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미셸 아프라크

Michel Aflaq
미셸 아프라크
ميشيل عفلق
Michel Aflaq 1963.jpg
1963년 미셸 아프라크
이라크에 본부를 둔 바트당 국가사령부 사무총장
재직중
1968년 2월 8일 – 1989년 6월 23일
대리시블리 알아이사미
선행자직책정립
성공자사담 후세인
아랍사회주의 바트당 국가사령부 서기장
재직중
1954년 6월 – 1965년 4월
선행자직책정립
성공자무니프 알 라자즈
아랍 사회주의 바트당 국가사령부 소속 의원
재직중
1947년 4월 6일 – 1966년 2월 23일
개인내역
태어난1910년 1월 9일
다마스커스, 시리아 빌라예트, 오스만 시리아
죽은1989년 6월 23일 (79세)
프랑스 파리
휴게소바그다드이다.
시민권시리아, 이라크
정당아랍 바트 운동 (1940–1947)
아랍 사회당 (1947–1966)
이라크에 본부를 둔 바트당 (1968–1989)

미셸 아프라크(아랍어: يشلللل,,, 아랍어 발음: [miʃʃeːl ʕaflaq], 1910년 1월 9일~1989년 6월 23일)는 시리아 철학자, 사회학자, 아랍 민족주의자였다.그의 사상은 바아티즘의 발전과 그 정치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몇몇 바아티스트들로부터 바아티스트 사상의 주요 창시자로 여겨진다.그는 생전에 다양한 책을 출간했는데,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한 가지 운명위한 투쟁>(1958)과 <아랍 혁명 운동을 왜곡하는 투쟁>(1975)이다.

시리아 다마스쿠스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난 아프라크는 소르본느에서 공부했는데 그곳에서 미래의 정치적 동반자인 살라 알딘비타르를 만났다.1932년 시리아로 돌아와 공산정치에 정치활동을 시작했다.아프라크는 공산주의 운동가가 되었지만 시리아-레반 공산당시리아 프랑스령 아래 인민전선을 통해 식민지 정책을 지원하면서 공산주의 운동과 인연을 끊었다.이후 1940년 아프라크와 알 비타르는 아랍 이히아 운동(자신의 이름을 아랍 바트 운동으로 바꾸고, 같은 이름으로 자키 알 아르수지그룹에서 이름을 따옴)을 창설했다.이 운동은 성공적임이 증명되었고, 1947년 아랍 바트 운동은 알 아르수지의 아랍 바트 조직과 합병하여 아랍 바트당을 창당하였다.아프라크는 당 집행위원에 선출되어 '아미드'(당 대표라는 뜻)로 선출되었다.

아랍 바트당은 아크람 알-하워라니아랍 사회당과 통합하여 1952년 아랍 사회주의 바트당을 창당하였고, 아프라크는 1954년 당수로 선출되었다.1950년대 중후반, 이집트의 대통령 가말 압델 나세르와 관계를 발전시키기 시작했고, 결국 아랍 연합 공화국(UAR)을 수립하게 되었다.나세르는 아프라크에게 정당 해산을 강요했고, 그는 그렇게 했지만, 당원들과 상의는 하지 않았다.아랍에미리트(UAR) 해체 직후 아프라크는 바트당 국가사령부 사무총장에 재선됐다.3월 8일 혁명에 이어 아프라크는 1965년 당 대표직에서 물러날 정도로 당내 입지가 약해졌다.아프라크는 1966년 시리아 쿠데타 때 축출되어 바트당 내의 분열로 이어졌다.그는 레바논으로 탈출했지만, 나중에 이라크로 갔다.1968년 아프라크는 이라크 주도의 바트당의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었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그는 사실상의 권력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그는 1989년 6월 23일 사망할 때까지 그 직책을 맡았다.

바아티즘으로 통칭되는 아프라크의 사회, 경제, 정치에 관한 이론은 아랍세계를 하나의 아랍국가로 통일해야 선진적인 발전국가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그는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모두를 비판했으며, 칼 마르크스변증법적 물질주의를 유일한 진리로 보는 관점을 비판하였다.바아티스트 사상은 자유와 아랍 사회주의, 즉 아랍의 특성을 가진 사회주의에 많은 중점을 두었는데, 이는 서구에서 정의한 국제 사회주의 운동의 일부가 아니었다.아프라크는 국가와 종교의 분리를 믿었고, 세속화의 강한 신봉자였지만 무신론에 반대했다.기독교인이지만 그는 이슬람이 "아랍의 천재"의 증거라고 믿었다.1966년 바트당이 분열된 여파로 시리아 주도의 바트당은 아프라크가 알 아르수지의 사상을 훔쳤다고 비난하며 그를 '도둑'이라고 불렀다.이라크가 주도하는 바트당은 이를 거부하고 알 아르수지가 바아티스트 사상에 기여했다고 믿지 않는다.

초기 생활: 1910-1939년

1910년 1월 9일 다마스쿠스에서 중산층 그리스 정교회 기독교 가정인 [1]아버지 요셉이 곡물 상인으로 일하면서 태어났다.아프라크는 프랑스령 시리아의 서구화된 학교에서 처음 교육을 받았다.[2]1929년 파리의 소르본느에서 철학을 공부하기 위해 시리아를 떠났다.그의 체류 기간 동안 아프라크는 앙리 베르그손의 작품에 영향을 받았으며, 시리아 민족주의자인 그의 오랜 협력자 살라 알딘 알 비타르를 만났다.[3]아프라크는 소르본느에 아랍 학생 연합을 창설하고, 칼 마르크스의 글을 발견했다.1932년 시리아로 돌아와 공산정치에 적극 나섰으나 프랑스 공산당(FCP)의 지원을 받은 레온블룸 정부가 프랑스의 옛 정치를 식민지를 향해 계속하자 운동을 떠났다.아프라크 등은 FCP가 프랑스 식민지에 대한 친독립 정책을 따랐다고 믿었었다.시리아-레반 공산당(SLCP)이 FCP의 결정을 지지한 것은 도움이 되지 않았다.아프라크는 그때부터 공산주의 운동을 소련의 도구로 보았다.[4]그는 안툰 사데시리아 사회 국민당의 조직과 이념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2]

아랍 바트 운동: 1940-1947

1930년대 후반에 본 아프라크

시리아로 돌아오자 아프라크와 알 비타르는 "시리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중등학교"인 타지히즈 올룰라의 교사가 되었다.아프라크는 역사를 가르쳤고, 알 비타르는 수학과 물리학을 가르쳤다.1940년까지 아프라크와 알 비타르는 가까스로 학생회를 설립했는데, 보통 금요일에 모임을 갖는다.그해 아프라크와 알 비타르에 의해 정당인 아랍 이하 운동이 성립되었다.그들은 1941년 대부분의 여가 시간을 당을 위해 투쟁하는데 사용했다.아프라크가 '연극적 일시정지'를 활용해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었던 '강력한 연설가'로서의 기량을 보여준 것은 1942년이다.[5]중동을 휩쓸고 있는 급진적인 변화를 나타내기 위해 그 당명을 아랍 바트 운동으로 바꾸었다. 라시드 알리 알-가일라니 이라크 총리는 영국의 이라크 지배에 도전했다.부활이라는 단어를 '바앗'(아랍어: بعث, 문자 그대로 부활/재활을 의미함)으로 바꾼 것은 아랍 부흥이 이념적으로 아랍의 부활의 필요성에 의해 대체되었음을 나타낸다.명칭 변경으로 아랍 바트당의 지도자자키아르수지가 아프라크와 알 비타르를 자기 당의 이름을 빼앗았다고 비난하게 되었다.비록 두 사람 모두 아랍 민족주의자의 입장에 근거한 당론을 선전하고 있었지만, 아프라크와 알-아르수지는 치열한 경쟁자가 되었다.[6]

1942년 10월 24일 아프라크와 알 비타르 모두 교직에서 물러났고, 이제 정치 투쟁에 온전히 전념할 작정이었다.[5]1941년 라시드 알리 알-가일라니 주도의 이라크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영-이라크 전쟁 당시 영국의 침략에 대항하기 위해 시리아 지원위원회가 설립되었다.[7]다른 아랍 바트 운동의 지도자인 알 아르수지는 새로운 위원회에 회의적이었고, 어차피 질 것이라는 이유로 이라크인들을 돕는 것에 반대했다.[8]1941년 이 운동은 "아랍 이하 운동"이라는 이름으로 문서를 출판하기 시작했다.이후 1945년 아프라크와 알 비타르는 프랑스 위임통치당국에 이 운동에 정당면허를 부여해 줄 것을 요청했다.아랍 바트 운동은 알 아르수지의 아랍 바트 운동과 합쳐져 아랍 바트당을 찾은 1947년이 되어서야 공식 정당이 되었다.[9]아프라크와 알 비타르가 주도한 아랍 바트 운동은 알 아르수지의 바트 운동 지지자들을 끌어 모았다. 1940년대 알 아르수지는 대중 앞에서 자신을 은둔하기 시작했고, 다른 사람들에 대한 깊은 불신을 키웠고 편집증적 존재가 되었다고 그의 동료들은 말했다.[10]두 바트 운동이 병합되어 1947년에 아랍 바트당을 창당했을 때, 유일한 주제는 사회주의가 얼마나 포함되어야 하는가에 관한 것이었다; 알 아르수지의 와히브 알-가님잘랄 알-사이야드는 바트 운동이 이끄는 바트 운동은 아프라크와 알-비타르가 보다 급진적인 사회주의 정책을 채택하기를 원했다.[11]

초기 정치 경력 및 UAR: 1947-1963

창립 및 초기

아랍 바트당의 첫 번째 회의는 1947년 다마스쿠스에서 열렸다.[12]아프라크는 '도옌' 또는 '리더'[13]로 번역되는 아미드의 탁월한 지위를 차지했고, 4명으로 구성된 집행위원회에 선출되었다.의회에서 채택된 헌법에 따르면, 이로써 그는 조직 내에서 막강한 권한을 가진 당의 효과적인 지도자가 되었고, 알 비타르는 국가 사령부의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었다.아랍 바아트의 지도자 자키아르수지는 당에 어떠한 직책도, 즉 당에 입당하지도 않았다.[11]아프라크 as 아미드는 이념 문제를 책임지고 당의 멘토가 되었고, 알 비타르는 당의 일상 경영을 통제했다.[14]알-아르츠지가 이끄는 바트당의 몇몇 당원들은 더 좌편향적이어서 나중에 아프라크의 당수 시절에는 그의 지도력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 될 것이다.[15]

1940년대 후반 아프라크와 알 비타르는 바아티스트 사상에 대해 무료 강습을 하였고, 1948년 신문 알바아트(영어: revirth/resurration)를 설립하였다.아프라크는 시리아의 초기 패배 이후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동안 바트당의 힘을 시험했다. 그는 슈크리 알-쿠와틀리 대통령이 이끄는 정부를 상대로 여러 차례 시위를 이끌었다.그는 개인적으로 시위를 주도했고, 토지 소유주인 알 쿠와틀리는 부패하고 자본주의적인 정치가로 시리아군의 패배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아프라크는 알-쿠와틀리의 사임을 요구했고, 그의 대통령직과 그의 총리인 자밀 마르담 비이를 비판하는 몇 편의 기사를 썼다.[14]아프라크는 이후 알-쿠와틀리 총리의 지시로 체포되었다.[16]알-쿠왈리 정부는 군 장교 후스니 알-자임이 이끄는 쿠데타로 몰락했다.알자임은 시리아가 아직 자유민주주의를 수립할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모든 정당을 금지했다.석방된 아프라크는 알 자이름 대통령 재임 중 재위임되어 악명 높은 메제 교도소로 보내졌다.알자임의 통치는 오래가지 못했고, 1949년 8월, 그는 쓰러졌고, 민주적으로 선출된 하심아타시가 그의 자리를 대신했다.알-아타시는 국민통합정부를 수립했고 아프라크는 그가 유일하게 맡게 될 교육부 장관직에 임명되었다. 그는 1949년 8월부터 12월까지 그 자리를 지켰다.알 아타시의 대통령직도 그리 오래 지속되지 못했고, 1951년 아디브 시샤클리가 군사 쿠데타로 정권을 잡았다.[17]

아프라크는 처음에는 자신과 바트당이 같은 아랍 민족주의 정서를 공유했기 때문에 시샤클리와 협력할 수 있다고 믿고 새 정부에 대한 지지를 확대했다.시샤클리에 대한 그의 분석은 틀린 것으로 판명되었고, 통치자로서의 시샤클리의 첫 번째 결정 중 하나는 바트당을 포함한 모든 정당을 금지하는 것이었다.[17]바트당 지도부와 몇몇 주요 당원들은 정부 탄압이 증가하자 레바논으로 탈출했다.레바논에서 아프라크와 알 비타르는 1952년 아크람하와니가 이끄는 아랍 바트당과 아랍 사회당(ASP)의 합당에 합의했다.[18]새로 결성된 이 정당은 시샬리의 통치인 아프라크에 대항하는 작전기지로 활동했고, 나머지는 비바아티스트 야당 세력과도 협력했다.시샤클리는 1954년 2월에 쓰러졌다.[17]

권력 정치: 1954-1963

Aflaq (front row, first from right) with the leaders of the 14 July 1958 revolution in Iraq, including Khaled al-Naqshabendi (front row, left), Abd as-Salam Arif (back row, second from left), Abd al-Karim Qasim (back row, third from left) and Muhammad Najib ar-Ruba'i (back row, fifth from left).

시리아는 알 시샤클리의 타도에 이어 5년 만에 처음으로 민주 선거를 치렀다.아프라크, 알 비타르, 알 하와니가 이끄는 바트당에는 22명의 의원이 선출되었다.[note 1]이러한 영향력의 증가는 대체로 알-하와니에 기인할 수 있다 – 몇몇 ASP 거점이 알-하와니의 존재 때문에 바트당에 투표했다.[19]이때쯤 아프라크는 당내 다수파인 알 하워니와 그의 지지자들에게 많은 권력을 빼앗기고 있었다.이를 증명하는 증거는 바트당이 시리아 공산당(SCP)과 공개적으로 협력하기로 한 결정이었는데 아프라크는 이에 반대했다.[20]아프라크는 당 제2차 전국대표대회에서 '당대표'에 해당하는 직함인 신설된 국가사령부의 당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었다.[3]

아랍 연합 공화국(UAR) 하에서는 아프라크가 나세르로부터 당 해산을 강요받자, 그 문제에 관한 의회를 소집하는 대신 스스로 당을 해산시켰다.[21]UAR은 바트당에게 참혹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바트당은 나세르 정부에 의해 크게 소외되었다.1958년 아랍의 지배적인 민족주의 운동이 될 위기에 처했던 바트 운동은 3년간의 나세르주의 통치 끝에 혼란에 빠졌다.[22]UAR 정부에서는 소수의 바아티스트만이 공직을 부여받았고, 알 하와니는 부통령이 되었고 알 비타르는 문화지도부 장관이 되었다.[23]대부분 젊은 의원들 중 몇몇은 아프라크가 이러한 상황에 대해 비난하였다; 1958년 국민회의와 상의 없이 당을 해산한 것은 그였다.하페즈아사드살라 자디드는 결국 시리아 바트 운동이 전멸하는 것을 막기 위해 군사위원회를 설립했다.[24]1959년 제3차 전국대표대회는 아프라크의 정당해산 결정을 지지했으나, 자디드가 당시 미지의 군사위원회를 대표하는 대의원이었던 1960년 전국대표대회는 이 결정을 번복하고 바트당의 재창당을 요구했다.의회는 또한 UAR을 내부에서 민주화함으로써 나세르와의 관계를 개선하기로 결정했다.알 하와니가 이끄는 당내 파벌은 시리아의 분리를 요구했다.[25]1961년 UAR이 해체되자 일부 회원들은 해산에 박수를 보냈고, 그 중에는 알 비타르도 있었다.[23]

1957년 함께 본 알 하와니와의 아프라크(오른쪽)

바트당은 1961년 선거에서 22석에서 20석을 차지했다.[26]4년 후인 1962년 아프라크는 홈스에서 제5차 의회를 소집했다.알 하와니는 초대받지 못했으며, 아프라크의 명령을 거역하고 있던 세포들과, UAR 기간 동안 나세르주의자가 된 바아티스트들은 회의에 초대되지 않았다.아프라크는 국가사령부의 사무총장으로 재선임되고 시리아 지역 바트 조직의 재설립을 명령했다.의회 기간 동안 아프라크와 군사위원회는 무함마드 엄란을 통해 처음으로 접촉했고, 위원회는 쿠데타를 일으킬 수 있도록 허가를 요청했고 아프라크는 음모를 지지했다.[27]바트당 이라크지역지부가 주도한 1963년 2월 이라크 쿠데타 성공에 따라 군사위원회는 나짐쿠르디의 대통령직에 반대하는 쿠데타를 일으키기 위해 성급하게 소집했다.1963년 출범한 군사 쿠데타인 3월 혁명 8기가 성공적임을 증명하고 시리아에 바아티스트 정부가 수립되었다.[28]음모를 꾸민 첫 번째 명령은 바아티스트와 나세르주의자로 전적으로 구성되며 처음부터 민간인이 아닌 군인에 의해 통제되는 국가혁명사령부 평의회(NCRC)를 창설하는 것이었다.[29]

투쟁: 1963-1968

시작: 1963-1964

집권 직후인 1963년 아프라크와 살라 자디드

바아티스트와 나세르파의 관계는 기껏해야 불편했다.이라크와 시리아에서 바트당이 정권을 잡으면서 나세르는 "망치와 안빌 사이"라고 표현했다.이라크와 시리아의 연합체 창설은 범아랍 지도자로서의 그의 신임을 약화시킬 것이다.[30]나세르는 그 당에 대해 격렬한 선전 공세를 펴기 시작했다; 아프라크는 "로마 황제"라는 꼭두각시로 조롱당하고 "키프로스 기독교인"[31]이라는 비난을 받은 무능력한 이론가로 해임되었다.몇몇 바트당 회의에서 아프라크는 순수한 분노로 응수했고, 반 나세르주의자가 되었다.아프라크는 자신이 맡은 포지션 때문에 나세르와 좋은 관계를 다시 맺을 기회가 있다고 여전히 믿고 있는 알 비타르와 사이가 틀어지게 되었다.[32]

나세르와의 결별은 바트당의 원래 지도부를 약화시켰고, 이는 다시 군사위원회에게 확대되는 여지를 주었다.집권 후 군사위원회는 이론적 지도를 찾았지만 (이전에는 늘 하던) 문제 해결을 위해 아프라크로 가는 대신 함무드슈피가 이끄는 당 마르크스파와 접촉했다.[33]시리아 바아티스트 지역회의에서는 군사위원회가 아프라크와 전통적 지도부에 대해 그들의 온건한 사회·경제 정책에 대해 똑같이 반기를 들고 있다는 것을 '증거'했다.군사위원회는 아프라크가 늙고 쇠약해졌다고 보고 권력에서 물러나는 데 혈안이 되어 있었다.아프라크는 1963년 10월 열린 제6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시리아와 이라크에서 각각 알 슈피와 알리 살리 알사디가 이끄는 마르크스주의 파벌이 다수파인 사무총장으로서 간신히 자리를 지킬 수 있었다.아프라크가 직면한 또 다른 문제는 그의 동료들 중 몇 명이 당직에 선출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알 비타르가 국가 사령부의 한 자리에 재선되지 않았다는 것이다.전통적인 민간지도부 대신 시리아 출신의 자디드와 아민하피즈, 이라크 출신의 아메드 하산바크르살리흐 마흐디 암마쉬가 국가사령부에 선출되는 등 군 장교로 구성된 새로운 지도부는 점차 커지고 있었다.군사위원회가 사실 민간인 지도부에서 바트당을 장악하고 있는 동안 그들은 그러한 비판에 민감했고, 사회주의 재건이 이루어지려면 민군 공생이 가장 중요하다고 이념 팸플릿에 명시했다.[34]바깥세상으로는 아프라크가 책임지고 있는 것 같았다.튀니지 신문 L'Action 튀니지[fr]의 표현에 따르면, "한 달 동안 두 번의 쿠데타를 일으킨 철학자"라고 한다.[35]

바트 운동은 세계의 나머지 사람들이 믿는 것처럼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고 있었다; 이라크 지방 지부는 이미 회원 자격을 잃기 시작하고 있었다.이라크군과 당의 무장세력인 국가수비대는 서로를 혐오했다.이라크 지역지부의 알 사디 지방장관은 11월 11일 몇몇 군 장교들과 온건한 바아티스트들에 의해 결국 스페인 마드리드로 유배되었다.[36]불안한 아프라크는 급히 시리아를 떠나 이라크 지역사령부를 해산하고, 국가사령부가 새로운 지역사령부가 선출될 때까지 이라크를 그 자리에서 통치할 것이라고 외쳤다.대다수의 이라크 군 장교들과 바아티스트들은 이를 환영하지 않았다. 기독교인이 이슬람 국가를 통치하는 것이 "무감각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라크 정세는 나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압둘 살람 아리프 이라크 대통령은 11월 18일 바트당을 상대로 쿠데타를 모의했고, 이 계획은 성공했다.나세르의 범아랍 프로젝트를 코너링하는 꿈은 끝났고, 대신 바아스 운동을 코너링하는 것은 나세르와 나세르파였다.이 소식을 들은 아프라크와 몇몇 바아티스트들은 시리아를 위해 이라크를 탈출했다.[37]

분열: 1964-1965

무함마드 엄란은 자신이 위원이었던 군사위원회와 사이가 틀어지게 된 후 아프라크가 이끄는 민간 지도부를 축출하고 바트당을 장악하려는 위원회의 비밀 계획에 대해 아프라크에게 말했다.얼마 지나지 않아 엄란은 아프라크 파벌을 지원했다는 이유로 스페인 대사로 추방되었다.[38]아프라크 대통령은 사무총장으로서 자신의 집무실을 소집하고 국가사령부에 지역사령부를 해산할 것을 요구하는 등 지도부에 가해진 위협에 대응했다.그는 그의 요청을 철회할 수 밖에 없었는데, 바트당 의원 대다수가 그러한 움직임에 반대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아프라크와 군사위원회 사이의 권력 다툼이 공개석상에서 이어졌다. 하지만 아프라크가 지고 있는 투쟁이었다.[38]이니셔티브가 반아플라크 세력과 함께 있다는 것은 처음부터 분명했다.[39]아프라크는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당규와 이에 대한 규정을 발동했다.이에 대항하기 위해, 군사 위원회는 자신들을 "지역주의자들"이라고 부르는 강력한 반아플라크 민간 파벌과 친분을 맺었는데, 이 단체는 1950년대에 아프라크의 명령대로 그들의 당 조직을 해체하지 않았다.[39]

1965년 3월 시리아 지역지부 지역회의는 중앙인 국가사령부에서 지역사령부로 권력을 이양했다.이때부터 지역사령부의 지방장관은 시리아의 당연직 국가원수로 여겨졌다.지방장관은 총리, 내각, 비서실장, 군 최고 지휘관들을 임명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아프라크는 일이 움직이는 방식에 동요하여 5월에 제8차 전국대표대회를 소집하여 그의 추종자들과 군사위원회의 추종자들 사이의 대결을 벌였다.하지만, 이것은 결코 결실을 맺지 못했다.레바논의 지브란 마달라니와 사우디의 알리 간남과 같은 국가사령부의 몇몇 민간 인사들은 그가 군사위원회를 너무 강하게 압박하면 시리아 지역 지부를 군부가 장악하게 되고, 그 후 바트당이—이라크 지역 브랑의 축출에 따라 이라크에서 일어났던 것처럼.그들의 걱정 때문에 아프라크는 침묵을 지켰다.그러나 놀랍게도, 그가 침묵을 지키는 것은 그가 시리아 출신 요르단 출신인 무니프라자즈에 의해 국가 사령부 장관직을 계승하면서 그의 지위를 잃게 되었다.그러나 아민하피즈가 아프라크의 진영으로 망명하면서 두 진영 사이의 권력은 의외로 재편되었다.다른 군 장교들과 대조적으로 알 하피즈는 당 안팎에서 거의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했다.[40]알 하피즈의 망명으로 아프라크의 파벌 내에서 활동이 되살아나 알 비타르와 엄란은 스페인에서 다시 가져와 새 정부를 구성하게 되었다.[41]

몰락: 1966-1968

1968년 아흐메드 하산바크르(왼쪽) 이라크 바트지부 지방장관(왼쪽)이 아프라크와 악수하고 있다.

아프라크의 후임 사무총장인 알 라자즈는 친아플라크파 출신이다.알 하페스의 망명으로 그는 국가사령부가 바트당의 데쥬르 통치 기구라고 명령했다.는 알비타르 총리, 엄란 국방장관, 만수르아트라시 국가혁명사령부 평의회 의장을 임명했고 알 하피즈는 시리아 대통령직을 유지했다.군사위원회의 강자인 살라 자디드는 엄란 지지자 몇 명을 체포하는 등 응수했다.엄란은 소수의 친자디드 관리들을 해임하는 것으로 응수했다.이들 해임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아흐마드 수웨이다니를 군 정보부 수장에서 장교로 해임한 것이다.[42]2월 23일 자디드와 하페즈아사드가 이끄는 쿠데타가 시리아 정부와 바트당 지도부를 전복시켰다.[43]아프라크는 시리아에서 추방되었고, 조국을 돌아오지 말라고 명령했다.아프라크는 다른 친아플라크 지지자들과 함께 정부 영빈관에 체포되어 구금되었다.[44]그해 8월 새 통치자들이 숙청을 시작했을 때 아프라크는 나심사파르얄라니와 말렉 바슈어의 도움을 받아 가까스로 탈출에 성공했고, 이는 절친한 친구나 동료들을 모두 신뢰하는 바람에 레바논 베이루트[45]피신하고 이후 브라질로 피신할 수 있었다.[46]

아프라크의 몰락은 바트당 내부의 분열을 야기했다. 그 당은 사실상 해체되었고 두 개의 바트당, 한 의 이라크 주도의 바트당, 그리고 한 개의 시리아 주도의 바트당이 설립되었다.시리아가 주도하는 정당은 자디드와 그의 지지자들에 의해 주도되었고 1940년 아랍 바아스의 창시자인 자키아르수지바아티스트 사상의 아버지라고 칭송한 반면, 아흐메드 하산 알 바크르와 사담 후세인이 이끄는 이라크 주도 정당은 여전히 아프라크를 바아티스트 사상의 창시자로 선언했다.[47]1966년 2월 친아플라크파를 몰아낸 쿠데타 이후 열린 제9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이라크 대표단은 시리아 바아티스트와 결별했다.이라크인들은 1968년 2월 베이루트에서 진정한 제9차 전국대표대회를 열고 아프라크 대통령을 국가사령부 사무총장으로 선출했다.[48][42]아프라크의 사무총장 선출은 알 비타르와의 마지막 결별임이 증명되었다; 의회가 소집되기 전에 알 비타르는 바트당을 탈당하고 바트주의 운동 전체를 포기했다고 발표했다.[49]

이라크 주도의 바트당: 1968-1989

미셸 아프라크는 1988년 사담 후세인과 대화했다.

아프라크는 1968년 2월 사무총장으로 재선된 후 바그다드로 이주했다.그는 1970년 9월 흑색 9월이 일어나기 전까지 그곳에 머물렀는데, 그는 바트 지도부가 분쟁 기간 동안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를 돕기 위해 너무 적은 일을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42]분쟁 기간 동안 아프라크는 야세르 아라파트와 PLO를 위해 광범위하게 로비를 벌였다.아프라크는 이라크의 개입을 원했다. 그러나 알 바크르는 이라크가 그러한 분쟁에 연루되는 것을 거부했다.이 때문에 아프라크는 스스로 레바논으로 망명했다.[42]하페즈아사드 시리아 정부는 1971년 아프라크가 부재중 사망했다고 비난했다.[7]

그가 죽을 때까지

레바논 내전이 발발하기 1년 전인 1974년 4년간의 자결된 망명자 아프라크가 이라크로 돌아왔다.[50]그는 이라크 정치에 참여하는 것을 자제했다.그는 이 기간 동안 여러 작품을 발표했는데,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1975년 아랍 혁명 운동을 왜곡하는 것에 반대하는 투쟁이다.아프라크는 1979년부터 2003년까지 사담 후세인 이라크 대통령과 친구가 되면서 영향력을 일부 회복했다.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이란 지도부는 후세인이 기독교인의 지배를 받고 있다고 비난했고 아프라크 자신도 '기독교 이교도'라는 꼬리표가 붙었다.[42]아프라크는 사실상 이라크에서 사무총장으로 재임하는 동안 바트 운동의 창시자로서 모든 명예를 누렸지만 정책 입안에서는 무시당했다.[50]

아프라크는 1989년 6월 23일 파리에서 심장 수술을 받은 후 사망했다.[7]

논쟁의 여지가 있는 이슬람으로의 개종

사담 후세인과 이즈트 이브라힘 ad-douri가 들고 있던 아프라크의 관

익명의 서방 외교관들에 따르면 사담 후세인은 아프라크가 죽기 전에 이슬람교로 개종했다고 주장했다.아프라크의 아들 이야드는 그의 아버지가 이미 1980년에 개종을 생각했다는 것을 확인했지만, 이 주장은 나중에 아프라크의 가족에[51] 의해 논란이 되었다.[52]그의 논쟁적인 개종과 동시에 그는 아흐마드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53]독일 오리엔탈리스트 마틴 로베와 게르하르트 홉에 따르면 개종은 1988년 이전에 일어났다.[54]그렇더라도 아프라크는 이슬람식 장례식을 치렀다.[50]버클리 센터에 있어서 아프라크의 논쟁적인 개종은 사담 후세인이 바아티즘과 기독교의 관계를 끊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로 그의 가족 구성원들에 의해 고려되고 있다.[55]후세인의 명령으로 세워진 이 무덤은 2003년 미국이 이라크를 침공한 이후 미국 군인들이 그린존 내에 주둔하고 있는 군대의 막사로 사용하게 되었다.[56][57]아프라크의 가족에 따르면, 이 무덤은 침략 중에 심하게 훼손되었다고 한다.[58]

메모리 및 레거시

1989년 그가 사망하자 그는 국장을 받았다.무덤묘소가 세워져 그를 위한 사당을 이루었다.이라크 건축가 차다게가 설계한 예술적 가치가 큰 작품으로 널리 평가받고 있는 이 무덤은 바트당 범아랍본부의 서쪽 운동장에 알 킨디 거리와 카디시야 고속도로 고가도로가 교차하는 곳에 위치해 있었다.2003년 이라크전쟁 때 그의 무덤이 파괴되었다는 소문과 비난이 있었지만, 그의 무덤과 그 위 건물은 그대로 남아 있었다.그것의 푸른 타일 돔은 캠프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콘크리트 T 벽 위로 볼 수 있다.[59][60][61][62]

생각했다

미셸 아프라크
시대20세기 철학
지역동방철학
학교바아티즘, 아랍 민족주의
주된 관심사
정치, 철학, 사회학, 민족주의, 언어학 역사
주목할 만한 아이디어
바아티즘( 비타르와 자키아르수지)의 주요 창시자, 하나의 운명위한 전투, 아랍 혁명의 운동을 왜곡하는 것에 대항하는 투쟁

"단일화, 자유, 사회주의

국가의 부흥과 그 혁명에 자신을 구속하는 것보다 더 넓고 위대한 자유가 어디 있겠는가?우리가 추구하는 자유는 봉건주의자, 자본가, 기회주의자들의 착취를 억제하기 위한 입법 조치들에 반대하지 않는다.압박과 혼란에 맞서는 것은 새롭고 엄격한 자유다.독재체제는 국민의 의식이 성장하지 못하게 하는 위태롭고 부적당하며 자기 모순적인 제도다.

Aflaq in a speech, talking about one of the key Ba'athist tenets; "freedom will come to the Arabs through unity [the establishment of the Arab Nation]"[63]

아랍사회주의 바트당 슬로건인 "단일성, 자유, 사회주의"는 아프라크와 바트주의 사상의 핵심 내용이다.통합은 아랍국민을 하나의 국가, 즉 아랍국가로 통일하는 것을 의미했다.아랍 국가의 탄생은 아랍의 발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 새로운 국가의 설립은 아랍 바트(문학적으로 "르네상스"라는 뜻)로 이어질 것이다.[2]그 시대의 아랍 국가들은 통일이 되지 않으면 점진적으로 "사퇴"할 수 있었을 뿐인데, 이 국가들은 "감정주의, 종파주의, 지역주의, 지적 반응주의"라는 다양한 질병들을 가지고 있었다.아프라크에 따르면 아랍 국가들을 "조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혁명 운동을 통해서였다고 한다.아프라크는 아랍 국가를 무기한 통치할 선봉대의 필요성을 느꼈다는 점에서 마르크스주의의 영향을 받았다(이 시기는 구에서 신기로의 전환일 것이다).[64]

자유에 대한 필요성은 바아티즘의 결정적인 특징 [65]중 하나였지만 자유민주주의에 의해 사용되는 의미로는 자유가 아니었다.[66]아프락은 사상의 다원주의를 강하게 신봉했지만 역설적으로 표 형식의 다원주의에 반대했다.[65]이론적으로 바트당은 무엇이 옳은지 알고 있었기 때문에 국민들과[66] 상의하지 않고 과도기적인 시기에 통치하고, 국민을 지도할 것이다.[67]

마지막 교훈인 '사회주의'는 서구에서 정의한 대로 사회주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아랍 사회주의라는 독특한 형태를 의미했다.아프라크는 자신의 변종인 사회주의를 위해 아랍 사회주의라는 단어를 만들었다.아프라크에 따르면 아랍세계에서 사회주의는 처음 무함마드의 지배하에 있었다고 한다.아랍 사회주의의 요점은 국가 통제가 얼마나 필요한지, 즉 경제적 평등이 어느 정도인지와 같은 질문에 대답하는 것이 아니라 아랍 사회주의는 아랍 국민들을 억압과 노예화로부터 해방시켜주는 제도였고, 이는 결국 독립적인 개인을 창조했다.[68]

아프라크는 변증법적 물질주의가 유일한 진리라는 마르크스의 견해에 반대했지만, '삶에서 물질적 경제 조건의 귀중함'은 현대사에서 가장 위대한 발견 중 하나라고 믿었다.[69]그렇더라도 아프라크는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모두에 비판적이었고 냉전 기간 동안 두 세력권 중 어느 쪽도 붕괴되는 것을 원치 않았다. - 냉전이 그들의 권력에 대한 견제와 균형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70]

이슬람의 역할

아프라크가 이슬람에서 본 것은 혁명운동이었다.다른 국적과 달리 아랍인의 각성과 팽창은 종교적인 메시지로 귀결되었다.이 때문에 아프라크는 아랍인의 영성이 이슬람과 직결되어 있다고 믿었고, 따라서 본질적으로 아랍인이고 본질적으로 그렇지 않은 것의 방정식에서 이슬람을 결코 빼낼 수 없다고 믿었다.아랍 민족주의는 이슬람이 무함마드 생전에 그랬던 것처럼 영적인 혁명 운동으로 아랍인들을 새로운 르네상스로 이끌었다.아랍 민족주의는 아랍 세계에 등장한 두 번째 혁명이었다.아프라크에 따르면 모든 아랍 종교 단체들은 종교적인 의미에서 이슬람을 숭배하지 않더라도 이슬람의 영성을 존중하고 숭배해야 한다. 아프라크는 이슬람을 숭배하는 기독교인이었다.[71]아프라크는 마호메트를 숭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는 생각하지 않았지만 모든 아랍인들이 마호메트를 모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믿었다.아프라크 자신의 말에 따르면 아랍인들은 "무함마드를 낳은 국가를 믿거나, 오히려 이 아랍 개인이 무함마드를 창조하는데 모든 노력을 기울인 공동체의 일원이기 때문에, 무함마드는 모든 아랍인이었으므로, 오늘날 모든 아랍인 무함마드를 만들자"고 했다.아프라크에 따르면, 무함마드 시대의 이슬람교도들은 아랍인들과 동의어라고 한다 – 아랍인들은 무함마드 생전에 이슬람의 메시지를 전하는 유일한 사람들이다.종교적 지도자였지만 정치적 지도자는 아니었던 예수와 대조적으로, 무함마드는 이슬람과 아랍 세계의 첫 지도자였다.따라서 세속화는 아랍세계에서 서양과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없었다.[72]

아프라크는 이슬람교도와 비무슬림 모두를 포함한 모든 아랍인들에게 이슬람교가 아랍 캐릭터를 창조하는데 있어 수행한 역할에 감탄할 것을 요구했다.그러나 그의 이슬람에 대한 견해는 순전히 영적인 것이었으며 아프라크는 이슬람이 국가와 사회에 "강제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아프라크는 바트당이 무신론에는 반대하지만, 또한 똑같이 근본주의에도 반대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그에게 있어서 어떤 근본주의도 '무례하고, 거짓된 믿음'을 상징했다.바아티스트 이념에 따르면 모든 종교는 평등했다.아프라크 대통령은 반국가주의적인 입장에도 불구하고 세속적인 정부의 강력한 지지자였으며 바아티스트 국가가 종교를 건국-아랍 민족주의-도덕-자유에 기초한 국가로 대체할 것이라고 밝혔다."[73]

레거시

아프라크의 이론적 기여는 엇갈린 반응에 부딪혔다.

푸아드 아자미는 아프라크가 실체가 없다고 비판하면서 "거의 300페이지에 달하는 텍스트는 무엇이 잘못되고 무엇이 필요한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지 못한다"면서 "아플라크는 단지 말로써 눈에 보이는 분노가 있을 뿐"이라며 "아플라크는 정권을 포기하고 '순수의 본질'로 돌아가라"고 말했다.이 비평에는 약간의 진실이 있다.아프라크는 아랍 국가의 미래, 과거, 그리고 아랍 세계가 어떻게 통일될 수 있는지에 대해 낙관적으로 글을 쓰는데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했다.공포 공화국의 저자인 카난 마키야(Kanan Makiya)로서는 다음과 같다. 현대 이라크 정치는 "아플라크, 현실은 당의 내부 세계에 국한되어 있다"고 지적했다.칼 마르크스나 존 로크 같은 다른 철학자들과는 대조적으로, 아프라크의 세계관에서는 인류의 물질주의적 또는 사회경제적 행동에 대해 뚜렷한 입장을 보이지 않는다.[74]다른 철학자들은 무엇이 진짜인지, 무엇이 진짜인지, 무엇이 진짜인지, 즉 규범적 분석과 서술적 분석 사이에서 구별을 하지만, 아프라크는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 규정하는 규칙으로서 하지 않았다.그의 생각으로는 둘 다 같은 범주로 형성되어 있는데, 그것은 성취할 수 있는 것이다.[75]

오랜 친구였던 살라 알 비타르와 달리 아프라크는 "정치적 삶에 다소 맞지 않는 몽상가"였다.[76]아프락은 동료들에 의해 "소박하고 꾸밈없는 삶을 사는 초자연적이고 수줍고 강렬한 모습"[77]이라고 묘사되었다.그는 자신의 목표를 스스로 또는 자신이 이끄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달성하는 대신 다른 사람들의 도움을 구했다는 비난을 받아왔다; 아프라크는 1958년에 가말 압델 나세르, 압드카림 카심, 압둘 라만 아리프와 협력했고, 1963년에는 아흐메드 하산바크르, 그리고 마침내 1970년대에 사담 후세인에게 협력했다.[77]몇몇 바아티스트들이 있는데, 대부분 시리아 주도의 바아티스트 당 출신이며, 이들은 아프라크가 원래 창시자인 자키아르수지로부터 바아티스트 이념을 훔쳤다고 믿고 있다.이 개인들은 아프라크가 "도둑"[78]이라고 비난하고 라벨을 붙였다.

그의 저술에서 아프라크는 언론자유와 그 밖의 인권과 하층계급에 대한 원조를 완강히 지지해 왔다.시리아에서 군사위원회의 점진적인 정권 장악 기간 동안 아프라크는 아프라크가 계획했던 민주주의 대신 군사독재체제의 수립으로 본 것에 반대하여 시위를 벌였다.[43]이러한 이상들은 그의 이념을 사용한 정부들에 의해 결코 실현되지 않았다.대부분의 학자들은 시리아의 아사드 정부와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 정부가 아프라크의 이념을 독재의 가식으로만 사용했다고 보고 있다.[79]

선택한 작품

  • في سبل ابث:(영어: On the Way of Restivation, 1947년 출판)
  • 이티하드 수리야미스르(영어:시리아와 이집트의 통일, 1958년 출판)
  • 마이라카트마시르와히드(영어:1958년 출판된 하나의 운명위한 전투)
  • 누크타트알비데이야(영어:시작점, 1971)
  • 알바앗와 알위다(영어:1972년 발간된 바아트와 아랍 통일)
  • 알바트 와 알 이쉬티라키야(영어:1973년 발간된 바트 앤 사회주의 (Ba'ath and Socialism)
  • 알-니달은 타슈웨 하라카트 알-타우라 알-아라비야(영어:1975년 발간된 아랍혁명운동 왜곡 반대 투쟁)

참고 및 참조

메모들

  1. ^ 아랍 사회당 바트당이 정확히 얼마나 많은 의석을 획득했는가는 낮은 16석부터 높은 22석까지 다양하다.
    • Abdulghani, Jasim (1984). Iraq & Iran: The Years of Crisis. Taylor & Francis. p. 28. ISBN 978-0801825194.
    • Beshara, Adel (2005). Lebanon: The Politics of Frustration – The Failed coup of 1961 (1 ed.). Routledge. p. 40. ISBN 978-0415351133.
    • Commins, Dean (2004). Historical Dictionary of Syria. Scarecrow Press. p. 66. ISBN 978-0810849341.

참조

  1. ^ 헬름스 1984, 페이지 64-65.
  2. ^ a b c 살렘 1994, 페이지 61.
  3. ^ a b 베네윅 & 그린 1988, 페이지 4.
  4. ^ 알리 2003, 페이지 110.
  5. ^ a b Seale 1990, 페이지 29.
  6. ^ Seale 1990, 페이지 30.
  7. ^ a b c 터커 2010, 페이지 30.
  8. ^ 커티스 1971 페이지 139.
  9. ^ 라빌 2006, 페이지 17.
  10. ^ 커티스 1971 페이지 138–139.
  11. ^ a b Seale 1990, 페이지 34.
  12. ^ 라비노비치 1972, 페이지 228.
  13. ^ 자벨 1966, 페이지 31.
  14. ^ a b 무바이드 2006 페이지 131.
  15. ^ 압둘가니 1984, 페이지 27.
  16. ^ 무바이드 2006년 131-132페이지.
  17. ^ a b c 무바이드 2006년 132페이지.
  18. ^ 조지 2003, 66-67페이지.
  19. ^ Commins 2004, 페이지 66.
  20. ^ 압둘가니 1984, 페이지 28.
  21. ^ Seale 1990, 페이지 98.
  22. ^ Seale 1990, 페이지 65.
  23. ^ a b 1990년 제국, 페이지 109.
  24. ^ Seale 1990, 페이지 61~62.
  25. ^ Seale 1990, 페이지 66.
  26. ^ 노를렌, 플로리안 & 하트만 2001, 221페이지.
  27. ^ Seale 1990, 페이지 75.
  28. ^ Seale 1990, 76-78 페이지.
  29. ^ Seale 1990, 페이지 78.
  30. ^ Seale 1990, 페이지 81.
  31. ^ Seale 1990, 페이지 81–82.
  32. ^ Seale 1990, 페이지 82.
  33. ^ Seale 1990, 페이지 86.
  34. ^ Seale 1990, 페이지 88.
  35. ^ Seale 1990, 페이지 90.
  36. ^ Seale 1990, 페이지 90–91.
  37. ^ Seale 1990, 페이지 91.
  38. ^ a b Seale 1990, 페이지 96.
  39. ^ a b Seale 1990, 페이지 97.
  40. ^ Seale 1990, 페이지 99.
  41. ^ Seale 1990, 페이지 100–101.
  42. ^ a b c d e 2006년 무바이드 347페이지
  43. ^ a b 무바이드 2006년 134페이지.
  44. ^ Seale 1990 페이지 102.
  45. ^ Seale 1990, 페이지 111.
  46. ^ Commins 2004, 페이지 26.
  47. ^ 벤지오 1998, 페이지 218.
  48. ^ 코스티너 1998, 페이지 36.
  49. ^ 1990년 제국, 페이지 110.
  50. ^ a b c 셰어 2006 페이지 39.
  51. ^ 해리스 1997 페이지 39.
  52. ^ 알라라비야그물을 치다
  53. ^ Böwering, Gerhard; Crone, Patricia; Mirza, Mahan, eds. (2013).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Islamic Political Thought (illustrated ed.).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22. ISBN 9780691134840.
  54. ^ 마틴 로베, 게르하르트 홉: Welt des 이슬람교 – 게시히테 und Alltag Einer 종교, 149페이지.우라니아베를라크, 라이프치히/제나/베를린 1988
  55. ^ "Michel Aflaq". Georgetown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uly 2013. Retrieved 21 December 2011.
  56. ^ Robertson, Campbell; Farrell, Stephen (31 December 2008). "Green Zone, Heart of U.S. Occupation, Reverts to Iraqi Control".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1 December 2011.
  57. ^ House Diggity (23 May 2006). "Foosball and Baathism". House in Iraq. Retrieved 3 March 2012.
  58. ^ Fisk, Robert (11 September 2009). "Saddam revisited as Iraq accuses Syria of sheltering Baathist bombers". The Independent. UK: Independent Print Limited. Retrieved 21 December 2011.
  59. ^ 미셸 아프라크 // 중동 백과사전2008년 10월 14일 아미 이세로프
  60. ^ 미셸 아프라크 // 카네기 국제평화를 위한 기부금의 비참한 사후세계.2014년 3월 10일 Aron Lund에 의해
  61. ^ 이라크와 시리아의 상징인 아프라크는 과거 // 글로벌 뉴스 저널을 공유했다.2009년 9월 20일 미스 라이언에 의해
  62. ^ 바트당의 창시자 미셸 아프라크에게 경의를 표하는 푸른 돔의 기념비.
  63. ^ 홉우드 1988, 페이지 87.
  64. ^ 살렘 1994 페이지 62.
  65. ^ a b 살렘 1994, 페이지 66-67.
  66. ^ a b 살렘 1994, 페이지 67–68].
  67. ^ 살렘 1994, 페이지 67.
  68. ^ 살렘 1994, 페이지 69–70.
  69. ^ 살렘 1994, 페이지 68.
  70. ^ 지나트 2010, 페이지 118.
  71. ^ 마키야 1998 페이지 198.
  72. ^ 마키야 1998쪽 198~199쪽
  73. ^ 해리스 1997, 페이지 33.
  74. ^ 마키야 1998 페이지 201.
  75. ^ 마키야 1998년 페이지 201-202.
  76. ^ 홉우드 1988, 페이지 88.
  77. ^ a b 베네윅 & 그린 1988, 페이지 5
  78. ^ 커티스 1971 페이지 138.
  79. ^ 터커 & 로버츠 2008 페이지 183.

참고 문헌 목록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