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지리학

Time geography

시간지리학 또는 시간공간지리학사회적 상호작용, 생태적 상호작용, 사회적 환경적 변화, 개인의 전기와 같은 공간적, 시간적 과정과 사건에 대한 학문적 전반적 관점이다.[1] 시간 지리학은 "주체적 영역"[2]아니라 공간과 시간이 동적 프로세스의 분석의 기본 차원인 통합적 존재론적 프레임워크와 시각 언어다. 시간지리학은 원래 인간 지리학자에 의해 개발되었으나, 오늘날에는 교통, 지역계획, 지리, 인류학, 시간이용 연구, 생태학, 환경과학, 공중보건과 관련된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3] 스웨덴 지리학자 보 레논토프(Bo Lenntorp)에 따르면: "이는 기본적인 접근법이며, 모든 연구자들은 그것을 그녀나 그의 방식으로 이론적 고려사항과 연결할 수 있다."[4]

오리진스

스웨덴 지리학자 토르스텐 헤거스트란드는 스웨덴의 인간 이주 패턴에 대한 초기 경험적 연구 동안에 그가 개발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1960년대 중반에 시간 지리를 만들었다.[5] 그는 "시간 공간 프레임워크에서 사건이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는 물리적 접근법"[6]을 사용하여 "대규모 사회 환경적 메커니즘의 작용을 알아낼 수 있는 어떤 방법"을 모색했다. 헤거스트란드는 부분적으로 틈틈이 물리학의 개념적 진보와 물리주의의 철학에 의해 영감을 받았다.[7]

Hagerstrand의 초기 시간 지리학은 그것의 주요 존재론적 특징들을 비공식적으로 기술했다: "시간공간에서, 개인은 경로를 상황적 맥락 안에서 기술한다."; "인생은 제약의 그물 안에서 포착된다. 그 중 일부는 생리적, 물리적 필수품들에 의해 부과되고, 일부는 민간적이고 일반적인 데시(deci)에 의해 부과된다.헤거스트란드는 [8]"시간 공간 현상으로 보이는 제약에 대한 포괄적인 분류 체계를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라고 말했지만, 그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종류의 제약조건을 "가칭적으로 기술했다"고 말했다.

  • 역량 제약 - 생물학적 구조 및/또는 그들이 명령할 수 있는 도구로 인한 개인의 활동에 대한 제한
  • 결합 제약 조건 - "개인이 생산, 소비 및 거래를 위해 다른 개인, 도구 및 재료에 가입해야 하는 경우, 시기 및 기간 동안 제한"(중요 경로 분석과 관련된 경우)
  • 권한 제약 - 도메인 또는 "특정 개인 또는 특정 집단의 통제 하에 있는 사물 및 사건이 있는 시간 공간 엔터티"에 대한 제한.[9]
A space-time cube is a three-axis graph where one axis represents the time dimension and the other axes represent two spatial dimensions
시간 지리적 시각 언어의 예: 시공간 큐브, 경로, 프리즘, 번들 및 기타 개념.

헤거스트란드는 이러한 개념을 다음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그래픽 표기법으로 설명하였다.[10]

  • 공간 및 시간 좌표의 축도계 그래픽 투영으로 개별 경로를 표시하는 공간 시간 수족관(또는 공간 시간 큐브)
  • 시간 프리즘(space-time primism)은 능력 제약 및 결합 제약 조건을 고려할 때 시간 공간에서 개인의 가능한 행동을 보여준다.
  • 기능 제약 및 결합 제약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개별 경로가 결합된 경로 번들로서 "로컬 질서의 변경"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경로 번들
  • 제한된 공간 크기 및 제한된 수동, 구강 청각 및 시각적 범위와 같이 특정 개인의 특정 기능 제약 조건을 나타내는 접근성의 동심 튜브 또는
  • 지정된 개인 또는 특정 그룹에 대한 권한 제약 조건을 보여주는 도메인의 중첩된 계층.[11]

이 혁신적인 시각 언어는 시간 지형의 필수적인 특징이지만, 헤거스트랜드의 동료인 보 레넌토프는 이 언어가 근본적인 온톨로지의 산물이며, 그 반대는 아니라고 강조했다. 표기법은 매우 유용한 도구지만, 풍요로운 세계관을 다소 미흡하게 반영하고 있다. 많은 경우, 공칭 기구는 시간 지형의 특징이다. 그러나 근본적인 온톨로지(Ontology)가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고 말했다.[12] 음악이 음악적 표기법에만 국한되지 않듯이 시간 지리학은 시간 지리적 도표에만 관한 것이 아니다. 헤거스트란드는 나중에 이렇게 설명했다. "여기서 잠깐 언급되는 것은 4차원 형태의 세계다. 이것은 완전히 그래픽으로 묘사될 수 없다. 반면에 경험적, 이론적 연구에서 지침이 될 수 있도록 충분히 명료하게 상상할 수 있어야 한다."[13]

1981년까지 지리학자 Nigel SavyftAllan Pred는 "미리 접근성 제약 분석(및 사회 공학에서의 관련 연습)[14]에 자신을 빌려주는 공간 및 시간적 조직의 경직된 서술적 모델로" 그것을 볼 사람들에 대해 이미 시간 지리를 옹호하고 있었다. 그들은 시간지리학은 제약의 모델일 뿐 아니라, 다양한 이론과 연구 방법을 보완할 수 있는 유연하고 진화하는 현실 사고방식이라고 주장했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헤거스트란트 등은 그의 원래 개념 세트를 확장하기 위해 노력했다.[15] 헤거스트란드는 말년에 이르러 이런 사고방식을 가리키는 '시간지리학'이라는 문구를 사용하는 것을 그만두고 대신 토폴로지 같은 단어를 사용했다.[16]

후기 개발

트랜짓 네트워크 데이터를 사용한 공간 프리즘의 도식 및 예: 오른쪽에는 시공간 프리즘의 도식도가 있고, 왼쪽에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시간예산을 위한 잠재적 경로영역의 지도가 있다.[17]

1980년대 이후 시간지리는 사회과학,[18] 생물학,[19] 학제간 분야의 연구자들에 의해 이용되어 왔다.

1993년 영국의 지리학자 길리언 로즈는 "시간 지오그래피는 사람들이 추적한 인용구에 대한 페미니스트적 관심을 공유하며 페미니즘과 마찬가지로 제약에 대해 생각함으로써 그러한 길을 사회의 더 큰 구조로 연결시킨다"[20]고 언급했다. 하지만, 그녀는 시간 지리가 페미니스트들에게 중요한 문제에는 적용되지 않았고, 그것을 "사회과학 남성성"[21]의 한 형태라고 불렀다. 이후 수십 년 동안 페미니스트 지리학자들은 시간 지리를 재방문하여 페미니스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기 시작했다.[22]

GIS 소프트웨어는 시간 지리적 문제를 다양한 공간적 규모로 계산하고 분석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한 분석은 다양한 시각화 전략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 데이터셋(예: 보행 네트워크, 고속도로 네트워크, 대중교통 일정)을 사용해 왔다.[23] 시간 지오그래픽 시각화시각적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오타임과 같은 전문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었다.

시간 지리학은 정신 건강에서 치료적 평가의 한 형태로도 이용되어 왔다.[24]

벤자민 바흐와 동료들은 시공간 큐브를 2차원 플러스 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는 모든 데이터에 적용되는 시간적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프레임워크로 일반화했다.[25]

참고 항목

각주

  1. ^ Salft & Pred 1981, 페이지 277; Carlstein 1982, 페이지 II
  2. ^ 레논토프 1999 페이지 155
  3. ^ 수이 2012
  4. ^ 레논토프 1999 페이지 158
  5. ^ 레논토프 1999 페이지 157
  6. ^ 헤거스트란트 1970, 페이지 20-21
  7. ^ 헤거스트란트 1983년1987년 국린스키에서 헤거스트란드는 일반 상대성 이론에 관한 알버트 아인슈타인과 아서 에드딩턴의 글을 고무로 인용한다. 물리학자 겸 사회학자 오토 뉴라스헤거스트란트 1970년에 인용되었다. 이러한 생각들이 시간 지리적 존재론의 중요한 원천이기는 하지만, 시간 지리는 전적으로 물리주의자로 묘사되어서는 안 된다. 헤거스트란드는 또한 현상학자 마틴 하이데거자연보호론자 레이첼 카슨을 수많은 지리학자들과 함께 주요 영향자로 꼽았다(Kuklinski 1987, 페이지 507). "헤거스트란드는 연구자들이 기본적인 제약조건인 천연자원, 시간, 공간이 한정되어 있다는 것을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의무감을 가지고, 삶의 기초로서 현실 세계의 물질적 측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싶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르스텐 헤거스트란드는 완고한 물질주의자는 아니었다. 그의 물질주의는 지리적 지식의 발전을 위한 인간의 경험, 성찰, 추론의 중요성에 대한 깊은 관심 속에 내재되어 있다.(엘레그드 & 스베딘 2012, 페이지 18)
  8. ^ 헤거스트란트 1970, 페이지 10-11
  9. ^ 헤거스트란트 1970, 페이지 11-17
  10. ^ 국린스키 1987, 페이지 507, 부티머 & 멜스 2006, 페이지 119, 엘레게르트 & 스베딘 2012
  11. ^ 헤거스트란트 1970, 페이지 12-17, 칼슈타인 1982, 페이지 40-50
  12. ^ 레논토프 1999 페이지 156
  13. ^ 헤거스트란드 & 칼슈타인 2004년 페이지 323
  14. ^ 절약 & 프레드 1981, 페이지 277
  15. ^ 헤거스트란드의 출판물에 대한 자세한 목록은 토르스텐 헤거스트란드를 참조하십시오.
  16. ^ Elleghrd & Svedin 2012, 페이지 18; Hagerstand & Carlstein 2004, 페이지 323
  17. ^ 앨런 2019
  18. ^ For example: Ellegård & de Pater 1999; Ellegård & Palm 2011; Fischer-Kowalski et al. 2010; Kwan 2004; Latham 2003; Ringhofer 2009; Schwanen & Kwan 2009; Singh et al. 2010; Tani & Surma-Aho 2012
  19. ^ 예: Baer & Butler 2000, Brasebin & Buard 2011, Downs, Horner & Tucker 2011, Huettmann & Cishman 2009, Zhao et al. 2013; Saedimohagaddam et al. 2017.
  20. ^ 1993년 로즈, 페이지 18
  21. ^ 1993년 로즈, 페이지 40
  22. ^ 예: 콴 2007; & 딩 2008; 맥쿼이드 & 디즈스트 2012; 숄텐, 프리버그 & 산덴 2012
  23. ^ 예: Andrienko et al. 2013; Kwan et al. 2014; Allen 2019
  24. ^ Lewchanin & Zubrod 2001; Sunnqvist et al. 2007; Sunnqvist et al. 2013
  25. ^ Bach et al. 2014; Bach et al. 2016

참조

추가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