  • Histoire et Utopie ("역사와 유토피아"), Gallimard 1960
  • 라 슈테단슬렙템스("The Fall into Time"), 갈리마르(Gallimard) 1964
  • Le Mauvais démiurge (말 그대로 The Evil Demiurge; tr."새로운 신들"), 갈리마드 1969
  • 태어나면서 겪는 문제("The Trouble with Being"), 갈리마르 1973
  • 에카르트 요소(tr. "그려지고 사분의 일"), 갈리마르드 1979
  • 1986, Aveux et anathemes 1987 (tr. 그리고 "Anathemas and Admirations"로 분류됨)
  • œ브르 (작품집), 갈리마르 콰트로 1995
  • Monpays/ țara mea ("나의 나라", 프랑스어로 쓰여진 이 책은 루마니아에서 이중언어로 처음 출판되었습니다), 후마니타스, 부쿠레슈티, 1996
  • Cahiers 1957-1972 ("노트북"), Gallimard 1997
  • Deslarmes et des saints, L'Herne 영어판:ISBN 978-0-226-10672-4
  • 데세스포르의 술레시메스, L'Herne, 영문판:ISBN 978-0-226-10670-0
  • 르 크레퓌슐펜세, 르헤른
  • 자디세 나귀에르
  • 발레리 페이스 아제 아이돌, L'Herne, 1970, 2006
  • 델라 프랑스, L'Herne, 2009
  • L'Herne, Transfiguration de la Roumanie, 2009
  • Cahier Cioran, L'Herne, 2009 (여러 미발표 문서, 편지 및 사진)

참고 항목

메모들

  1. ^ a b c d "Obituary: Emil Cioran". The Independent. 23 October 2011. Retrieved 22 March 2021.
  2. ^ Cioran, Emil (1996). On the Heights of Despair. p. 13.
  3. ^ a b Regier, Willis (2005). "Cioran's Nietzsche". French Forum. 30 (3): 76. doi:10.1353/frf.2006.0012. JSTOR 40552402. S2CID 170571716 – via JSTOR.
  4. ^ Regier, Willis (2004). "Cioran's Insomnia". MLN. 119 (5): 994–1012. doi:10.1353/mln.2005.0018. JSTOR 3251887. S2CID 170780097 – via JSTOR.
  5. ^ Regier, Willis (2004). "Cioran's Insomnia". MLN. 119 (5): 996. doi:10.1353/mln.2005.0018. JSTOR 3251887. S2CID 170780097 – via JSTOR.
  6. ^ Cioran, 1933, Ornea, p.191
  7. ^ Cioran, 1934, Ornea, p.192
  8. ^ Cioran, 1933, Ornea, p.190
  9. ^ Cioran, 1936, Ornea, p.192
  10. ^ Jakob, Michel; Cioran, Emil; Greenspan, Kate (1994). "Wakefulness and Obsession: An Interview with E.M. Cioran". Salmagundi. 103 (103): 143. JSTOR 40548762 – via JSTOR.
  11. ^ Jakob, Michel; Cioran, Emil; Greenspan, Kate (1994). "Wakefulness and Obsession: An Interview with E.M. Cioran". Salmagundi. 103 (103): 126. JSTOR 40548762 – via JSTOR.
  12. ^ Acquisto, Joseph (2015). The Fall out of Redemption: Writing and Thinking Beyond Salvation in Baudelaire, Cioran, Fondane, Agamben, and Nancy. Bloomsbury Academic. p. 142.
  13. ^ 각막, p.40
  14. ^ 각막, p.50-52, 98
  15. ^ Cioran, Ornea, p.98
  16. ^ 각막, p.127, 130, 137–141
  17. ^ Cioran, 1934, Ornea, p.127
  18. ^ Cioran, 1936, Ornea, p. 141
  19. ^ 크레인, 1937, 오르네아에서, p.143
  20. ^ 각막, 페이지 143-144
  21. ^ Gruzinska, Aleksandra (2001). "(Anti-)Semitism 1890s/1990s: Octave Mirbeau and E. M. Cioran". Rocky Mountain Review of Language and Literature. 55 (1): 18. doi:10.2307/1348152. JSTOR 1348152. S2CID 146282921 – via JSTOR.
  22. ^ Cioran, 1940, Ornea, p.197
  23. ^ Cioran, 1972, Ornea, p.198
  24. ^ a b Pace, Eric (22 June 1995). "E. M. Cioran, 84, Novelist And Philosopher of Despair". The New York Time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13 September 2020.
  25. ^ Cioran, Emil (1998). The Trouble with Being Born. Arcade Publishing. p. 62.
  26. ^ Regier, Willis (2005). "Cioran's Nietzsche". French Forum. 30 (3): 84. doi:10.1353/frf.2006.0012. JSTOR 40552402. S2CID 170571716 – via JSTOR.
  27. ^ Regier, Willis (2004). "Cioran's Insomnia". MLN. 119 (5): 1000. doi:10.1353/mln.2005.0018. JSTOR 3251887. S2CID 170780097 – via JSTOR.
  28. ^ 붕괴의 짧은 역사, p. ix.
  29. ^ Bradatan, Costica (28 November 2016). "The Philosopher of Failure: Emil Cioran's Heights of Despair". Los Angeles Review of Books. Retrieved 8 January 2018.
  30. ^ Kirkup, James (24 June 1995). "Obituary: Emil Cioran". The Independent. Retrieved 23 March 2020.
  31. ^ 그림 그리고 사분위, 페이지 148.
  32. ^ "E.M. Cioran". Itineraries of a Hummingbird.
  33. ^ Weiss, Jason (1991). Writing At Risk: Interviews Uncommon Writers. University of Iowa Press. p. 9. ISBN 9781587292491. I'm simply an accident. Why take it all so seriously?.
  34. ^ Cioran, Emil (1992). On the Heights of Despai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 106.
  35. ^ Cioran, 1989년 12월 4일 뉴스위크에서
  36. ^ Regier, Willis (2005). "Cioran's Nietzsche". French Forum. 30 (3): 78. doi:10.1353/frf.2006.0012. JSTOR 40552402. S2CID 170571716 – via JSTOR.
  37. ^ Gass, William H. (22 August 1968). "The Evil Demiurge". The New York Review. ISSN 0028-7504. Retrieved 28 September 2022.
  38. ^ Ilinca Zarifopol-Johnston, Searching for Cioran (인디애나 대학 출판부), p.6
  39. ^ "Manuscripts by Romanian Philosopher Cioran Fetch €400,000". Balkan Insight. 8 April 2011. Retrieved 22 March 2021.
  40. ^ a b c (루마니아어) HotNews.ro î 룩셈부르크 극장; 2007년 11월 15일 검색
  41. ^ a b Ioan T. Morar, "크로닉 ă 드 랑 ă 극장"ă 에밀 시오란 가라테?", 아카데미아 카 ț벤쿠, 45/2007, p.30
  42. ^ (루마니아어로) 루마니아 아카데미 현장의 사후 아카데미에이 로마네.
  43. ^ "Zones Without People".

참고문헌

  • Ornea, Z. (1995). Anii treizeci. Extrema dreaptă românească. Bucharest: Fundației Culturale Române. ISBN 973-9155-43-X. OCLC 33346781.
  • 왐폴, 크리스티.(2012) "시오란의 섭리 자전거"Revista Transilvania, 1월, 51-54쪽

외부 링크

  • Cioran.eu – Project Cioran: 텍스트, 인터뷰, 멀티미디어, 링크
  • 새뮤얼 베켓의 E. M. 시오란 웹사이트는 다음과 같이 진술합니다: "시오란의 Cahiers 1957-1972의 천 페이지에 흩어져 있는 것들은 베켓과 그의 작품에 대한 많은 흥미로운 언급들이고, 그 중 다음은 더 기억에 남는 것들 중 하나입니다."
  • 카멜리아 엘리아스의 소개로 번역된 망상의 책 [Cartea am ăgirilor] (5장)하이페리온: 미학의 미래에 관하여, Vol. V, 2010년 5월 1호
  • 이사벨라 바실리우 스크라바, 사상 - 시오란 글쓰기의 가변적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