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무스 나후아틀
Isthmus Nahuatl이스무스 나후아틀 | |
---|---|
멜라타지톨 | |
네이티브: | 멕시코 |
지역 | 베라크루즈, 타바스코 |
원어민 | (1990–1990년 기준 30,000명 인용)[1] |
우토아즈테칸
| |
라틴어 | |
언어 코드 | |
ISO 639-3 | 다양하게:nhk – 코솔레아카크nhx – 메카야판nhp – 파재팬 |
글로톨로지 | isth1245 |
이스무스 나후아틀(Isthmus Nahuat; 원주민 이름: mela'tajto̲l)은 멕시코 베라크루즈에서 약 3만 명이 사용하는 나후아틀 방언 군집이다. Ethnologue 16에 따르면, 코솔레아카크 방언은 파재팬과 84%, 메카야판과 83%가 이해 가능하다.
음운론
다음 설명은 메카야판 방언이다.
모음.
앞면 | 뒤쪽에 | |
---|---|---|
가까운. | i I ː | o oh |
중앙의 | e eː | |
개방하다 | a a ː |
자음
라비알 | 치과의 | 구개체 | 벨라르 | 글로탈 | ||
---|---|---|---|---|---|---|
콧물 | m | n | ɲ | |||
플로시브 | 무성음의 | p | t | k | ʔ | |
목소리 있는 | b | d | ɡ | |||
애프랙레이트 | 무성음의 | ts | t | |||
목소리 있는 | (dz[a]) | (dʒ) | ||||
프리커티브 | 무성음의 | s | ʃ | h | ||
목소리 있는 | z | (ʒ[a]) | ||||
근사치 | l | j | w | |||
로코틱 | r |
글쓰기 시스템
Aa | B B | C | 챠 | D d | E e | F F | G g | H h | I I I | 제이제이 | ㅋㅋ | 엘 | |
---|---|---|---|---|---|---|---|---|---|---|---|---|---|
/a/ | /b/ | /k/ | /tʃ/ | /d/ | /e/ | /ɡ/ | /i j/ | /h/ | /k/ | /l/ | |||
음. | N N | o o | P p | Q q | R R | S s | T t | U u | 브이 브이 | X x | Y Y | ZZ | ' |
/m/ | /n/ | /o/ | /p/ | /k/ | /r/ | /s/ | /t/ | /w/ | /ʃ/ | /j/ | /ʔ/ |
H는 u 이전의 단어의 시작에 사용되며, 그 자체의 가치가 없다. C는 모음 a와 o보다 /k/ 먼저, qu는 i와 e보다 먼저 사용된다.
밑줄(a̲, e̲, i̱, o̲)은 긴 모음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l나 r로 끝나지 않는 단어의 두 번째 마지막 음절에 대한 스트레스와 l나 r로 끝나는 단어의 마지막 음절에 대한 스트레스는 표시되지 않는다. 다른 모든 스트레스 패턴은 스트레스 모음(a, é, i, o)에 대해 급성 억양으로 표시된다.
f, k, v, z 글자는 외래어에서만 발생한다.
문법
이러한 종류의 나후아틀은 고전적인 나후아틀과 다른 현대적인 형태의 나후아틀이 결여하고 있는 포괄적이고 배타적인 "우리"의 구별을 발전시켰다. 배타적 형식은 1인칭 단수("I")에서 정기적으로 파생되는 반면, 포괄적 형식은 고전적 나후아틀의 복수형 1인칭 복수형을 지속한다.
고전적인 | 이스무스메카야판 | ||
---|---|---|---|
1인칭 단수 | 니퀴사 "떠난다" | 니퀴즈사 "떠난다" | 1인칭 단수 |
niqui̱saj "우리(너 말고) 떠나" | 1인 복수 배타적 | ||
1인 복수형 | 틱슈사지 "떠난다" | 티키우사지 "우리(당신 포함)가 떠나" | 1인 복수형 포함 |
참조
- ^ Ethnologue의 코솔레아카크 (2015년 제18회 에드워드) (가입 필요)
Ethnologue의 메카야판 (2015년 제18회 에드) (가입 필요)
Ethnologue의 파재팬 (2015년 제18회 에드워드) (가입 필요)
참고 문헌 목록
- 월게무스 외 2000. 디치오나리오 나후아틀 데 로스 자치 단체 메카야판 이 타타후이카판 데 후아레스 베라크루즈.
- 월게무스, 2002년 칼 그라미티카 나후아틀(멜라흐타지토엘) 데 로스 자치체 데 메카야판 이 타타후이카판 데 후아레스, 베라크루즈 (세군다 에디시온)
- 월게무스, 2007년 칼 베라크루스의 메카야판과 타타후이카판 데 후아레스 마을의 나후아틀 문법. SIL 인터내셔널.
- García de León, Antonio (1976). Pajapan, un dialecto mexicano del Golfo (in Spanish). México, D.F.: INAH.
- 안도코오지 2007년. 그라마티카 나후아틀 드 파야나 우니베르시다드 베라크루자나, 잘라파
외부 링크
- SIL 멕시코 — 사운드 레코딩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