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즈노 다다쿠니
Mizuno Tadakuni미즈노 다다쿠니 水野忠邦 | |
---|---|
![]() 현대 초상화 | |
태어난 | 1794년 7월 19일 |
죽은 | 1851년 3월 12일( | 56세)
국적. | 일본인입니다 |
직종. | 다이묘; 로주 |
미즈노 다다쿠니(미즈노 다다쿠니, 1794년 7월 19일 ~ 1851년 3월 12일)는 일본 에도 시대 말기의 다이묘로, 후에 도쿠가와 막부를 역임했다.그는 천보개혁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기
미즈노 다다쿠니는 가라쓰 번의 번주 미즈노 다다아키의 차남이다.형이 요절함에 따라 다다쿠니는 1805년 후계자가 되어 1807년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와 장래의 쇼군 도쿠가와 이에요시에게 정식으로 제수되었다.1812년, 아버지가 은퇴하자, 미즈노 가문의 수장이 되어 가라쓰 번의 다이묘가 되었다.그는 1816년 에도 성에서 소샤반으로 도쿠가와 막부에 입문했다.그러나 나가사키 항구의 치안 유지에 어려움이 가중되자, 1817년 다다쿠니는 가라쓰 번에서 도토미 국의 훨씬 작은 하마마쓰 번으로 이관할 것을 청원하였다.두 번 모두 공식적으로는 7만 석이었지만, 가라쓰 번의 유효 수입은 25만 3천 석이었지만, 하마마쓰 번의 유효 수입은 15만 3천 석에 불과했다.그 결과, 이 이관은 고참 신하들로부터 분노와 불신에 부딪혀 고참 신하에게 할복을 안겨주었지만, 다다쿠니는 만류하지 않았다.같은 해 막부 내에서 지샤부교(吉沙府京)의 직책을 받았다.
1825년 다다쿠니는 오사카 성대([1]大),城大)의 직책을 받고 하급 4급으로 승진하였다.이듬해(1826년) 교토 쇼시다이(京都正大)가 되어 교토 조정에 공식 대리인이 되었다.그의 호칭은 이즈미노카미에서 에치젠노카미로 바뀌었다.1828년 다다쿠니는 노주가 되었다.1839년 노주(老州)의 지위에 올라 노주( he州)가 되었다.
미즈노 다다쿠니는 막강한 정치력을 휘두르고, 덴포 개혁으로 알려진 수많은 회계법 통과에 의해 1832~36년 대템포 기근의 여파로 막부의 재정과 사회 통제에 대한 개혁을 시도했다.개혁은 에도시대 초기의 특징이었던 검소함과 소박함, 규율을 회복함으로써 경제를 안정시키려 했다.이것은 평민들에게 매우 인기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개혁의 또 다른 부분에는 에도 부근의 다이묘와 오사카 부근의 영지를 다른 곳에 동일한 양으로 양도함으로써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에 대한 도쿠가와 지배권을 공고히 하는 아게치 레이가 포함되었다.그러나, 이것은 모든 계급과 소득 수준의 다이묘들 사이에서도 매우 인기가 없었다.개혁의 총체적인 실패로 다다쿠니는 호감을 잃었다.1844년 5월, 에도 성은 불탔다.1845년 2월 22일, 관직에서 물러나고, 1845년 9월 2일, 데와 국 야마가타 번으로 유배되어 죽을 때까지 유배되었다.그는 1851년 3월 12일 유배에서 풀려났다는 소식이 전해지기 5일 전에 세상을 떠났다.도쿠가와 막부 말기에도 중요한 인물이었던 아들 미즈노 다다키요가 뒤를 이었다.
미즈노 다다쿠니는 와카도시요리이자 오바마 번의 다이묘인 사카이 다다유키의 딸과 결혼했다.
대중문화에서의 묘사
미즈노는 네무리 교시로 영화, TV 시리즈, TV 스페셜에서 자주 등장하는 인물로, 로쥬의 수석 장로를 맡고 있다.
메모들
- ^ 크로쿠어, E. 시드니(1997).야마무라 고조(山村光 ") 현대 일본 경제의 출현, 24쪽 "19세기의 경제 변화"
레퍼런스
- 볼리토, 해롤드 (1974년)인간들 사이에 보물.뉴헤이븐: 예일대학교 출판부.
- 사토, 헨리(1908).호타 경, 일본의 선구자 외교관입니다.도쿄: 하쿠분칸.
- -- (1891). Transactions of the Asiatic Society of Japan. n.p.
- Papinot, Edmond. (1906) Dictionnaire d'histoire et de géographie du japon. Tokyo: Librarie Sansaisha...Click link for digitized 1906 Nobiliaire du japon (2003)
- Yamamura, Kōzō. (1997). The Economic Emergence of Modern Japa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0-521-58946-0
- The content of much of this article was derived from that of the corresponding article on Japanese Wiki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