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 헤일로
The Black Halo블랙 헤일로 | ||||
---|---|---|---|---|
![]() | ||||
스튜디오 앨범 | ||||
방출된 | 2005년 3월 15일 | |||
녹음된 | 2004년 6월~10월 | |||
스튜디오 | 게이트 스튜디오(볼프스부르크) C 스튜디오(탐파) 위 | |||
장르. | ||||
길이 | 57:21 | |||
라벨. | SPV/스팀해머 | |||
프로듀서 | 사샤 파이스, 미로, 로이 칸, 토마스 영블러드 | |||
카멜로 연대기 | ||||
| ||||
블랙 헤일로 싱글즈 | ||||
|
점수 확인 | |
---|---|
원천 | 순위 |
올뮤직 | ![]() ![]() ![]() ![]() ![]() |
스푸트니크 음악 | ![]() ![]() ![]() ![]() ![]() |
메탈 스톰 | ![]() ![]() ![]() ![]() ![]() ![]() ![]() ![]() ![]() ![]() |
아마존 닷컴. | ![]() ![]() ![]() ![]() ![]() |
라스트 리츠 | ![]() ![]() ![]() ![]() ![]() ![]() ![]() ![]() ![]() ![]() |
메탈 크립트 | ![]() ![]() ![]() ![]() ![]() |
고요의 바다 | ![]() ![]() ![]() ![]() ![]() |
메타리터 | ![]() ![]() ![]() ![]() ![]() ![]() ![]() ![]() ![]() ![]() |
금속 사원 | ![]() ![]() ![]() ![]() ![]() ![]() ![]() ![]() ![]() ![]() |
The Black Halo는 미국의 파워 메탈 밴드 Kamelot의 7번째 정규 앨범이다.2005년 3월 15일 스팀해머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습니다.그것은 괴테의 파우스트에서 영감을 얻은 콘셉트 앨범이다.에피카(2003)에 소개된 이야기를 이어, 그것은 아리엘(하인리히 파우스트에 바탕을 둔 인물)에 대한 카멜로트의 2부작 록 오페라에서 두 번째이자 마지막 기록이다.에피카는 1부를 말하는 반면 블랙 헤일로는 2부를 말한다.괴테의 파우스트 또한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The Black Halo는 Simone Simons (Epica), Shagrath (Dimmu Borgir), Jens Johanson (Stratovarius) 등의 게스트 출연을 특징으로 한다.이 앨범은 2009년 봄에 고스트 오페라(2007)[10][11][12]와 함께 비닐로 발매되었다.
성격.
- Ariel (Roy Khan) – Ariel은 호기심 많고 단호하며 거만한 남자입니다.비길 데 없는 천재이자 뛰어난 과학자이자 철학자인 그는 이러한 학문들이 그의 가장 깊은 질문에 대답하지 못하는 것에 실망하고 그들이 제공하지 못한 보편적인 진실을 밝혀내려고 한다.그는 그러한 초월적인 지식을 발견하는 것만이 그의 삶을 가치 있게 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다.에피카에서 아리엘의 이 진실의 탐구는 메피스토와 구속력 있는 거래를 하게 했고, 메피스토는 그에게 세속적인 힘과 지식을 제공하게 했다.그 대신, 아리엘이 만족해서 영원히 그곳에 머물고 싶은 순간을 경험한다면, 그의 영혼은 메피스토의 것이 될 것이다.헬레나와의 재회 후, 아리엘은 그의 탐구를 계속하기 위해 헬레나를 떠났고, 그녀를 자살로 몰았다.아리엘은 괴테의 파우스트에 나오는 하인리히 파우스트에 바탕을 두고 있다.
- 헬레나(마리) – 헬레나는 아리엘과 함께 자랐고 그를 깊이 사랑한다.그녀는 아리엘이 진정으로 사랑한 유일한 사람이다.그녀는 순수하고 선한 모든 것을 상징한다.에피카에서 아리엘이 그의 궁극적인 지식을 찾기 위해 떠난 후, 그녀는 그를 찾아 나섰고, 결국 그를 찾았다.그들은 잠시 동안 함께 있었지만, 아리엘은 그의 탐구를 계속하기 위해 그녀를 떠났다.헬레나는 이에 화가 나서 자살했다.지금 천국에서 그녀는 아리엘을 지켜보고 있다.헬레나는 괴테의 파우스트에 나오는 그레첸을 바탕으로 한다.
- 메피스토(샤그라트) – 메피스토는 천국에서 쫓겨난 반항적인 천사입니다.그는 천국에 다시 들어가 하느님과 재회하기를 간절히 갈망한다.그는 신을 사랑할 가치가 없는 열등한 존재로 여기는 인간을 깊이 경멸한다.에피카에서 메피스토는 신이 가장 좋아하는 아리엘의 영혼을 차지할 수 있다고 신과 내기를 했다.메피스토가 내기에서 이기면 천국에 다시 들어갈 수 있지만 지면 영원히 지옥으로 보내질 것이다.메피스토는 아리엘을 조종하여 메피스토가 아리엘에게 세속적인 힘과 지식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아리엘이 영원히 그곳에 머물고 싶은 깊은 만족의 순간을 경험한다면, 그의 영혼은 메피스토의 것이 될 것이다.메피스토는 파우스트 원작에서 이름을 그대로 남긴 유일한 캐릭터다.
- 마거릿(시몬 시몬스) – 마을에 사는 젊은 여성(에피카가 끝나고 블랙 헤일로가 시작된다)으로 마거릿의 목소리와 외모는 헬레나와 비슷하다.그녀의 캐릭터는 괴테의 파우스트에 나오는 트로이의 헬렌의 출현에서 영감을 얻었지만, 그녀의 이름은 괴테의 파우스트에 나오는 그레첸에서 따온 것이며, "그레첸"은 마가렛이나 마거릿의 애칭이다.
줄거리.
에피카에서 계속된 아리엘은 여전히 헬레나의 죽음에 대한 슬픔과 슬픔에 사로잡혀 있다. (메피스토의 3월) 아리엘의 의지가 거의 메피스토의 통제 하에 있는 가운데, 쓰러진 천사는 아리엘에게 헬레나를 닮고 말하는 마게리트라는 이름의 아름다운 젊은 여성을 데려온다.아리엘은 마거릿을 유혹하고 두 사람은 함께 잔다. 이것이 메피스토의 아리엘 조작을 완성한다. (불이 꺼질 때)다음날 아침, 아리엘은 기억을 되찾아 메피스토의 통제력을 무너뜨리고 정신을 차린다.그는 Marguerite에게 사과하고 그의 이야기를 설명하면서 그녀에게 떠나달라고 간청하지만 언젠가 그들이 다시 만날지도 모른다고 말한다.(The Haunting (Something in Time))아리엘은 메피스토를 떠나 삶의 의미에 대한 답을 찾는 그의 선한 의도로 인해 그가 초래한 모든 고통이 어떻게 일어날 수 있었는지 궁금해한다.그는 이러한 해답을 지구상에서 찾는 것은 불가능하며, 그것들은 천국에 혼자 있어야만 한다고 결론짓는다.(제1절: 데이 그라티아) 자신의 죄로 인해 천국에 들어갈 수 없게 된 것을 깨달은 그는 신에게 용서를 빌지만 그로부터 아무런 징조도 듣지 못한다. (포기된) 그는 상심한 나머지 헬레나와 재회할 수도 없고 그가 추구하는 해답을 찾을 수도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그는 자신이 아는 모든 사람에게 끼친 고통을 되돌아보고 절대 돌이킬 수 없다고 결론짓는다.(이 과제)
이것에 의해, 아리엘은 스스로 행동을 개시해, 메피스토와 맞서기로 결심한다.그는 강을 건너 메피스토의 성에 접근한다.(달빛) 스스로 목숨을 끊고 메피스토에게 접근한다.(간극 II: 언 어쌔신리오 몰토 실렌지오소) 아리엘은 그를 배신자이며 악하다고 비난한다.그는 메피스토와의 관계를 끊고, 비록 그의 죄가 그의 영혼을 지옥으로 내몰았지만, 헬레나가 했던 것처럼 좋은 삶을 살기로 결심한다. (블랙 헤일로) 아리엘은 인류는 그의 여정 내내 대답하려고 노력해온 바로 그 질문에 항상 고군분투할 것이라고 말한다.이것은 그에게 갑작스러운 깨달음을 준다: 사랑은 삶에 대한 궁극적인 해답이며, 그와 헬레나 사이의 진정한 사랑은 그가 그의 탐구를 떠나기 전부터 그것의 일부였다는 것을.그는 이제 답을 찾더라도 결코 진정으로 만족하지 못할 것이며, 자신의 자유의지가 삶의 의미와 자신의 운명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을 안다.마침내 그의 질문에 대답하면서, 그는 초월적인 이해와 숭고한 기쁨의 상태에 이르게 된다. 너무 강해서 그는 그 순간에 영원히 머무르고 싶어한다.
이 완전한 만족의 순간은 아리엘이 메피스토와 맺은 계약을 발효시키고 그의 영혼은 이제 타락한 천사의 것이다.아리엘의 영혼이 그의 몸을 떠나기 시작하자 메피스토는 그것을 주장할 준비를 한다.그러나 헬레나는 아리엘을 대신해 신에게 간청한다.아리엘이 모든 악을 거부했기 때문에, 심지어 어떤 저주에도 불구하고, 그는 스스로를 속죄했고, 신은 그가 헬레나와 함께 천국에 들어갈 수 있도록 허락했다.메피스토는 신과의 내기에서 졌다. 그는 영원히 지옥으로 던져질 때 울부짖는다.
이야기가 끝나면서, 아리엘의 이야기는 괴테의 파우스트의 액자 장치와 비슷한 새해 전야제 연극 세트라는 것이 밝혀진다. (인터럽트 III: 자정 – 12개의 새로운 날 통행료) 축제는 비극, 코미디, 그리고 삶의 순환적 본질에 대한 헌사로 끝난다.
트랙 리스트
모든 트랙은 카멜롯이 작곡했다.
No. | 제목 | 길이 |
---|---|---|
1. | '메피스토의 행진곡'(샤그라트 피처링) | 5:28 |
2. | 불이 꺼질 때 | 3:41 |
3. | "The Haunting (Something in Time)" (시모네 시몬스 피처링) | 5:40 |
4. | '소울 소사이어티 | 4:17 |
5. | 인터루드 1: 데이 그라티아 | 0:57 |
6. | '포기' (마리아 영블러드 피처링) | 4:07 |
7. | "이 과제' | 3:59 |
8. | '달빛' | 5:10 |
9. | 인테르루드 II: 언 어쌔신리오 몰토 실렌지오소 | 0:40 |
10. | 블랙 헤일로 | 3:43 |
11. | "죽지 않는 것" | 4:45 |
12. | Memento Mori (샤그라트&마리 영블러드 피처링) | 8:54 |
13. | 막간 III: 심야-새날 12개 통행료 | 1:21 |
14. | '세레나데' | 4:32 |
총 길이: | 58:41 |
No. | 제목 | 길이 |
---|---|---|
15. | "The Haunting (Something in Time)" (feat.Simone Simons, 라디오 편집) | 3:42 |
16. | '메피스토의 행진곡'Shagrath, 무선 편집) | 3:31 |
No. | 제목 | 길이 |
---|---|---|
15. | "에필로그" | 2:46 |
16. | '영혼의 사회' (라디오 편집) | 3:52 |
No. | 제목 | 길이 |
---|---|---|
0. | 제2막(비공식명) | 1:20 |
프리갭에 짧은 히든트랙(1:20)이 있습니다.일부 CD 플레이어의 "March of Mephisto"에서 되감아 보면 한 커플이 극장에 들어갔다가 "이제 막 2막으로 갔다"는 말을 듣는 것을 볼 수 있다.
차트
차트(2005) | 절정 위치 |
---|---|
스웨덴 앨범[13] 차트 | 24 |
일본어 앨범[14] 차트 | 41 |
핀란드 앨범[15] 차트 | 50 |
독일 앨범[16] 차트 | 81 |
벨기에 음반[17] 차트 | 81 |
노르웨이 음반[18] 차트 | 87 |
프랑스어 앨범[19] 차트 | 101 |
인사
The Black Halo의 크레딧은 라이너 [20]노트에서 개작되었다.
카멜로
추가 인원
- Miro – 키보드, 오케스트라 어레인지먼트
- Sascha Paeth – 기타 추가, 마스터링
- Jens Johanson – "March of Mephisto" 및 "When the Lights Are Down" 키보드 솔로곡
- 샤그라트 – 메피스토의 행진곡과 메피스토의 등장인물
- Cinzia Rizzo – "Un Amassinio Molto Silenzioso"의 카바레 가수
- Simone Simons – "The Haunting"의 Marguerite
- Geoff Rudd – The The The Theater (Pre-Gap 트랙)와 Gatesville 시장 (트랙 13)
- 마리 영블러드 – 헬레나 캐릭터 '메멘토 모리'와 '유기'
- 아넬리스 영블러드 - '영혼의 사회'의 아기 알레나
- Andre Neygenfind – "포기"에 대한 D-bass
- 볼프강 디트리히 – "메멘토 모리"의 오보에
- Rodenberg Symphony Orchestra – 오케스트레이션
합창단
생산.
- Michael Tibes – 마스터링
- Philip Colodetti – 마스터링
- Derek "Dodge" Gores – 커버 아트
레퍼런스
- ^ a b c d e Rivadavia, Eduardo. "Kamelot The Black Halo review". AllMusic. Rovi Corporation. Retrieved December 18, 2018.
- ^ "Sputnik music review".
- ^ "Metal Storm review".
- ^ "Amazon.com review".
- ^ "Last Rites review".
- ^ "The Metal Crypt review".
- ^ "Sea of Tranquility review".
- ^ "Metaleater revie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10-11. Retrieved 2013-02-04.
- ^ "Metal Temple review".
- ^ - 2008년 12월 13일자 공식 사이트 뉴스 기사.2008년 12월 18일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 완료
- ^ "Blabbermouth.net article dated December 13, 2008". Roadrunnerrecord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4, 2009. Retrieved 2011-12-03.
- ^ bravewords.com. "article dated December 13, 2008". Bravewords.com. Retrieved 2011-10-24.
- ^ Steffen Hung. "Kamelot - The Black Halo". swedishcharts.com. Retrieved 2005-03-24.
- ^ "The Black Halo (Japanese Char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30, 2008. Retrieved 2016-02-27.
- ^ "The Black Halo (Finnish Char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30, 2008. Retrieved 2016-02-27.
- ^ "The Black Halo (German Charts)". dutchcharts.nl. Retrieved 2016-02-27.
- ^ "Kamelot - The Black Halo". ultratop.be. Retrieved 2005-04-02.
- ^ "The Black Halo (Norwegian Char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30, 2008. Retrieved 2016-02-27.
- ^ Steffen Hung. "Kamelot - The Black Halo". lescharts.com. Retrieved 2005-03-19.
- ^ (2005). "블랙 헤일로 라이너 노트"더 블랙 헤일로 [CD 책자]에서SPV Gmb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