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조예
George Joye조지 조예 | |
---|---|
태어난 | c. 1495 |
죽은 | 1553 |
모교 | 케임브리지 주 크리스트스 칼리지 |
로 알려져 있다. | 바이블 번역 |
조지 조예(Jeorge Joye, 또한 Joye) (1495년 ~ 1553년)는 구약성서의 여러 권의 책을 영어로 최초로 인쇄한 (1530–1534년)과 최초의 영문 프라이머 (1529년)를 제작한 16세기 성경 번역가였다.
그의 인생
교육
그는 1495년경 영국 베드퍼드셔 주, 렌홀드의 살포 베리(Salpho Burry)에서 태어났다. 그는 케임브리지의 크라이스트 칼리지에서 공부했고 그곳에서 예술 학사(1513년 또는 1514년)를 졸업했다.[1] 1515년에 그는 사제 서품을 받았다.[2] 1517년 그는 미술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피터하우스의 동료로 선출되어 "아르테의 수용자"[3]가 되었다. 1525년 조예는 신학 학사학위를 받았다. 케임브리지에 있는 동안, 그는 후에 개신교 종교개혁의 저명한 인물이 된 여러 사람들과 접촉했다. 그들의 영향으로 조예도 루터의 사상을 받아들였다.[4] 1526년, 대학 구내를 수색하고 요하네스 오콜람파디우스의 번역서에 있는 창세기서에 관한 크리소스톰의 진기한 설교본의 복사본이 발견되었을 때, 스테판 가디너의 중개로 당국으로부터 조예는 구했으나, 이듬해(1527년)에는 운이 덜했다. 뉴햄 프리오리의 아우구스티누스 출신의 존 애쉬웰이 링컨의 주교인 존 롱랜드의 이단자, 옥스포드 수상이자 헨리 8세의 고백자인 그를 비난했을 때, 조예는 토마스 빌니, 토마스 아서와 함께 웨스트민스터의 월시 추기경 앞에 소환되었다.[5] 조예는 추기경에게 받으려고 월시의 무술집에서 며칠을 기다렸다가 빌니와 아서의 심문을 목격하게 되어 대륙으로 도망치는 것이 더 안전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앤트워프 첫 망명
때로는 스트라스부르에 먼저 갔다고 생각되기도 하지만,[6] 늦어도 1529년에는 다른 많은 영국 개신교 신자들이 피난한 앤트워프(예: 윌리엄 틴데일, 토마스 히튼, 로버트 반스, 윌리엄 로예, 마일스 커버데일)로 옮겨갔을 것이다. 커버데일과 마찬가지로 조예도 아마 인쇄업에도 교정자, 번역가, 종교서적의 저자로 고용되었을 것이다.
그의 첫 번째, 지금은 없어진 출판물은 영어로 출판된 최초의 개신교 신자 전도서인 프라이머였다.[7] 동시대적인 설명을 토대로 보면, 아마도 7개의 참회적 시편인 '마텐스와 은송'을 표창(시편 119)과 함께 번역한 것이 들어 있을 것이다.[8] 이 책은 토마스 모어로부터 성도들의 리타니, 성모 마리아에게 찬송가와 안음을 생략하고 만가당을 비난받았다.[9]
30편 정도의 시편을 수록한 그의 프라이머가 출판된 후, 조예는 1530년에 등장한 시편집의 나머지 부분을 번역하기 시작했다. 조예는 마틴 부서의 최근 라틴어로 번역된 히브리어 원문을 사용했는데, 이 원문은 아레티우스 펠리누스라는 필명으로 출판되었다. 같은 해에 조예는 오르톨루스 애니매라는 제목을 가진 그의 초기 입문서의 개정판을 제작했다. 소울의 정원.
1531년 조예의 이사야서 번역본이 등장하였는데, 틴데일의 요나서 번역본에 대한 쌍둥이 책으로 의도된 것으로 보인다.[10] 1531년 조예는 1527년 애쉬웰에 의해 자신에게 불리하게 된 이단죄의 혐의에 대항하는 방어를 발표하기도 했다.
1532년 그는 결혼했다.[11] 버터워스와 체스터는 조예가 1533년 앤트워프에서 속담책과 에클레시아스테스의 번역본을 출판했고, 그 중 후에야 런던의 재인쇄물들이 살아남았다고 제안한다.[12] 현재 조예는 일찍이 틴데일에게 귀속되었던 <주군의 수퍼>라는 익명으로 출판된 논문의 저자인 것으로도 생각된다.[13] 이 글에서 조예는 즈윙글리의 입장을 바탕으로 성찬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설명했다.
조예가 예레미야 서, 한탄 서, 시편을 새로 번역한 것이 그 뒤를 이었다(이번에 스윙리의 라틴어 시편에서 라틴어 시편과 번역도 구약성서의 다른 책들을 조예가 번역한 출처 텍스트로 작용했다). 이 모든 번역본은 영어로 인쇄된 최초의 책이다.
1534년 조예는 반 루레문트 가문의 플랑드르 인쇄회사에 의해 영어권 교정자가 없이 세 번이나 다시 인쇄된 틴데일의 신약성서판 교정을 맡았다. 그러나 조예는 인쇄상의 오류를 바로잡았을 뿐만 아니라, 틴데일의 본문에서 발견된 바와 같이 20여 건의 발생에서 「이후의 리페」와 같은 표현으로 「리서레시온」이라는 용어를 바꾸었다.[14] 조예는 나중에 설명했듯이 그 장소들에서 성경에 나오는 본래의 용어는 육체적 부활이 아니라 영혼의 중간 상태를 가리킨다고 믿었다.[15] 동시에, 조예는 틴데일의 원래 공식은 150여개의 다른 단어에서 유지되었는데, 여기서 그는 틴데일과 이 용어가 육체적 부활을 의미한다고 동의하였다.[16] 틴데일은 1534년 11월 자신의 신약성서의 수정본을 꺼내어 조예와 그의 편집 작업을 공격하는 두 번째 서문을 삽입했다. 틴데일은 조예가 신체의 부활을 부정하고 개신교인들 사이에 분열을 일으킨 이단 행위를 조장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결론에 이르지 못한 당사자 화해 시도 끝에 조예는 1535년 2월 틴데일의 혐의를 반박하는 사과문을 발표하였다.
영국으로 돌아가라 앤트워프에서 두 번째 망명, 영국에서의 마지막 해
1535년 4월 틴데일은 헨리 필립스에게 배신당했는데, 이 역시 조예와 로버트 반스를 체포하고 싶었지만 조예는 탈출하여 칼레스를 통해 영국으로 돌아왔다. 1년 전 앤트워프에서 발행된 라틴어 팸플릿의 영문 번역본 출판물(1535년)을 제외하면 그의 영국 생활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같은 무렵 커버데일이 대륙으로 다시 피난처를 찾았을 때, 조예 역시 안트워프에게로 도망쳤다. 두 번째 망명 기간 동안, 그는 스티븐 가디너에 대한 성직자의 결혼권을 옹호하는 다양한 주제에 대한 사과 작품을 출판했다.[17] 여러 작품에서 그는 그리스도의 참된 교회가 항상 박해받았다고 강조한다. 조예는 동시대 사람들처럼 종말론적인 시대에 살고 있으며 그리스도의 귀환도 멀지 않은 곳에 있다고 확신하고 있었다. 헨리의 죽음(1547년) 후, 조예는 영국으로 돌아왔다. 1548년 5월 안드레아스 오시안데르(Andreas Osiander)가 1585~1625년 사이에 세상의 종말을 예언한 세계 종말의 추측에 관한 책을 번역하여 출간하였다. 1549년, 조예는 존 폭스와 함께 간병인들의 우선적인 처벌에 대한 문제를 토론했다. 1549년 9월, 조예는 플리턴의 헨리 그레이 경으로부터 베드퍼드셔 블룬햄의 직장을 받았고, 1550년에는 허트퍼드셔 애쉬웰의 렉터로 임명되었다. 조지 조예는 1553년에 죽었다.
레거시
영어 성경 |
---|
|
![]() |
조예의 시편, 이사야, 잠언, 에클레시아스, 예레미야, 한탄의 번역본은 이 성경책들을 처음으로 출판한 영어 간행물이었다. 그의 시편과 입문서는 반복적으로 재출판되었고, 성공회 공동기도서와 민간 개신교 헌신에 영향을 주었다. 그의 성서 번역은 마일스 커버데일(커버데일 성경용)과 다른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Some of Joye's wordings were kept or reintroduced in later versions (e.g. "sauing helthe" (Psalms 67:2), "backslide" (Jeremiah 3:6,12,14,22), "a mess of pottage" (Proverbs 15:17), or the proverb "Pryde goth before a fall/ and a fall foloweth a proude mynde" (Proverbs 16:18). It was also Joye's translation of Psalms 91:5 in his first Psalter ("Thou shalt not nede to be afrayde of nyght bugges", where "bugges" refers to bogies or evils spirits), which was copied by Coverdale (1535) and by John Rogers in the Matthew Bible (1537), and which was retained even in the Great Bible (1539). 이 표현에 기초하여 이 성경들을 때때로 "버지 성경"이라고 부른다.[18]
작동하다
- (잃어버린 프라이머)(Antwerp?, 1529).
- 오르툴루스 애니메이션. 소울의 정원: 또는 아르헨티나의 영어 프라이머: 프란시스 폭스(Vere Antwerp: Merten de Keyser), 1530년.
- 예언자 이사예, 스트라스츠부르크: 발타사르 베켄트 (Vere Antwerp: Merten de Keyser), 1531년 5월 10일.
- 뉴햄 사원의 IOHAN ASHWELL 프리우어가 베드포드/를 몰래 우리 영주 M.D.xvij의 /에 보낸 편지. sayde prior에서는 조지 조예가 케임브리지의 Peter 대학의 felawe가 되고 있다고 비난한다./ 우쭐한 의견의 답변으로 조지 vn은 1531년 6월 10일 Straszburg (Vere Antwerp: Merten de Keyser)이다.
- 여호와의 수페르: wher vnto, 네가 더 잘 준비되고 더 잘 꾸며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 먼저 S. 요한의 6.6 ca.의 후반부의 선언이 있고, C. 십자가 앞에 있는 포워스 리네에서 시작하여, 이 단어에서: 그저 그랬을 뿐이다. &c wheryn. 모리스 문자 agenst Johan Frythe는 혼동되었고, Nornburg: Niclas twonson (Vere Antwerp), 1533년 4월 5일.
- 모리스의 거짓 발견: 그가 그의 샤멜리스 쇼리스와/ 팝피슈를 vnderpropece: 조지 이오이에 의해 만들어짐: 제이콥 오릭 (Vere Antwerp: Catharine van Ruremund), 1534년.
- 이레미 더 예언자/ Englisshe: George Ioye: 케임브리지의 피터 칼리지의 일부 티미 펠로 번역되었다. 모세의 노래는 로마의 비숍 파라오(Catharine van Ruremund), 안노(Anno. M.D., .xxxiiii)의 몰락을 위해 우리의 주님을 모세에게 더하기 위해 노력한다. 오월 초순에
- Dauids Psalter/ George Ioye에 의해 부지런하고 충실하게 번역된/ euery Psalme에 앞서 간단한 주장으로/ therrof 효과를 선언하는 것, [Antwerp]: 마티네 엠페로르(=Merten de Keyser), 1534년.
- George Ioye가 만족을 위해 만든 An Ampelyye w. 틴데일: 자신을 방어하고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서, 피스틀에서 너무 많은 쓰레기 더미들이 티날스에서 그에게 뿌려졌다. 그래서 독자가 부지런히 교정되고 인쇄된 신약성서를 이해하도록 유도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Number, (Antwerp?), 1535년 2월 27일.
- 바로 그 그리스도교의 성서인 소므: 성경을 교묘하게 빠져 나왔다. 구약과 신약성서를 다시 꾸미는 모든 이들에게 필요했다[...] 우리 주군의 예인 조지 이오예가 번역했다. M.D. xxxv. 런던 셉템브레에서: 1535년 존 바이델.
- A frutefull treatis of Baptyme and the Lordis Souper/ of the vse and effect of them/ of the worthey and vnworthy receyuers of the Souper/ necessary to be knowne of all Christen men/ which yerely receyue the Sacrament, Grunning (vere Antwerp: Catharine van Ruremund), 27 April 1541.
- 매우 경건한 방어./ 프레이스테스의 마리화나를 방어하는 것으로 가득 찬// 필립 멜랑크톤에 의해/&&앤 vnnond/헨리 aight/traw[n]를 latyne에서 englisshe로 보냈다// Lorde.M.의 예인 Lewes beuchame에 의해.CCCCC.XLI, 오거스트, 립스: 우브릭 호프(Vere Antwerp: Catharine van Ruremund).
- 프레이스테스의 마리게의 수비: agenst Steuen Gardiner, Iames Sawtry (vere Antwerp: Catharine van Ruremund), 1541년 8월.
- 예언자 다니엘의 증언은 필립 멜랑크톤/요한 에콜람파디우스/콘레이드 펠리케인 & 요한 드라코나이트에서 나왔다. &c. 조지 조예. 이 마지막 날들, Genue: G.J. (Vere Antwerp, Catharine van Ruremund), 1545년에 알 엠프로이스와 왕들에게 주목받기 위한 예언.
- Certayne manis에 대한 반대 의견: 그 '어르신들'은 처벌받아야 한다. 반대에 대한 그의 논거의 해답을 가지고, (런던:) 1549년 조지 조예.
메모들
- ^ "Joye, Gee, George (J513G)". A Cambridge Alumni Database. University of Cambridge.
- ^ 찰스 C. 버터워스 & 앨런 G. 체스터, 조지 조예 (1495년?-1553). 영어성경과 영어개혁사 제1장 필라델피아: 펜실베니아 대학교 출판부, 1962년, 페이지 17.
- ^ 찰스 C. 버터워스 & 앨런 G. 체스터, 조지 조예 (1495년?-1553). 영어성경과 영어개혁사 제1장 필라델피아: 펜실베니아 대학교 출판부, 1962년, 페이지 19.
- ^ 찰스 C. 버터워스 & 앨런 G. 체스터, 조지 조예 (1495년?-1553). 영어성경과 영어개혁사 제1장 필라델피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출판부, 1962 페이지 23–31.
- ^ 존 F. 데이비스, The Trials of Thomas Bylney and English Reformation, The History Journal 24(1981), 페이지 775–790.
- ^ 찰스 C. 버터워스 & 앨런 G. 체스터, 조지 조예 (1495년?-1553). 영어성경과 영어개혁사 제1장 필라델피아: 펜실베니아 대학교 출판부, 1962 페이지 47–50.
- ^ 찰스 C. 버터워스, 영국 프라이머스 (1529–1545). 영국 필라델피아(PA)의 영국 성경과 종교개혁과의 출판 및 연결: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출판부, 1953년, 페이지 2
- ^ 찰스 C. 버터워스, 영국 프라이머스 (1529–1545). 영국 필라델피아(PA)의 영국 성경과 종교개혁과의 출판 및 연결: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출판부, 1953년, 페이지 1-10.
- ^ 토마스 모어, 틴달레스 앤스위어의 콘푸타시온, 시그. Bb2
- ^ 폴 아르블라스터, 게를리 후하스, 귀도 라트레(eds) 틴데일의 성서, 브레폴스 2002, ISBN 2-503-51411-1, 페이지 138–139.
- ^ "George Iay the Preste, yt는 이제 결혼했다."(Thomas More, Tyndales answere의 Confutacyon, sig) Bb2r. (CWTM VIII, 페이지 11).
- ^ 찰스 C. 버터워스 & 앨런 G. 체스터, 조지 조예 (1495년?-1553). 영어성경과 영어개혁사 제1장 필라델피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출판부, 1962 페이지 135–143.
- ^ 올라이스 오설리반, The Japan of the Japan, The Authority of the Reformation 2 (1997), 페이지 207–232.
- ^ Gergely Juhashz, 페이지 1-47에서 "William Tyndale과 George Joeye (1534–1535)의 토론에서 일부 무시된 측면들"이라고 말했다.
- ^ 폴 아르블라스터, 게를리 후하스, 귀도 라트레(eds) 틴데일의 성서, 브레폴스 2002, ISBN 2-503-51411-1, 페이지 159–161.
- ^ 게를리 후하스 "번역하는 부활" 틴데일에 대한 사두개인의 믿음의 중요성"조예 논쟁", 라이문드 바이링거, 베로니카 코퍼스키 & 비앙카 라테어 (에드), 신약성서의 부활, FS 잔 람브레흐트 (Biblioteca Ephemeridum Therologicarum Lovaniensium 165) Leuven: University Press – Peeters, 2002, 페이지 107–121.
- ^ Helen L. PRYGHY, 성직자 결혼과 영국 종교개혁. 선행 정책 및 실행(Standrews), 알더쇼트, 벌링턴, 싱가포르 및 시드니: 애쉬게이트, 2000, 페이지 58.
- ^ 찰스 C. 버터워스 & 앨런 G. 체스터, 조지 조예 (1495년?-1553). 영어성경과 영어개혁사 제1장 필라델피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출판부, 1962 페이지 139–142; 페이지 145. n. 25. 제럴드 HOBBS "마틴 부서와 시편들의 영어: 초기 영국 개신교 신앙의 예배에서의 유사성" 마틴 부서. 케임브리지의 교회와 지역사회를 개혁하는 중: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994 페이지 169–170.)
추가 참조사항
- 게를리 후하스 "번역하는 부활" 틴데일에 대한 사두개인의 믿음의 중요성"조예 논쟁", 라이문드 바이링거, 베로니카 코퍼스키 & 비앙카 라테어 (에드), 신약성서의 부활, FS 잔 람브레흐트 (Biblioteca Ephemeridum Therologicarum Lovaniensium 165) Leuven: University Press – Peeters, 2002, 페이지 107–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