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해니크
Michael Haneke마이클 해니크 | |
---|---|
![]() | |
태어난 | 독일 뮌헨 | ) 1942년 3월 23일
국적 | 오스트리아의 |
직업 | 영화 감독, 시나리오 작가 |
배우자 | 수잔 해니케 (m. 1983) |
마이클 해네케(독일어: [ˈhaːnəkə]; 1942년 3월 23일 출생)는 오스트리아의 영화 감독 겸 시나리오 작가다.그의 작품은 종종 사회적 이슈를 살펴보고 현대 사회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소외감의 감정을 묘사한다.[1]헤네케는 프랑스어, 독일어, 영어로 영화를 만들었고 영화뿐만 아니라 텔레비전과 극장에서 일했다.그는 또한 영화 아카데미 비엔나에서 영화 방향을 가르친다.
감독 데뷔작인 제7대륙은 1989년 로카르노 국제영화제에서 청동표범을 수상했다.이후 2001년 칸 영화제에서 '피아노 교사'로 그랑프리, 2005년 칸 영화제에서 '카체'로 감독상을 받았다.이후 그는 논란이 많은 1997년 영화 'Funny Games'의 2007년 리메이크 감독을 맡았다.
2009년 칸 영화제에서 그의 영화 "하얀 리본"이 황금종려상을 수상했고, 제67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이 영화는 골든 글로브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다.2012년 그의 영화 아모르가 초연되어 2012년 칸 영화제에 경쟁하였다.이 영화는 황금종려상을 수상하기 위해 계속되어 3년 만에 두 번째 수상자가 될 것이다; 이것은 그를 두 번 수상한 일곱 번째 감독이자 이것을 성취한 유일한 오스트리아 감독으로 만들었다.[2]이 영화는 최우수 작품상, 최우수 감독상, 최우수 각본상, 최우수 여우주연상 등 5개의 아카데미상 후보에 올랐으며, 최우수 외국어 영화 부문에서 수상했다.
2013년 하네케는 아스투리아스의 왕자상을 예술로 수상했다.그의 12번째이자 가장 최근작인 해피엔드가 2017년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 후보에 올랐다.
인생과 경력
하네케는 독일의 배우 겸 감독 프리츠 하네케와 오스트리아의 여배우 베아트릭스 폰 데겐차일드의 이다 그의 의붓아버지인 작곡가 Alexander Steinbrecher 는 후에 배우 크리스토프 왈츠의 어머니와 결혼했다.[3]하네케는 오스트리아의 비에너 노우스타트 시에서 자랐다.
헤네케는 문학과 음악에 강한 관심을 보였지만, 사춘기가 되면서 "어떤 형태의 학교든 완전히 경멸"[4]하게 되었다.이 기간 동안 그는 후에 자신을 "거부자"라고 표현했다.그는 비엔나에서 열린 막스 라인하르트 세미나에서 입학 시험에 떨어진 후, 나중에 이러한 계획을 포기하면서, 젊은 시절에 배우가 되고자 하는 야망을 가지고 있었다.[5]이후 비엔나 대학에 진학해 철학, 심리학, 연극 등을 공부했다.헌신적인 학생이 아니라, 그는 대부분의 시간을 지역 극장에서 보낼 것이다.[6]대학을 졸업한 후, 그는 이상한 직업을 갖기 시작했고, 1967년부터 1970년까지 독일 남서부의 텔레비전 방송국 쉬드웨스트펑크에서 편집자와 극작가로 일했으며, 그 기간 동안 그는 영화 평론가로도 일했다.1974년 텔레비전 감독으로 데뷔했다.
하네케의 장편 영화 데뷔작은 1989년작 <제7대륙>으로, 만년에 피어나게 될 폭력적이고 대담한 스타일을 추적하는 역할을 했다.3년 뒤 논란이 된 베니의 비디오는 해니케의 이름을 지도에 올렸다.Haneke는 2001년에 비판적으로 성공한 프랑스 영화 "The Piano Teacher"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2001년 칸 영화제에서 권위 있는 대상을 받았으며, 또한 스타인 베누아트 마기멜과 이사벨 후퍼트도 남우주연상을 받았다.그는 줄리엣 비노체(2000년 코드 무명, 2005년 카셰)와 함께 일한 적이 있다.[7]하네케는 실제 부부인 울리히 뷔헤와 수잔 로타르와 각각 세 배씩 자주 함께 일했다.
그의 영화 '하얀 리본'은 2009년 칸 영화제에서 초연되어 황금종려상을 받았다.1913년을 배경으로 한 이 영화는 북독의 작은 마을에서 이상한 사건들을 다루는데, 권위주의적이고 파시스트적인 분위기를 묘사하고 있는데, 아이들은 경직된 규칙에 시달리며 가혹한 처벌을 받고, 이상한 죽음이 일어나는 곳이다.2012년, 그의 영화 '아무르'는 황금종려상을 받기도 했다.
해니케는 영화가 관객들에게 상상력과 자기반성을 위한 공간을 더 많이 제공해야 한다고 말한다.너무 세밀하고 도덕적인 명료성을 지닌 영화들은 그들의 시청자들에 의해 무념의 소비로 이용된다고 하니크는 말한다.[8]
그의 2012년 영화 아머는 최우수 외국어 오스카상을 수상했고 제85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우수 작품상 후보에 올랐다.[9]2013년에는 다큐멘터리 영화 마이클 H – 직업의 주제가 되었다. 감독님.[10][11]그 해, 하네케는 아스투리아스의 왕자상을 예술로 수상했다.
2017년 그의 열두 번째 영화 '해피엔드'가 제70회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 후보에 올랐다.
무대 작업
하네케는 독일어로 여러 무대 작품들을 연출했는데, 여기에는 베를린, 뮌헨, 비엔나에서 스트린드베르크, 괴테,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의 작품들이 포함되어 있다.2006년 그는 오페라 감독으로 데뷔하여 극장 총지배인이 제라드 모티어였을 때 팔레 가니에에서 오페라 국립 드 파리의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를 무대에 올렸다.2012년, 그는 뉴욕시립오페라단의 코제 팬투테를 지휘할 예정이었다.[12]이 작품은 당초 위르겐 플림 감독이 2009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을 위해 의뢰한 작품이었으나, 하네케 감독은 병으로 작품을 준비하지 못해 사임해야 했다.하네케는 2013년 마드리드 테아트로 레알에서 이 제작을 실감했다.[13]
필모그래피
장편 영화
TV 영화
- ...Und가 Kommt Danach였나? (리버풀 이후, 1974년) - (James Sunders의 연극을 바탕으로)
- Drei Wege zum See (Three Paths to the Lake, 1976년) - (Ingeborg Bachmann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함)
- 슈프르뮐 (가정의 쓰레기, 1976년)
- 레민게, 테일 1: 아르카디엔 (레밍스, 1부: 아르카디아, 1979년)
- 레민게, 테일 2: 베를레츠웅엔(레밍스, 제2부: 부상, 1979년)
- 변동(1983)
- Wer war Edgar Allan? (Edgar Allan은 누구였나?, 1984년) - (Peter Rosei의 소설에 근거)
- 프롤레인 (Miss, 1986)
- 나흐루프 퓌른 뫼르데르(살인자의 부고, 1991년)
- 다이 반란 (The Reviation, 1992년) — (요셉 로스 (Joseph Roth)의 반란에 근거)
- Das Schlo ( (The Castle, 1997) — (Franz Kafka의 The Castle을 바탕으로 함)
- 켈빈 책(TBA)[14]
단편 영화
- 루미에르와 컴퍼니(1995) (세그먼트 "마이클 하네케/비엔느")
참고 문헌 목록
- 캐서린 휘틀리:마이클 해니크의 시네마: The Ethich of the Image, New York: Berghan Books, 2009, ISBN1-84545-722-6검토
- 마이클 해니크오스트리아 현대 문학 특별호. 2010년 43.2.
- 알렉산더 D.오르넬라 / 스테파니 크나우스(ed.): 매혹적일 정도로 방해. Michael Haneke's Cinema, Eugene, Pickwick, 2010, ISBN 978-1-606-08624-7.
참조
- ^ Wray, John (23 September 2007). "Minister of Fear". The New York Times Magazine. Retrieved 21 August 2007.
Making waves, however, is what Haneke has become famous for.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 director has developed a reputation for stark, often brutal films that place the viewer – sometimes subtly, sometimes explicitly – in the uncomfortable role of accomplice to the crimes playing out on-screen. This approach has made Haneke one of contemporary cinema's most reviled and revered figures, earning him everything from accusations of obscenity to a retrospective at the Museum of Modern Art. Funny Games, the movie Haneke was shooting in New York and Long Island, is the American remake of a highly controversial film by the same name that he directed in 1997.
- ^ "Awards 2012". Cannes Festival. Retrieved 27 May 2012.
- ^ 두 번째 결혼에서 작곡가 알렉산더 스타인브레셔는 데겐차일드와 결혼했다.그녀가 죽은 후 그는 왈츠의 어머니인 엘리자베스우르반치 ]와 결혼했다.그래서 스타인브레처는 헤네케와 왈츠의 양아버지다.
- ^ "Haneke über Haneke" (PDF).
- ^ Rouyer, Cieutat, Phillippe, Michel (2013). Haneke par Haneke. France: Alexander. pp. 17, 18, 22, 24, 28, 29. ISBN 978-3895812972.
- ^ "Interview with Michael Haneke". YouTub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December 2021.
- ^ "Sight & Sound Code Unknown (2000)". BFI. 8 July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August 2012. Retrieved 22 January 2014.
- ^ "Michael Haneke Interviewed by Alexander Kluge – News und Stories (eng subtitles by dctp)". ProSiebenSat.1 Media. 23 June 2008. Retrieved 28 May 2012.[죽은 유튜브 링크]
- ^ "Oscars: Hollywood announces 85th Academy Award nominations". BBC News. 10 January 2013. Retrieved 10 January 2013.
- ^ Bradshaw, Peter (14 March 2013). "Michael H – Profession: Director". The Guardian. London. Retrieved 15 March 2013.
- ^ "Michael H., Profession: Director". Timeout. Retrieved 15 March 2013.
- ^ "Opera News > The Met Opera Guild". Metoperafamily.org. Retrieved 20 September 2011.
- ^ 2013년 3월 5일 뉴욕타임스 조지 루미스의 "Giving Così fan tutt a Little Extra Gravity"
- ^ Andreeva, Nellie (29 January 2018). "Michael Haneke To Create His First TV Series 'Kelvin's Book' For FremantleMedia's UFA Fiction". Deadline. Retrieved 12 July 2021.
외부 링크
![]() | Wikiquote는 다음과 관련된 인용구를 가지고 있다: Michael Haneke |
Wikimedia Commons의 Michael Haneke 관련 미디어
- IMDb의 Michael Haneke
- Luisa Zielinski (Winter 2014). "Michael Haneke, The Art of Screenwriting No. 5". Paris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