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만 잉가든

Roman Ingarden
로만 잉가든
Witkacy Roman Ingarden 1937.jpg
위트카시의 로마 잉가르덴 초상화
태어난1893년 2월 5일
죽은1970년 6월 4일 (77세)
교육괴팅겐 대학교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PhD, 1918)
루우 대학교 (Dr. Phil hab, 1925)
시대20세기 철학
지역서양 철학
학교현상학
현실주의 현상학
신플라톤주의[1]
박사학위 자문위원에드먼드 후셀
주된 관심사
미학, 인식론, 형식적 온톨로지
주목할 만한 아이디어
온톨로지

로만 위톨트 잉가르덴(/ɪn wit witoldold ingrd (n/; 1893년 2월 5일 ~ 1970년 6월 14일)은 미학, 온톨로지, 현상학 등에서 활동한 폴란드 철학자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전에 잉가르덴은 주로 독일어로 그의 작품을 출판했다. 전쟁 중에 그는 독일 침공 후 조국과 연대하여 폴란드로 전향하였고,[3] 그 결과 그의 온톨로지 전공 작품들은 더 넓은 세계 철학계에서 크게 주목을 받지 못했다.

전기

잉가르덴은 1893년 2월 5일 오스트리아-헝가리크라쿠프에서 태어났다.[4] 그는 처음에는 카지미에츠 트와르도프스키 휘하의 루우브 대학에서 수학과 철학을 공부한 뒤 괴팅겐 대학교로 옮겨 에드먼드 후세렐 휘하의 철학을 공부했다.[5] 그는 후셀에 의해 그의 가장 우수한 학생 중 한 명으로 여겨졌고 후셀을 프라이부르크 대학에 동행시켰는데, 1918년 잉가든은 후셀을 이사로 하여 박사학위 논문을 제출하였다.[6] 그의 논문의 제목은 직관(Intract und Intellekt bei Henri Bergson)이었다.[7] 잉가르덴은 앞서 독일과 폴란드 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어 트와르도스키 산하에 새로운 논문을 쓰자고 제안했으나 후세렐은 거절했다.[7]

잉가르덴은 그 후 폴란드로 돌아와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학업을 보냈다. 오랫동안 그는 중등학교 교사로 자신을 부양해야 했다.[8] 이 기간 동안 그의 작품 중 하나는 인식론학 박사 후 연구와는 별도로 트와르도스키를 위해 쓴 페스트슈리프트에 대한 리뷰였다. 여기에는 자이그문트 렘피키의 "W 스프롤리 우자사드니에니아 포에티키 czystej"에 대한 분석이 포함되었다.[9]

1925년 그는 하빌레네슈리프트, 에스티뉴 프래겐(필수 질문)을 루우 대학의 카지미에츠 트와르도스키에게 제출하였다. 이 논문은 영어권 철학계에서 주목받았다.[10][11] 1933년, 그 대학은 그를 철학 교수로 승진시켰다.[10] 그는 문학 예술 작품 (Das Literarische Kunstwerk)에 대한 작품으로 잘 알려지게 되었다. Eine Untersuchung aus dem Grenzgebiet der Ontologie, Logik und Litaturwissenschaft, 1931).[6]

1939년부터 1941년까지 소련의 루우프 점령 기간 동안 그는 대학 활동을 계속했고 크라쿠프 지역에서 살았다.[10] 독일 점령하의 바르바로사 1941 작전 이후 잉가르덴은 학생들에게 비밀리에 수학과 철학을 가르쳤다. 집이 폭격을 당한 후, 그는 자신의 저서 '세계의 존재에 대한 논란'에 대한 작업을 계속했다.[6]

잉가르덴은 전쟁 직후인 1945년 토루아에 있는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대학의 교수가 되었으나 1946년 공산당 정권하에서 금지되었다.[3] 그 후 크라쿠프의 자젤로니아 대학교로 옮겨가 자리를 제의받았다.[10] 그러나 1949년 그는 '유물론 적'으로 추정되는 이상주의 주장으로 인해 교단에 서지 못하게 되었다.[3] 1957년에 그는 금지령이 해제된 후 자젤로니아 대학에서 재위임되었고, 그래서 그는 계속해서 가르치고 쓰고 출판했다.

잉가르덴은 1970년 6월 14일 크라쿠프에서 뇌출혈로 사망했다.[6]

작동하다

잉가르덴은 현실주의 현상학자였기 때문에 후셀의 초월적 이상주의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의 훈련은 현상학적이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전체 작업은 온톨로지를 지향했다. 그렇기 때문에[citation needed] 잉가르덴은 그러한 지식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든 경험의 본질적인 특징에 기초하여 다양한 사물의 존재 상태와 존재의 온톨로지 구조를 설명하려고 노력하였기 때문에 가장 유명한 현상학적 온톨로지학자 중 한 명이다.

잉가르덴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들과 영어권 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유일한 작품들은 미학과 문학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그의 가장 인기 있는 책은 예술의 문학 작품개념을 탐구한 <문예 작품>이었다.[9] 이 책에서 잉가든은 문학 예술 작품은 순전히 의도적인 목적이며 작가의식적인 행동의 산물이라고 주장했다.[9] 이 작품은 독자 반응 비평이라 불리는 문학 이론의 발전에 기여하고 르네 벨렉이나 볼프강 아이서 같은 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다.[3]

미학에서 잉가르덴의 작품에 배타적으로 초점을 맞춘 것은 그의 '세계의 존재에 대한 논란'에서 제시된 형식적, 실존적, 물질적 존재론에 관한 사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잉가르덴의 전반적인 철학적 관점을 반영하지 못한다. 그의 심미적 조사에서 잉가르덴은 미학을 철학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생각했다. 그는 자신의 미학적 이론이 예술에 대한 분석일 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철학적 문제에 답하는 접근법이라고 주장했다.[12] 잉가르덴은 또한 르보프에 현상학적 원을 세우려고 시도했다. 미학과 서술 심리학에 초점을 맞춘 이 그룹은 레오폴드 블로스타인과 유제니 긴즈버그를 포함한 트와르도스키의 일부 학생들을 끌어들였다.[13] 잉가든은 에디스 스타인의 측근이었다. 그는 후셀과의 작업이 난관에 봉착했을 때 그녀를 변호했다.[14]

잉가든은 1949년에 자신만의 전기를 썼다. 제3인칭으로 쓰여진 이 작품은 그가 타타르키에비치에게 제출한 3편의 전기 중 하나로, 당시 그의 역사 필로조피(철학의 역사)를 수정하고 있었다.[7] 그 철학자는 후셀을 위한 일도 맡았었다.[7]

독일어로 된 주요 작품들

  • 직감 und Intellekt bei Henry Bergson, Halle: Max Niemeyer, 1921년
  • 에스티뉴 프레이겐. 아인 비트라그 문제 베센스, 할레: 맥스 니메이어, 1925년
  • Das Literarische Kunstwerk. Eine Untersuchung aus dem Grenzgebiet der Ontologie, Logik und Litaturwissenschaft, Halle: Max Niemeyer, 1931년
  • 운터수충겐 주르 온톨로지 데르 쿤스트: 무식베르크 빌드, 아르키테쿠르 영화, 튀빙겐: 막스 니메이어, 1962년
  • Der Streit um die existenz der Welt, Bd. I, II/I, II/2 튀빙겐: 맥스 니메이어, 1964년
  • Vom Erkennen des Literarischen Kunstwerks, Tübingen: Max Niemeyer, 1968년
  • 얼레브니스, 쿤스트워크 앤 워트. 보르트래게 주르 에스테틱 1937-1967, 튀빙겐: 막스 니메이어, 1969
  • 우버는 베란트워퉁을 죽인다. Ihre ontischen Undomante, Stuttgart: Reclam, 1970년
  • 뷔페르 데 카우살레 슈트루크투르 데르 레알 웰트. Der Streit um die Listenz der Welt, 밴드 III, Tübingen: 막스 니메이어, 1974년

폴란드어로 된 주요 작품들

  • Niektóre założenia idealizmu Berkeley'a [Some of the Tenets of Berkeley’s Idealism]. Lwów. 1931.
  • O poznawiniu dziewa literaciego(예술문학 작품의 인식), Ossolinum, Lwew: 1937년
  • 오 부도위 오브라주. 츠키치쯔테오리츠키(그림의 구조에 관하여: A Sketch of the Artion, Rozprawy Wydziawu Filozoficznego PAU Vol. LXVII, 2번 크라쿠프, 1946년
  • O dziele Architectktury (건축작품상), Naukai Sztuka, Vol. II, 1946, 1번 페이지 3-26, 2번 페이지 26-51
  • Spor o istnie świata(세계의 존재를 둘러싼 논쟁), PAU, Vol. 나, 크라쿠프: 1947년, 볼. 1948년 크라쿠프 2세
  • Szkice z filozofi literatury (문학철학에 관한 토막글), 제1권, Spowdzielnia wydawnicza "폴로니스타", Uwodz, 1947년
  • Elementy dziewa muzycznego (뮤지컬 작품의 요소), Spraplozdania Towrzystwa Naukowego w Toruniu, Vol. IX, 1955, 1-4, 페이지 82-84
  • Studia z 에스테키(Studies in Miciacy), PWN, Vol. 이와르자와 1957년, 볼 2세, 와르자와, 1958년
  • O dziele literacim (문학작품) PWN, 와르자와, 1960년
  • Przeżycie - dziewo - wattośch(경험 - 예술 작품 - 가치) 1966년 크라쿠프 와이대닉트워 리터카키
  • Studia z 에스테키 Tom III(Studies in Miciacy, Vol. III), PWN, Warsza, 1970년
  • U 포드스타우 테오리 포즈나니아 (At the Foundation of Knowledge of Knowledge) PWN, Warsza, 1971년
  • Ksiąeczka o czwowieku (Little Book About Man), Wydawnictwo Literackie, Krakow. 1972.
  • Utwor Muzyczny i는 1973년 와르자와, Polskie Wydawnictwo Mujyczne, 1973년, 음악의 일과 그것의 정체성의 문제, 폴스키에 Wydawnictwo Mujyczne에 jego를 뻗었다.

영어로 번역된 주요 작품들

  • '세계의 존재' 논란 Athur Szylewicz, Bern: Peter Lang, 2013 / 2016.
  • 헬렌 R이 번역한 존재의 시간모드(Der Streit로부터의 선택) 미치다. 일리노이주 스프링필드: 찰스 C. 토마스, 1964년
  • 루스 앤 크롤리와 케네스 R에 의해 번역된 예술 문학작품의 인식. 올슨, 일리노이주 에반스턴: 노스웨스턴 대학교 출판부, 1973.
  • George G. Grabowicz가 번역한 문학 작품. 일리노이주 에반스턴: 노스웨스턴 대학교 출판부, 1973.
  • 1976년 Tymienieecka VI [논리적] 조사와 '이데올로기주의'대한 서한.
  • 아서 스질위츠가 번역한 Man and Value. 뮌헨: Philosia Verlag.
  • 에드먼드 후셀을 초월적 이상주의로 이끈 동기에 대해, Arnor Hannibalsson이 번역했다. 헤이그: 1976.
  • 예술의 온톨로지, Raymond Meyer가 John T. Goldthwait와 함께 번역했다. 오하이오 주 아테네: 오하이오 대학 출판부, 1989년
  • Peter J. McCormick, München: Vericia Verlag, 1985)가 선정한 미학 논문.
  • 아담 체르니아프스키가 번역한 음악의 작품과 정체성의 문제. 런던: 맥밀런, 1986.

참고 항목

참조

  1. ^ [1]
  2. ^ 볼프강 휴머, "후세렐의 정신신학 비판 및 브렌타노 학파와의 관계": 아르카디우스즈 슈루짐스키와 볼프강 휴머(eds), 현상학분석: 중앙 유럽 철학에 관한 논문, 2004년, 페이지 210.
  3. ^ a b c d Buchanan, Ian (2010). A Dictionary of Critical Theory. Oxford: Bloomsbury Publishing. p. 247. ISBN 978-0-19-953291-9.
  4. ^ Stein, Edith (2014). Edith Stein: Letters to Roman Ingarden: Edith Stein: Self-Portrait in Letters; The Collected Works volume 12. Washington, D.C.: ICS Publications. p. 12. ISBN 978-1-939272-25-6.
  5. ^ Peterson, Keith; Poli, Roberto (2016). New Research on the Philosophy of Nicolai Hartmann. Berlin: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p. 171. ISBN 978-3-11-044102-4.
  6. ^ a b c d "Roman Ingarden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Retrieved 2015-12-04.
  7. ^ a b c d Mitscherling, Jeffrey Anthony (1997). Roman Ingarden's Ontology and Aesthetics. Ottawa: University of Ottawa Press. pp. 16, 31. ISBN 0-7766-0435-X.
  8. ^ Tymieniecka, Anna-Teresa (2014). Phenomenology World-Wide: Foundations — Expanding Dynamics — Life-Engagements A Guide for Research and Study. Dordrecht: Springer. p. 184. ISBN 978-94-007-0472-5.
  9. ^ a b c Dziemidok, Bohdan; McCormick, Peter (1989). On the Aesthetics of Roman Ingarden: Interpretations and Assessments.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pp. 13, 101. ISBN 978-94-010-7511-4.
  10. ^ a b c d Porębski, Czesław (2019). Lectures on Polish Value Theory. Leiden: BRILL. p. 125. ISBN 978-90-04-39432-2.
  11. ^ Gilbert Ryle, Mind, 36, 1927, 페이지 366–370의 리뷰를 참조하십시오.
  12. ^ Tymieniecka, Anna-Teresa (2012). Phenomenology of Life in a Dialogue Between Chinese and Occidental Philosophy, Volume XVII. Dordrecht: D. Reidel Publishing Company. p. 271. ISBN 978-94-009-6262-0.
  13. ^ Poli, Roberto (1997). In Itinere: European Cities and the Birth of Modern Scientific Philosophy. Amsterdam: Rodopi. p. 173. ISBN 90-420-0201-8.
  14. ^ Stein, Edith (2017-11-24). Life in a Jewish Family: An Autobiography, 1891-1916 (The Collected Works of Edith Stein, vol. 1). ICS Publications. ISBN 978-1-939272-46-1.

추가 읽기

  • J. Mitsherling Roman Ingarden의 Ontology and Miciacy, Ottawa: 오타와 대학 출판부, 1997.
  • 로버트 마글리올라, 현상학 문학의 "제2부, 제2장: 로만 잉가든": 소개(Lafayette, Indiana: Purdue University Press, 1977; 1978), 페이지 107-198[Diacritics의 W. Wolfgang Holdheim의 리뷰, 제9권, 제2호 (1979년 여름, JSTOR을 통해, 여기 https://www.jstor.org/pss/464782 참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