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S 무르짐 (AK-95)
USS Murzim (AK-95)![]() USS 무르짐 (AK-95) | |
역사 | |
---|---|
![]() | |
이름 |
|
네임스케이크 | |
주문된 | EC2-S-C1형 선체, MCE 선체 633형[1] |
빌더 |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터미널 아일랜드의 California 조선 회사 |
비용 | $1,254,162[2] |
야드 번호 | 58[1] |
웨이 넘버 | 13[1] |
눕다 | 1942년 7월 10일 |
시작됨 | 1942년 8월 17일 |
후원자: | 앨버트 E 부인보웬 |
획득한 | 1943년 4월 8일 |
커미셔닝됨 | 1943년 5월 14일 |
해체됨 | 1946년 6월 7일 |
이름이 변경됨 | 무르짐, 1943년 3월 17일 |
스트리킨 | 1947년 6월 23일 |
식별 | |
명예와 상을 주다 | ![]() |
운명 | 1947년 8월 5일 캘리포니아 수이순 만 국방예비함대에 배치된 MARCOM으로 귀환 |
상태 | 폐기를 위해 판매, 1973년 3월 19일, 함대에서 철수, 1973년 7월 27일 |
일반적 특성 | |
클래스 및 유형 | 크레이터급 화물선 |
유형 | 유형 EC2-S-C1 |
변위 |
|
길이 | 441ft 6인치(제곱.57m) |
빔 | 56피트 11인치(17.35m) |
초안 | 28ft 4인치(8.64m) |
설치된 전원 | |
추진 | |
속도 | 12.5kn(23.2km/h; 14.4mph) |
역량 |
|
보완 | 206 |
무장을 |
|
USS 무르짐호(AK-95)는 미 해군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용역을 의뢰한 크레이터급 화물선이다.그녀는 카니스 메이저 별자리의 무르짐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무르짐은 미국 해안경비대 요원들에 의해 유인되었고, 아시아 태평양 극장의 위치에 병력과 물품, 장비를 전달하는 일을 담당했다.
또 다른 탄약선인 USS Hood의 완전한 폭발을 수반한 마운트 후드 비극에 비추어 볼 때, 무르짐과 다른 탄약선에 탄 사람들은 태평양 극장에서의 매 순간마다 거의 즉각적인 폭발에 의한 죽음의 위험을 안고 있다는 것이 명백해졌다.그런데도 선원들은 공습경보 위협 속에서도 다른 전투함으로 화물을 옮겨가며 작업을 했다.[citation needed]
건설
무르짐은 1942년 7월 10일 해양위원회(MARCOM) 계약에 따라 캘리포니아주 터미널 아일랜드에 있는 캘리포니아 조선공사에 의해 자유선사인 SS 브리검 영으로 633호를 하역하고 1942년 8월 17일 부인의 후원으로 출범했다.앨버트 E.보웬(Bowen)은 1943년 3월 17일 무르짐(Murzim)으로 개명하고, 1943년 4월 8일 MARCOM으로부터 베어보트 헌장에 의해 해군에 인수되었으며,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소재 LA 조선 건조 회사에 의해 해군 화물선으로 사용하기 위해 전환되었으며, 1943년 5월 14일에 USCGR 중위를 지휘하여 임관했다.[4]
서비스 이력
무르짐은 거의 두 달 동안 해군 11구역 하의 미국 서해안을 따라 운항하다 1943년 7월 8일 일반 화물을 싣고 샌프란시스코를 출발해 8월 5일 뉴칼레도니아에 도착했다.이어 남태평양 미군기지 사이에서 화물 셔틀 운항을 시작해 이듬해 호주, 뉴질랜드, 뉴칼레도니아 항구의 물자를 뉴헤브리데스, 피지 제도, 솔로몬 제도에 전달했다.그녀는 누메아와 과달카날 사이를 몇 차례 항해했고, 1944년 봄에는 솔로몬 체인을 따라 북쪽으로 부게인빌, 뉴조지아, 그린아일랜드, 러셀스까지 달리기를 연장했다.6월 중순에 그녀는 솔로몬스에서 뉴기니를 거쳐 제독으로 항해했고, 그곳에서 마누스호에서 화물을 배출했다.탄약 화물을 얻기 위해 호주로 간 후, 그녀는 8월 24일 뉴기니로 돌아왔다.[4]
무르짐은 거의 두 달 동안 필리핀 침공을 준비하는 홀란디아에 있는 배들에게 대공용 탄약을 공급했다.브리즈번과 시드니 호주의 탄약을 소지한 후, 그녀는 10월 24일에 필리핀으로 호송되지 않고 항해했다.10월 29일 레이테만에 도착한 그녀는 탄약국 선박으로서의 임무를 시작했다.이후 3개월 동안 그녀는 순양함에서 LST까지 6인치(152mm)에서 20mm(0.79인치)의 다양한 탄약을 선박에 공급했다.수많은 공중경보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선원들은 함께 탄약을 선박에 옮기는 위험한 사업을 수행했다.11월 27일 적의 공습 중에, 그녀의 20mm 총은 우현에서 화물선을 공격하는 일본 비행기를 튀겼다.[4]
1945년 1월 27일에서 2월 4일 사이에 무르짐은 마누스로 호송되어 탄약을 보충했다.이후 올랑드리아에서 호송대에 합류한 뒤 3월 22일 레이테로 돌아와 레이테만에서 탄약역 근무를 재개했다.일본과의 전쟁이 끝난 몇 주 동안, 그녀는 마누스에게 화물을 배달했고 추가적인 탄약 공급을 가지고 필리핀으로 순항했다.[4]
종전선언 해체
일제의 항복에 따라 무르짐은 마샬족의 원자 실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되었고, 1946년 2월 25일 합동 태스크포스 1로 이양하라는 명령을 받았다.하지만, 그녀는 3월 11일 불활성화로 해군 14구역에 배치되었고, 6월 7일 진주만에서 퇴역했다.그녀는 샌프란시스코로 견인된 1947년 3월까지 진주만에 머물렀다.그녀의 이름은 6월 23일 해군 명단에서 삭제되었다.무르짐은 1947년 8월 5일 MARCOM으로 이양되어 국방예비함대인 수이순만에 입항하였다.[4]
1973년 3월 19일, 그녀는 168,113달러에 니콜라이 조프 사에 매각되어 폐기되었다.그녀는 1973년 7월 27일 함대에서 철수했다.[5]
수상
무르짐은 제2차 세계대전을 위해 전투별 1개를 받았다.[4]
참조
- ^ a b c CalShip 2010.
- ^ 마컴.
- ^ a b c d e f DANFS 2015.
- ^ MARAD Murzim.
참고 문헌 목록
- "Murzim". Dictionary of American Naval Fighting Ships.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12 August 2015. Retrieved 10 February 2017.
이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 "California Shipbuilding, Los Angeles CA". www.ShipbuildingHistory.com. 13 October 2010. Retrieved 10 February 2017.
- "USS MURZIM (AK-95)". Navsource.org. 6 September 2013. Retrieved 10 February 2017.
- "MURZIM (AK-95)".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Retrieved 10 February 2017.
- "BRIGHAM YOUNG".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Retrieved 10 February 2017.
- "SS Brigham Young". Retrieved 15 December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