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수아즈 뒤르
Françoise Dürr![]() |
![]() 1965년 네덜란드 힐베르섬 | |
나라(스포츠) | ![]() |
---|---|
태어난 | 알제리, 프랑스령 알제리 | 1942년 12월 25일
높이 | 1.63m(5ft 4인치) |
프로로 전향했다. | 1968년(오픈 시대의 시작) |
은퇴한 | 1984 |
플레이스 | 오른손(한손 백핸드) |
인턴 테니스 호프 | 2003(멤버 페이지) |
싱글스 | |
경력기록 | 101–79 |
경력직명 | 50 |
최고 순위 | 3번(1967년) |
그랜드 슬램 단식 경기 결과 |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QF(1965, 1967) |
프렌치 오픈 | W(1967년) |
윔블던 | SF(1970년) |
US 오픈 | SF(1967) |
복식 | |
경력기록 | 202–80 |
경력직명 | 60 |
최고 순위 | 1번(1969년) |
그랜드 슬램이 2배 더 많은 결과를 낳다 |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SF(1969년) |
프렌치 오픈 | W(1967, 1968, 1969, 1970, 1971) |
윔블던 | F(1965, 1968, 1970, 1972, 1973, 1975) |
US 오픈 | W (1969, 1972년) |
기타 복식 경기 | |
투어 파이널 | W(1979년) |
남녀 혼합 복식 | |
경력직명 | 4 |
그랜드 슬램 혼합 복식 결과 |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SF(1967) |
프렌치 오픈 | W(1968, 1971, 1973년) |
윔블던 | W(1976년) |
US 오픈 | F(1969년) |
프랑수아즈 뒤르(Francoise Durr, 1942년 12월 25일 출생, 때때로 영국 작가들에 의해 프랭키 뒤르(Frankie Durr)로 언급)는 은퇴한 프랑스 테니스 선수다. 그녀는 50개의 단식 타이틀과 60개가 넘는 복식 타이틀을 얻었다.
랜스 팅게이, 버드 콜린스, 여자테니스협회에 따르면 뒤르는 1965년부터 1967년까지, 1970년부터 1972년까지, 그리고 1974년부터 1976년까지 세계 10위권에 랭크되어, 1967년에 세계 3위의 경력에 도달했다.[1] 그녀는 1971년 상금 수익에서 빌리 진 킹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뒤르는 단식 1회, 여자 복식 18회, 혼합 복식 8회 등 총 27회 그랜드 슬램 결승에 올랐다. 그녀는 그들 중 12명을 이겼다.
전기
뒤르는 1967년 프랑스 선수권 대회에서 단식 우승을 차지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녀는 8강전에서 마리아 부에노를, 결승전에서 레슬리 터너를 이겼다. 뒤르는 단식 우승 외에도 그랜드슬램 여자 복식 7회, 그랜드슬램 혼합복식 4회 우승을 차지했다. 그녀는 11개의 그랜드 슬램 여자 복식 경기와 4개의 그랜드 슬램 혼합 복식 경기에서 준우승을 했다.
뒤르는 프랑스 선수권 대회에서 복식 8승을 거두었다. 그녀의 기록적인 5회 연속 여자 복식 타이틀 중 첫 번째 타이틀은 1967년이었다. 이 기록은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기기 페르난데스 등과 공유되는데, 뒤르처럼 별도의 파트너와 함께 달성했다. 뒤르는 1968년과 1969년 앤 헤이돈 존스와 팀을 이뤄 우승했고 1967년, 1970년, 1971년 게일 셰리프 찬프레오와 함께 우승했다. 1965년 제닌 리프릭과 함께 여자 복식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1973년 베티 스터브와 함께, 1979년 버지니아 웨이드와 함께 여자 복식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뒤르는 1968년, 1971년, 1973년 혼합 복식 우승을 위해 장 클로드 바클레이와 팀을 이루었다. 그들은 1969년, 1970년, 1972년에 준우승했다. 뒤르는 프랑스 오픈에서 총 15개의 결승에 진출하여 9개의 결승전에서 승리하였다.
그녀는 US 오픈에서 두 번의 복식 우승을 했다. 1969년 달린 하드로 여자 복식 우승을, 1972년 스토브에서 우승했다. 뒤르는 1971년 찬프레라우와 1974년 스투브와 함께 이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뒤르는 1969년 데니스 랄스턴과 팀을 이뤄 혼합복식에서 준우승했다.
그녀는 1976년 토니 로슈와 함께 윔블던 혼합 복식 우승을 했다. 1965년 윔블던 여자 복식에서 리프릭과 함께, 1968년 존스와 함께, 1970년 웨이드와 함께, 1972년 주디 테가르트 달튼과 함께, 1973년과 1975년 스투브와 함께 준우승을 차지했다. 게다가 뒤르는 1970년 선수권대회에서 단식 준결승전 진출자였다.
뒤르는 1965년, 1967년, 1969년 세 차례나 호주오픈에 출전했기 때문에 좀처럼 호주선수권대회와 호주오픈에 출전하지 못했다. 1965년과 1967년 단식 8강, 1969년 존스와의 복식 준결승에 올랐다.
뒤르와 베티 스토브는 1979년 WTA 투어 챔피언십에서 수 바커와 앤 키요무라에게 복식 우승을 차지해 결승전에서 7-6, 7-6으로 이겼다. 그녀는 1984년에 마지막으로 프랑스 오픈 여자 복식 경기를 치렀고, 2라운드에 올랐다가 그랜드 슬램 대회에서 은퇴했다.
그녀는 프랑스 페드컵 팀에서 14번 뛰며 31-17의 기록으로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그녀는 27개의 동점을 기록했고, 16 대 8의 싱글 기록과 15 대 9의 복식 기록을 세웠다.
뒤르는 복식에서의 비범한 경력과 프랑스 선수권 단식에서의 우승으로 2003년에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그랜드 슬램 토너먼트 결승전
싱글: 1(1–0)
결과 | 연도 | 챔피언십 | 표면 | 상대 | 점수 |
---|---|---|---|---|---|
이기다 | 1967 | 프랑스 선수권 대회 | 점토 | ![]() | 4–6, 6–3, 6–4 |
복식: 18(7-11)
결과 | 연도 | 챔피언십 | 표면 | 파트너 | 반대자 | 점수 |
---|---|---|---|---|---|---|
손실 | 1965 | 프랑스 선수권 대회 | 점토 | ![]() | ![]() ![]() | 3–6, 1–6 |
손실 | 1965 | 윔블던 | 잔디 | ![]() | ![]() ![]() | 2–6, 5–7 |
이기다 | 1967 | 프랑스 선수권 대회 | 점토 | ![]() | ![]() ![]() | 6–2, 6–2 |
손실 | 1968 | 윔블던 | 잔디 | ![]() | ![]() ![]() | 6–3, 4–6, 5–7 |
이기다 | 1968 | 프렌치 오픈 | 점토 | ![]() | ![]() ![]() | 7–5, 4–6, 6–4 |
이기다 | 1969 | 프렌치 오픈 | 점토 | ![]() | ![]() ![]() | 6–0, 4–6, 7–5 |
이기다 | 1969 | US 오픈 | 잔디 | ![]() | ![]() ![]() | 0–6, 6–3, 6–4 |
이기다 | 1970 | 프렌치 오픈 | 점토 | ![]() | ![]() ![]() | 6–1, 3–6, 6–3 |
손실 | 1970 | 윔블던 | 잔디 | ![]() | ![]() ![]() | 2–6, 3–6 |
이기다 | 1971 | 프렌치 오픈 | 점토 | ![]() | ![]() ![]() | 6–4, 6–1 |
손실 | 1971 | US 오픈 | 잔디 | ![]() | ![]() ![]() | 3–6, 3–6 |
손실 | 1972 | 윔블던 | 잔디 | ![]() | ![]() ![]() | 2–6, 6–4, 3–6 |
이기다 | 1972 | US 오픈 | 잔디 | ![]() | ![]() ![]() | 6–3, 1–6, 6–3 |
손실 | 1973 | 프렌치 오픈 | 점토 | ![]() | ![]() ![]() | 2–6, 3–6 |
손실 | 1973 | 윔블던 | 잔디 | ![]() | ![]() ![]() | 1–6, 6–4, 5–7 |
손실 | 1974 | US 오픈 | 잔디 | ![]() | ![]() ![]() | 6–7, 7–6, 4–6 |
손실 | 1975 | 윔블던 | 잔디 | ![]() | ![]() ![]() | 5–7, 6–1, 5–7 |
손실 | 1979 | 프렌치 오픈 | 점토 | ![]() | ![]() ![]() | 6–2, 5–7, 4–6 |
혼합 복식: 8(4–4)
결과 | 연도 | 챔피언십 | 표면 | 파트너 | 반대자 | 점수 |
---|---|---|---|---|---|---|
이기다 | 1968 | 프렌치 오픈 | 점토 | ![]() | ![]() ![]() | 6–1, 6–4 |
손실 | 1969 | 프렌치 오픈 | 점토 | ![]() | ![]() ![]() | 3–6, 2–6 |
손실 | 1969 | US 오픈 | 잔디 | ![]() | ![]() ![]() | 4–6, 5–7 |
손실 | 1970 | 프렌치 오픈 | 점토 | ![]() | ![]() ![]() | 6–3, 4–6, 2–6 |
이기다 | 1971 | 프렌치 오픈 | 점토 | ![]() | ![]() ![]() | 6–2, 6–4 |
손실 | 1972 | 프렌치 오픈 | 점토 | ![]() | ![]() ![]() | 2–6, 4–6 |
이기다 | 1973 | 프렌치 오픈 | 점토 | ![]() | ![]() ![]() | 6–1, 6–4 |
이기다 | 1976 | 윔블던 | 잔디 | ![]() | ![]() ![]() | 6–3, 2–6, 7–5 |
기타 토너먼트 및 단체전
1959–1970
- 1959년과 1960년 프랑스 주니어 싱글스 챔피언.
- 프랑스 싱글스 챔피언 인 내셔널(폐쇄) 챔피언십, 1962년, 1964년, 1965년, 1966년.
- 프랑스 여자 국가 챔피언은 1961년부터 1970년 사이에 8차례나 다양한 파트너와 함께 두 번 우승한다.
- 프랑스 내셔널 챔피언은 1964년부터 1970년까지 혼합 복식에서 5차례 우승했으며, 주로 장 클로드 바클레이가 파트너를 맡았다.
- 1963년 윔블던 레이디스 플레이트 우승자.
- 1965년 남아공(동부 런던) 싱글 챔피언, 1965년 다른 단식 우승은 네덜란드 오픈, 이스탄불 터키, 생모리츠, 스위스 오픈, 카라카스, 콜롬비아, 몬테카를로였다.
- 뒤르는 퀸즈 클럽 런던에서 열린 1966년 브리티시 그래스 코트 챔피언십 결승전에서 주디 테가트를 꺾고 우승했다. 1966년 다른 단식 우승은 네덜란드 오픈(방어), 스위스 오픈(방어), 서부 오스트레일리아의 퍼스였다.
- 독일 오픈 단식 챔피언, 1967년; 1967년의 다른 단식 우승은 태평양 남서쪽, 키츠베에헬, 캔버라, 뉴질랜드 오픈, 킹스턴, 비스타드였다.
- 스위스 오픈 단식 챔피언, 1969.
- 이탈리아 오픈은 1969년 앤 존스와 함께 2관왕에 올랐다.
- 1969년 퍼시픽 사우스웨스트 더블스 챔피언십에서 앤 존스와 함께 결승전에서 킹과 캐살에게 6–8, 8–6, 11–9로 패했다.
- 이탈리아 오픈은 버지니아 웨이드 1970, 킹과 카살스, 6–2, 3–6, 9–7로 결승전에서 패한 두 배다.
- 1970년 그스타드에서 열린 스위스 오픈 결승전에서 로즈마리 카살스에게 6–2, 5–7, 6–2로 패했다.
- 그스타드 1970에서 로즈마리 카살스와 함께 복식 챔피언으로, 헬가 니에센과 베티 스토브를 6-2, 6-2로 물리쳤다.
- 1970년 런던 알버트 홀에서 열린 영국 실내 단식 챔피언.
1971–1979
- 1971년 캐나다 마스터스에서 윔블던과 프랑스 오픈 챔피언 에본 골라공과의 단식 우승자.
- 뒤르와 카살스는 골라공과 보우레이를 6-3, 6-3으로 꺾고 1971년 캐나다 오픈 복식 선수권대회에서 우승했다.
- 플로리다 포트 로더데일에서 열린 1971년 미국 클레이 코트 국제 테니스 선수권대회에서 빌리 진 킹에게 6–3, 3–6, 6–3으로 승리.
- 그스타드에서 열린 1971 스위스 오픈(스위스 오픈 4회 우승 중 마지막 우승)에서 레슬리 헌트를 6-3, 6-3으로 꺾은 우승자.
- 1971년 크라이스트처치에서 열린 벤슨과 헤지스 뉴질랜드 국제 잔디 코트 챔피언십에서 빌리 진 킹에 6-3, 6-0으로 승리.
- 일리노이주 시카고 레이크 블러프에서 열린 1971 클레이 코트 국제 챔피언십에서 빌리 진 킹에게 6-4, 6-2로 승리.
- 런던 웸블리에서 열린 1971년 영국 대사관 실내 선수권 대회에서 결승 진출자 빌리 진 킹에게 6–1, 5–7, 7–5로 패했다.
- 1971년 필라델피아 실내 싱글스 챔피언십에서 결승 진출자 로즈마리 캐살스에게 6-2, 3-6, 6-2로 패했다.
- 1972년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에서 열린 미국 실내 선수권대회에서 결승 진출자 버지니아 웨이드에게 6-3, 7-5로 패했다.
- 1972년 Longbeach CA Singles Championship에서 결승전 진출자 6–2, 6–7, 6–3으로 로즈마리 캐살스에게 졌다.
- 1972년 버지니아 슬림스 콜럼버스 오하이오 싱글스 챔피언십에서 로즈마리 캐살스에게 6–7, 7–6, 6–0으로 패했다.
- 1973년 휴스턴 버지니아 슬림스 챔피언십에서 로즈마리 캐살스를 상대로 6-4, 1-6, 6-4로 승리.
- 1974년 월드 팀 테니스 챔피언 [2]덴버 라켓의 멤버
- 1975년 스톡홀름에서 열린 스웨덴 오픈 결승전에서 버지니아 웨이드에게 6–3, 4–6, 7–5로 패했다.
- 뒤르와 스토브는 웨이드와 골라궁을 6-3, 6-4로 꺾고 1975년 스웨덴 오픈 복식 선수권대회에서 우승했다.
- 뒤르와 카살스는 에버트와 나브라틸로바를 꺾고 1976년 휴스턴 복식 챔피언십 버지니아 슬림스에서 우승했다.
- 뒤르와 카살스는 웨이드와 스토브를 6-0, 6-4로 꺾고 애틀랜타에서 열린 1976년 미국 실내복식선수권대회에서 우승했다.
- 1976년 콜게이트 퍼시픽 싱글스 챔피언십 팜 스프링스에서 크리스 에버트를 상대로 결승전에서 패했다. 준결승에서 그녀는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당시 세계 랭킹 2위)를 6–1, 6–1로 이겼고, 4개월 전 윔블던에서 뒤르는 경기 포인트를 보유하고 있던 단식 4라운드에서 나브라틸로바에게 졌다.
- 뒤르와 웨이드는 팜 스프링스에서 열린 1977년 콜게이트 시리즈 챔피언십 복식에서 헬렌 굴리와 조앤 러셀을 결승전에서 6-1, 4–6, 6–4로 물리치고 우승했다.
- 뒤르와 웨이드는 캐살스와 에버트가 1977년 패밀리 서클 힐튼헤드 복식에서 각각 1-6, 6-2, 6–3으로 우승했다.
- 뒤르와 나브라틸로바는 1977년 시애틀 복식의 버지니아 슬림스에서 캐살스와 에버트가 각각 6-4, 3–6, 6–3으로 우승했다.
- 1978년 헐리우드 복식의 버지니아 슬림스에서 버지니아 웨이드와 결승전에서 패한 카살스와 턴불은 6-2, 6–4로 이겼다.
- 뒤르는 1978년 몬트리올에서 열린 월드 테니스 클래식 결승전에서 캐롤라인 스톨에게 6-3, 6-2로 졌다.
- 뒤르와 스토브는 1979년 뉴욕에서 열린 에이본 마스터스에서 바커와 키요무라에게 7-6, 7-6으로 이겼다.
- 뒤르와 스토브는 1979년 브리지스톤 세계복식선수권대회에서 바커와 키요무라를 7-5, 7-6으로 꺾고 우승했다.
- 뒤르와 스토브는 1979년 WTA 연말 복식 챔피언이었다.
뒤르는 다양한 파트너들과 함께 선수 생활에서 60개 이상의 주요 복식 타이틀을 따냈고 더 많은 결승전과 준결승에 진출했다. 그녀는 20년이 넘는 경력 동안 많은 메이저 단식 결승전과 준결승에 출전했다. 그녀는 거의 그 시간 내내 프랑스 1위였다. 뒤르는 1963-1967년, 1970년, 1972년, 1977-1979년 프랑스 페드컵 팀의 필수 멤버였다. 그녀의 통산 전적은 단식 16 대 8 그리고 복식 15 대 9였다.
뒤르는 버지니아 슬림스 투어 (1978년)에서 100개의 이벤트를 한 최초의 여성이었다. 뒤르, 앤 존스, 빌리 진 킹, 로즈마리 카살스는 1968년 열린 시대의 시작에 프로 계약을 맺고 그들만의 투어를 조직한 최초의 여성이었다. 뒤르는 1974년부터 1978년까지 월드 팀 테니스 서킷에서 꾸준히 뛰었다.
투어 은퇴 후 경력 및 수상
1993년 뒤르는 프랑스테니스연맹(FFT)의 최초의 여자테니스 기술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그녀는 1993년부터 1996년까지 프랑스 페드컵 팀의 주장이었고, 그들이 대회에서 우승한 1997년에는 야닉 노아와 함께 팀의 공동 주장이었다. 그녀는 2002년 2월에 FFT에서 은퇴했다.
여자프로테니스 창단과 발전, 지도에 기여한 공로로 1988년 WTA투어 명예회원상을 받았다. 2003년에 뒤르는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그녀는 국제 테니스 연맹과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이 공동으로 수여하는 2005년 Fed Cup Award of Excellence를 받았다. 2010년 4월 프랑수아즈 뒤르에게 스포츠와 여성의 스포츠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프랑스 국가적인 영예가 수여되었다. 그녀는 국가훈장 훈장과 국가유공자 칭호를 받았다.[3]
사생활
프랑수아즈 뒤르는 1984년 롤랑 가로스에서 마지막 공식 경기를 치렀다. 그녀는 1975년에 미국의 라디오 경영자인 보이드 브라우닝과 결혼했고, 후에 미국으로 이주하여 10년 동안 머물렀다. 그녀의 아들 니콜라스는 1980년에 태어났고, 딸 제시카는 1985년에 태어났다. 1992년, 그녀는 파리 근처에 살기 위해 돌아왔다.[4]
그랜드 슬램 성능 타임라인
W | F | SF | QF | #R | RR | Q# | DNQ | A | NH |
싱글스
토너먼트 |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W-L | |
---|---|---|---|---|---|---|---|---|---|---|---|---|---|---|---|---|---|---|---|---|---|---|
호주. | A | A | A | A | A | QF | A | QF | A | 2R | A | A | A | A | A | A | A | A | A | A | A | 6–3 |
프랑스. | 3R | 3R | 4R | 4R | 2R | QF | QF | W | 4R | 3R | 3R | QF | SF | SF | A | A | A | A | A | 1R | 40–15 | |
윔블던 | A | A | A | 2R | 2R | 4R | QF | 3R | QF | 2R | SF | QF | QF | 4R | 3R | 2R | 4R | 3R | 3R | 2R | 35–17 | |
미국 선수권 대회 | A | A | 3R | A | 3R | QF | QF | SF | 3R | 3R | QF | 3R | 3R | 1R | 2R | 2R | 4R | 1R | A | 1R | 28–16 |
주: 호주 오픈은 1977년 1월과 12월에 두 번 열렸다.
복식
토너먼트 |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W-L | |
---|---|---|---|---|---|---|---|---|---|---|---|---|---|---|---|---|---|---|---|---|---|---|---|---|---|---|---|
호주. | A | A | A | A | A | QF | A | QF | A | SF | A | A | A | A | A | A | A | A | A | A | A | A | A | A | A | A | 5–3 |
프랑스. | 2R | 2R | QF | QF | 1R | F | QF | W | W | W | W | W | SF | F | A | A | A | A | A | F | 1R | 2R | A | A | 2R | 43–12 | |
윔블던 | A | A | A | 1R | 2R | F | 1R | QF | F | 3R | F | SF | F | F | QF | F | QF | SF | SF | SF | A | A | A | A | A | 51–17 | |
미국 선수권 대회 | A | A | A | A | A | A | SF | A | SF | W | SF | F | W | QF | F | SF | QF | QF | SF | 1R | A | A | A | A | A | 39–11 |
주: 호주 오픈은 1977년 1월과 12월에 두 번 열렸다.
남녀 혼합 복식
토너먼트 |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1980 | W-L |
---|---|---|---|---|---|---|---|---|---|---|---|---|---|---|---|---|---|---|---|---|---|---|
호주. | A | A | A | A | A | QF | A | SF | A | 1R | NH | NH | NH | NH | NH | NH | NH | NH | NH | NH | NH | 4–3 |
프랑스. | 3R | 1R | 2R | 1R | A | SF | QF | 2R | W | F | F | W | F | W | A | A | A | A | A | QF | QF | 40–10 |
윔블던 | A | A | A | 1R | 4R | QF | SF | 3R | 2R | 1R | 2R | 2R | 3R | 4R | SF | 3R | W | 3R | SF | 2R | A | 29–16 |
미국 선수권 대회 | A | A | A | A | A | QF | 2R | A | A | F | SF | 2R | 3R | QF | A | 2R | QF | 1R | QF | QF | A | 20–10 |
참고: 1970년부터 1986년까지 호주 오픈에서 혼성 두플스 토너먼트는 개최되지 않았다.
참고 항목
참조
- ^ Collins, Bud (2008). The Bud Collins History of Tennis: an authoritative encyclopedia and record book. New York, N.Y: New Chapter Press. pp. 695, 703–04. ISBN 978-0-942257-41-0.
- ^ "Mylan WTT Player Database (seasons completed) - as of September 25, 2014 - (Seasons 1974-2014)" (PDF). World TeamTennis. 25 September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7 February 2015. Retrieved 21 April 2015.
- ^ 데크렛 뒤 13 novmbre 2009
- ^ Culley, Jon (24 May 1994). "Where are they now?: Francoise Durr". London: Independent, The. Retrieved 21 February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