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칼륨혈증
Hypokalemia저칼륨혈증 | |
---|---|
기타 이름 | 저칼라혈증, 저혈구혈증, 저혈구혈증 |
칼륨 레벨이 1.1meq/L인 사람의 심전도(ECG)는 ST 세그먼트 억제, 반전 T파, 큰 U파 및 약간 긴 PR 간격의 고전적인 변화를 나타낸다. | |
전문 | 중환자용 의약품 |
증상 | 피로감, 다리 경련, 허약감, 변비, 비정상적인 심장박동[1] |
합병증 | 심장마비[1] |
원인들 | 설사, 푸로세미드, 스테로이드제 등의 약물, 투석, 인시피더스 당뇨병, 고알도스테론증, 저자석혈증, 식사량[1] 부족 |
진단 방법 | 혈중 칼륨 < 3.5 mmol/L[1][2] |
치료 | 근본[3] 원인에 따른 식생활 변화, 칼륨 보충제 |
빈도수. | 입원[4] 환자 중 20% |
저칼륨혈증은 [1]혈청에서 낮은 수준의 칼륨(K+)이다.약한 저칼륨은 일반적으로 [3]증상을 일으키지 않는다.증상에는 피로감, 다리 경련, 약함, [1]변비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낮은 칼륨은 또한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의 위험을 증가시키는데, 이것은 종종 너무 느리고 심장 [1][3]마비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저칼륨혈증의 원인으로는 구토, 설사, 푸로세미드, 스테로이드제 등의 약물, 투석, 인시피더스 당뇨병, 고알도스테론증, 저자석혈증, [1]식단 섭취 부족 등이 있습니다.정상 칼륨 수치는 3.5~5.0 mmol/L(3.5~5.0 mEq/L)이며, 3.5 mmol/L 미만은 저칼륨혈증으로 [1][2]정의된다.2.5 mmol/L [1]미만이면 중증으로 분류된다.심전도(ECG)[1]를 기준으로 저레벨이 의심될 수도 있습니다.고칼륨혈증은 혈청 [1]내 칼륨 수치가 높은 것을 말합니다.
칼륨을 교체하는 속도는 [1]심전도에 증상이나 이상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정상 범위보다 약간 낮은 칼륨 수치는 [3]식단의 변화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낮은 칼륨 수치는 입으로 먹거나 정맥에 [3]주입하는 보충제로 대체해야 한다.칼륨을 정맥에 주입할 경우 일반적으로 시간당 [1]20mmol 미만의 속도로 대체됩니다.고농도의 칼륨(>40 mmol/L)이 함유된 용액은 일반적으로 중앙 정맥 [3]카테터를 사용하여 투여해야 한다.마그네슘 교환이 [1]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저칼륨혈증은 가장 흔한 물-전기질 불균형 [4]중 하나이다.그것은 [4]입원한 사람들의 약 20%에 영향을 미친다.저칼륨혈증이라는 단어는 저칼륨+칼륨+칼륨+-emia '혈액 상태'[5]에서 유래했다.
징후 및 증상
가벼운 저칼륨혈증은 혈압 [6]상승을 일으킬 수 있지만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고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의 발달을 유발할 수 있다.혈청 칼륨 농도가 2.5–3meq/L(Nl: 3.5–5.0meq/L)인 심각한 저칼륨혈증은 근육 약화, 근육통, 떨림, 근육경련(골격근의 기능을 방해함) 및 변비(평활근의 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저칼륨혈증이 심할 경우, 이완성 마비 및 저호흡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혈청 칼륨 수치가 2meq/L [7]미만인 심각한 저칼륨혈증과 함께 횡문근융해증이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다.골격근 기능의 심각한 장애로 인한 호흡 억제는 [8]일부 사람들에게서 발견된다.
그것은 다른 정신적인 [9][10]증상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증상도 일으킬 수 있다.
원인들
저칼륨혈증은 다음 의학적 조건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적절한 칼륨 섭취
칼륨이 함유된 음식을 충분히 섭취하지 않거나 단식하는 것은 저칼륨혈증의 점진적 발병을 일으킬 수 있다.이것은 드문 원인이고 거식증이 있거나 케톤성 식이요법을 [citation needed]하는 사람들에게서 발생할 수 있다.
위장 또는 피부 손실
더 일반적인 원인은 칼륨의 과도한 손실이며, 종종 칼륨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과도한 액체 손실과 관련이 있습니다.일반적으로 이는 근육 압착 손상 또는 수술과 관련된 설사, 과도한 땀 또는 손실의 결과입니다.구토로 인해 칼륨이 많이 손실되지는 않지만 구토 또한 저칼륨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오히려 구토 후 중탄산뇨 환경에서 K가 많이+ 손실되면 요중 칼륨 배설이 강제된다.(아래의 알칼로스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십시오.)다른 위장 원인으로는 췌장 누공과 선종이 있다.
요로손실
- 특정 약물은 소변에서 과도한 칼륨 손실을 일으킬 수 있다.루프 이뇨제(예: 푸로세미드)와 티아지드 이뇨제(예: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와 같은 혈압 약물은 일반적으로 저칼륨혈증을 일으킨다.항진균성 암호테리신 B나 암 치료제 시스플라틴과 같은 다른 약물들도 장기 저칼륨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운동선수와[11] 섭식장애인의[12] 이뇨제 남용은 요중 칼륨 손실로 인한 저칼륨혈증을 나타낼 수 있다.
- 칼륨 손실의 특별한 경우는 당뇨병성 케토산증에서 발생한다.저칼륨혈증은 낮은 총체칼륨과 낮은 세포내 칼륨 농도에서 관찰된다.다뇨 및 부피수축에 의한 요로손실 외에 음전하 케톤인 β-히드록시부틸레이트에 대한 양이온성 파트너로서 신장세관에서 칼륨의 필수손실이 발생한다.
- 혈중 마그네슘 수치가 낮은 것도 저칼륨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칼륨의 적절한 처리를 위해서는 마그네슘이 필요합니다.이것은 칼륨 보충에도 불구하고 저칼륨혈증이 지속되면 명백해질 수 있다.다른 전해질 이상도 있을 수 있습니다.
- 혈액의 pH(알칼로시스)의 증가는 혈장으로부터 칼륨과 간질성 액체를 많은 상호 관련 메커니즘을 통해 소변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일시적인 저칼륨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
1) 채집 덕트 내 B형 간극세포는 H를 재흡수하여+ HCO를3 분비하고, A형 간극세포는 세포 꼭대기/후광 표면에서 H-KATPases와+++ H ATP-ases를 통해 양성자가 분비된다.정의에 따르면, H-KATPase는++ 네프론의 수집 덕트의 내강으로 분비되는 모든 양성자에 대해 하나의 칼륨 이온을 세포로 재흡수합니다.또한 H가 (HATP-ase에 의해+) 세포에서 배출되면+, 전기 영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그러나 H-KATPase와++ [13]같이 직접적인 교환을 통해서는 안 된다) 세포에 의해 양이온이 흡수된다.알칼리증 동안 pH를 교정하기 위해, 이 세포들은 많은 양의 H를+ 재흡수하기 위해 이러한 메커니즘을 사용할 것이고, 이것은 세포 내 칼륨 농도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킬 것입니다.이 농도 구배는 칼륨 채널을 통해 세포의 꼭대기 표면을 가로질러 관상 내강으로 분비되는 칼륨을 유도한다(이렇게 촉진된 확산은 B형 중간 세포와 채집 덕트의 주요 세포 모두에서 발생한다).
2) 대사성 알칼로스는 구토 등 부피가 감소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알도스테론 매개 메커니즘을 통해 칼륨도 손실된다.
3) 대사성 알칼로시스 중 혈장3− HCO 농도(예를 들어 구토에 의해 발생)의 급성 상승은 음이온을 재흡수하는 신장 근위세관의 용량을 초과하며, 칼륨은 중탄산염의 [14]필수 양이온 파트너로 배설된다. - 질병은 비정상적으로 높은 알도스테론 수치를 초래하는 고혈압과 칼륨의 과도한 소변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여기에는 신장 동맥 협착증 및 부신의 종양(일반적으로 악의적이지 않음)이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Conn's Syndrome(원발성 과알도스테론증)입니다.쿠싱증후군은 Na/K+ 펌프에 과도한+ 코티솔이 결합하고 알도스테론처럼 작용하기 때문에 저칼륨혈증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또한 코르티졸이 알도스테론 수용체를 자극할 수 있는 11-베타-히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 2형 효소의 결핍으로 고혈압과 저칼륨혈증을 볼 수 있다.명백한 미네랄 코르티코이드 과잉 증후군으로 알려진 이 결핍은 선천적인 것일 수도 있고 때로는 허브 보충제, 사탕, 그리고 씹는 담배에서 발견되는 감초 추출물에 포함된 글리시리진의 섭취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습니다.
- 바터 증후군이나 기텔만 증후군과 같은 신장염 운반체의 희귀한 유전적 결함은 이뇨제와 유사한 방식으로 저칼륨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알도스테론의 1차 과잉의 질병 상태와 달리, 혈압은 바터병이나 기텔만병에서 정상이거나 낮습니다.
세포외액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
- 알칼로시스 외에도 Na/K+ [15]펌프의+ 자극에 의해 칼륨이 세포로 순간 이동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이러한 호르몬과 약물에는 인슐린, 에피네프린 및 다른 베타 작용제(살부타몰 또는 살메롤)와 크산틴(테오필린)[16][17]이 포함됩니다.자극제(암페타민, 메틸페니다이트, 코카인)는 또한 베타-2 [18][19]수용체를 자극함으로써 저칼륨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
- 저칼륨 주기 마비를 일으키는 근이온 채널과 전달체의 희귀한 유전적 결함은 심각한 저칼륨혈증과 근육 약화의 간혹 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이러한 결함은 카테콜아민 및/또는 인슐린 및/또는 갑상선 호르몬에 의해 생성되는 칼륨의 정상적인 변화에 대한 높은 민감성을 유발하며, 이는 세포외 액체에서 근육 세포로 칼륨의 이동을 유도한다.
다른.
- 소수의 발표된 보고서에서는 만성적인 극단적인 콜라 [20]섭취(4-10L/일)와 관련된 심각한 저칼륨혈증을 가진 개인을 설명한다.저칼륨혈증은 과도한 [22][23]과당 섭취로 인한 설사와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카페인의[21] 이뇨 효과와 대량의 액체 섭취의 조합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의사성 저포칼혈증
- 유사 히포칼륨혈증은 칼륨을 채취한 후 혈액 샘플의 대사 활성 세포가 칼륨을 과도하게 섭취하여 발생하는 칼륨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다.혈액 샘플이 [24]처리되기 전에 몇 시간 동안 따뜻한 상태로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실험실 인공물입니다.
병태생리학
체내 칼륨의 약 98%는 세포 내에서 발견되며, 나머지는 혈액을 포함한 세포외액에서 발견됩니다.이 농도 구배는 주로 Na/K+ 펌프에+ 의해 유지된다.
칼륨은 근육과 신경 활동을 포함한 많은 신체 기능에 필수적입니다.세포내와 세포외 공간 사이의 칼륨의 전기화학적 구배는 신경 기능에 필수적이며, 특히 칼륨은 활동 전위가 지난 후 세포막을 휴지 상태로 재분극시키기 위해 필요하다.세포외 공간에서 낮은 칼륨 수치는 휴식막 전위의 과분극을 일으킨다.이러한 과분극은 골드만 방정식으로 정의된 휴지막 전위에 대한 변화된 칼륨 구배 효과로 인해 발생합니다.그 결과, 활동전위를 개시하기 위한 막의 탈분극에 통상보다 큰 자극이 필요하다.
심장에서 저칼륨혈증은 나트륨 채널 불활성화로부터의 완전한 회복이 부족하기 때문에 부정맥을 유발하여 활동 가능성을 낮춥니다.또한 환원된 세포외 칼륨(가독소적으로)은 I칼륨 전류의Kr 활성을 억제하고 심실 재분극을 지연시킨다.이러한 지연된 재분극은 재진입 부정맥을 [25]촉진할 수 있다.
진단.
피
정상 칼륨 수치는 3.5 ~ 5.0 mmol/L이며, 3.5 mmol/L 미만(3.5 mEq/L 미만)은 저칼륨혈증으로 [1][26]정의된다.
심전도
저칼륨혈증은 특징적인 심전도 변화(PR 연장, ST-세그먼트 및 T-파 억제, U-파 형성)[4]로 이어진다.
저칼륨혈증과 관련된 최초의 심전도(ECG) 소견은 T파 높이의 감소입니다.그 후 혈청 칼륨 수치가 더욱 감소함에 따라 ST 우울증과 T 반전 현상이 나타난다.심실 Purkinje 섬유의 장기 재분극으로 인해 현저한 U파(일반적으로 V2 및 V3 리드에서 볼 수 있음)가 발생하며, T파에 자주 중첩되므로 혈청 칼륨 수치가 3mEq/L [27]아래로 떨어질 때 장기 QT 간격이 나타난다.
양
칼륨 부족량은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Kdeficit(mmol 단위) = (Knormal lower limit - Kmeasured) × 체중(kg) × 0.4
한편 칼륨의 일일 신체요구량은 체중 1mmol을 kg 단위로 곱하여 산출한다.칼륨 결핍과 일일 칼륨 요구량을 추가하면 칼륨의 총량을 mmol 단위로 보정할 수 있습니다.mmol을 13.4로 나누면 칼륨이 [28]그램 단위로 나옵니다.
치료
치료에는 식생활 개선, 설사 치료 또는 문제 있는 약물 복용 중단과 같은 원인에 대한 대처가 포함됩니다.칼륨 손실의 유의한 원인이 없고 저칼륨혈증 증상을 보이지 않는 사람은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급성으로 칼륨 10mEq를 재포장하면 투여 직후 혈청 칼륨이 0.1mEq/L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그러나 만성 저칼륨혈증이 있는 사람은 조직 재배포에 시간이 걸린다.예를 들어, 1mEq/L에 의한 보정은 [6]수일에 걸쳐 1000mEq 이상의 칼륨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경구용 칼륨 보충
가벼운 저칼륨혈증(3.0mEq/L 이상)은 칼륨이 함유된 음식을 먹거나 정제나 시럽 형태의 염화칼륨 보충제를 (입 보충제로) 복용하여 치료할 수 있다.칼륨이 풍부한 음식에는 말린 과일, 견과류, 겨 시리얼과 밀 배아, 리마 콩, 당밀, 잎이 많은 녹색 채소, 브로콜리, 겨울 호박, 사탕무, 당근, 콜리플라워, 감자, 아보카도, 토마토, 코코넛 워터, 감귤류, 캔탈루프, 키위, 망고, 바나나,[29][30] 붉은 고기가 포함됩니다.
칼륨이 풍부한 음식을 먹는 것은 낮은 칼륨을 교정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칼륨 보충제가 권장될 수 있습니다.식품에 포함된 칼륨은 거의 전적으로 인산염과 연관되어 있어 구토, 이뇨제 치료 또는 비복부 배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저염소증과 관련된 저칼륨혈증을 교정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다.게다가, 식단을 통해서만 칼륨을 대체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고 잠재적으로 많은 양의 음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체중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혈청 칼륨과의 역관계로 인해 나트륨 섭취를 제한하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마그네슘 섭취를 늘리는 것도 비슷한 생리적인 이유로 [30]이로울 수 있다.
염화칼륨의 구강 보충제는 정확한 양의 칼륨을 함유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불쾌한 맛의 단점과 메스꺼움과 복부 불쾌감을 포함한 부작용의 가능성이 있다.대사성 [30]산증과 관련된 저칼륨혈증을 교정할 때는 중탄산칼륨이 선호된다.
정맥 내 칼륨 보충
심각한 저칼륨혈증(3.0mEq/L 미만)은 정맥내 보충이 필요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3-4시간에 걸쳐 리터당 20–[31]40meq/L KCl의 식염수가 사용된다.IV 칼륨을 더 빠른 속도(20-25meq/hr)로 투여하면 심장이 칼륨의 갑작스러운 증가에 노출되어 심장 블록이나 [25]무수축과 같은 위험한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따라서 더 빠른 주입 속도는 일반적으로 중환자실과 [31]같이 심장 박동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위치에서만 수행됩니다.칼륨을 정맥에 주입할 때, 특히 고농도의 칼륨을 사용할 때, 주입 부위에 화상감각이나 드물게 [32]정맥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심선에 의한 주입을 권장한다.말초 주입이 필요한 경우, 리도카인을 첨가하면 의료 [33]오류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지만, 칼륨을 더 많은 양의 [31]액체에 희석하거나 정맥 내 액체에 소량의 리도카인을 첨가함으로써 연소를 줄일 수 있습니다.심각한 저칼륨혈증이라도 안전성을 고려하여 경구 보충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급성 환경에서는 지속 방출 제제를 피해야 합니다.
칼륨이뇨제
저칼륨혈증이 재발하거나 치료에 내성이 있는 경우 아밀로라이드, 트리아메테렌, 스피로노락톤 또는 에프레레논과 같은 칼륨소비가 있는 이뇨제를 사용할 수 있다.마그네슘이 칼륨 [30]흡수의 보조인자이기 때문에 동반성 저자석혈증은 칼륨 치환을 억제할 것이다.
대중문화
래리 니븐의 공상과학 소설 데스티니의 길의 줄거리는 사용 가능한 칼륨의 부족과 그로 인한 결핍과 세계의 식민지 개척자들과 그들의 사회에 [34][35][36][37]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다.
게임 델타룬에서 퀸은 캐릭터 중 한 명(노엘)이 벽에 부딪혀 저칼륨혈증으로 천천히 죽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Soar, J; Perkins, GD; Abbas, G; Alfonzo, A; Barelli, A; Bierens, JJ; Brugger, H; Deakin, CD; Dunning, J; Georgiou, M; Handley, AJ; Lockey, DJ; Paal, P; Sandroni, C; Thies, KC; Zideman, DA; Nolan, JP (October 2010). "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 Guidelines for Resuscitation 2010 Section 8. Cardiac arrest in special circumstances: Electrolyte abnormalities, poisoning, drowning, accidental hypothermia, hyperthermia, asthma, anaphylaxis, cardiac surgery, trauma, pregnancy, electrocution". Resuscitation. 81 (10): 1400–33. doi:10.1016/j.resuscitation.2010.08.015. PMID 20956045.
- ^ a b Pathy, M.S. John (2006). "Appendix 1: Conversion of SI Units to Standard Units". Principles and Practice of Geriatric Medicine. Vol. 2 (4. ed.). Chichester: Wiley. p. Appendix. doi:10.1002/047009057X.app01. ISBN 9780470090558.
- ^ a b c d e f Zieg, J; Gonsorcikova, L; Landau, D (July 2016). "Current views 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hypokalaemia in children". Acta Paediatrica. 105 (7): 762–72. doi:10.1111/apa.13398. PMID 26972906. S2CID 19579505.
- ^ a b c d Marx, John; Walls, Ron; Hockberger, Robert (2013). Rosen's Emergency Medicine - Concepts and Clinical Practice (8 ed.). Elsevier Health Sciences. p. 1639. ISBN 978-145574987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8-15.
- ^ Herlihy, Barbara (2014). The Human Body in Health and Illness. Elsevier Health Sciences. p. 487. ISBN 97814557564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10-01.
- ^ a b Krishna, GG; Miller, E; Kapoor, S (1989). "Increased blood pressure during potassium depletion in normotensive me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20 (18): 1177–82. doi:10.1056/NEJM198905043201804. PMID 2624617.
- ^ Jain, VV; Gupta, OP; Jajoo, SU; Khiangate, B (January 2011). "Hypokalemia induced rhabdomyolysis". Indian Journal of Nephrology. 21 (1): 66. doi:10.4103/0971-4065.78085. PMC 3109789. PMID 21655176.
- ^ Taal, Maarten W.; Chertow, Glenn M.; Marsden, Philip A.; Skorecki, Karl; Yu, Alan S. L.; Brenner, Barry M. (2011). Brenner and Rector's The Kidney E-Book. Elsevier Health Sciences. p. 618. ISBN 9781455723041.
- ^ "Symptoms and Signs of Low Potassium (Hypokalemia)". Retrieved 2021-04-21.
- ^ Hong, Ella (2016). "Hypokalemia and Psychosis: A Forgotten Associatio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Residents' Journal. 11 (11): 6–7. doi:10.1176/appi.ajp-rj.2016.111103. Retrieved 2021-04-21.
- ^ Cadwallader, Amy B; De La Torre, Xavier; Tieri, Alessandra; Botrè, Francesco (September 2010). "The abuse of diuretics as performance-enhancing drugs and masking agents in sport doping: pharmacology, toxicology and analysis: Diuretics in sport doping".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161 (1): 1–16. doi:10.1111/j.1476-5381.2010.00789.x. PMC 2962812. PMID 20718736.
- ^ Mascolo, Margherita; Chu, Eugene S.; Mehler, Philip S. (April 2011). "Abuse and clinical value of diuretics in eating disorders therapeutic ap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44 (3): 200–202. doi:10.1002/eat.20814. PMID 20186716.
- ^ Silverthorn, Dee Unglaub (2016). Human Physiology: An Integrated Approach (7th ed.). Pearson Education. pp. 646–647. ISBN 978-0-321-98122-6.
- ^ Walmsley RN, White GH (August 1984). "Occult causes of hypokalaemia". Clin. Chem. 30 (8): 1406–8. doi:10.1093/clinchem/30.8.1406. PMID 6744598.
- ^ Halperin, ML; Kamel, KS (1998). "Potassium". Lancet. 352 (9122): 135–40. doi:10.1016/S0140-6736(98)85044-7. PMID 9672294. S2CID 208790031.
- ^ Whyte KF, Addis GJ, Whitesmith R, Reid JL (April 1987). "Failure of chronic theophylline therapy to alter circulating catecholamines". Eur J Respir Dis. 70 (4): 221–8. PMID 3582518.
- ^ Veltri KT, Mason C (March 2015). "Medication-induced hypokalemia". P & T: A Peer-Reviewed Journal for Formulary Management. 40 (3): 185–190. ISSN 1052-1372. PMC 4357351. PMID 25798039.
- ^ Charach G, Karniel E, Grosskopf I, Rabinovich A, Charach L (2 July 2020). "Methylphenidate has mild hyperglycemic and hypokalemia effects and increases leukocyte and neutrophil counts". Medicine. 99 (27): e20931. doi:10.1097/MD.0000000000020931. eISSN 1536-5964. ISSN 0025-7974. PMC 7337440. PMID 32629693.
- ^ Alazami M (8 February 2006). "Unusual causes of hypokalaemia and paralysis". QJM. 99 (3): 181–192. doi:10.1093/qjmed/hcl011. ISSN 1460-2725. PMID 16469765.
- ^ Tsimihodimos V, Kakaidi V, Elisaf M (June 2009). "Cola-induced hypokalaemia: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and clinical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63 (6): 900–2. doi:10.1111/j.1742-1241.2009.02051.x. PMID 19490200. S2CID 26191242.
- ^ Shirley DG, Walter SJ, Noormohamed FH (November 2002). "Natriuretic effect of caffeine: assessment of segmental sodium reabsorption in humans". Clin. Sci. 103 (5): 461–6. doi:10.1042/cs1030461. PMID 12401118. S2CID 18740906.
- ^ Packer, C.D. (June 2009). "Cola-induced hypokalaemia: a super-sized problem".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63 (6): 833–5. doi:10.1111/j.1742-1241.2009.02066.x. PMID 19490191. S2CID 2856903.
- ^ HealthGuru (2012-03-01). "Health.yahoo.com". Health.yahoo.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6-12. Retrieved 2012-03-10.
- ^ Sodi R, Davison AS, Holmes E, Hine TJ, Roberts NB (June 2009). "The phenomenon of seasonal pseudohypokalemia: effects of ambient temperature, plasma glucose and role for sodium-potassium-exchanging-ATPase". Clin. Biochem. 42 (9): 813–8. doi:10.1016/j.clinbiochem.2009.01.024. PMID 19232334.
- ^ a b Khan, Ehsan; Spiers, Christine; Khan, Maria (March 2013). "The heart and potassium: a banana republic". Acute Cardiac Care. 15 (1): 17–24. doi:10.3109/17482941.2012.741250. PMID 23425010. S2CID 35971172.
- ^ "Potassium (Unit Conversion)". MediCal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October 2016. Retrieved 27 September 2016.
- ^ Levis, Joel T (2012). "ECG Diagnosis: Hypokalemia". The Permanente Journal. 16 (2): 57. doi:10.7812/tpp/12-015. PMC 3383164. PMID 22745618.
- ^ Ingelfinger, Julie R (1 July 2015). "Fluids and Electrolytes Challenge - Disorders of Fluids and Electrolytes - Integrated View of Potassium Homeostasi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doi:10.1056/feature.2015.06.16.43 (inactive 31 July 2022). Retrieved 16 November 2017.
{{cite journal}}
: CS1 유지 : 2022년 7월 현재 DOI 비활성화 (링크) - ^ "Sources of Dietary Potassium" (PDF).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dical School.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3 January 2017. Retrieved 3 February 2017.
- ^ a b c d Cohn, Jay N.; Kowey, Peter R.; Whelton, Paul K.; Prisant, L. Michael (2000-09-11). "New Guidelines for Potassium Replacement in Clinical Practice".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0 (16): 2429–36. doi:10.1001/archinte.160.16.2429. PMID 10979053.
- ^ a b c Kraft, Michael D.; Btaiche, Imad F.; Sacks, Gordon S.; Kudsk, Kenneth A. (2005-08-15). "Treatment of electrolyte disorders in adult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62 (16): 1663–1682. doi:10.2146/ajhp040300. PMID 16085929.
- ^ "How should intravenous (IV) potassium chloride be administered in adults? – SPS - Specialist Pharmacy Service – The first stop for professional medicines advice". www.sps.nhs.uk. Retrieved 2018-10-16.
- ^ "Safety Issues With Adding Lidocaine to IV Potassium Infusions (Excerp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12-22. Retrieved 2009-05-09.
- ^ Clute, John (2003). "Wiser Book". Scores: Reviews 1993–2003. Harold Wood, London, UK: Beccon. ISBN 9781870824477. OCLC 53123451. Retrieved 13 August 2019. Originally published as "Excessive Candor" no. 48 in Science Fiction Weekly no. 48, 16 June 1997
{{cite book}}
: CS1 유지보수: 포스트스크립트(링크) - ^ Di Filippo, Paul (8 June 1997). "Destiny's Road". The Universe of Larry Niven. Retrieved 13 August 2019. SF 시대의 1997년 7월호 리뷰를 전재합니다.
- ^ "Destiny's road". Open Library. 17 August 2010. OL 1012547M.
{{cite journal}}
:Cite 저널 요구 사항journal=
(도움말) - ^ ambidexteri (26 January 2013). "Review of Destiny's Road by Larry Niven". Ambidexteri. Retrieved 4 August 2019.
추가 정보
- Firth, J (2010). "Disorders of potassium homeostasis". In David A. Warrell; Timothy M. Cox; John D. Firth; Graham S. Ogg (eds.). Oxford Textbook of Medicine. Vol. 1 (5th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3831–3845. doi:10.1093/med/9780199204854.003.210202_update_001. ISBN 978-0199204854.
- Greenlee, M; Wingo, CS; McDonough, AA; Youn, JH; Kone, BC (May 5, 2009). "Narrative review: evolving concepts in potassium homeostasis and hypokalemia" (PDF).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0 (9): 619–25. doi:10.7326/0003-4819-150-9-200905050-00008. PMC 4944758. PMID 19414841. NIHMSID: NIHMS800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