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틀렛 작전

Operation Gauntlet
건틀렛 작전
제2차 세계 대전 북극 전역
Demolition of wireless station at Spitzbergen, Operation Gauntlet, 1941 (22418716705).jpg
독일 무선국 철거
유형RAID
위치
78°45ºN 16°00°E/78.750°N 16.000°E/ 78.750, 16.000
계획된통합 운용
지휘자
객관적으로
  • 천연자원에 대한 독일인의 접근을 거부하다
  • 독일인의 일기예보 수신 방지
  • 현지 주민, 과학자 및 포로 송환
날짜.1941년 8월 25일 ~ 9월 3일 (1941-08-25 1941-09-03)
결과성공.
사상자없음.

건틀렛 작전(Operation Guntlet)은 제2차 세계대전 중 1941년 8월 25일부터 9월 3일까지 연합군의 연합 작전이다.캐나다군, 영국군, 자유노르웨이군스발바르 군도의 노르웨이 스피츠베르겐 에 상륙했다.

이 섬들의 탄광은 노르웨이 롱이어바이엔소련 바렌츠부르크에 의해 소유되고 운영되었다.양국 정부는 탄광의 파괴와 국민 대피에 동의했다.건틀렛의 목적은 독일이 스피츠베르겐의 석탄, 광업 및 해운 인프라, 장비 및 상점을 폐쇄하고 군도의 무선 방송국을 억압함으로써 독일 기상 보고를 받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건틀렛은 성공적이었고, 독일군은 원정에 대해 몰랐거나 도전할 수 없었고, 침략자들은 사상자가 없었고, 민간인들은 본국으로 송환되었고, 여러 척의 배가 상으로 받아들여졌고, 독일 군함 한 척이 귀환 도중에 침몰했다.

배경

스발바르 제도

스발바르 지형도

스발바르 군도는 노르웨이 북부와 북극 사이의 중간[650 mi (1,050 km)] 북극해에 있다.이 섬들은 산이 많고, 봉우리들은 영구히 눈으로 덮여있고, 일부는 빙하로 덮여있다.가파른 계곡의 바닥과 해안 평야에는 가끔 강변 테라스가 있다.겨울에는 눈이 섬을 덮고 만을 얼립니다.서쪽의 주요 섬인 스피츠베르겐에는 서쪽 해안을 따라 여러 개의 큰 피오드가 있습니다; 이스피요르덴의 폭은 최대 16km입니다.걸프류는 여름 동안 바다를 얼리지 않게 하면서 물을 따뜻하게 한다.롱이어바이엔바렌츠부르크(이스피요르덴 남쪽 해안가의 입구), 콩스피요르덴(킹스베이), 이스피요르덴 북쪽, 남쪽 반미젠피요르덴에 정착지가 있다.이 정착촌은 여러 나라의 식민지 개척자들을 끌어들였고 1920년 스발바르 조약은 섬을 무력화시켰고 참가국들의 광물권과 어업권을 인정했다.1939년 이전에 인구는 광업에 종사하는 노르웨이인과 러시아인 약 3,000명으로 구성되었다.유광은 케이블 선로 또는 레일로 해안과 연결되었고 여름 해빙 후 겨울에 버려진 석탄을 수거했다.1939년까지 생산량은 연간 약 508,023t(긴 톤은 2,240파운드, 1톤(미터)은 2,205파운드)로 노르웨이와 소련에 대략 [1]균등하게 분배되었다.

해군 작전

1940년 7월 25일부터 8월 9일까지, 히퍼 제독은 트론헤임에서 출발하여 트롬쇠에서 베어 섬과 스발바르(구 스피츠베르겐)까지 지역을 수색하고 페차모에서 돌아오는 영국 선박을 가로챘지만 핀란드 화물선 [2]한 척만을 발견했다.독일의 석탄 수출을 거부하기 위한 조치는 1940년 독일의 노르웨이 점령 직후 영국 전쟁 내각과 해군성에 의해 추진되었다.독일군의 군사작전에 유용한 코드 없는 일기예보를 제공하는 섬들의 무선방송을 금지하는 것도 바람직했다.1941년 6월 22일, 독일의 소련 침공인 바르바로사 작전 이후, 독일의 섬 점령은 북러시아로 [3]가는 북극 수송로를 위협할 수 있다.1941년 7월 12일, 해군성은 더 많은 목표물과 더 나은 공중 [4]엄호물이 있는 남쪽으로 운항하는 것을 선호하는 플리트 사령관 존 토비 제독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소련과 협력하여 북극에서 운항할 선박들을 집합시키라는 명령을 받았다.

필립 비안제프리 마일즈 소장은 러시아 북부의 폴리아르노로 날아갔고 마일즈는 모스크바에 [4]영국군 사절단을 설립했다.비안은 무르만스크가 독일군이 보유한 영토에 너무 가깝고, 방공망이 불충분하며, 독일 함선에 대한 공격 작전의 전망은 좋지 않다고 보고했다.이후 비안은 노르웨이 북부에서 450마일(720km) 떨어진 스발바르 군도의 주요 섬인 스피츠베르겐의 서쪽 해안을 정찰하기 위해 파견됐다.순양함 나이지리아, HMS 오로라, 2척의 구축함이 7월 27일 아이슬란드를 출발했지만 비안은 스피츠베르겐 기지의 장점이 날씨와 노르웨이 [5]내 독일 기지와의 근접성 때문에 무효라는 것을 알았다.이 부대는 노르웨이 해안에서 두 차례 폐쇄됐으며 그때마다 루프트바페 정찰기에 의해 발견돼 [6]퇴역했다.

서곡

연합군 준비

캐나다의 SS여왕비

1941년 7월 26일, 영국의 캐나다 군단은 스피츠베르겐 상륙을 위해 충분한 병력을 제공하고, 4개월 동안 해군 보급 기지를 주둔시킨 후 겨울 [3]전에 철수할 것을 제안했다.111부대는 캐나다 보병여단 2개 대대로 구성되어 수송량이 적으며 대공포대를 포함한 부대도 증원될 예정이었다.캐나다군은 제2캐나다보병여단 본부(브라이거더 아서 포츠)와 그 신호 구역인 제3야전중대 로열캐나다 엔지니어(RCE)[7]를 제공했다.

패트리샤 공주의 캐나다 경보병대에드먼턴 연대가 각각 1개 대대와 5야전 구급차 왕립 캐나다 육군 의료단(RCAMC)의 2개 야전병원과 행정군 파견대가 원정대에 동행했다.육군본부는 제40야전배터리 로열캐나다포(RCA)를 추가했으며, 제11야전연대 RCA의 25파운드 야포 8문도 8월 [7]4일까지 준비되었다.

캐나다인들은 글래스고에서 캐나다 RMS 엠파이어호에 승선해 파인호의 인버라레이 HMS 퀘벡(해상 시설)에 있는 제1 복합 훈련 센터로 출항해 착륙 예행연습을 시작했다.8월 11일, 포츠는 작전이 상당히 축소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8월 16일 포츠는 "지금부터 1942년 3월 사이에 독일군이 슈피츠베르겐에서 어떠한 이점도 얻지 못하게 하라"는 명령을 받았다.이 작전은 광산 장비, 석탄, 운송 및 항만 기반시설을 파괴하거나 제거하기에 충분한 병력을 상륙시키는 작전이었다.무선 및 기상 관측소는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러시아인들은 아크엔젤스크로, 노르웨이인들은 [8]영국으로 이송되었다.

러시아 및 노르웨이 민간 대표들과 노르웨이 군 장교인 스피츠베르겐 주지사 지명자가 민간 문제를 관리하기 위한 탐험에 동행한다.111군은 29명의 캐나다 장교와 498명의 다른 계급이 있는 제2캐나다보병여단 본부를 제외하고 서리로 복귀했다.3명의 장교와 22명의 다른 계급,[8] 총 645명으로 구성된 노르웨이 보병 부대(캡틴 오베르)가 있었다.

건틀렛 작전

롱이어바인으로부터의 피난을 준비하고 있는 노르웨이 인구

탐험대는 8월 19일 캐나다 황후를 타고 클라이드 강에서 출발해 순양함 나이지리아, 오로라, 구축함 HMS 앤서니, 안텔로피, 이카루스와 포스 A(Vian)와 만났다.이 배들은 연료를 보충하기 위해 아이슬란드의 흐발예르뒤르에 정박하고 8월 21일 저녁에 출항했다.8월 22일 늦게, 부대의 목적지가 부대에 공개되었다.포스 A는 8월 24일 저녁 스피츠베르겐 서쪽에서 유조선 올리가르호와 그 저인망 어선 호위를 만났고, 부대가 접근함에 따라 항공기가 군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스피츠베르겐섬 서쪽 해안의 큰 포구 이스피요르덴 상공을 정찰 비행했다.오전 4시 30분, 이카루스는 피오드의 입구에 있는 카프 린 무선국에 신호 파티를 열었고, 그곳에서 노르웨이 통신사들의 환영을 받았다.이 대형 선박들은 이스피요르덴에 입항해 오전 8시그룬피요르덴으로 출발해 소련 광산도시 바렌츠부르크 앞바다에 정박했다.포츠는 캐나다인들이 이스피오르드 [9]연안의 다른 소련과 노르웨이 정착촌을 점령하자 인구의 승선과 아르켄젤스크로의 인도 문제에 대해 소련 당국과 협의하기 위해 해안으로 갔다.

캐나다 왕립 기술자 제3야전중대의 경비대원, 건틀렛 작전 중 석탄 더미를 태우는 일(종군기자 로스 먼로)

대피는 계획보다 더디게 진행되었는데, 소련 영사는 캐나다 여왕에게 개인 소지품뿐만 아니라 기계와 상점을 싣기를 원했기 때문이다.캐나다 여왕은 8월 26일부터 27일까지 밤 12시에 나이지리아와 구축함의 호위를 받으며 아크엔젤스크로 출발했다.오로라는 착륙대를 지키고 외딴 정착촌에서 승선하는 것을 돕기 위해 남아 있었다.캐나다 기술자들은 광산에 버려진 약 45만 톤의 석탄에 불을 질렀고, 연료 기름이 바다에 쏟아지거나 불에 탔으며, 채굴 장비들이 제거되거나 파괴되는 동안 바렌츠버그는 불가사의하게 전소되었다.9월 1일 저녁, 캐나다의 여왕과 그 호위단은 아크엔젤스크에서 [10]그린베이로 돌아왔다.

노르웨이 군사지사인 라그발트 탐버 중위는 루프트바페 공중정찰을 저지하기 위해 가짜 안개 보고서를 제외하고 무선국에서 정상 업무를 계속했다.본토에서 파견된 3척의 콜리어는 포경선, 쇄빙선, 예인선, 어선 2척과 함께 납치되었다.9월 2일, 약 800명의 노르웨이인들이 황후를 탔고 186명의 프랑스 전쟁 포로들도 독일군의 포로로 탈출하여 독일군의 침공까지 소련에 억류되었다.9월 3일 오후 10시 30분 포스 A는 800명의 노르웨이 민간인과 상품과 함께 10일간의 점령 후 어둠 [11]속에 결코 있지 않은 채 귀항했다.안데르스 할보르센은 노르웨이 망명군에 합류하지 않고 숨어서 섬에 남아 있는 것을 선호했다.마지막 무선 메시지는 9월 3일 저녁에 전송되었고, 바렌츠부르크, 롱이어바이엔, 카프 린네, 그리고 그룬피오르드 세트가 파괴되었다. 포스 A가 귀환을 위해 이동하면서 독일 방송국이 스피츠베르겐에게 전화를 걸었다.가짜 기상 통보로 인해 웨트러쿤둥스태플(Wetrerkundungsstaffel)[12]루프트바페 기상 정찰 비행이 취소되었다.

제거할 수 없는 광산 폭발물 파괴, 나이-올레순드

9월 5일 스발바르 상공에서 루프트바페 출격기가 비행했고 승무원들은 스피츠베르겐이 버려지고 석탄 저장소가 불타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웨쿠스타 5호는 비행을 재개했고 9월 10일 승무원들은 롱이어바이엔에서 할보르센이 그들에게 손을 흔드는 것을 보았다.승무원들은 약 4마일(6km) 떨어진 어드벤트피오르덴의 수나크에서 강 테라스를 보았다. 이 테라스의 길이는 약 1,500야드(1,372m)이며 활주로 역할을 할 수 있다.9월 25일, Ju 52는 S butnak에 무사히 착륙했지만, 무전기의 낮은 전력으로 인해 메시지를 보낼 수 없었다; Ju 88은 9월 27일 도착하여 일행과 노르웨이 망명자를 발견했다.서치라이트 같은 이상한 불빛이 하늘에 비쳐지면서 임시 기지를 건설하려던 계획은 포기됐다. 두 항공기는 만약 [12]영국이라면 노르웨이를 향해 급히 이륙했다.

영국 순양함은 독일 선박을 사냥하기 위해 노르웨이 해안으로 방향을 틀었고, 9월 7일 아침 폭풍우와 시야 불량으로 노스케이프 인근 포르산저 앞바다에서 독일 호송선을 발견했다.순양함은 훈련선 브렘세침몰시켰지만 6 산악사단 소속 1500명이 탄 수송선 바르셀로나와 트라텐펠스는 피오르드로 [13]탈출했다.나이지리아는 난파선을 치면서 피해를 입은 것으로 생각되었다.전쟁이 끝난 후 나이지리아가 [14]광산을 발견한 으로 추정되었다.포스 A는 9월 [15]7일/8일 밤에 클라이드 강에 도달했다.

여파

분석.

포산저 피오르드 주변의 노르웨이 북부 핀마크 시(빨간색)

건틀렛은 성공적이었다; 독일인들은 그 원정에 대해 몰랐거나 도전할 수 있었다.침입자들은 사상자를 내지 않았고, 현지 민간인들은 본국으로 송환되었고, 여러 척의 선박이 상으로 채택되었고, 독일 군함 한 척이 귀환 [16]도중에 침몰했다.작전 이후 영국은 스발바르를 북극 호위대에 대한 공격의 기지로 점령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독일인들은 기상 자료에 더 관심이 많았고, 북극이 서유럽 [17]상공의 많은 날씨의 기원이었다.

후속 작업

북극 전문가 에리히 에티엔은 노르웨이로 돌아가면서 스발바르에 기상 관측소를 설치해 더 나은 기상 자료를 얻고 한겨울 긴 밤 비행 부담을 덜어줄 것을 제안했다.반쇠 작전(Operation Bansö, Unternehmen Bansö)은 10월 8일 스나크 착륙장 부근의 롱이어바이엔에서 2.5마일(4.0km) 떨어진 곳에 있는 집을 개조하기 위해 4명의 기상대와 10명의 노동자로 구성된 기상대를 스발바르로 수송하기 위해 시작됐다.10월 18일 롱이어빈으로 향하던 Ju 52호의 선원들은 섬 근처에서 몇 척의 영국 선박을 목격했고 다음날 하인켈 111호의 선원들은 이스피오든에서 4명의 영국 기뢰 소탕선을 발견했다.두 대의 Ju 52와 He 111은 활주로를 포기했다; 엔진 고장으로 Ju 52 중 한 대가 2시간 동안 지연되었지만 계곡의 먼지 구름은 독일 항공기를 가렸고 그들은 보이지 않게 되었다.10월 22일에 모든 것이 허가되었고, 11월 9일에 반쇠는 5톤의 장비와 24개의 건설자를 섬으로 실어 나른 38번의 비행 후에 운영되었다. 11월 2일, Ju 52를 위한 Ju 88 호위기가 강풍에 휩쓸려 반악에서 이륙한 직후에 추락하여 승무원들이 사망했다.[18]

전투 순서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각주

  1. ^ 스코필드 & 네스빗 2005, 페이지 61~62.
  2. ^ 로스킬 1957, 페이지 260
  3. ^ a b 스테이시 1956, 301쪽
  4. ^ a b 우드맨 2004, 10-11페이지.
  5. ^ 로스킬 1957 페이지 488
  6. ^ Woodman 2004, 10-11, 35-36페이지.
  7. ^ a b 스테이시 1956, 페이지 303
  8. ^ a b Stacey 1956, 303-304페이지.
  9. ^ Stacey 1956, 303-305페이지.
  10. ^ 스테이시 1956, 305페이지
  11. ^ 로스킬 1957, 페이지 489; 스테이시 1956, 페이지 306
  12. ^ a b 킹턴 & 셀링거 2006, 89페이지
  13. ^ Rower & Hummelchen 1972, 127페이지
  14. ^ 우드맨 2004, 페이지 35-36.
  15. ^ Stacey 1956, 페이지 306; Roskill 1957, 페이지 489.
  16. ^ 스테이시 1956, 페이지 306
  17. ^ Scofield & Nesbit 2005, 페이지 63-64.
  18. ^ 킹턴 & 셀링거 2006, 89-92페이지.
  19. ^ Dean & Lancenbauer 2017, 페이지 35-36.

참고 문헌

  • Dean, R.; Lackenbauer, P. W. (2017). "Conceiving and Executing Operation Gauntlet: The Canadian-Led Raid on Spitzbergen, 1941". Canadian Military History. 26 (2). ISSN 1929-400X. Retrieved 21 August 2019.
  • Kington, J. A.; Selinger, F. (2006). Wekusta: Luftwaffe Meteorological Reconnaissance Units & Operations 1938–1945 (1st ed.). Ottringham, E. Yorks: Flight Recorder Publications. ISBN 978-0-9545605-8-4.
  • Rohwer, J.; Hummelchen, G. (1972). Watts, A. J. (ed.). Chronology of the War at Sea 1939–1945 (1939–1942). Vol. I. Translated by Masters, D. (Eng. trans. Ian Allan, London ed.). Oldenburg: Gerhard Stalling. ISBN 0-7110-0277-0.
  • Roskill, S. W. (1957) [1954]. Butler, J. R. M. (ed.). The War at Sea 1939–1945: The Defensive. History of the Second World War United Kingdom Military Series. Vol. I (4th impr. ed.). London: HMSO. OCLC 881709135. Retrieved 18 April 2018.
  • Schofield, E.; Nesbit, R. C. (2005) [1987]. Arctic Airmen: The RAF in Spitsbergen and North Russia 1942. London: W. Kimber. ISBN 978-0-7183-0660-1.
  • Stacey, C. P. (1956) [1955]. Six Years of War: The Army in Canada, Britain and the Pacific. Official History of the Canadian Army in the Second World War. Vol. I (online 2008, Dept. of National Defence, Directorate of History and Heritage ed.). Ottawa: Authority of the Minister of National Defence. OCLC 317352934. Retrieved 18 April 2018.
  • Woodman, R. (2004) [1994]. Arctic Convoys 1941–1945. London: John Murray. ISBN 978-0-7195-5752-1.

추가 정보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