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셋 뉴질랜드
Ansett New Zealand![]() | |||||||
| |||||||
설립됨 | 1986 | ||||||
---|---|---|---|---|---|---|---|
시작 작업 | 1987년 7월 25일 | ||||||
중지된 작업 | 2001 | ||||||
상용 비행 프로그램 | 스타 얼라이언스(Ansett) 원월드 (칸타스) | ||||||
플릿 사이즈 | 아래 내용 참조. | ||||||
목적지 | 아래 내용 참조. | ||||||
모회사 | 앤셋 운송 산업 | ||||||
본부 | 오클랜드 | ||||||
웹사이트 | www.ansett.co.nz www.qantas.co.nz |
안셋뉴질랜드는 1987년부터 2000년 사이에 뉴질랜드 국내시장을 운항하는 항공사였다. 앤셋트 운수공업의 자회사였다. 에어뉴질랜드의 앤셋트 트랜짓 인수에 관한 규제 요건을 준수하기 위해 앤셋뉴질랜드는 뉴스코퍼레이션에 매각되었고 이후 2000년 뉴질랜드의 태즈먼퍼시픽 항공에 매각되어 콴타스 뉴질랜드 브랜드로 콴타스 프랜차이즈로 운영되었다. 그것은 2001년에 법정관리에 들어갔고 이후 청산되었다.
역사
안셋뉴질랜드는 제4차 노동당 정부에 의한 항공분야 규제 완화에 의해 가능하게 된 안셋트운송인더스트리즈의 뉴질랜드 시장 진출 의욕의 결과였다.[1] 안셋트 운수산업은 브리얼리 인베스트먼트와 뉴먼스 코치 라인스라는 두 뉴질랜드 회사와 제휴를 맺었으며, 후자는 수익성이 없는 뉴먼스 항공을 소유한 관광 회사였다.[1] 뉴먼스 에어는 앤셋 뉴질랜드로 운영되는 빌먼스 매니지먼트 Ltd라는 새로운 확장된 항공사의 기초를 형성했다. 자사주(외국 기업에 허용된 최대 한도)의 절반은 앤셋이 차지했으며, 브리얼리는 27.5%, 뉴먼스는 [1]22.5%를 보유하고 있다. 그 후, 규제는 여전히 완화되었고, 안셋은 1988년 4월에 완전한 소유권을 획득했다.[1][2]
운항은 1987년 7월 25일 오클랜드, 웰링턴, 크라이스트처치 사이에 보잉 737-100 항공기 3대로 시작되었다.[3][4] 이전의 뉴먼스 에어 드 하빌랜드 캐나다 대시 7은 오클랜드, 로토루아, 크라이스트처치, 쿡 산, 퀸스타운 사이의 관광 노선에 사용되었다. 낡고 시끄러운 보잉 737기는 "휘스퍼 제트기"로 알려진 새롭고 조용한 영국 항공 146기로 대체되었다. 두네딘과 인버카길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또한 오래된 Dash-7은 훨씬 더 연비가 좋은 Bombarmier Dash 8s로 대체되었다. 2000년까지 이 함대는 8대의 BAE-146s(화물선 운항으로 전환하기 위한 빠른 변경 버전 1대)와 5대의 Dash-8s로 상승하였다.
에어뉴질랜드는 1996년 안셋트 운수공업이 호주 내에서 운항하기로 한 오픈 스카이 협정이 갑자기 철회되자 절반의 인수를 시도했다. 그러나 독점금지 규제당국은 에어뉴질랜드가 뉴질랜드에서 앤셋의 운항을 통제하는 것을 원치 않았으며, 따라서 두 개의 앤셋 항공사를 분리해야 했다. 앤셋은 에어뉴질랜드와 (매수될 때까지) 뉴스 코퍼레이션이, 앤셋뉴질랜드는 뉴스 코퍼레이션이 독점적으로 소유하게 된다.
뉴스코퍼레이션은 2000년 6월 RM 윌리엄스 등 투자자 그룹이 소유한 태즈먼 퍼시픽 항공에 앤셋 뉴질랜드를 매각했다.[2][5] 그 직후 콴타스 뉴질랜드 브랜드로 운영되는 콴타스의 프랜차이즈가 되었다.[6][7][8] 그러나 이듬해 항공사는 청산에 들어갔다.[9] 이후 콴타스가 뉴질랜드 내수시장에 개입한 것은 무관하며 프랜차이즈 계약을 통한 것도 아니었다.
플리트
- 영국 항공우주 146대, 2 -200대, 200QC 1대, 6 300대, 3 -300A 등 12대
- 2 Dash 7(Newmans Air에서 상속)
- 9 봄바디어 대시 8: 7 -102 및 2 -311 포함
- 보잉 737-130 5대
- 5 Embraer EMB 110 반다이란테(Rex Aviation에서 Tranzair 및 이후 Ansett 지역 예약 서비스로 운영, 1999년까지 종료되고 Jetstream으로 대체)
- 5 BAe Jetstream 32EP(Rex Aviation and Air National에서 Ansett 지역 운영)
목적지
국내 여객 서비스가 중단되기 전(2001년 1월 기준) 항공사는 다음과 같은 예정된 목적지에 대한 서비스를 운영했다.[10]
목적지 | 나라 | IATA | ICAO | 공항 | 시작, | 끝 | 상태 |
---|---|---|---|---|---|---|---|
오클랜드 | 뉴질랜드 | AKL | 엔자아 | 오클랜드 공항 | 종료됨 | ||
블렌하임 | 뉴질랜드 | BHE | NZWB | 우드본 공항 | 종료됨 | ||
크라이스트처치 | 뉴질랜드 | CHC | NZCH | 크라이스트처치 공항 | 종료됨 | ||
두네딘 | 뉴질랜드 | DUD | NZDN | 두네딘 공항 | 종료됨 | ||
해밀턴 | 뉴질랜드 | HLZ | NZHN | 해밀턴 공항 | 종료됨 | ||
인버카길 | 뉴질랜드 | IVC | NZNV | 인버카길 공항 | 종료됨 | ||
밀퍼드 사운드 | 뉴질랜드 | WRE | NZMF | 밀퍼드 사운드 공항 | 종료됨 | ||
넬슨 | 뉴질랜드 | NSN | NZNS | 넬슨 공항 | 종료됨 | ||
팔머스턴 노스 | 뉴질랜드 | PMR | NZPM | 팔머스턴 공항 | 종료됨 | ||
퀸스타운 | 뉴질랜드 | ZQN | NZQN | 퀸스타운 공항 | 종료됨 | ||
로토루아 | 뉴질랜드 | 로트 | NZRO | 로토루아 공항 | 종료됨 | ||
테아나우 | 뉴질랜드 | TEU | NZMO | 테아나우 공항 | 종료됨 | ||
와카탄 | 뉴질랜드 | WHK | NZWK | 와카타네 공항 | 종료됨 | ||
환가레이 | 뉴질랜드 | WRE | NZWR | 환가레이 공항 | 종료됨 | ||
웰링턴 | 뉴질랜드 | WLG | NZWN | 웰링턴 공항 | 종료됨 |
사고
안셋 뉴질랜드의 첫 번째 사고는 1990년 4월 28일 퀸스타운 공항에서 활주로 끝에 달린 BAe 146–200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이 항공기는 약간의 피해만 입었을 뿐이다. 앤셋 뉴질랜드 703편은 오클랜드에서 팔머스턴 노스까지의 안셋 뉴질랜드 정기 여객기였다. 1995년 6월 9일, 이 항로를 비행하던 Dash 8 항공기는 악천후로 계기 접근 중 타라루아 산맥 서쪽과 팔머스턴 북공항에서 동쪽으로 16km 떨어진 지점에서 추락했다. 이 항공기에는 승객 18명과 승무원 3명이 타고 있었다. 미국 시민 1명을 제외한 모든 승객은 뉴질랜드 시민이었다. 추락 사고로 승무원과 승객 3명이 사망했다.
참고 항목
참조
- ^ Jump up to: a b c d 2007년 9월 5일 Air New Zealand – The Press, Air New Zealand를 노크하지 마십시오.
- ^ Jump up to: a b The Story of the Rise and Fall of Ansett 1936–2002. Fyshwick: Stewart Wilson Aerospace Publications. 2002. pp. 19, 22, 34, 35, 42. ISBN 1875671579.
- ^ 앤셋이 1987년 2월 호주 교통의 색깔을 보여준다 18페이지
- ^ 앤셋, 1987년 7월 Amok Australian Transport 24페이지
- ^ 콴타스는 앤셋의 바이아웃 키인 뉴질랜드 헤럴드를 2000년 6월 30일에 보유하고 있다.
- ^ 앤셋 뉴질랜드 콴타스 2000년 6월 26일 프랜차이즈
- ^ 2000년 6월 30일 앤셋 NZ 뉴질랜드 헤럴드를 새롭게 단장한 콴타스 프랜차이즈
- ^ 콴타스: 최근 개발 및 월간 예비 교통 및 용량 통계, 2000년 5월 웨이백 머신에 2007년 2월 5일 보관(PDF)
- ^ 뉴질랜드 항공 뉴스, 2001년 5월 4일자 Vol XXIV 4호
- ^ "Ansett NZ route map". Pinterest. Retrieved 11 July 2017.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즈 앤셋 뉴질랜드 관련 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