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베삼 루프 라인
Evesham loop line반트 그린-아슈처치 | |||
---|---|---|---|
개요 | |||
상태 | 작동(Barnt Green-Redditch) | ||
소유자 | 네트워크 레일 | ||
로캘 | |||
터미 | 반트 그린 애쉬처치 | ||
역사 | |||
열린 |
| ||
닫힌 | 1962-1963년(레드디치-애쉬처치) | ||
기술 | |||
트랙 게이지 | 1,435 mm (4ft 8+1⁄2 인치) | ||
|
글로스터 루프 라인 | ||||||||||||||||||||||||||||||||||||||||||||||||||||||||||||||||||||||||||||||||||||||||||||||||||||||||||||||||||||||||||||||||||||||||||||||||||||||||||||||||||||||||||||||||||||||||||||||||||||||||
---|---|---|---|---|---|---|---|---|---|---|---|---|---|---|---|---|---|---|---|---|---|---|---|---|---|---|---|---|---|---|---|---|---|---|---|---|---|---|---|---|---|---|---|---|---|---|---|---|---|---|---|---|---|---|---|---|---|---|---|---|---|---|---|---|---|---|---|---|---|---|---|---|---|---|---|---|---|---|---|---|---|---|---|---|---|---|---|---|---|---|---|---|---|---|---|---|---|---|---|---|---|---|---|---|---|---|---|---|---|---|---|---|---|---|---|---|---|---|---|---|---|---|---|---|---|---|---|---|---|---|---|---|---|---|---|---|---|---|---|---|---|---|---|---|---|---|---|---|---|---|---|---|---|---|---|---|---|---|---|---|---|---|---|---|---|---|---|---|---|---|---|---|---|---|---|---|---|---|---|---|---|---|---|---|---|---|---|---|---|---|---|---|---|---|---|---|---|---|---|---|
|
에베삼 지선은 반트 그린에서 레드디치, 알세스터, 에베삼을 거쳐 애쉬처치까지 운행하는 대부분 불용된 영국 철도 노선이다. 그것은 때때로 미드랜드 철도의 글로스터 루프 라인으로 알려져 있었다.
1859년에서 1868년 사이에 단계적으로 개통되었는데, 레디치 철도, 미들랜드 철도, 에베삼과 레디치 철도에 의해 건설되었다. 이 구간들은 모두 미들랜드 철도에 부속되어 있었고 그것과 합쳐졌다. 완공되면, 이 노선은 Lickey Incline을 통한 혼잡하고 어려운 노선을 피해 상품 서비스에 유용한 경로를 형성했다. 1879년 에이본의 스트랫포드에서 빗자루까지의 노선이 개통되면서 이 노선에 상품통행을 가져오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1960년 이후 장거리 상품 서비스가 다른 노선에 걸쳐 노선 이탈로 전환되었고, 노선은 급감했다. 그것은 1962년과 1963년에 단계적으로 레드디치 남쪽에 폐쇄되었다.
오늘날 반트 그린과 레드디치 사이의 최북단 구간은 여전히 크로스시티 선의 지선으로서 운행되고 있다. 이것은 최근 몇 년 동안 그것의 여객 서비스의 부활을 누려왔다. 다른 쪽 끝에는 원선의 아주 짧은 길이에서 애쉬처치(Ashchurch)에 있는 MoD 창고가 있다. 그 행의 나머지 부분은 사용되지 않는다.
버밍엄 글로스터 철도
버밍엄과 글로스터 철도는 1840년에 개통되었다. 브리스톨과 글로스터 철도로 서미들랜즈의 지배적인 제조 구역과 중요한 브리스톨 항 사이의 관통 항로를 형성했다. 버밍엄과 글로스터 철도의 발기인의 주된 목적은 그 중요한 중심지들 사이의 간선 노선을 달성하는 데 있었고, 그 노선을 구상하는 데 있어서 그들은 에베샴의 베일("영국 최고 부호들 중 하나")[1]과 우스터셔와 글로스터셔의 다른 지역들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1]
건설
레드디치 철도
레드디치는 브리스톨과 글로스터 철도 노선에서 멀지 않은 중요한 도시였지만, 1858년 7월 23일에야 레드디치 철도가 편입되었다. 이 노선은 반트 그린에 있는 미들랜드 철도 본선을 출발하여 약 4+1⁄2 마일의 거리인 레드디치의 브록 힐 레인(Brock Hill Lane)까지 운행하는 것이었다. 인가된 자본은 보통 11,500파운드의 대출이 추가되면서 10파운드 주식 35,000파운드였다. 이 노선은 1859년 9월 19일에 승객들에게 개통되었고, 같은 해 10월 1일에 화물 운송에 개통되었다. 1859년 11월 알베처치가 개통되기 전까지는 다른 역은 없었다. 이 노선은 미들랜드 철도에 의해 처음부터 임대되어 운행되었다.[1][2][3]
3만 5천 파운드의 주식 인수 건은 실망스러웠으며, 2만 7천 120파운드만 인수되었다. 설상가상으로 실제 노선 건설 비용은 5만4574파운드에 달했다. 자본수지에 대한 적자는 2만 7천 파운드로, 아마도 부분적으로 무허가 대출에 의해 뒷받침되었을 것이다. 회사는 추가 자본의 허가를 위해 의회에 돌아갔고, 1862년 8월 7일 법률은 회사가 15,000파운드의 범위까지 신규 주식 자본을 조달하고, 최대 5,000파운드의 대출을 받고, 대출 대신 사채 주식을 창출하는 것을 허용했다.[4][5][6]
그 회사는 1863년에 미들랜드 철도와 합병되었다; 그 변경은 1874년 미들랜드 철도법에 의해 비준되었다.[6]
애슈처치-에베스햄 (미들랜드 철도)
옥스퍼드, 우스터, 울버햄튼 철도는 1852년 에베삼을 통해 본선을 개통했다. 미드랜드 철도는 그 마을의 가능성을 보고, 에베삼까지 독자 노선을 건설하기로 결심했다. 그것은 1861년 6월 7일 미들랜드 철도법에 의해 애쉬처치와 에베스햄 10마일 지점의 허가를 얻었다. 1864년 7월 1일 화물열차에 개통되었다. 최초의 여객열차는 1864년 10월 1일에 운행되었다. 에베삼 역은 OW&WR 역과 바로 인접해 있었다. 평일에는 각 방향으로 4대의 열차가, 일요일에는 2대의 열차가 운행되었다. 잠시 후 글로스터로 가는 두 대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었다.[4][5][6][1]
에베삼과 레디치 철도

에베삼은 두 개의 철도를 가지고 있었지만, 그곳의 이해당사자들은 버밍엄과의 직접 연결의 이점을 보고, 제안된 에베삼과 레디치 철도를 지지했다. 그 선은 길이가 17마일이 될 예정이었다. 에베삼과 레디치 철도는 1863년 7월 13일 에베삼과 레디치 철도법에 의해 통합되었다. 인가된 자본은 189,600파운드였다. 그 회사는 법인 설립으로 미들랜드 철도에 임대되었다.[4][5][6][7][8]
1866년 6월 16일 에베셈에서 거의 10마일 떨어진 알세스터까지 일부 노선이 화물 운송에 개통되었다. 무역위원회의 욜란드 대령이 승객 개통을 승인했고, 여객 열차는 1866년 9월 17일부터 운행되기 시작했다. 알세스터와 에베삼 사이를 매일 4대의 열차가 운행되었는데 일요일에는 2대의 열차가 운행되었고, 짧은 기간 후에 애쉬처치 열차와 결합되었지만, 열차를 통한 글로스터 열차는 단종되었다.
이 개통으로 알세스터와 레드디치 사이에 7마일이 남았다. 레드디치 마을 남쪽 끝 아래에 330야드짜리 터널이 있었다. 이 노선은 1868년 5월 4일에 완공되었다. 레드디치 철도의 종착역은 폐쇄되었고 남쪽으로 약 4분의 1마일 정도 되는 구간이 개통되었다.[4][5][9][1][8] 새 위치는 마을 회관에 더 편리했다. 레드디치와 에베삼 사이 선은 단일 트랙을 통과 루프로 구성했고, 에베삼에서 애쉬처치까지 선로는 전 구간이 2배였다.[5]
그 회사는 1882년 미들랜드 철도법에 의해 미들랜드에 귀속되었다.[6]
작업 준비 및 흡수
에베삼 지점(Ashchurch로부터)은 미들랜드 철도의 일부였고, 관통 노선을 구성하는 다른 두 회사인 레드디치 철도와 에베삼 및 레드디치 철도는 미들랜드 회사가 각각 개업한 회사였다. 레드디치 철도는 1865년 1월 1일부터 미들랜드 철도에 흡수되었다(중부 철도(신선 및 추가 전력)법 1863년 7월 21일 제정). 1882년 7월 1일부터 에베삼과 레드디치 철도가 미들랜드 철도에 귀속되었고, 회사는 마침내 1886년 6월 25일에 해산되었다.[4]
미드랜드 철도는 버밍엄과 에베샴의 과일과 야채 제품의 매우 경쟁적인 접근을 획득했다. 동시에 OW&WR 동서 노선(현재 GWR)은 덜 전략적으로 중요해졌다.[5]
에이본의 스트랫포드에서 온 선
스트랫포드-우폰-아본이 브룸의 에베스햄 루프에 합류하여 만든 노선으로, 이 노선은 에베스햄, 레드디치 & 스트랫포드-온-아본 접속 철도에 의해 건설되었다. 이 철도는 페니 콤프턴에서 스트랫포드온아본까지 노선을 연장한 것으로, 동서 분기 철도라고 한다. E&WJR은 노샘프턴셔 철광석을 스트랫퍼드 이상을 거쳐 사우스웨일즈까지 운반하기를 열망했지만 돈이 바닥났고, 1879년 에베셈 회사가 선을 개통하면서 수신자의 손에 맡겨졌다.
이 선은 스트랫포드의 E&WJR에서 알세스터와 에베스햄 사이의 브룸에 있는 에베스햄 루프 선과 연결되기 위해 운행되었다. 그것의 허가법은 레드디치와 에베스햄 사이의 미드랜드 철도를 운행하는 권한을 부여했지만, 브룸 역에 대한 접근을 제외하고는 이러한 권한들이 행사되지 않았다. 이 노선은 1879년 6월 2일에 개통되었고, E&WJR에 의해 운영되었다.[10][4][11]
남웨일즈에서 멀리 떨어진 브룸에서의 연결은 북쪽을 향하고 있었다; 처음에 연결 지점은 단일 노선의 미드랜드 철도 직원 구역(Wixford to Salford Priors)에 있었는데, 이것은 매우 부적절한 상황이었다. 이것은 노선이 개통된 직후에 수리되었다. 브룸 역은 1880년 11월 1일까지 대중이 접근할 수 없는 교환역일 뿐이다.[10][4][11]
ER&SoAJR 자체는 1886년에 법정관리에 들어갔다.[4][11] 1909년 이 두 회사가 합병하여 스트랫포드온아본과 미들랜드 접속 철도를 만들었다.[10]
알세스터 철도
1872년 8월 6일에 인가된 알세스터 철도 회사는 아본 철도의 Stratford에 있는 베어리에서 알세스터에 이르는 지선을 건설했다. 사실 그것은 알세스터 역에서 북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미드랜드 철도와 접점을 만들었다; 알세스터 철도는 미들랜드 철도역으로 가는 동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 지점은 1876년 9월 4일에 개통되었다. 그 지점은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에 의해 운영되었다. 알세스터 회사는 마침내 1883년 7월 1일 대서양 철도에 인수되었다.[12]
빗자루 남곡선
스트랫퍼드-아본-아본-미들랜드 연결 철도가 있는 브룸의 분기점은 북쪽을 향해 있었다. 한동안 미드랜드 철도는 SoA&MJR 노선을 노섬프턴셔의 시스템과 글로스터셔의 네트워크 사이의 관통 상품 연결로 사용했지만, 노선의 열악한 시설과 에베삼 루프 노선의 여정을 계속하기 위해 브룸의 역전의 필요성이 그것에 대항하여 무력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그 경로를 지나는 교통량이 많이 증가하였다; 그 목적을 위해 스트랫퍼드 선의 선로와 신호는 크게 개선되었다. 열차는 여전히 브룸에서 역행해야 했고, 무거운 열차로 그렇게 하는 데 수반되는 지연은 견딜 수 없게 되었다. 상황을 완화하기 위해 브룸에 남쪽 커브가 세워져 삼각형을 만들었다. 1942년 9월 27일 개관하였다.[13][1][14]
에베삼 접속
미드랜드 철도와 OW&WR (Later GWR)은 에베샴에서 나란히 있었고, 여러 해 동안 두 사람 사이에는 교환측면 연결만 있었을 뿐이었다. 1950년대에 허니본-첼트넘 서비스가 애쉬처치로 전환될 수 있도록 러닝 커넥션이 만들어졌다.[1]
승객 서비스
레디치와 애쉬처치 사이의 여객 서비스는 몇 년 동안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보통 평일에는 대략 3시간 간격으로 각 방향에서 4~5대의 열차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것들은 레디치, 에베셈, 애쉬처치 사이의 열차와 버밍햄을 오가는 다른 서비스와 연결하는 열차의 혼합물이었다. 초창기에는 주중에 버밍엄과 레디치 사이의 각 방향마다 13대의 열차가 있었고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추가로 늦은 열차가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서비스는 축소되었고, 단지 9대의 열차만이 운행되었고, 약간의 도움이 되지 않는 공백이 생겼다.
1960년 4월 25일 버밍엄과 레드치치 사이에 시간당 디젤 서비스가 도입되었다. 에베삼과 애쉬처치까지 운행하는 피크시간 기차와 직항로는 계속 증기가 운반되었다.[4]
1960년 이후의 발전
1960년 4월 버밍엄과 레드디치 사이에 정기적인 정기 여객 서비스가 도입되었다. 이로 인해 레디치 북쪽의 단선 구간을 통한 화물열차의 이용가능성이 크게 감소하였고, 이 구간을 통과하는 화물교통은 거의 모두 리키 인클라인을 통해 본선으로 우회되었다. 한편, 브룸 정션에서 사우스 웨일즈까지 우드포드 할스가 증가하였고, 1960년에 에이본의 스트랫포드에 동서남북의 복선 스퍼트가 건설되었다. 이로 인해 모든 우드포드 할스 교통이 허니본 노선으로 우회되어 지역 상품 서비스만 남게 되었고, 옥스퍼드-사우스웨일스 화물열차는 에베삼-상부를 운행했다.애쉬처치 구간. 브룸 역은 1962년 7월 1일에 브룸 웨스트에서 브룸 이스트까지 가는 노선이 폐쇄된 지 몇 달 후인 1962년 10월 1일에 폐쇄되었다.
1962년 10월 1일, "선로의 안전하지 않은 상태" 때문에 알세스터-에베스햄 구간은 경고 없이 모든 교통에 일시적으로 폐쇄되었다. 다음 복선전 에베삼-애쉬처치 구간은 1963년 9월 9일 무거운 화물 운송을 위한 선로 유지에 필요한 상당한 지출 때문에 폐쇄되었다.[4][5] 곧 이어 에베삼과 애쉬처치 사이의 구간이 이어져 1963년 6월 17일 승객을 위해 문을 닫았다.[5]
1962년 브리티시 철도는 레드디치와 애쉬처치 사이의 28마일 구간에서 여객 서비스를 철회할 뜻을 밝혔다. 이 제안은 원래 해빙턴과 애슈턴 언더힐 역의 완전한 폐쇄와 힌튼에 완전한 왜건 하중을 위한 시설의 유지를 수반하며, 다른 모든 역들은 화물과 소포 통행을 위해 남아있다. 그러나 추가적인 발전으로 인해 1963년 7월 1일부터 에베삼을 제외한 알세스터 남쪽 지점의 모든 역이 전면 폐쇄되었다.[4]
이 사건들은 Bant Green에서 Redditch 구간을 5마일(8.0km) 미만의 짧은 분기점으로 남겼다. 이는 비칭 액스의 일부로 폐쇄를 위해 제안되었으나, 지역 캠페인으로 인해 철회되었고, 레드디치가 뉴타운으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에 그것의 운행이 매일 피크 시간에 단지 4대의 열차로 줄어들었다. 이것은 1980년까지 지속되었는데, 그 때 새로 업그레이드된 시외선에서는 시간당 서비스가 레드디치까지 연장되었다. 이것은 1989년에 30분으로 격상되었다. 1990년대 초반, 영국철도는 지사를 전기화했다. 2014년 알베처치 지사에 패스 루프가 건설되어 시간당 3대의 열차로 서비스를 더욱 업그레이드할 수 있게 되었다.[15][16]
스테이션 목록
- Bant Green(Bant Green), 1844년 5월 1일 개봉, 여전히 개봉;
- Alvechurch; 1859년 11월 1일 개업, 1993년 3월 19일 이전, 여전히 개업;
- 1859년 9월 19일 개업, 1868년 5월 4일 이전, 1972년 2월 7일 이전, 여전히 개점;
- 스터들리와 애스트우드 은행, 1868년 5월 4일 개장, 1962년 10월 1일 폐쇄
- 코우톤, 1868년 5월 4일 개장, 1952년 6월 30일 폐쇄
- 앨스터, 1866년 9월 17일 개장, 1962년 10월 1일 폐쇄
- Wixford; 1866년 9월 17일 개봉, 원본은 임시, 교체 날짜 불확실, 1950년 1월 2일 폐쇄;
- 빗자루 (Junction), 1879년 6월 2일 개업, 1880년 11월 1일부터 공개, 1962년 10월 1일 휴업;
- Salford Priors, 1866년 9월 17일 개장, 1962년 10월 1일 폐쇄
- 해빙턴; 1866년 9월 17일 개업; 1962년 10월 1일 휴업;
- Evesham; 1864년 10월 1일 개업; 1963년 6월 17일 폐쇄; (이전의 OW&WR 방송국은 여전히 개방되어 있음);
- Bengeworth; 1864년 10월 1일 개장; 1953년 6월 8일 폐쇄;
- 힌튼; 1864년 10월 1일 개업; 1963년 6월 17일 휴업;
- 1864년 10월 1일 개업, 1963년 6월 17일 휴업;
- 벡포드; 1864년 10월 1일 개업; 1963년 6월 17일 휴업;
- Evesham 분기점;
- 애쉬처치; 1840년 6월 24일 개장; 1971년 11월 15일 폐쇄;[17][18] 1997년 6월 2일 재개장; 여전히 개장.
참조
- ^ a b c d e f g 렉스 크리스천슨, 영국의 철도의 지역사: 제13권: 템즈와 세번, 데이비드 & 찰스 출판사, 뉴턴 애벗, 1981년, 07153 8004 4, 58페이지
- ^ 어니스트 F 카터, 1959년 런던 캐셀, 영국 철도의 역사 지리학 292페이지
- ^ 2017년 키브워스 보샹, 마타도어 출판사, 영국의 철도 회사 목록, 도널드 J 그랜트 ISBN978 1785893 537, 467페이지
- ^ a b c d e f g h i j k 1964년 11월, 철도 잡지에 실린 존 M 톨슨, 버밍엄 및 글로스터 루프
- ^ a b c d e f g h 레슬리 오피츠, Hereford & Worcester 철도 기억, 시골 책, 1990년, ISBN 1 85306 096 8, 31~33쪽
- ^ a b c d e R J Essey, Ashchurch to Bant Green Line: The Evesham Route, Oxford 출판사, Hersham, 2002, ISBN 0 86093 562 0, 21페이지
- ^ 카터, 344페이지
- ^ a b 그랜트, 193쪽과 194쪽
- ^ 에세리, 21쪽과 22쪽
- ^ a b c R C 라일리와 빌 심슨, Stratford-upon-Avon & Midland 접합 철도의 역사, Lamplight Publications, Banbury, 1999, ISBN 1 899246 04 04 5, 13페이지
- ^ a b c 에세리, 28페이지
- ^ 에세리, 29페이지
- ^ 에세리, 76쪽
- ^ 라일리와 심슨, 49페이지
- ^ "Milestone marks the end of a railway era". Redditch Standar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December 2013. Retrieved 16 November 2013.
- ^ "Redditch branch reopened after improvements completed". rail.co.uk. 8 September 2014. Retrieved 29 November 2020.
- ^ Coll M H Cobb, The Railways of Great British: A History Atlas, Ian Allan Limited, Shepperton, 2002년
- ^ 마이클 퀵, 영국, 스코틀랜드, 웨일스의 철도 여객역: 연대기, 철도 및 운하 역사 협회, 리치몬드, 서리,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