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와 술탄국
Sultanate of Gowa고와 술탄국 | |||||||||||
---|---|---|---|---|---|---|---|---|---|---|---|
14세기-1920년 | |||||||||||
깃발 | |||||||||||
![]() | |||||||||||
자본의 | 타말레이트 (1320–1548) 솜바 오푸 (1548–1670) 종가야 (1895–1906) 숭구미나사 (계속-현재) | ||||||||||
공용어 | 마카사레스 | ||||||||||
종교 | 수니파 이슬람교 | ||||||||||
정부 | 군주제 | ||||||||||
술탄 | |||||||||||
• 1300 | 투마누룽 | ||||||||||
• 1653-1669 | 술탄 하사누딘 | ||||||||||
• 1946-1957 | 술탄 아이두딘 | ||||||||||
2021-현재 | 술탄 말리쿠스는 2세, 안디 쿠말라 이조를 말했습니다. | ||||||||||
역사 | |||||||||||
설립된 | 14세기 | ||||||||||
술탄국 해체 | 1957 | ||||||||||
통화 | 금화와 구리 동전이 유통에 사용되었고, 물물교환 시스템이 사용되었습니다. | ||||||||||
| |||||||||||
오늘의 일부는 | 인도네시아 (Gowa Regency로 지정) |

인도네시아의 역사 |
---|
![]() |
타임라인 |
![]() |
고와 술탄국()은 인도네시아 역사상 가장 위대한 왕국 중 하나이며 남술라웨시 지역에서 가장 성공적인 왕국이었습니다.이 왕국의 사람들은 술라웨시 남부의 남쪽 끝과 서쪽 해안에 살았던 마카사르 부족 출신입니다.
역사
왕국이 세워지기 전에, 그 지역은 마카사르라고 불렸고, 그 지역 사람들은 마카사르 [1]지파인 수쿠 마카사르라고 불렸습니다.왕국의 역사는 두 시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슬람 이전의 왕국과 이슬람 이후의 술탄국.
이슬람 이전의 왕국
서사시 나가라크레타가마에 따르면, 마자파힛의 라자사나가라 왕을 찬양하기 위해, 1365년 마카사르를 왕국의 지류 중 하나로 [2]열거합니다.
고와의 첫 여왕은 토마누룽 [1]베인이었습니다.왕국이 세워진 정확한 시기와 첫 번째 여왕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오직 6대 왕 토나탕카 코피의 통치 기간 동안에만 현지 자료에 따르면 왕국이 두 명의 코피의 아들이 이끄는 두 개의 새로운 왕국으로 분할되었다고 합니다: 바타라 고와가 이끄는 고와 왕국이 팩세르크 지역을 커버하는 7번째 왕이 되는 것입니다.앙, 파탈라상, 본토마나이 일라우, 본토마나이 이라야, 톰볼로, 망가사, 그리고 다른 아들 카라엥 로에로는 사우마타, 판남푸, 몽콩 로에,[1] 그리고 파랑 로에를 포함하는 탈로라는 새로운 왕국을 이끌었습니다.
탈로 왕국이 패배할 때까지 몇 년 동안 두 왕국은 전쟁에 관여했습니다.고와 10세의 왕, I Manriwagau Daeng Bonto Karaeng Lakiung Tunipalangga Ulaweng (1512-1546)의 통치 기간 동안, 두 왕국은 Rua Karengse'reaat (Makassarese의 이중 왕, 단일 민족)이라는 계약 하에 쌍둥이 왕국으로 통일되었고 구속력 있는 [1]조약으로 시행되었습니다.그 이후로, 누군가 탈로의 왕이 되면, 그는 또한 고와의 왕이 됩니다.많은 역사가들은 단순히 이 고와-탈로 쌍둥이 왕국을 마카사르 또는 그냥 [1]고와라고 부릅니다.

이슬람 술탄국

남술라웨시의 이슬람교의 흔적은 1320년대부터 남아 술라웨시에 최초의 세이이드, 즉 왈리 [3]송고의 할아버지인 사이드 자말루딘 알 아크바르 알 후사이니가 도착하면서 존재했습니다.
왕국이 이슬람으로 개종한 것은 1605년 9월 22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탈로-고와 왕국의 14번째 왕인 카라엥 마토와야 투마나가 리 아가만나가 [4]이슬람으로 개종한 것이고, 나중에 그의 이름을 술탄 알라우딘으로 바꾼 것입니다.그는 1591년부터 1629년까지 왕국을 통치했습니다.그의 이슬람 개종은 미낭카바우에서 온 세 명의 울라마, 다툭 리 반당, 다툭 리 티로, 다툭 리 파트티망의 [5]도착과 관련이 있습니다.
1630년부터 20세기 초까지, 고와의 정치 지도자들과 이슬람 성직자들은 모두 [4]귀족 계급에서 모집되었습니다.1607년부터 마카사르의 술탄들은 모든 외국 [2]상인들을 환영하는 정책을 세웠습니다.1613년, 마카사르에 영국 공장이 세워졌습니다.이것이 마카사르에 [2]대한 영국-네덜란드의 적대 행위의 시작이었습니다.
왕국의 가장 유명한 술탄은 술탄 하사누딘으로, 그는 1666년부터 1669년까지 부기스 왕조의 본 왕국의 왕자 아룽 팔라카의 [6]도움을 받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에 대항하여 마카사르 전쟁으로 알려진 전쟁을 시작했습니다.
이슬람 전쟁
고와 술탄국의 이슬람 후원은 이웃 왕국들이 이슬람을 받아들이도록 장려하도록 만들었지만, 그들은 이 제안을 거절했습니다.1611년에 술탄국은 지역적으로 "이슬람 전쟁"이라고 불리는 일련의 전쟁을 시작했고, 그 결과 경쟁자인 본을 포함한 술라웨시 남서부의 모든 지역이 정복되고 이슬람화되었습니다.전쟁은 후에 1618년에 침략당한 숨바와까지 확장되었고 [7]통치자들은 이슬람으로 개종하도록 강요되었습니다.통치자들의 종교적 열정은 그들이 정복을 정당한 종교적 [8][9]행위로 보았기 때문에 그 캠페인의 중요한 요소였습니다.하지만, 고와는 또한 17세기 [10][11][9]동안 급속한 정치적 성장을 경험하면서 고와의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을 확장하기를 원했습니다.그것은 정치적 [11]통제를 위한 지역 국가들 간의 역사적 경쟁의 다음 단계였습니다.
인도네시아의 역사학자인 Daeng Patunru에 따르면 부기스 왕국의 경우, 처음에 고와의 통치자가 고와의 권위와 [12]영향권을 약화시키는 그들의 증가하는 정치적 힘 때문에 고와를 정복했다고 합니다.다른 학자들은 부기스와의 분쟁이 원래 고와와 부기스 왕국이 다른 나라들과 공유하고 설득해야 한다는 오래된 조약의 지지로 인해 시작되었다고 주장합니다. 이 경우 고와가 [13]이슬람교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슬람교와 그 군사력을 고려하기 위한 인근 국가들의 고와에 대한 다양한 저항 수준이 패배한 국가와 사회적 계층적 친족 [8][11]관계에 기반을 둔 고와의 관계를 결정했습니다.이것은 제국 [8][14]내에서 종속적이거나 노예가 된 지위를 가진 엄격한 속국과 패배한 통치자와 인구를 포함했습니다.더 강력한 국가와 관련하여 계층적 관계와 종속적인 위치의 이 체계는 이슬람 [8]이전의 지역에 고대의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이 고대 전통에 추가된 한 가지 차이점은 패배한 통치자가 [11]고와에 대한 복종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하는 샤하다를 주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패배한 주 주민들은 일반적으로 [14]개종하도록 강요받지 않았습니다.
정복 후, 고와는 패배한 왕국들 내에서 종교적인 개종 정책을 추구했는데, 여기에는 대중들 사이에서 종교를 가르치고 이슬람 [14]제도를 설립하기 위해 자바 선교사들을 보내는 것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술탄국 해체
1673년부터 로테르담 요새 주변 지역은 현재 마카사르로 [15]알려진 도시로 성장했습니다.1904년부터 네덜란드 식민지 정부는 남술라웨시 원정에 참여하여 고와를 포함한 남술라웨시의 작은 왕국들과 전쟁을 시작했습니다.1911년에 술탄국은 전쟁에서 패한 후 독립을 잃고 네덜란드령 인도의 [16]섭정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1945년 인도네시아가 네덜란드로부터 독립한 후, 술탄국은 해체되었고 그 이후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고 이전 지역은 고와 섭정국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마카사르 전쟁

1644년, 본은 고와에 대항하여 봉기했습니다.파셈페 전투에서 본은 패배했고 이슬람 종교 위원회를 이끄는 섭정이 설치되었습니다.1660년 보누 [17]술탄국의 긴 머리의 왕자인 아룽 팔라카는 고와에 대항하여 부기스 반란을 이끌었지만 [2]실패했습니다.
1666년, 코넬리스 스펠만 제독의 지휘 하에,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는 북부의 작은 왕국들을 그들의 통제하에 두려고 시도했지만, 고와 술탄국을 제압하지는 못했습니다.술탄 하사누딘이 고와의 16대 술탄으로 즉위한 후, 그는 인도네시아 동부의 작은 왕국들의 힘을 합쳐 VOC와 싸우려고 했습니다.
1666년 11월 24일 아침, VOC 원정대와 동부 쿼터는 스펠만의 지휘하에 항해를 시작했습니다.함대는 제독선 테르홀렌과 약 1860명을 태운 20척의 다른 배들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그들 중 818명의 네덜란드 선원, 578명의 네덜란드 군인, 그리고 아룽 팔라카와 아룽 벨로 [18]토사뎅이 지휘하는 부기스에서 온 395명의 토착 군대였습니다.스펠만은 또한 술탄 테르나테의 제안을 받아들여 고아와의 전쟁을 위해 많은 카누를 제공했습니다.1667년 6월 19일, 스펠만의 함대는 부퉁에서 [18]술라웨시와 마카사르를 향해 출항했습니다.함대가 술라웨시 해안에 도착했을 때, 스펠만은 5월에 본에서 실패한 부기스 봉기와 캄바에나 섬에서 횡단하는 동안 아룽 팔락카가 사라졌다는 소식을 받았습니다.
전쟁은 나중에 1666년에 VOC와 고와의 [19]술탄국 사이에 발발했습니다.전쟁은 VOC가 강화된 군대를 절망적이고 궁극적으로 약화된 Gowa에 상륙시킨 후인 1669년까지 계속되었습니다.1667년 11월 18일, 주요 교전국들은 [18]전쟁을 조기에 끝내기 위해 분가야 조약을 체결했습니다.
슬픔을 느낀 하사누딘은 다시 전쟁을 시작했습니다.결국 VOC는 바타비아에 추가 병력 지원을 요청했습니다.술탄 하사누딘이 맹렬한 저항을 하는 가운데 곳곳에서 다시 전투가 벌어졌습니다.바타비아에서 보낸 군사 증원군은 VOC의 군사력을 강화하여 1669년 6월 12일 솜바 오푸에 있는 고와 술탄국의 가장 강력한 요새를 무너뜨릴 수 있었고, 마침내 전쟁의 끝을 알렸습니다.술탄 하사누딘은 1670년 6월 12일에 사망하면서 왕위에서 물러났습니다.
마카사르 전쟁 이후, 코넬리스 스펠만 제독은 솜바 오푸에 있는 큰 요새를 파괴하고 술라웨시의 VOC 활동의 본부로 그 자리에 로테르담 요새(스펠만은 그의 출생지인 네덜란드의 이름을 따서 이 요새라고 이름 지었습니다)를 건설했습니다.1672년 아룽 팔락카는 본의 술탄이 되기 위해 왕위에 올랐습니다.
이 전쟁은 VOC 역사상 가장 위대한 전쟁으로 여겨집니다.
정부
정치 행정
작은 정치 지도자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칭호들은 혼란스럽습니다: 안롱구루, 담팡, 갈라랑, 잔낭, 카레, 카스이앙, 라오, 로크모크, 토도 등.모두 마카사레가 고와가 부상하기 전에 사용한 지역 호칭이었습니다.고와의 확장은 이 [20]: 113 품종에 체계적인 질서를 가져왔습니다.
칭호 부여는 주어진 사람과 사회 내에서 주어진 공동체의 위치를 확립하고 인정하는 중요한 방법이었습니다.이상적으로, 그러나 사실 항상은 아니지만, 이러한 직함의 위계는 귀족들이 소유하고 있는 백인 혈통의 자연스러운 위계와 일치했습니다.예를 들어, 귀족과 평민을 구별하는 것은 개인의 이름뿐만 아니라 왕족이나 댕의 이름을 가질 권리였습니다.아카라크와 같은 낮은 계급의 귀족들과 아낙티크노와 같은 높은 계급의 귀족들을 구별하는 것은 후자의 카렝 칭호에 대한 권리였습니다.고와의 통치자에 의해 부여된, 카라엥 칭호는 소유자가 높은 지위를 인정받았을 뿐만 아니라, 종종 소유자에게 [20]: 113 그 이름의 공동체에 대한 공물과 노동을 요구할 권리를 부여하는 조어였습니다.
관직은 가랭 직함을 가진 귀족들의 영역이 되었습니다.이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투마비카라부타였는데, 그의 임무는 섭정이자 최고 조언자로서 고와의 통치자를 돕는 것이었습니다.탈록의 통치자가 고와의 통치자에게 조언하는 이 패턴은 17세기 [20]: 112 초에 표준이 되었습니다.
또 다른 중요한 사무실은 장관 3인방인 투마일랑이었습니다.제목으로 보아, 두마일랑은 고와 내에서 일상적인 업무를 관리하는 변화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두마일랑 사바나라크 칼로나의 통치 기간 동안 공동으로 사무실이 있었습니다.이후의 통치 기간 동안, 투니팔랑가는 이 사무실들을 분리했고 투니잘록의 통치 기간까지, 나중에 더 나이든 투마일랑 토아와 더 어린 투마일랑 로로 알려진 2개의 투마일랑이 있었습니다.투마일랑 자리의 모든 보유자들은 고위급 [20]: 112 카라엥들이었습니다.
통치자 목록
고와의 이슬람 시대는 1605년 [21]: 839 망가랑기 댕그 만랍비야 술탄 알라우딘의 통치 기간에 시작되었습니다.
아니요. | 모나크 | 라이프타임 | 치세 | |
---|---|---|---|---|
1 | 투마누룽 | 14세기 중반 | ||
2 | 투마살랑가바라야 | |||
3 | 이푸앙 로렘방 | |||
4 | 투니아타반리 | |||
5 | 카라팡리 고와 | |||
6 | 투나탕칼로피 | |||
7 | 투메낭가리 패러락케나라는 제목의 바타라 고와 | |||
8 | 투니잘로리 파수키 | 1510 | ||
9 | 투마파리시 칼론나 | 1511 - 1546 | ||
10 | 아이 만리와가우 댕본토 카라엥 라경 투니팔랑가 | 1546 - 1565 | ||
11 | I 타지바라니 댕 마롬파 카라엥 데이터 튜니바테 | 1565(단 40일) | ||
12 | 이망고라이 댕 맘메타 투니잘로 | 1545 - 1590 | ||
13 | 이테푸카렝 댕파라붕 투니파술락 (퇴적) | 1590 - 1593 | ||
14 | 나는 망가랑기 댕그 망랍비야 술탄 알라우딘, 투메낭가리 고우칸나. | 1586 - 1639년 6월 15일 | 1593년 - 1639년 6월 15일 | |
15 | I Manuntungi Daeng Mattola Karaeng Lakiyung 술탄 Malikus가 Tumenangangari Papambatuna라는 제목으로 말했습니다. | 1607년 12월 11일 - 1653년 11월 5일 | 1639년 - 1653년 11월 5일 | |
16 | I Mallombassi Daeng Mattawang Karaeng Bontomangape 술탄 하사누딘, 제목은 투메낭가리 발라 팡카나. | 1631년 1월 12일 - 1670년 6월 12일 | 1653년 - 1669년 6월 17일 | |
17 | 나는 투메낭가리 알루라는 제목의 마파솜바 댕구라가 술탄 아미르 함자. | 1657년 3월 31일 - 1674년 5월 7일 | 1669 - 1674 | |
18 | 투메낭가리 자카타라라는 제목의 I Mappaosong Daeng Mangewai Karaeng Bisei Sultan Muhammad Ali | 1654년 11월 29일 - 1681년 8월 15일 | 1674 - 1677 | |
19 | 나는 두메낭가리 라경이라는 제목의 I Mappadulung Daeng Mattimung Kareng Sanrobone Sultan Abdul Jalil | 1677 - 1709 | ||
20 | 투메낭가리 솜바 오푸라는 제목의 라 파레파 투사페왈리 술탄 이스마일 | 1709 - 1712 | ||
21 | 나는 투메낭가리 파시라는 제목의 마파우랑기 카라엥 칸질로 술탄 시라주딘. | 1712 - 1735 | ||
22 | 말라왕가우 술탄 압둘 하이어 | 1735 - 1739 | 1739 - 1742 | |
23 | 아이맵파셈페 댕 마마로 카라엥 본톨랑카사 | 1739 | ||
24 | 나 마파바사 술탄 압둘 쿠두스 | 1742 - 1753 | ||
25 | 바타라 고와 술탄 파흐루딘(스리랑카로 망명) | 1753 - 1767 | ||
26 | I Mallisujawa Daeng Riboko Arungmampu 술탄 이마두딘 투메낭가리 톰포발랑 | 1767 - 1769 | ||
27 | 나는 투메낭가리 마토왕이라는 제목의 마카랭 카라엥 타마송고 술탄 자이누딘입니다. | 1769 - 1777 | ||
28 | 나 마나와리 카라엥 본톨랑카사 술탄 압둘 하디 | 1779 - 1810 | ||
29 | 투메낭가리 카탕카라는 제목의 I Mappatunru Karaeng Lembangparang | 1816 - 1825 | ||
30 | 투메낭가리 수앙가라는 제목의 카라엥 카탕카 술탄 압둘 라만. | 1825 | ||
31 | 쿠말라 카라엥 렘방파랑 술탄 압둘 카디르 투메나가리 카쿠아산나입니다. | 1893년 1월 30일에 | 1825 - 1893년 1월 30일 | |
32 | I Mallingkaan Daeng Manyonri Karaeng Katangka 술탄 이드리스, 제목은 투메낭가리 칼라비라나. | 1895년 5월 18일 | 1893 - 1895년 5월 18일 | |
33 | 나는 투메낭리 분두나라는 제목의 막쿨라우 댕세랑 카라엥 렘방파랑 술탄 후세인입니다. | 1895년 5월 18일 - 1906년 4월 13일 | ||
34 | 투메낭가리 성구미나사라는 제목의 이 망기망기 댕마투 카라엥 본톤폰포 술탄 무히부딘 | 1936 - 1946 | ||
35 | 앤디 이조 댕 마타왕 카라엥 랄롤랑 술탄 아이두딘 | 1978년 | 1946 - 1957 | 1957년 - 1960년 고와 섭정 초대 섭정 |
갤러리
-
고와 왕자들의 매장지 (1)
-
고와 왕자들의 매장지 (2)
-
고와 왕자들의 매장지 (3)
-
성구미나사에서 라자 고와의 짧은 성명 서명에 참석할 네덜란드 당국의 도착.
-
고와의 라자(왕)는 그의 집에서 간단한 성명서에 서명했습니다.
-
고와의 라자 대관식
-
1946년 10월 15일, 7명의 부족 통치자들이 남술라웨시 라이온 카셰의 주민 앞에서 간단한 선언문에 서명했습니다.
참고 항목
레퍼런스
- ^ a b c d e Sewang, Ahmad M. (2005). Islamisasi Kerajaan Gowa: abad XVI sampai abad XVII (in Indonesian). Yayasan Obor Indonesia. ISBN 978-9-794615300.
- ^ a b c d "MAKASSA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February 2017. Retrieved 4 March 2016.
- ^ Hannapia, Muhammad Ali (2012). "Masuknya Islam di Gowa". muhalihannapia.blogspot.com (in Indonesian).
- ^ a b Hefner, Robert W.; Horvatich, Patricia (1997). Robert W. Hefner; Patricia Horvatich (eds.). Islam in an Era of Nation-States: Politics and Religious Renewal in Muslim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19576.
- ^ SILA, MUHAMMAD ADLIN (2015). "The Lontara'". The Lontara':: The Bugis-Makassar Manuscripts and their Histories. pp. 27–40. ISBN 978-1-925022-70-4. JSTOR j.ctt19893ms.10. Retrieved 31 May 2021.
{{cite book}}
:work=
무시됨(도움말) - ^ Ricklefs, M.C. (2008).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1200 (revised ed.). Palgrave Macmillan. ISBN 978-1-137052018.
- ^ Tarling, Nicholas. The Cambridge History of Southeast Asia, Volume 1.
By 1611 all southwest Sulawesi, including Makassar's Bugis rival Bone, had become Muslim. Only the mountainous area of Toraja did not succumb, primarily because the people here saw Islam as the faith of their traditional enemies. In 1618 Makassar undertook the first of several attacks on the island of Sumbawa to force recalcitrant local rulers to accept Islam. By the 1640s most neighboring kingdoms had accepted Makassar's overlordship and with it the Muslim faith. p.520
- ^ a b c d Noorduyn, J. (1 January 1987). "Makasar and the islamization of Bima". Bijdragen tot de Taal-, Land- en Volkenkunde / Journal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of Southeast Asia. 143 (2): 312–342. doi:10.1163/22134379-90003330. ISSN 0006-2294.
- ^ a b Cummings, William (2011). The Makassar annals. BRILL Publishers. p. 8. ISBN 978-90-04-25362-9. OCLC 1162616236.
- ^ Sewang, Ahmad M. (2005). Islamisasi Kerajaan Gowa: abad XVI sampai abad XVII [The Islamization of the Kingdom of Gowa: From the 16th century until the 17th century] (in Indonesian). Yayasan Obor Indonesia. ISBN 978-979-461-530-0.
- ^ a b c d Geoff, Wade (17 October 2014). Asian expansions :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polity expansion in Asia. Routledge. p. 225. ISBN 978-1-135-04353-7. OCLC 1100438409.
- ^ Patunru, Abdurrazak Daeng; Yayasan Kebudayaan Sulawesi Selatan (1983). Sejarah Gowa (in Indonesian). Makassar (Ujung Pandang): Yayasan Kebudayaan Sulawesi Selatan. OCLC 215826945.
- ^ Sila, Muhammad Adlin (2015). Maudu': A Way of Union with God. ANU Press. pp. 30–31. ISBN 978-1-925022-71-1.
- ^ a b c Federspiel, Howard M. (2007). Sultans, Shamans, and Saints: Islam and Muslims in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p. 39. ISBN 978-0-8248-6452-1.
The rulers and populations of the defeated states were not forcibly converted to Islam, but the degree of resistance to the Makassarese forces and any refusal to consider Islam led to harsh terms of vassalage. Islamic propagators, mostly from Giri on Java, were sent to teach people the rudiments of religion and to establish Islamic institutions such as schools and retreats for mystics. Here is one of the clearest cases of proselytization being a primary policy of the state
- ^ Backshall, Stephen (2003). Rough Guide Indonesia (illustrated ed.). Singapore: Rough Guides. ISBN 978-1-858289915.
- ^ National Centennial Commission (Philippines) (1998). Elmer A. Ordoñez (ed.). Toward the first Asian republic: papers from the Jakart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Centenary of the Philippine Revolution and the First Asian Republic. Philippine Centennial Commission. ISBN 9789719201830.
{{cite book}}
CS1 유지관리: 작성자 매개변수(링크) 사용 - ^ Esteban, Ivie Carbon (2010). "The Narrative of War in Makassar: Its Ambiguities and Contradictions". Sari -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Malay World and Civilisation.
- ^ a b c Andaya, Leonard Y. (2013). The Heritage of Arung Palakka: A History of South Sulawesi (Celebes) in the Seventeenth Century. Vol. 91 of Verhandelingen van het Koninklijk Instituut voor Taal-, Land- en Volkenkunde (illustrated ed.).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ISBN 978-9-401733472.
- ^ Lach, Donald F.; Van Kley, Edwin J. (1998). Asia in the Making of Europe, Volume III: A Century of Advance. Book 3: Southeast Asia (illustrated, revised e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467689.
- ^ a b c d Cummings, William (2002). Making Blood White: Historical Transformations in Early Modern Makassar. University of Hawai'i Press. p. 257. ISBN 9780824825133.
- ^ Watson, Noelle (2012). Asia and Oceania: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Routledge. p. 900. ISBN 9781136639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