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토미히데쓰구

Toyotomi Hidetsugu
도요토미히데쓰구
豊臣 秀次
Toyotomi Hidetsugu.jpg
도요토미히데쓰구
일본 섭정
재직중
1585–1591
모나크고요세이
선행자도요토미 히데요시
성공자쿠조 가네타카
개인내역
태어난
미요시 노부요시

1568
죽은1595년 7월 15일(1595-07-15) (26-27)
국적일본인입니다
부모님
  • 미요시카즈미치(아버지)
  • 토모 (어머니)
친척들.도요토미 히데요시(삼촌)
도요토미 히데나가(삼촌)
도요토미 히데요리(쿠신)
기타 이름하시바히데쓰구
서명
병역
얼리전스Goshichi no kiri inverted.svg 도요토미 씨
전투/와이어시즈가타케 전투
고마키 전투
시코쿠 침공
오다와라 공방전
쿠노헤의 반란

도요토미 히데츠구(藤正義, 1568년 ~ 1595년 7월 15일)일본 센고쿠 시대 다이묘였다.1590년부터 1598년까지 일본의 통일자·통치자인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카이자 가신이었다.히데요시의 가장 가까운 성인 남성 친척임에도 불구하고 히데요시의 아들이 태어난 후 히데츠구는 잔학한 혐의를 받고 쿠데타를 시도했으며, 자살 명령을 받았다.아이들을 포함한 히데츠구의 가족 전부도 히데요시의 명령에 따라 처형되었다.3년 후 히데요시가 죽은 뒤 도요토미 권위가 빠르게 해체되는 데는 그의 죽음과 가족의 죽음 등이 한몫했다.

전기

도요토미 히데츠구의 구소쿠 무기고,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16~17세기, 선토리 미술관

히데츠구는 미요시 카즈미치와 함께 도모(히데요시의 누나)에게서 태어났으며, 이후 요시후사 미요시에게 입양되었으며, 이름은 미요시 노부요시였다.이후 유명한 외삼촌을 기리기 위해 하시바 히데츠구로 개명했는데, 하시바는 히데요시의 성씨였고, 히데쓰구는 다음 히데츠구로 번역할 수 있다.

1582년 혼노지 사건 이후 히데츠구는 히데요시의 몇 안 되는 친족 중 하나였기 때문에 오미 국에서 40만 고쿠 피신권을 받았다.이후 장군으로서의 경력에 있어서, 1583년 시즈가타케 전투 때, 다카야마 우콘, 나카가와 기요히데와 함께 오이와야마-포트(오이와야마-토리데, 大山山砦)를 개최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나가쿠테 전투에서 1584년 대패했다.

히데요시의 시코쿠[1] 침공오다와라 포위전에서 자신을 증명했다.오미하치만 성읍의 유능한 관리인임을 증명하기도 했다.

슈도 전통의 실천가였던 히데츠구는 와카슈가 많았다.이 중에는 야마모토 토노마, 야마다 산주로, 그리고 그의 가장 사랑받는 후와 반사쿠(또한 만사쿠)가 있었는데, 그는 몸과 정신의 아름다움으로 지속적인 명성을 얻었다.[2]

1590년(텐쇼 18년) 오다 노부카쓰가 한때 지배했던 오와리기요스 성의 카스텔란으로 임명되었다.이듬해 히데요시는 합법적인 후계자 츠루마츠(성년 전에 사망한)를 잃었고, 그렇게 해서 히데츠구에게 황실 섭정 자리를 내주었다.이는 히데츠구가 교토에 있는 쥬라쿠다이( jurak臺)로 옮겨가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고, 히데요시와 히데츠구가 운영하는 이른바 이원집정부제(二元集制)를 초래하여, 사후에는 후자가 전자를 계승할 것이라는 가정을 하게 되었다.히데요시가 임진왜란을 수습하기에 급급하자 히데츠구는 그 대신 내정을 수습하는 행동을 했다.

그러나 1593년 히데요시의 후궁 요도노가 새로운 후계자 히데요리를 낳으면서 히데츠구와 히데요시의 관계가 악화되기 시작했다.히데츠구의 루머가 반복되고 부당한 살인을 저지르며, 현대 역사학자들은 이러한 루머가 정확했다고 의심하지만, 그에게 "인생을 죽이는 칸파쿠"라는 별명을 갖게 했다.

마침내 1595년 히데츠구는 쿠데타를 모의한 혐의를 받고 고야산에서 의례적인 자살 명령을 받았다.그와 함께 그의 세 명의 와카슈가 죽었는데, 그는 그의 도움으로 자살했다.[3]

그와 연관된 다이묘는 감금되었고 주라쿠다이는 멸망했다.논란이 된 히데요시는 산조가와라에서 아이, 아내, 내연녀 등 히데츠구의 전 가족을 처형하라고 명령했다.39명의 여성과 어린이들을 처형하는 가혹함과 잔인성은 일본 사회에 충격을 주었고 많은 다이묘들을 도요토미 통치에서 멀어지게 했다.히데츠구가 히데요시 자신 외에 도요토미 가문의 마지막 성인군이었다는 사실과 결합하여, 이 사건 전체가 도요토미 몰락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특히 비극적인 경우, 히데요시는 막 교토에 도착하여 히데츠구의 후궁이 되고 아직 예비 신랑도 만나지 못한 요시아키의 열다섯 살 된 딸의 목숨을 살려주려 하지 않았다.그녀의 죽음으로 힘센 모가미 일가는 5년 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열렬히 지지하게 되었다.

히데츠구의 자녀 중 두 딸만 살려두었는데, 할아버지 조카가 입양한 키쿠히메와 유키무라 사나다의 후궁이 된 고토 노리요시, 류세이인이었다.

가족

  • 아버지:미요시카즈미치(1534~1612)
  • 어머니:토모 (1534–1625)
  • 형제:
    • 도요토미 히데카츠(1569~1592)
    • 도요토미 히데야스(1579~1595)
  • 아내, 첩, 자식:
    • 아내:이케다 쓰노키( "田 tsun)의 딸, "와카 만도코로"
    • 아내: 이치로노 다이(1562~1595), 이마데가와 하루수에의 딸
    • 후궁:고가미도노(d.1595), 시조 다카마사(田中寺)의 딸
    • 첩:히비노 키요자네의 딸 아코노 카타(d.1595년)
      • 첫째 아들:도요토미센치요마루(1590~1595)
    • 첩:야마구치 시게카쓰의 딸 오타쓰노 가타(d.1595년)
      • 둘째 아들:도요토미히아쿠마루(1592~1595)
    • 첩:쇼바이인 기타노의 딸 사치코(d.1595년)
      • 셋째 아들:도요토미쥬마루(1593~1595)
    • 첩:시게사다 다케나카 씨의 딸 오초노 카타(d.1595년)
      • 넷째 아들:도요토미쓰치마루(1595~1595)
    • 첩:고쇼지 선조의 딸 오카메노 마에 (d.155)
      • 첫째 딸: 로게츠인 (1587–1595)
    • 첩:이츠키 다카시게의 딸 교쿠도노(d.1595년)
      • 셋째 딸: 키쿠히메(1595~1615)

참조

  1. ^ Turnbull, Stephen (1998). The Samurai Sourcebook. London: Cassell & Co. p. 236. ISBN 9781854095237.
  2. ^ 이하라 사이카쿠(Ihara Saikaku, The Great Mirror of Male Love) 번역, 소개와 함께, 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1990, 페이지 166, 노트 1
  3. ^ 와타나베 쓰네오와 이와타 준이치, 사무라이의 사랑: 일본 동성애 천 년, 런던:게이 멘스 프레스, 1989, 페이지 54)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즈 도요토미 히데츠구 관련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