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오이도 선
Toei Ōedo Line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오이도 선 | |||
---|---|---|---|
![]() | |||
![]() 오이도 선상의 도에이 12-600계 전동차 | |||
개요 | |||
소유자 | 도쿄 시 교통국(토이) | ||
로캘 | 도쿄 | ||
터미 | 토초마에 히카리가오카 | ||
스테이션 | 38 | ||
서비스 | |||
유형 | 급행열차 | ||
디포 | 키바 | ||
롤링 스톡 | 도에이 12-000 및 도에이 12-600계 전동차 | ||
데일리 라이더십 | 933,621 (2016)[1] | ||
역사 | |||
열린 | 1991년 12월 10일 (제1구간) 2000년 12월 12일 (입국선) | ||
기술 | |||
선 길이 | 40.7km(25.3mi) | ||
트랙 게이지 | 1,435 mm (4ft 8+1⁄2 인치(선형 유도 모터 포함) | ||
전기화 | 천오백 V DC에서 천오백 V. | ||
작동 속도 | 시속 70km(43mph) | ||
|
도쿄 도 교통국(東京都市 교통국(東京都市 교통국)에서 운영하는 일본 도쿄 도 시의 전철 오에도 선(線, 도쿄 도 교통국)이다.2000년 12월 12일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일본 달력을 사용하면 "12/12/12"로 표기되어 2000년은 헤이세이 12년이다.이 노선은 완전히 지하에 있어 세이칸 터널에 이어 일본에서 두 번째로 긴 철도 터널이 된다.
지도와 간판에는 선이 마젠타(O)로 표시되어 있다.역에는 'E'자 뒤에 더 분홍빛이 도는 루비원(E) 안에 두 자리 숫자가 들어간다.
개요
오이도 선은 도쿄 지하철 노선으로는 최초로 선형 전동기 추진(그리고 오사카 메트로 나가호리 쓰루미료쿠치 선에 이어 일본에서도 두 번째)을 이용할 수 있어 소형차와 소형 터널(봄바디어사가 제조한 첨단급행철도 시스템에 의해 유사하게 달성된 이익)을 이용할 수 있다.하지만 이 기술은 기존 회전 모터를 활용한 차량으로만 운행할 수 있는 다른 철도 및 지하철 노선과 양립할 수 없어 오이도선 열차가 운행되지 못하게 했다.비록 회전식 모터 추진력을 가진 차량은 기술적으로 오이도 선에서 운행할 수 있지만, 소형 터널과 적재 게이지가 그러한 현상을 방지하여, 오이도 선은 40여 년 만에 도쿄에서 처음으로 자체 폐쇄된 지하철 노선이 되고, 토이가 운행하는 노선이 된다.
스미다 강의 지하 교차점 3곳을 포함해 도쿄 중심부를 통과하는 선은 깊다(지점 48m까지 낮다).원래 ¥682.6 억 60년의 예산 시공 관리 범위의 최종 비용의 거의 10살이고 통계 수치가 공식 ¥988.6 억에서 ¥1,400 억엔으로, 가장 값 비싼 지하철 노선 건설되게 만든다는 것을 했다.만약 kilomet당 측정[2](요코하마의 요코하마 미나토 미라이 선 그러나 그 보다 훨씬 더 많았다.(으)
탑승객의 예상 이용객 수는 원래 매일 100만 명으로 추산되었으며, 이는 개통 전 82만 명으로 축소되었다.2006년 말에 이 노선은 하루 평균 72만 명의 승객을 태우고 있었다.[3]그러나 롯폰기, 시오돔 등 주요 역 주변의 상업·주거용 신개발에 이어 개통 후 매년 약 5%씩 기수가 증가했다.도쿄 시 교통국에 따르면, 2009년 6월 현재, 오오에도 선은 몬젠나카초 역과 쓰키시마 역 사이의 178%[a] 용량으로 최고조에 달해 도쿄에서 네 번째로 혼잡한 지하철 노선이었다.[4]
현재 히카리가오카 역의 서부 종착역에서 서쪽으로 오이도 선을 연장하여 오이즈미가쿠엔코 역(세이부쿠로 선)에서 북쪽으로 1.5km 떨어진 오이즈미가쿠엔쵸의 새로운 종착역까지 연장한 후, 이후 히가시토코로자와 역(무사시노 선) 쪽으로 가는 계획이 있다.오이즈미가쿠엔초로의 첫 구간 건설은 2015년 이전 잠정적으로 예정되어 있으며, 임시로 지명된 도시다 역, 오이즈미초 역, 오이즈미가쿠엔초 역 등 3개 역의 신축이 포함될 예정이다.[5]도쿄에 2020년 하계 올림픽을 수여한 데 이어 올림픽 사격장이 있는 니이자까지 노선을 연장하기 위해 2.7km를 증설하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이 문제에 대한 결정은 2015년에 내려질 것으로 예상된다.[6]
서비스
오오에도 선은 도쿄 중심부를 중심으로 한 고리로 운행하다가 서쪽 교외의 네리마 쪽으로 분기하는데, 그 선은 옆으로 누운 형상 6을 의미한다.진정한 루프 라인이 아니다: 서부 히카리가오카 종착역에서 출발한 열차가 루프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운행하고 히카리가오카 방향으로 향하는 중간 토쵸마에 역에서 종착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이 협정은 2009년 이후 런던 지하철 서클 선과 매우 유사하지만, 선로 세그먼트를 다른 선과 공유하지는 않는다.
토초마에에서 고리를 돌고 히카리가오카까지 총 40.7km의 구간은 81분이 걸린다.출퇴근 시간에는 3~5분에 한 번, 비수기 평일 시간, 주말, 공휴일에는 6분에 한 번 열차가 운행된다.[7]
스테이션 목록
모든 역은 도쿄에 있다.
아니요. | 역 | 일본인입니다 | 거리(km) | 전송 | 위치 | |
---|---|---|---|---|---|---|
사이 역 | 출발지 E-28 | |||||
E28 | 토초마에 | 都庁前 | - | 0.0 | 에토에이 외도 선(히카리가오카와 롯폰기용) | 신주쿠 |
E01 | 신주쿠니시구치 | 新宿西口 | 0.8 | 0.8 |
| |
E02 | 히가시신주쿠 | 東新宿 | 1.4 | 2.2 | F 도쿄 지하철 후쿠토신 선(F-12) | |
E03 | 와카마츠카와다 | 若松河田 | 1.0 | 3.2 | ||
E04 | 우시고메야나기초 | 牛込柳町 | 0.6 | 3.8 | ||
E05 | 우시고메카구라자카 | 牛込神楽坂 | 1.0 | 4.8 | ||
E06 | 이이다바시 | 飯田橋 | 1.0 | 5.8 |
| 분쿄 |
E07 | 카스가 | 春日 | 1.0 | 6.8 |
| |
E08 | 훙고산초메 | 本郷三丁目 | 0.8 | 7.6 | M 도쿄 지하철 마루노우치 선(M-21) | |
E09 | 우에노오카치마치 | 上野御徒町 | 1.1 | 8.7 | 다이토 | |
E10 | 신오카치마치 | 新御徒町 | 0.8 | 9.5 | ![]() | |
E11 | 쿠라마에 | 蔵前 | 1.0 | 10.5 | 아오에이 아사쿠사 선(A-17) | |
E12 | 료고쿠 | 両国 | 1.2 | 11.7 | JB 주오소부 선 | 스미다 |
E13 | 모리시타 | 森下 | 1.0 | 12.7 | S 도에이 신주쿠 선(S-11) | 고토 |
E14 | 기요스미시라카와 | 清澄白河 | 0.6 | 13.3 | Z도쿄 지하철 한조몬 선(Z-11) | |
E15 | 몬젠나카쵸 | 門前仲町 | 1.2 | 14.5 | T도쿄 지하철 토자이 선(T-12) | |
E16 | 츠키시마 | 月島 | 1.4 | 15.9 | Y도쿄 지하철 유라쿠초 선(Y-21) | 주오 |
E17 | 카치다키 | 勝どき | 0.8 | 16.7 | ||
E18 | 츠키지시조오 | 築地市場 | 1.5 | 18.2 | ||
E19 | 시오돔 | 汐留 | 0.9 | 19.1 | ![]() | 미나토 |
E20 | 다이몬 | 大門 | 0.9 | 20.0 |
| |
E21 | 아카바네바시 | 赤羽橋 | 1.3 | 21.3 | ||
E22 | 아자부주반 | 麻布十番 | 0.8 | 22.1 | N도쿄 지하철 난보쿠 선(N-04) | |
E23 | 롯폰기 | 六本木 | 1.1 | 23.2 | H 도쿄 지하철 히비야 선(H-04) | |
E24 | 아오야마이치오메 | 青山一丁目 | 1.3 | 24.5 |
| |
E25 | 고쿠리쓰쿄기조오 | 国立競技場 | 1.2 | 25.7 | JB 주오소부 선(센다가야 선) | 신주쿠 |
E26 | 요요기 | 代々木 | 1.5 | 27.2 | 시부야 시 | |
E27 | 신주쿠 | 新宿 | 0.6 | 27.8 |
| |
E28 | 토초마에 | 都庁前 | 0.8 | 28.6 | 이이다바시 철도 오에도 선(이이다바시용) | 신주쿠 |
E29 | 니시신주쿠고쵸메 | 西新宿五丁目 | 0.8 | 29.4 | ||
E30 | 나카노사카우에 | 中野坂上 | 1.2 | 30.6 | MMb 도쿄 지하철 마루노우치 선(M-06) | 나카노 |
E31 | 히가시나카노 | 東中野 | 1.0 | 31.6 | JB 주오소부 선 | |
E32 | 나카이 | 中井 | 0.8 | 32.4 | ![]() | 신주쿠 |
E33 | 오치아이미나미나가사키 | 落合南長崎 | 1.3 | 33.7 | ||
E34 | 신에고타 | 新江古田 | 1.6 | 35.3 | 나카노 | |
E35 | 네리마 | 練馬 | 1.6 | 36.9 | 네리마 | |
E36 | 도시마엔 | 豊島園 | 0.9 | 37.8 | ![]() | |
E37 | 네리마카스가쵸우 | 練馬春日町 | 1.5 | 39.3 | ||
E38 | 히카리가오카 | 光が丘 | 1.4 | 40.7 |
롤링 스톡
- 토에이 12-000 시리즈 8량 EMU 열차 세트
외도선 열차는 기요스미시라카와 역 남동쪽 기바 공원 아래에 위치한 기바 창고에서 보관·유지되고 있다.2000년 외도선 루프가 완공되기 전에는 히카리가오카 역 부근의 창고에서 정비가 실시되었다.
외도선 열차의 주요 정비 작업은 도에이 아사쿠사 선 니시마고메 역 남쪽에 위치한 마고메 역에서 실시한다.외도선 열차는 시오다메 역 부근 아사쿠사 선으로 연결되는 연결 터널을 이용해 이 시설에 접근한다.양쪽 노선의 열차 접근을 막는 기반시설과 기술의 차이로 인해, 특별한 토이 등급 E5000 기관차는 지하철이 폐쇄되는 밤 시간대에 이 여객선을 운행한다.
역사
오이도 선은 1968년 도쿄 북부와 동부를 중심으로 신주쿠에서 아자부까지 불완전한 루프 선으로 처음 제안되었다.이 계획은 1972년에 개정되어 신주쿠로 되돌아가는 루프를 완성하여 히카리가오카까지 연장하고 북쪽에서 메지로에 스퍼 라인을 추가하였다.도쿄 도청은 당초 도에이 12호선(道海線, 도에이 지카테쓰 주니고센)으로 불렸던 이 노선 공사를 착수했다.
히카리가오카에서 네리마까지 이어지는 첫 구간은 1991년 12월 10일 운행을 시작했다.1997년 12월 19일 네리마에서 신주쿠까지 노선을 연장하였고, 이후 2000년 4월 20일 신주쿠에서 고쿠리쓰쿄기조까지 노선을 연장하였다.
이 연장선으로 이시하라 신타로 도쿄도지사는 이 선을 '토에이 외도 선'이라고 명명했는데, 여기서 외도는 말 그대로 도쿄의 옛 이름을 가리키는 '대 에도'를 의미한다.이전 노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당초에는 대중이 명칭을 선택하기 위해 여론조사를 실시하였으나, 이시하라씨는 당초 완전한 루프를 형성하지 않을 것이며, 그렇게 부르는 것이 야마노테 선, 오사카 루프 선과의 혼선을 야기할 것이라는 이유로 선택된 명칭인 도쿄 루프 선(동쿄 루프 선, 간조 센)을 거절했다.
풀 라인은 2000년 12월 12일에 운행을 시작했다.2002년 11월 2일 유리카모메 가이드웨이 환승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역(시오도메 역)이 추가 개통되었다.시오다메의 추가에 따라, 열차내의 자동 안내방송이 각 역 근처의 사업이나 설비를 광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는데, 도쿄에서는 첫 번째(이미 오사카와 나고야의 시영 지하철에서는 이것이 관행이었음에도 불구하고)가 되었다.
메모들
- 100% — 통근자는 개인 공간이 충분하며 스트랩이나 핸드 레일을 잡고 앉거나 설 수 있다.
- 150% — 통근자들은 신문을 읽기에 충분한 개인 공간을 가지고 있다.
- 180% — 통근자들은 신문을 접어서 읽어야 한다.
- 200% — 통근자들은 각 구획에서 서로 압박을 받지만 여전히 작은 잡지를 읽을 수 있다.
- 250% — 통근자들은 서로 압박을 받아 움직일 수 없다.
참고 항목
- 일본의 철도 노선 목록
- 런던 지하철 서클 선, 방콕 MRT 블루 선, 함부르크 U3, 3개의 지하철 노선, 유사한 배치를 가지고 있다.
참조
- ^ 東京都交通局ホーム - 経営情報 - 交通局の概要 - 都営地下鉄 [Tokyo Metropolitan Bureau of Transportation Home - Management Information - Overview of th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 Toei Subway] (in Japanese). 東京都交通局 [Tokyo Metropolitan Bureau of Transportation]. April 1, 2015. Retrieved 2016-01-17.
- ^ 都営12号線(大江戸線)環状部事業の評価(総括表) Archived 2006-05-17 at the Wayback Machine, Toei
- ^ 各駅乗降人員一覧 | 東京都交通局
- ^ 메트로폴리스, 2009년 6월 12일, 페이지 07.수용용량은 좌석, 스트랩 또는 도어 난간을 잡고 있는 모든 승객으로 정의된다.
- ^ "Moving Towards the Early Stages of Ōedo line extension" (PDF). www.kotsu.metro.tokyo.jp. March 2012. Retrieved 2013-08-02.
- ^ 地下鉄12号・都営大江戸線:延伸、五輪特需に期待 射撃会場予定地、スムーズに移動 /埼玉 [Subway line 12 extension, to serve the expected exceptional demands for the Olympics. To assist the movement of people to the proposed shooting range/Saitama] (in Japanese). Mainichi Shimbun. September 11, 2013. Retrieved 2013-09-22.
- ^ 平成21年度東京都高速電車事業会計決算審査意見書
- ^ "混雑率の推移".
- ^ Kikuchi, Daisuke (6 July 2017). "Tokyo plans new effort to ease commuter hell on rush-hour trains". The Japan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ly 2017.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오에도 도에이 선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