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로시베리아어족

Paleosiberian languages
고생물학
(iii)
지리학
분배
북아시아, 동아시아
언어구분단 한 가족도 아니다.
소분류
글로톨로지없음

plalosiberian(또는 Paleo-Siberian) 언어 또는 Paleo-Asiaic(Paleo-Asiatic) 언어(그리스어 παλαιαός pal pal팰라이오스, "고전적")는 시베리아 북동부와 러시아 극동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여러 언어 고립소가족이다. 그들은 서로 어떤 유전적 관계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들의 유일한 공통점은 그들이 특히 퉁구스어와 후기 투르크어 언어들을 대체하기 위해 더 지배적인 언어들을 보유한다는 것이다. 더욱 최근에는 투르크어(적어도 시베리아)와 특히 퉁구스어(Tungusic)가 러시아인에 의해 차례대로 쫓겨났다.

분류

4개의 작은 언어 계열고립어는 보통 팔레오-시베리아 언어로 간주된다.[1]

  1. 가끔 루오라베틀란으로 알려진 추코코-캄차칸 가문은 추크와 그 가까운 친척인 코랴크, 알루토르, 케렉을 포함한다. 캄차달이라고도 알려진 이텔멘은 먼 친척이기도 하다. 추크치, 코랴크, 알루토르는 수천(추크치) 또는 수백(고랴크, 알루토르)으로 번호를 매기는 공동체에 의해 시베리아 최동단에서 사용된다. 케렉은 멸종되었고, 이텔멘은 현재 캄차카 반도의 서쪽 해안에서 주로 노인인 5명도 채 안 되는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2. 니브크어(길야크, 아무리치)는 아래쪽 아무르 분지와 사할린 섬의 북반부에서 사용되는 2, 3개 언어로 구성되어 있다. 그것은 최근 현대문학을 가지고 있다.
  3. 유카기르는 낮은 콜리마인디고르카 계곡에서 서로 알아들을 수 없는 두 가지 품종으로 쓰인다. 추반티를 포함한 다른 언어들, 더 내륙과 더 동쪽에서 사용되고, 현재는 멸종되었다. 유카기르는 일부 사람들에 의해 우랄어족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4. 예니세아어족예니세이 강 중류와 그 지류에서 이전에 쓰였던 소가족이었으나 현재는 200명 이하의 사람들이 크라스노야르스크 크라이투루한스크 지구에서 쓰는 케트로만 대표되고 있다.

형태학적, 유형학적, 어휘적 증거에 근거하여 마이클 포테스큐는 추코코-캄차칸과 니브크(아무릭)가 연관되어 있으며, 더 큰 추코트코-캄차칸-아무르어족을 형성하고 있다고 제안한다. 포르테스큐는 유카기르와 예니세이안을 추코트코-캄차트칸-아무릭과 유전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보지 않는다.[2]

다른 언어

에스키모-알류트 가문은 또한 종종 팔로시베리아인 것으로 여겨진다.

관계들

일본인과 함께, 이러한 "불쌍한 관계"는 다른 집단과 혹은 서로 간에, 쉽거나 명백한 언어 분류에 저항한다. 팔로시버 그룹 내의 언어는 에드워드 바즈다를 비롯한 일부 학자들에 의해 나데나 에스키모-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알래스카캐나다 북부의 알류트족. 이것은 북아메리카 원주민들이 마지막 빙하시대에 두 대륙이 합류했을 때 현재의 시베리아와 아시아의 다른 지역에서 이주했다는 대다수의 합의를 뒷받침할 것이다.

케트, 아니 더 정확히 말하자면 예니세아 전체는 일반적으로 잘 받아들여진 북미의 나데네 언어에 대한 제안으로 연결되었다.[3] 데네-예니세이안은 "전통적인 비교역사 언어학의 기준에 부합하는 구세계와 신대륙 언어 가족의 족보적 연결의 첫 번째 실증"[4]으로 불렸다. 과거에는 이를 중국-티베탄, 북백인, 부루샤스키와 연관시키려는 시도가 있었다.

김방한삼국사기 나오는 명함광은 한반도의 원어와 한국어와 일본어의 형성에 있어 하나의 요소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제안했다. 그는 이 언어가 니브크와 관련이 있다고 제안했다.[5][6] 주하 얀후넨은 한국어와 니브크어의 유사한 자음 정지 시스템이 고대 접촉 때문일 가능성을 제시한다.[7]

투르크어, 퉁구스어, 러시아어의 확장을 앞지르는 두 개의 추가적인 언어군, 즉 오브우그릭어사모예딕어군이 서시베리아어로부터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들은 확립된 더 큰 우랄 계열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팔로시버 계열로 간주되지 않는다. 유카기르는 우랄릭-유카기르어족의 일부로서 우랄릭의 보다 먼 친척으로, 우랄로-시베리아어족의 일부로서 에스키모-알류트(Eskimo-Alut)[8]가 종종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가설들은 논란의 여지가 있고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어휘비교

아래는 고대 언어와 언어 계열을 위해 재구성된 원어 언어의 기본 어휘 항목이다. 프로토-예니세안, 프로토-우랄릭, 프로토-아뉴, 아이누, 프로토-일본어도 비교 대상이다.

광택을 내다 프로토예니세안[9] 프로토우랄릭[10] 프로토에스키모[11] 프로토유카기르[12] 프로토추코캄차칸[13] 프로토니브크[14][15] 프로토아누[16] 아이누[15] 프로토-일본어[17]
머리 *cɨʔɢ-; *kəŕga- *오좌 *nay(ə)quʀ *jojo C *læwət *도이크르 *pa; *sa 발을 동동작 *tumu-; *카슈라
머리털 *cəŋe *apte *nuyaʀ *manillight/*monillight C *kəwir *ŋamrki *영문 *카치
눈독을 들이다 *de-s *실메 *əðə *waŋ-/*wowo-; *jöː- *ləlæ *n’(ə)ŋaɣ *식; *누우 쉬크 *ma-n
귀를 기울이다 *ʔɔqtʌ ~ *ʔɔgde *펠야 *시춘 *unemə *빌루 *mla; nor *키사르 키사르 *mìmì
코를 찌르다 *ʔolk-; *xaŋ *neere(*nēre) *qəqaʀ *요우- *qiN(qiN); C *제카 *wiɣ *에투 에투 *판나
이가 나다 *piŋe *쿤 *to'so-; *sal'qəriː C *wannə *ŋaɣzər *nii; *ima(=)k 니마키 *pa
혓바닥 *ʔej *케일(*kēle) I *우카크(-) *wonor *질레(질레) ? *힐링 *구 파럼을 타다 *시타
입을 *χow *śuwe *qanəʀ(-) *aŋa *rəkərNə(n) *amɣ *prAA= 액면 그대로 *쿠투치
손짓하다 *pʌg- *케테 *aðɣa(ʀ), *aðɣaɣ *ńuŋkən/*ńuŋen *kæɣ(ə) *담크 *tE(=)k 티크 *따찌
발을 디디다 *ki;s; *불 *잘카 *itəɣaʀ *noj-; *ar- *kəka *ŋazl *urE; *kEma; *tikir 요소 *판키
젖가슴 *təga *poe *əv((ŋ)iʀ *sis-; *mel- *loloʀ(ə) *məc(ɣ) *too[C] *ti/*titi
고기 *파기즈 *페체; *siww-time *kəməɣ; *uvinəɣ *chuː- C *kinuNi; C *tɣrtəttrr *영문 *영문 가면을 쓰다 시시
핏덩어리 *sur *와이어 *aðuɣ, *kanuɣ *lep(k)-; *cheːmə *mullə(물) co; ŋær *kem *ti
뼈를 발라내다 *ʔaʔd *luwe I *caunəq *am- *qətm ŋɨɲf *ponE 고름을 펴다 *pone
사람 *케이크트; *케이크트 *인셰 (*inguit; *tatau 'shamanic') *köntə; *soromə *qəlavol ?; *qəlik '남성'; C *ʀoraNvərr(at)əlʀn *n’iɣvŋ *영문 (아누) *피티슈
이름을 붙이다 *ʔiɢ *nime *attius; *acciaci- *ńuː; *kirijə C *nnnnə *qa(-) *dEE 레이 *나
*chip ~ *chib *페네 *qikmiʀ *laːmə *qətʀə(n) *ɢanŋ *기타 세타 *ìnù
고기를 잡다 *칼라 *ikawuɣ *an-/*wan-; *anjə? *ənə *co *tiqEp 쳇바퀴 돌리다 *(d)wo
부추기다 *jog- ~ *족 'nit' *테제 *kumaɣ *peme/*pime *mə(l)məl *dar, *byk; *amrak *ki *스라미
나무 *puwɜ *uqviɣ; *napa(iii)aqtuʀ *saː- *ut(tə) *디자르 *니; *티쿠= *kò- < *ko̱no̱r
잎사귀 *jəpe *leshte; *lȣ̈pɜ(*lepɜ) *피와우 *p- *wwwtt *블라(q), *d'omr *hrA= *파
꽃을 *치치르주 (만시) *폴치치치 ɤŋvk *에푸이 에필로그 *판나
물을 주다 *xur *wete *imaqtəq- *법률 *(m)iməl ? *caʀ *hdak=ka 와카 *mi
*boek *tule *ək(ə)nəʀ *loch- *jən ?; *우유(우유) *tuɣ(u)r *apE 에이브 *pò-Ci
돌로 만든 *chɨʔs *키위 *Qualuʀ; *uyaʀaɣ *söj-/*sej- *ɣəv(ɣəv) *baʀ *수마; *포키나 슈마 *(d)isò
흙으로 *baʔŋ *maγe *nuna, *nunawit- *우린치-; *우닌치'ə *넛츠 ? '땅' *miv *토이 토이 *'땅'을 ììììì다
소금에 절이다 *čəʔ *살롱(*살라) *taʀ(ə)yuʀ *다브(iŋ) *시포 시포
도로 *코트 *테제 *chuɣe; *chuɣe- *rəʀet; *təlanvə 'way' *디브 *truu ru *미티 < 존댓말 접두사 mi- + ti '길'
먹다 *sii- *seewe-(*see-) *leeful- *nu-nu- *n’i- *EE Ibe *kup-
죽다 *qɔ- *콜라- *tuquit) *am-/*wam- C *viʀ- *무 *일 라이 *신-
I *ʔadᶻ *mȣ̈ *uvaŋa; (*vi) *mət *kəm *n’i *ku= 쿠아니 *ban[u]
*ʔaw ~ ~u; *kʌ- ~ *ʔʌk- *tȣ̈ *əlpət, *łwvət *타이틀 *kəð; *tur(i) *ci *E= 에니 *si/*sosso-; *na

참고: C = 프로토 추코티안, I = 프로토 이누이트

참고 항목

메모들

  1. ^ Campbell, Lyle; Mixco, Mauricio J. (2007). A Glossary of Historical Linguistics. Edinburgh University Press. p. 148. ISBN 978-0-7486-2378-5.
  2. ^ Fortescue, Michael (2011). "The relationship of Nivkh to Chukotko-Kamchatkan revisited". Lingua. 121 (8): 1359–1376. doi:10.1016/j.lingua.2011.03.001.
  3. ^ "The Dene–Yeniseian Connection". Alaska Native Language Center. 2010.
  4. ^ Bernard Comrie(2008) "왜 Dene-Yeniseic 가설이 신나는가" 페어뱅크스와 알래스카 앵커리지: Dene-Yeniseic 심포지엄.
  5. ^ "원시한반도어(原始韓半島語)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Retrieved 18 September 2019.
  6. ^ Beckwith, Christopher (2004), Koguryo, the Language of Japan's Continental Relatives, BRILL, ISBN 978-90-04-13949-7.
  7. ^ Janhunen, Juha (2016). "Reconstructio externa linguae Ghiliacorum". Studia Orientalia. 117: 3–27. Retrieved 15 May 2020. 페이지 8.
  8. ^ 포티스큐, 마이클 1998. 베링 해협을 가로지르는 언어 관계: 고고학 및 언어학 증거를 다시 제시하십시오. 런던과 뉴욕: 캐셀. ISBN 0-304-70330-3.
  9. ^ 스타로스틴, 세르게이 A, 메리트 루렌(1994년). 프로토-예니세안 재구축, 엑스트라-예니세안 비교. M. Ruhlen에서 언어의 기원: 언어 분류법관한 연구 스탠포드: 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페이지 70-92. [Ruhlen에 의한 추가 비교와 함께, Starostin 1982의 부분 번역]
  10. ^ UED(Ualic Etymological Database)
  11. ^ Fortescue, Michael D, Steven A. 제이콥슨과 로렌스 D. 카플란. 1994. 에스키모 사전과 알류트 코인테스 비교. 알래스카 페어뱅크스: 알래스카 원주민 언어 센터, 알래스카 대학교, 페어뱅크스. ISBN 1-55500-051-7
  12. ^ 니콜라예바, 이리나 2006년 유카기르의 역사 사전. 베를린/뉴욕 : 무튼 데 그루터(Muton de Gruyter.
  13. ^ 포티스큐, 마이클 2005. 추코트코-캄차트칸 비교사전. 언어학 23의 경향. 베를린: 무톤 드 그루터
  14. ^ 포티스큐, 2016년 마이클 비교 니브크 사전. 뮌헨: 린콤 유로파.
  15. ^ Jump up to: a b 델러트, J, 다네이코, T, 뮌치, A 등 NorthEuraElex: 북유라시아의 광범위한 어휘 데이터베이스. Lang Resources & Evaluation 54, 273–301(2020). https://doi.org/10.1007/s10579-019-09480-6
  16. ^ 보빈, 알렉산더 1993. 프로토아뉴의 재건. 라이덴: 브릴.
  17. ^ 보빈, 알렉산더 1994. "장거리 관계, 재건 방법론, 그리고 일본어의 기원" 디오타이레니차 11(1): 95–114.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