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파
Minimal wave최소파 | |
---|---|
문체적 기원 | |
문화적 기원 | 1970~1980년대 |
일반적인 기기 | 신시사이저, 드럼머신 |
기타 토픽 | |
최소 파형 레코드 |
미니멀 웨이브(minimal wave)는 뉴 웨이브, 다운된 일렉트로닉 또는 신시사이저 음악, 신스팝, 포스트 펑크,[1][2] 한파와 같은 불분명하고 비정형적인 장르의 예시로 구성된 광범위한 음악 분류입니다.대부분의 음악은 MIDI 이전의 전자적인 연주와 아이러니컬한 것보다는 진실된 [1]분리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미니멀 웨이브"라는 용어는 약간의 논쟁을 불러일으킨다.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반에 많은 미니멀 웨이브가 분류되었고 이후 부트레그와 일회성 컴필레이션에 등장했지만, 2000년대 [1]중반에 같은 이름의 음반사가 컴필레이션과 재발행을 시작하기 전까지 이 장르는 이름을 갖지 못했다.
배경과 어원
더 넓은 장면의 시네코체로서의 미니멀 웨이브는 많은 사람들에게 논쟁의 용어가 되어왔다.이 문구는 베로니카 바시카의 같은 이름의 복원 프로젝트/레코드 레이블에서 유래했지만, 바시카가 옹호한 모든 음악의 대역이 되었다.
—Timothy Gabriele of PopMatters, 2010[1]
미니멀 웨이브 레코드 레이블의 설립자인 베로니카 바시카는 이 장르 이름을 만들었다고 주장한다.그녀는 2009년 인터뷰에서 말했다.
80년대 초 네덜란드 잡지 모음을 가지고 있었는데 "미니멀 일렉트로닉스", "뉴 웨이브", "한파" 등의 용어를 계속 사용하고 있었습니다.저는 이 모든 음악을 포괄하는 용어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고, '미니 웨이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웹사이트를 등록했을 때,[3] 저는 이름을 등록할 수 있었습니다.
2009년 홍보 작품에서 바시카는 이 음악이 다른 여러 장르와 겹친다고 썼다. "미니멀 웨이브 장르는 MIDI 이전 전자 뉴 웨이브(1978-1985)의 뿌리에 대한 관심이 주로 북미, 유럽 및 일본에서 되살아난 결과 불과 몇 년 전에 형성되었다.이 음악은 밴드의 [2][failed verification]특정 스타일, 연도, 위치에 따라 미니멀 일렉트로닉, 미니멀 신스, 한파, 뉴웨이브, 테크노팝, 신스팝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그녀는 어둠의 조직의 오케스트라 기동, 디페쉬 모드의 Speak & Spere, John Foxx의 메타매틱, Kraftwerk의 The Man-Machine, Yellow Magic Orchestra의 솔리드 스테이트 서바이버 및 초기 휴먼 리그가 이 [2]장르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합니다.
전성기에, 음악의 인구 통계학은 전 세계에 하위 문화를 가지고 있었지만, 이러한 종류의 음악을 만드는 데 사용된 기계가 쉽게 이용 가능한 유럽(특히 영국)과 미국에서 가장 비판적이었다.팬진 CLEM(Contact List Of Electronic Musicians)은 인터넷을 사용하기 전에 이 장르에서 세계적인 음악가 커뮤니티를 만드는 데 도움을 주었다.그 장르의 많은 음악가들이 메일을 통해 [2][additional citation(s) needed]협업했다.
특성.
바시카에 따르면, 이 장르의 특징은 최소한의 음악 구조, 상대적으로 다듬어지지 않은 제작,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제조된 아날로그 신시사이저와 드럼 기계의 사용을 포함한다.악기 편곡은 "기계적인 박자"와 "짧은 반복 패턴"을 특징으로 하고, "눈에 띄게 합성된 드럼 프로그래밍과 세련되고 얇은 멜로디"를 포함하여 합성 소리의 인공성을 강조했다.보컬 편곡은 "인위성의 대척점"으로 작용했다.이 장르의 음악가들은 종종 미래주의나 구성주의 같은 아방가르드 운동과 공상과학 소설과 실존주의 [2]문학에 영향을 받았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c d Gabriele, Timothy (11 June 2010). "Various Artists: The Minimal Wave Tapes Volume One [review]". PopMatters.com. Retrieved 18 June 2010.
- ^ a b c d e Vasicka, Veronica (26 January 2010), "20 best: Minimal Wave", FACT magazine, retrieved 18 June 2010
- ^ Tantum, Bruce (1 December 2009). "A synth-obsessed label turns four". Time Out. Retrieved 28 February 2011.
외부 링크
- 최소 파형 레코드
- "Minimal Wave, Crate-diging for Unmark Jemes To Release" (미니멀 웨이브, 상자 파기) Timinal Mix Tapes, 2008년 9월.
- Eye On '09: Minimal Wave,[dead link] Nik Mercer, 2009년 1월 16일.
- V/A The Found Tapes 리뷰: A Compilation of Minimum Wave From North America '81-'87, 2008년 4월 1일 보스턴 피닉스의 프랭클린 브루노.
- 2008년 4월 28일, Jeff Klingman의 Riping Vylin, Part 2.
- 스테레오 리뷰 - Something In The Night, Intergalactic FM, 2009년 2월 12일.
- 미니멀 웨이브와 황금 80년대의 위대한 보물, MTN: The Innervisions Dossier, 2009년 9월 30일.
- Veronica Vasicka / Minimal Wave, Revel In New York, 2010년 1월
- Minimal Wave's Big Splash (미니멀 웨이브의 빅 스플래시) (인터뷰 매거진 2010년 9월 2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