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 바우메이스터

Roy Baumeister
로이 F. 바우미스터
Roy Baumeister.jpg
2011년 취리히의 바우메이스터.마인드
태어난 (1953-05-16) 1953년 5월 16일 (68세)
국적미국인의
모교프린스턴 대학교(AB, 박사)
듀크 대학교(MA)
로 알려져 있다.의지력: 가장 위대한 인간의 힘 재발견, 자기 연구.
수상1993-94 James McKeen Cattel Fund Sabbatical Fellow상, 2003 ISI 고평가 연구원, 2004 Mensa Award for Excellence in Research, 2007 SPSP Unified Service Award, 2011 Jack Block Award, 2012 Unified Lifetime Care Award, 2013 Williames 동료상
과학 경력
필드사회심리학, 진화심리학
기관퀸즐랜드 대학교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 (1979-2003)

로이 F. 바우메이스터(/1953년 5월 16일생)는 미국사회심리학자로, 자기, 사회적 거부감, 소속감, 성차별, 성차별, 자제력, 자존감, 자기희생적 행동, 동기부여, 공격성, 의식, 자유 의지에 대한 연구로 유명하다.

교육학계

바우메이스터는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 듀크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그는 그의 스승 에드워드 E. 존스와 함께 프린스턴 대학교로 돌아왔고 1978년 이 대학 심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1][2]

그 후 바우메이스터는 1979년부터 2003년까지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면서 심리학과 후기 교양학부 교수로 재직했다.[3]그는 후에 플로리다 주립대학에서 프랜시스 에임스 에민트 스콜라로 일했고 사회심리학 대학원 프로그램의 책임자로 일했다.[4][5]FSU에서 바우메이스터는 심리학과에서 사회 및 진화 심리학에 대한 강의와 대학원 세미나에서 일했다.[3]2016년 그는 호주 퀸즐랜드 대학의 심리학과로 옮겨 그곳에서 몇 년 동안 가르쳤다.[6]

그는 인성사회심리학회심리과학협회 양쪽의 동료다.바우메이스터는 2003년과 2014년 ISI에서 고도로 인용된 연구자로 선정되었다.[7]

연구 주제

Baumeister는 40년 넘게 사회심리학을 연구해왔고 그의 실험실 연구로 유명해졌다.그의 연구는 자기 통제, 의사결정, 소속과 대인관계 거부, 인간의 성리학, 비이성적이고 자기 파괴적인 행동, 자유의지 등 6가지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8]

자아

바우메이스터는 사람들이 어떻게 자신의 자아를 인지하고 행동하며 관계를 맺는가에 관련된 다양한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자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바우메이스터는 사회심리학 핸드북에 '자아(The Self)'라는 제목의 장(章)[10]을 쓰고,[9] 자긍심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면서 자긍심의 인식의 중요성이 과대평가되고 있다고 결론지었다.

비합리성과 자기희생적 행동

바우메이스터는 일련의 저널 기사와 책에서 자기 비하 행동의 이유에 대해 물었다.그의 결론은 (일부 사람들이 생각했던 것처럼) 자기 패배의 충동은 없다는 것이다.오히려 자기희생적 행동은 트레이드오프(미래를 희생하여 지금 마약을 즐기기)의 결과물, 역발화 전략(스트레스를 더 많이 느끼기 위해 간식을 먹는 것) 또는 자아를 탈출하기 위한 심리 전략, 즉 자기희생에 대한 부담을 덜기 위해 다양한 자기희생전략을 지향하는 것이다.[11]

소속의 필요성

바우메이스터는 1995년 마크 리어리와 함께 믿어야 할 필요성 이론에 대한 논문을 썼다.이 이론은 인간이 다른 사람들과 어울릴 자연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한다.바우메이스터와 레일리는 인간들이 자연스럽게 관계를 형성하도록 강요할 것을 제안한다.[12]이 추진력은 욕구가 아닌 욕구를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애착을 위한 추진력 외에도 사람들은 이러한 관계의 붕괴를 피하기 위해 고군분투한다.[12]이 이론의 일부로서 소속의 부족은 기분과 건강에 장기적이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자신의 소속적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사람들은 행동과 심리적인 문제로 고통을 겪을 수도 있다.[12]니드 투 벨론에는 두 가지 필요한 부분이 있다.[12]

  1. 첨부파일과 관련된 사람들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갈등이 없는 접촉이 빈번하다.
  2. 그들 사이의 지속적이고 지속적인 관계에 대한 개념은 필수적이다.

작품은 존 볼비와 같은 애착과 관련된 이전의 이론들과 분리되었다는 점에서 획기적이었다.볼비의 이론은 애착을 그룹 리더나 권위 있는 인물에게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암시하는 반면, 바우메이스터와 레일리의 믿음의 필요이론은 그 관계가 누구와도 있을 수 있다고 단언했다.[13][12]이 두 이론을 더욱 구분하기 위해 바우메이스터와 레일리는 관계가 해체되면 종종 그 유대를 다른 사람에 대한 유대로 대체할 수 있다는 이론을 세웠다.[12]

후에 바우메이스터는 사람들이 소속감을 찾는 방식이 남성과 여성 사이에 다르다는 증거를 발표했다.여성들은 소수의 친밀하고 친밀한 관계를 선호하는 반면, 남자들은 얕은 관계를 선호한다.남자들은 친밀한 대인관계보다는 한 무리의 사람들, 즉 명분을 통해 소속되어야 할 필요를 더 많이 깨닫는다.[14]

자율규제

바우메이스터는 또한 자율규제를 연구했다.그는 인간의 자율규제 능력이 제한적이라는 증거를 설명하기 위해 'ego 고갈'이라는 용어를 만들었고, 이를 사용한 후에는 자율규제 능력(혹은 에너지)이 줄어든다.[15]자아 고갈은 한 영역에 자제력을 발휘하면 삶의 다른 영역에서의 추가 규제에 에너지를 소모하는 등 일반적인 효과가 있다.[16]바우메이스터와 동료들의 추가 연구는 이 자아 고갈을 육체적으로 근육을 행사하는 데서 오는 피로와 비유하는 자기 통제의 힘 모델 개발로 이어졌다.그의 연구에 의해 뒷받침된 이 비유에 대한 귀결점은 자기 통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근육처럼 강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17]그러나 그의 연구는 자아 고갈과 혈구 고갈 사이에 강한 연관성을 발견했다.[18]바우미스터는 또한 자율규제에 관한 두 권의 학술서적, '자율규제통제력 상실'과 '편람'을 편집했으며, 이 주제에 수많은 실험과 학술논문을 쏟아부었다.그는 또한 이 연구를 전 뉴욕 타임즈 저널리스트인 존 티어니가 저술한 책인 윌파워에 기술하고 있다.

2016년 세계 각국에 있는 2천4백개의 연구소에서 수행된 대규모 연구는 이 연구에서 설명된 효과를 재현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19]그러나 Baumeister는 이 복제에 사용된 프로토콜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바우메이스터는 또 대부분의 자아상실 실험에 더 부합하는 프로토콜을 이용해 스스로 사전 등록된 복제를 실행할 계획이다.[20]

문화와 인간의 성리학

인간의 성에 대한 일련의 연구는 자연과 문화가 사람들의 성욕, 강간과 성적인 강요, 여성의 성에 대한 문화적 억압, 그리고 부부들이 그들의 성적인 패턴을 어떻게 협상하는지와 같은 질문들을 다루었다.[21]바우메이스터는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요 결론에 도달했다.[8]

  1. 문화와 자연이 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은 성별에 따라 다르다.여성의 성생활은 문화적/신체적, 남성의 성생활은 선천적/자연적(에로틱한 가소성)이다.
  2. 성욕과는 성적인 차이가 있다.평균적으로 남성은 여성보다 더 많은 섹스를 원한다.
  3. 현재 널리 퍼져있는 여성 성차별적 문화적 억압은 대부분 여성의 요구에 따라 존재한다.
  4. 성적 상호작용은 '성경제학'과의 비용 편익 분석 및 시장 역학관계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다.

자유 의지

바우메이스터는 진화심리학의 관점에서 자유의지라는 주제에 접근한다.그는 자유 의지를 구성하는 주요 측면을 자기 통제, 이성적, 지적인 선택, 계획적인 행동, 자율적 주도 등으로 나열했다.[22]바우메이스터는 "인간 심리 진화의 정의는 문화적 능력에 유리한 선택이었다"고 제안하며, 이 네 가지 심리학적 능력이 문화의 맥락에서 인간이 기능할 수 있도록 진화했다고 한다.그의 견해에 따르면, 자유 의지는 인간이 진화적으로 오래된 추진력이나 본능의 충족과 상충할 때 깨달은 사리사욕을 향해 친사회적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진보된 형태의 행동 통제다.[24]바우 마이스터와 동료들(주로 캐슬린 Vohs)의 연구 그 자유 의지를 불신 사람들이 그러한 시험의 증가, 공격성 감소하면서 유용성, 직장에 낮은 성취 수준 그리고 중독을 능가하기 가능한 장벽을 속이는 자신과 사회에게 해로운 방법으로 행동할 수 있다고 한다.[25][26][27][28]

에로틱 가소성

바우미스터는 자신의 성욕이 문화적, 사회적, 상황적 요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범위인 "에로틱 플라스틱"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29][30]그는 여성의 가소성이 높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여성의 성욕이 외압에 대응해 더 쉽게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반면 남성은 가소성이 낮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떨어지는 성욕도 있다.

작동하다

저술한 책

  • ID: 문화적 변화와 자아를 위한 투쟁(1986)
  • 마조히즘과 자아(1989년).
  • 삶의 의미(1991)
  • 자아 탈출: 알코올 중독, 영성, 마조히즘 기타 자기자신의 부담으로부터의 비행(1991)
  • 자신의 최악의 적: 자기 패배 행동의 역설 이해(1993)
  • 브레이킹 하트: 짝사랑의 양면(1994)
  • 제어력 상실: 사람들이 어떻게 그리고자기규제에 실패하는가 (1994년).
  • Evil: Inside Human Warraphy and Craphy (1997년)
  • 다이앤 티스와 함께 <섹스의 사회적 차원>(2000년).
  • 티나 S와 함께.앤드류 W. 미라클, 인간 성리학: 기본 니즈 충족(2002년).
  • 문화 동물: 인간 본성, 의미, 사회 생활(2005년).
  • Brad J. Bushman과 함께, 사회심리학과 휴먼 네이처(2008)가 있다.
  • 남성에게 좋은 점이 있는가?: 남성들을 착취하여 문화가 어떻게 번성하는가(2010).
  • 의지력: 가장 위대한 인간의 힘 재발견(2011년).
  • 호모 프로스펙투스(2016년).
  • 존 티어니와 공동 집필(2019년)한 '나쁜 자의 힘'

편집된 책

  • Public Self and Private Self (1986년).
  • 자존감: 낮은 자아 존중의 퍼즐 (1993년).
  • 사회심리학의 자아(1999년).
  • 사회심리학과 인간 성리학(2001년).
  • George Loewenstein과 Daniel Read, Time and Decision: 기업간 선택에 대한 경제적, 심리학적 관점(2003년).
  • 캐슬린 D와 함께.Vohs, 자체 규제 지침서: 연구, 이론 응용 프로그램(2004)
  • 캐슬린 D와 함께.보스, 사회심리학 백과사전(2007)
  • 캐슬린 D와 함께.Vohs and George Loewenstein, 감정이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느냐, 상처를 입히느냐?: Hedgefoxian Perspective(2007년).
  • 존 배어, 제임스 C와 함께.카우프만, 우리 자유야? 심리학과 자유 의지(2008)
  • 조셉 P와 함께.구다스와 다이앤 M.Tice, 자율 규제의 심리학: 인지적, 감정적, 동기적 과정(2009년).
  • Alfred Mele과 Kathleen Vohs, Free Will and Conception: 그들은 어떻게 작동할까? (2010)
  • Eli J. Finkel의 고급 사회 심리학: The State of the Science(2010).
  • 캐슬린 D와 함께.Vohs, New Directions in Social Sychology(2012).
  • 조셉 P와 함께.<구다스>, < 사는 사회심리학>(2018)

개인적인

바우메이스터는 그와 협력한 사회심리학자 디안 티스와 결혼했다.[31]

참고 항목

메모들

  1. ^ "People Directory". Florida State University. Retrieved 20 April 2018.
  2. ^ "Roy F. Baumeister, Ph.D." UPenn. Retrieved 16 June 2018.
  3. ^ a b Baumeister, Roy (February 3, 2017). "Curriculum Vitae Roy F. Baumeister - Florida State University". FSU.
  4. ^ "Roy F. Baumeister". baumeister.socialpsychology.org.
  5. ^ Baumeister, Roy. "Cultural Animal". Psychology Today.
  6. ^ "Man with passion equation to call UQ home - Faculty of Health and Behavioural Sciences -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Australia". www.habs.uq.edu.au. Retrieved 2018-03-15.
  7. ^ Rufener, Brenda. "30 MOST INFLUENTIAL COUNSELING PSYCHOLOGISTS ALIVE TODAY". Best Counseling Degrees. Best Counseling Degrees. Retrieved 11 December 2015.
  8. ^ a b "Research". Roy F. Baumeister. Retrieved 2018-03-15.
  9. ^ Baumeister, Roy F. (1954). "15: The Self". In Gilbert, Daniel T.; Fiske, Susan T.; Lindzey, Gardner (eds.).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Vol. 1 (4 ed.). Boston: McGraw-Hill (published 1998). pp. 680–740. ISBN 9780195213768. Retrieved 2017-07-30.
  10. ^ :바우 마이스터, 로이.(1993년)을 비교해 보자."11시 실내 자연 저 Self-Esteem 것을 이해하는 것:., 공항, 보호, 그리고 Conflicted" 불확실.바우 마이스터에서, 로이.(교육.).Self-Esteem:그 퍼즐 저 Self-Regard.그 스프링거 시리즈 사회 임상 심리학.뉴욕:스프링거 과학&비즈니스 미디어(2013년 출판되).를 대신하여 서명함. 217–218.아이 에스비엔 9781468489569.., 자기 파괴적인, 또는 다른 병적 비이성적인 징후로 낮은 자존감을 결합한[...] 있을 것 고립된 개인 2017-07-31 Retrieved.는 적극적으로 자존감의 극단을 찾아 시료 채취 기법을 분명히 갖고 일부 낮은 자존감에 관한 좀 더 불쾌한 인상과 가정의 확인할 만큼 병적 개인들 특이한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대부분의 경우에 있어, 하지만, 낮은 자존감 그 패턴에 의해 표시되지 않다.자부심이 낮은 사람들은 그들 꽤 현명하고 합리적인 패션에 효과적으로 그들의 사정에 삶을 통해 고통, 괴로움,, 굴욕감을 최소로 하는 길을 만들기 위해에 적응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일반인들과 이해할 수 있다.여기에, 물론 그들은 더 높은 자존감을 가진 사람에서 다르다.
  11. ^ 바우메이스터 R. (1991) 자아 탈출: 알코올 중독, 영성, 마조히즘, 그리고 자기자신의 부담에서 오는 다른 비행들.기본 도서.
  12. ^ a b c d e f Baumeister, R. F., & Leary, M. R. (1995년)소속 필요성:인간의 근본적인 동기 부여로서 대인관계 애착에 대한 욕구.심리학 게시판, 117(3), 497-529. doi: 10.1037/0033-2909.117.3.497.
  13. ^ 볼비, J. (1969년).첨부 및 분실: 제1권.애착.뉴욕:기본 도서.
  14. ^ "What do men want? Gender differences and two spheres of belongingness: Comment on Cross and Madson (1997)". {{cite journal}}: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도움말)
  15. ^ Baumeister, R. F., Bratslavsky, E., M., & Tice, D. M. (1998)자아 고갈:능동적 자아는 한정된 자원인가?성격과 사회심리학 저널, 74(5), 1252-1265.
  16. ^ Vohs, K, Baumeister, R, Schmeichel, B, Twenge, J, Nelson, & Tice, D. (2008).선택을 하는 것은 이후의 자기 통제를 손상시킨다: 의사결정, 자기 규제 및 능동적 이니셔티브에 대한 제한된 자원 계정.[논문초록] 인성과 사회심리학 저널, 94(5), 883-898
  17. ^ Baumeister, R. F., Vohs, K. D., & Tice, D. M. (2007)자기 통제의 강도 모델.심리과학의 현재 방향, 16(6), 351-355
  18. ^ 가일리엇, M, 바우마이스터, R, 드월, C, 마너, J, 플랜트, E, 티스, D, 슈마이켈, B. (2007)자가 조절은 제한된 에너지원으로서 포도당에 의존한다.의지력은 은유 그 이상이다.인성과 사회심리학 저널 92(2), 325-336.
  19. ^ Engber, Daniel (2016-03-06). "Everything Is Crumbling". Slate. ISSN 1091-2339. Retrieved 2016-03-07.
  20. ^ "Misguided Effort with Elusive Implications - Association for Psychological Science" (PDF). www.psychologicalscience.org. Retrieved 2016-04-20.
  21. ^ "Roy Baumeister's page, Florida State University". www.psy.fsu.edu.
  22. ^ 스틸만, T. F., 바우메이스터, R. F., & Mele, A. R. (2011)일상생활에서의 자유 의지:자유 행동과 자유 행동의 자서전적 설명.철학심리학, 24(3), 381-394
  23. ^ 바우메이스터, R. (2008)과학 심리학의 자유 의지.심리과학에 대한 관점, 3(1), 14-19.
  24. ^ Baumeister, R. F., Crescioni, A., & Alquist, J. L.(2011년).인간의 사회생활과 문화를 위한 선진적인 행동통제로서의 자유의지.신경윤리, 4(1), 1-11
  25. ^ Vohs, K. D., & Schooler, J. W.(2008).자유의지를 믿는 것의 가치: 결정론에 대한 믿음을 장려하는 것은 부정행위를 증가시킨다.심리과학, 19(1), 49-54.
  26. ^ Baumeister, R. F., Masicampo, E. J., & DeWall, C. (2009)자유로운 느낌의 친사회적 이점:자유 의지에 대한 불신은 공격성을 높이고 도움은 줄인다.성격과 사회심리학 게시판, 35(2), 260-268.
  27. ^ 스틸만, T. F., 바우마이스터, R. F., Vohs, K. D., 램버트, N. M., Fincham, F. D., & Brewer, L. E. (2010)개인적 철학과 인사 성취: 자유에 대한 믿음은 더 나은 직무 수행을 예측한다.사회심리 및 인성과학, 1(1), 43-50.
  28. ^ Vohs, K. D. & Baumeister, R. F. (2009).중독과 자유의지.중독 연구 이론, 17(3), 231-235.
  29. ^ Baumeister, R. F. (2000)에로틱한 가소성의 성별 차이:사회적 유연성과 반응성을 갖춘 여성 성욕구.심리학 회보, 126(3), 347-374
  30. ^ 바우메이스터, R. F. (2004)성별과 에로틱한 가소성: 성욕에 대한 사회문화적 영향.성관계요법, 19(2), 1468-1479
  31. ^ Tice, D; Baumeister, R (1997). "Longitudinal Study of Procrastination, Performance, Stress, and Health: The Costs and Benefits of Dawdling". Psychological Science. 8 (6): 454–458. doi:10.1111/j.1467-9280.1997.tb00460.x. S2CID 1585184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