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니퍼 베리
Juniper berry주니퍼 베리는 다양한 종의 주니퍼에 의해 생산되는 암컷 씨앗 콘이다.참 베리가 아니라 유난히 살집이 많고 비늘이 합쳐진 원추형이라 베리처럼 보인다.소수의 종, 특히 쥬니페루스 코뮌에서 나온 원뿔은 향신료로 사용되며, 특히 유럽 요리에 사용되며, 진의 독특한 맛도 준다.향나무 열매들은 향신료에서 추출한 향신료 중 유일하게 스프루스 꽃봉오리와 함께 향신료에 속한다.[1][2]
종
모든 향나무 종은 열매를 기르지만, 어떤 종은 먹기엔 너무 쓴 것으로 여겨진다.J. 코뮌 이외에도 다른 식용 종으로는 주니퍼스 드루파스,[3][4] 주니퍼스 페니키아,[5] 주니퍼스 데페아나, 주니퍼스 캘리포니카가 있다.[6]그러나 쥬니퍼스 사비나와 같은 일부 종의 열매는 독성이 있어서 그것을 섭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7]
특성.
주니퍼스 코뮌 베리는 지름이 4-12 밀리미터(0.16–0.47인치)로 다양하며, 일부 종은 더 크지만, 특히 J. 드루파스(20–28 mm(0.79–1.10인치)가 더 크다.일반적인 솔방울의 분리되고 나무로 된 비늘과는 달리, 고니퍼 베리의 비늘은 살갗이 벗겨진 채로 씨앗을 감싸고 있는 통일된 덮개로 합쳐진다.열매는 어릴 때 초록색이며, J. 코뮈니스를 포함한 대부분의 종에서 약 18개월 동안 보라색 흑색으로 성숙한다(더 작은 종에서는 8~10개월, 그리고 J. 드루파스에서는 약 24개월).[3]성숙하고 진한 열매는 보통은 아니지만 요리에만 쓰이지 않는 반면 진은 다 자랐지만 익지 않은 열매를 곁들여 맛을 낸다.[1]
파이토케미컬스
주니퍼 베리에는 약 2% 부피의 에센셜 오일, 주니페린이라는 플라보노이드, 수지(부피의 약 10%), 단백질, 아세트산, 말산, 폼산 등 다양한 피토케미컬이 함유되어 있다.[8]열매 추출물에서 지방산, 테르펜, 방향성 화합물, 피넨, 사비넨, 테르피넨-4-올, 리모넨, 마이크센 등 탄화수소가 분리됐다.[8]
사용하다
젊고 초록색 베리의 향미 프로필은 피넨이 지배하고 있다; 그들은 이 소나무가 무르익으면서, 수지 같은 배경에는 해롤드 맥기가 묘사하는 "녹색-신선"과 감귤류 음표와 결합한다.[9]열매의 외측 비늘은 비교적 맛이 없기 때문에, 열매는 향신료로 사용하기 전에 거의 항상 최소한 가볍게 으깨어진다.그것들은 신선함과 건조함 둘 다 사용되지만, 건조와 보관 중에 그 맛과 향기는 수확 직후에 가장 강력하고 감소한다.
향료
주니퍼 베리는 북유럽과 특히 스칸디나비아 요리에서 고기 요리, 특히 야생 조류(러쉬, 검은 새, 나무콕 포함)와 게임 고기( 멧돼지와 사슴고기 포함)에 '날렵하고 맑은 맛'[1][8]을 내기 위해 사용된다.[10]그들은 또한 돼지고기, 양배추, 사우어크라우트 요리를 양념한다.사우어크라우트와 육류의 알자스 요리인 츄크루트 가니에 대한 전통적인 요리법은 일반적으로 향나무 열매를 포함한다.[11]노르웨이어, 덴마크어, 스웨덴어 요리 외에 독일어, 오스트리아어, 체코어, 폴란드어, 헝가리 요리에서도 향나무 열매(독일식 사우어브라텐 등)가 종종 사용된다.북부 이탈리아 요리, 특히 남티롤의 요리도 향나무 열매를 포함하고 있다.그들은 또한 이탈리아 아풀리아 지역에서도 사용되는데, 특히 브라인의 맛을 내는 데 사용된다.
주니퍼스 코뮈니케스(Juniperus communis)는 네덜란드에서 17세기에 개발된 술인 진의 맛을 내는 데 사용된다.[8]진이라는 이름 자체는 프랑스 제니브르 또는 네덜란드 제네버에서 유래되었는데, 둘 다 "주니퍼"[1]를 의미한다.다른 향나무 향의 음료로는 사티로 알려진 핀란드의 호밀과 주니퍼 맥주가 있는데, 이 맥주는 주니퍼 베리와 나뭇가지로 맛을 낸다.[12]
이 열매로 만든 또 다른 음료로는 크리스마스 때 주로 팔리는 스웨덴에서 만든 청량 음료인 줄무스트가 있다.
드라이 소다라는 브랜드가 라인업의 일부로 쥬니퍼베리 소다를 생산한다.최근 미국의 일부 양조장에서는 주니퍼스 후시덴탈리스와 같은 향나무의 '신세계' 품종을 사용하기 시작했다.[13]
음식
몇몇 북미 향나무 종들은 향신료로 사용되는 종들보다 더 달고 수지가 덜한 맛을 가진 씨드콘을 생산한다.예를 들어, 한 현장 가이드는 쥬니퍼스 캘리포니카의 열매의 살을 "건조하고, 미량이며, 섬유질은 있으나 단맛이 있고 수지 세포는 없다"[14]고 설명한다.그러한 종들은 단지 양념으로서뿐만 아니라 일부 미국 원주민들에 의해 영양가 있는 음식으로 사용되어 왔다.[which?][15]미국 원주민들은 의학 및 요리 목적 외에도 향나무 열매 안의 씨앗을 보석과 장식을 위한 구슬로 사용하기도 했다.[15]
향나무 열매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은 아로마 테라피에 사용되는데, 바디 마사지, 확산, 향신료 모두에 쓰인다.[5]
건강 효과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분류되지만,[16] 후니퍼 베리는 임상 실험에서 광범위하게 시험되지 않은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8][17]주로 유산의 위험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적은 양으로도 고니퍼 베리를 섭취하면 임산부나 모유 수유 여성, 당뇨병, 출혈 장애, 수술 후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8]전통의학에서는 향나무 열매가 여성 산아제한에 유용하다고 생각되었다.[15]
잠재적 독성
알레르기 반응이 가능하다.[8]다량의 향나무 열매를 섭취하면 카타르시스, 경련, 신장기능을 해칠 수 있다.[8]
역사
주니퍼스 페니키아와 주니퍼스 옥시세루스를 포함한 주니퍼스 베리가 여러 곳의 고대 이집트 무덤에서 발견되었다.J. 옥시세드루스는 이집트에서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으며, 투탕카멘 무덤에서 J. 옥시세드루스와 함께 발견된 주니페루스 엑셀사 역시 그렇지 않다.[18]이집트로 수입된 베리들은 그리스에서 왔을지도 모른다; 그리스인들은 음식에 사용하는 것을 언급하기 훨씬 전에 향나무 베리를 약으로 사용했다.[19]그리스인들은 베리들이 운동선수들의 체력을 향상시킨다고 믿었기 때문에 많은 올림픽 경기에서 베리들을 사용했다.[20]로마인들은 인도에서 수입된 값비싼 후추와 긴 후추를 대신하여 국내에서 생산되는 값싼 후추 열매를 사용했다.[5]그것은 또한 노인 자연사 플리니에서 보도된 바와 같이, "피퍼는 후추의 풍미를 가정한 경이로운 정도의 [21]향나무 열매와 혼합되어 있다." 플리니도 "우리 향나무와 매우 비슷한 모양"의 나무에서 흑고추가 자랐다고 잘못 주장했다.
참조
- ^ a b c d Ciesla, William M (1998). Non-wood forest products from conifer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ISBN 978-92-5-104212-0.8장: 씨앗, 과일, 그리고 콩.2006년 7월 27일 회수.
- ^ "Kadoksissa ollut juomaresepti löytyi – kuusenkerkästä tehdään muutakin kuin siirappia". Yle Uutiset (in Finnish). 6 June 2016. Retrieved 2021-08-08.
- ^ a b Farjon, A. (2005). A Monograph of Cupressaceae and Sciadopityaceae. Royal Botanic Gardens, Kew. pp. 228–400. ISBN 978-1-84246-068-9.
- ^ Adams, R. P. (2004). Junipers of the World: The genus Juniperus. Trafford. ISBN 978-1-4120-4250-5.
- ^ a b c Dalby, A. (2002). Dangerous Tastes: The Story of Spic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33. ISBN 978-0-520-23674-5.
- ^ Peattie, D., & Landacre, P. H. (1991). A Natural History of Western Trees. Houghton Mifflin. p. 226. ISBN 978-0-395-58175-9.
{{cite book}}
: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 ^ Grieve, M. (1984). A Modern Herbal. Penguin. ISBN 978-0-14-046440-5.
- ^ a b c d e f g h "Juniper". Drugs.com. 22 November 2021. Retrieved 25 March 2022.
- ^ McGee, Harold (2004). On Food and Cooking (Revised ed.). Scribner. p. 410. ISBN 978-0-684-80001-1.
- ^ Montagne, Prosper. The Concise Larousse Gastronomique. Octopus. p. 691. ISBN 978-0-600-60863-9.
- ^ Steingarten, Jeffrey (1997). "True Choucroute". The Man Who Ate Everything. Vintage Books. p. 244. ISBN 978-0-375-70202-0. 그 장은 1989년에 처음 출판된 에세이다.
- ^ 잭슨, 마이클(1995)적당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땀을 흘리다.마이클 잭슨의 맥주 헌터.2006년 7월 30일 회수.
- ^ 벤드 증류소.Cascade Mountain Gin 2011-07-07 웨이백 머신에 보관.벤드 증류소.2010년 12월 10일 검색됨
- ^ Peattie, Donald; Paul (1991). A Natural History of Western Trees. Houghton Mifflin Field Guides. p. 226. ISBN 978-0-395-58175-9.
- ^ a b c Moerman, Daniel E (1998). Native American Ethnobotany. Timber Press. pp. 282–90. ISBN 978-0-88192-453-4.
- ^ "Title 21, Chapter I, Subchapter B, Part 182, Electronic Code of Federal Regulations – Substance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GRAS); section §182.20 Essential oils, oleoresins (solvent-free), and natural extractives (including distillates)". U.S.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3 May 2017. Retrieved 5 May 2017.
- ^ Barnes, Joanne; Anderson, Linda A.; Phillipson, J. David (2007). Herbal Medicines (3rd ed.). Pharmaceutical Press. p. 386. ISBN 978-0-85369-623-0.
There is a lack of clinical research assessing the efficacy and safety of juniper. There is evidence that the berries are abortifacient and since this is believed not to be due to the oil there must be other toxic constituents present. In view of this, use of juniper should not exceed levels specified in food legislation. Juniper is contra-indicated during pregnancy and should not be used during lactation. [...] There is a lack of clinical safety and toxicity data for juniper and further investigation of these aspects is required.
- ^ Manniche, Lisa (1999). Sacred Luxuries: Fragrance, Aromatherapy, and Cosmetics in Ancient Egypt. Cornell University Press. p. 21. ISBN 978-0-8014-3720-5.
- ^ Dalby, Andrew (1997). Siren Feasts: A History of Food and Gastronomy in Greece. Routledge. p. 142. ISBN 978-0-415-15657-8.
- ^ 제임스, 로만(1997년) 그리스 생활.그레고리 하우스: 뉴욕 76-77
- ^ 보스토크와 라일리의 1855년 번역본에서.온라인으로 문자 보내기.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쥬니퍼스 콘과 관련된 미디어를 보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