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S 금성(AK-135)
USS Venus (AK-135)역사 | |
---|---|
![]() | |
이름 | 윌리엄 윌리엄스 |
네임스케이크 | 윌리엄 윌리엄스 |
소유자 | 전쟁해운청(WSA) |
연산자 | 이스미안 스팀쉽 컴퍼니[2] |
주문된 | EC2-S-C1형 선체, MCE 선체 263형[1] |
빌더 | 캘리포니아 리치몬드 주 퍼머넌트 금속 주식회사 |
야드 번호 | 63[1] |
웨이 넘버 | 5[1] |
눕다 | 1942년 7월 5일 |
시작됨 | 1942년 8월 21일 |
후원자: | 폴 마린 부인 |
가동중 | 1942년 9월 8일 |
명예와 상을 주다 | 1×전투별 |
운명 | 1943년 11월 6일 미 해군으로 이감 |
![]() | |
이름 | 금성 |
네임스케이크 | 금성 |
획득한 | 1943년 11월 6일 |
커미셔닝됨 | 1943년 11월 10일 |
다시 실행됨 | 1944년 9월 26일 |
해체됨 |
|
가동중 | 1943년 12월 4일 |
스트리킨 | 1948년 2월 19일 |
식별 | |
운명 | 폐기 처분, 1961년 4월 18일 |
상태 | 1961년 10월 21일 완공된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에서 해체 |
일반적 특성 | |
클래스 및 유형 | 크레이터급 화물선 |
변위 |
|
길이 | 441ft 6인치(제곱.57m) |
빔 | 56피트 11인치(17.35m) |
초안 | 28ft 4인치(8.64m) |
설치된 전원 | |
추진 |
|
속도 | 12.5kn(23.2km/h; 14.4mph) |
역량 |
|
보완 | 240 |
무장을 |
|
USS 비너스호(AK-135)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 해군이 근무하던 크레이터급 화물선이었다.원래 독립선언서 서명자인 윌리엄 윌리엄스의 이름을 딴 자유선 SS 윌리엄스는 어뢰 공격으로 피해를 입은 뒤 해군이 넘겨받아 금성 행성의 이름을 따서 이름을 바꾸었다.해군이 이 이름을 가진 유일한 배였다.[4]
건설
William Williams was laid down on 5 July 1942, under a Maritime Commission (MARCOM) contract, MCE hull 263, by Permanente Metals Corporation, Yard No. 2, Richmond, California; launched on 21 August; sponsored by Mrs. Paul S. Marrin; was delivered to her owners, the Isthmian Steamship Company, on 8 September; and operated in the Pacific for the rema1942년에 그리고 1943년에.[4]그 배는 윌리엄 로빈슨 프리먼 선장이 어뢰를 맞을 때까지 지휘했다.[5]
상인역사
1943년 5월 2일, 피지 제도의 수바 근처에서 윌리엄 윌리엄스는 중위가 지휘하는 일본 잠수함 I-19에 의해 어뢰 공격을 받았다.이 I보트를 지휘하던 키나시 다카이치는 1942년 9월 15일 과달카날 앞바다에서 같은 폭의 어뢰가 확산되면서 항공모함 와스프, 전함 노스캐롤라이나, 구축함 오브라이언을 어뢰로 격침시켰다.그러나 키나시는 불구가 된 리버티호를 끝내지 않기로 하고 그 지역을 정리했다.한편 윌리엄 윌리엄스는 승무원들로부터 버림받았으며 심한 피해를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떠내려갔다.[4]
그녀가 어뢰를 맞았을 때, 그녀는 목재를 운반하고 있었다.다른 때라면 그녀는 군수품을 운반하고 있었을 것이고 분명 길을 잃었을 것이다.프리먼 선장의 빠른 생각으로 그는 대부분의 선원들이 즉시 배를 포기하라고 명령했지만 프리먼 선장은 작은 선원과 함께 남아서 화재를 진압했다.프리먼 선장은 또 일본 선박이 이 메시지를 가로채기를 바라며 빠르게 침몰하고 있다는 조난 신호를 무선사업자에게 호출한 대로 보내라고 지시했다.일본 선박은 군수물자 화물에 의해 배가 폭발할 것이라고 믿거나 배가 침몰하고 있다고 믿고 선원들이 그렇게 급히 배를 떠나는 것을 보고 치명적인 타격을 입은 것으로 보고 일대를 정리했다.화재가 진압된 후, 선원들은 돌아왔고 윌리엄스는 항구로 가기 위해 증기를 만들었다.그녀를 끌어들이기 위해 해군 예인선이 보내졌지만, 필요하다면 윌리엄 윌리엄스호가 스스로 해낼 수도 있었을 것이다.프리먼 대위는 윌리엄 윌리엄스를 구했다는 이유로 표창을 받았다.[6]
서비스 이력
윌리엄 윌리엄스는 피지로 예인되었다가 뉴질랜드 오클랜드로 예인되었는데, 해군은 1943년 11월 6일, 전해관리국(WSA)으로부터 배를 인수했다.배를 항해에 적합하게 만들 수 있는 충분한 수리가 이루어졌고, 그녀는 11월 10일에 비너스로 임관되었고, 조지 H. L. 피트 중령이 지휘를 맡았다.[4]
오클랜드에서 예인된 비너스는 호주 시드니에 도착, 12월 4일 퇴역하고 "복역 중"으로 임명되었다.[4]
이 배는 1943년 12월 8일 서남태평양 지역에 배치된 해군 유인자유구역 5척 중 하나였으며, 7함대는 육군 요건에 부합하는 임무를 맡았으나, 그 피해와 지연으로 인해 또 다른 리버티호가 배정되었다.[7]
항만 도킹과 전환 작업은 다른 선박에 더 높은 우선순위가 배정되고 부두 노동 문제가 발생하여 지연되었다.일단 이러한 장애물을 극복하고 나면 작업은 순조롭게 진행되었는데, 이는 비표준 자재가 있는 외국 야적장에서 전환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어려운 작업이었다.AK-135로 명명된 이 배는 1944년 9월 26일에 다시 취역되었다.10월 4일, 그녀는 제독을 향해 항해하기 전, 그녀의 벌거벗은 옷을 벗기 시작했고 곧 일반 화물과 건조물들을 실었다.[4]
그녀는 4일 후에 마누스에게 도착했고 그녀의 화물 일부를 배출했다.그곳에서 그녀는 주 배터리로 된 5인치(127mm)/38의 이중용 총도 받았다.이 선박은 11월 9일 공습을 목격했지만 공격은 다른 인근을 향했고, 화물선은 행동에 참여하지 않았다.다음날 후드 산은 시들러 항에서 탄약을 취급하던 중 대격변 폭발로 폭발했다.당시 해안가에 있던 그녀의 선원들 중 몇 명을 제외한 모든 사람들이 탄약선을 원자화했을 뿐만 아니라 근처의 다른 배들도 심하게 파손된 폭발로 사망했다.비너스는 이 비상사태에 대해 30단위 혈장으로 의료작전을 보조하기 위해 보트를 보내 대응했다.[4]
배가 마누스에 머무는 동안 몇 건의 디프테리아 환자가 배 위에서 발생했고, 모든 손은 배에 제한되었다.11월 28일, 비너스는 네덜란드의 뉴기니를 향해 항해했고, 다음날 홀란디아에 도착했으며, 크리스마스 이브까지 머물다가 아이타페로 향했다. 그 때 그녀는 크리스마스 날에 그곳에 도착했다.1944년 12월 27일, 케이프 산사포를 위해 화물선이 진행되었고, 그곳에서 그녀는 태스크 그룹(TG) 77.5에 부착된 LST를 공급했고, 이후 링가옌만에 상륙하는 작업에 참여했다.이 작전이 완료되는 대로 모로타이까지 진행하면서, 그녀는 남은 화물을 하역하고, 호주 해군의 다양한 소형 선박에 연료를 공급했다.[4]
1945년 1월 4일, 금성이 모로타이에서 머무르는 동안 일본 항공기가 인근 육지 기지에 대한 폭격 공격을 실시했지만, 그 비행기들은 대공 화기와 야간 전투기에 의해 쫓겨났다.6일 후, 그녀의 빈 손인 비너스는 다른 다섯 척의 배들과 함께 홀란디아로 항해했고, 그곳에서 그녀는 승객들을 태웠다.호주로 가는 동안 그녀는 심한 갈림길에 부딪혔지만 1월 23일 안전하게 브리즈번에 도착했다.[4]
이 배는 109함대병원 부대와 544건설대대(CB 또는 '시베인')의 장비를 동시에 싣고 필리핀으로 이동하던 중 도착 직후 수리를 받았다.그녀는 2월 4일 브리즈번을 출발하여 마누스와 올랑드리아를 거쳐 네덜란드 뉴기니 해안에서 호송차에 합류했다.연합군 함정은 2월 27일 사마의 앞바다에서 구이안 로드스테드에 도착했다.시베 부대의 일부는 곧 해안으로 가서 병원을 짓기 시작했고, 나머지는 장비와 상점을 하역하기 위해 배에 남아 있었다.결국 더 많은 씨베이를 해안으로 수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하역 작업은 비너스의 선원들에게 넘겨졌다.바지가 부족하고 숙련된 조타수들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비너스는 4월 8일 남쪽으로 향하는 호송차에 합류하기 전에 병원 부대에 배정된 모든 장비와 물자를 하역하는 데 성공했고, 제독을 위해 진행되었고, 1주일 후에 마누스에 도착했다.[4]
이어 에미라우로 진행하면서 비너스는 지난 4월 25일 제77건설대대의 잔해와 장비를 실었다가 브리즈번호가 77대대의 장비를 더 실었다.화물 적재량 외에도 금성은 600명의 승객을 수용했고 임시 대피소 아래 갑판에 갤리선과 벙커 시설을 추가로 설치해 이들을 돌봤다.그 화물선은 밀른 만을 거쳐 필리핀으로 북상하여 6월 13일 마닐라에 도착하여 하역 작업을 시작하고 승객을 하선했다.5일 후, 그 배는 침몰한 일본 화물선과 나란히 정박지로 바뀌었다.[4]
비너스는 적 화물선이 부두 역할을 하면서 나머지 화물을 하역했고, 마닐라에 머무는 동안 두 번의 공습 경보를 경험했으며, 6월 30일까지 이 작업을 완료했다.이어 제독을 향해 남쪽으로 압박해 솔로몬스 부게인빌로 수송하기 위한 폭탄 1500t(1500t)을 실었다.자이로 나침반을 설치하여 7월 25일까지 항해를 지연시켰으나 배는 7월 29일 황후 아우구스타만에 도착했다.[4]
그로부터 11일 후 비너스는 뉴헤브리데스로 향하는 부게인빌 토로키나를 출발해 8월 11일 에스피리투 산토에 도착했다.그녀는 팔리쿨로 만의 라이터에서 건교 ABSD-1의 재료를 실었다.부실한 하역 조건 때문에, 그 일은 그녀가 필리핀으로 항해할 준비가 된 9월 7일에야 완성되었다.그녀가 에스피리투 산토에 머무는 동안, 일본이 항복했다는 소식이 전해졌고, 커미셔닝 이후 처음으로, 배는 "어두운 배"[4] 없이도 밤에 항해할 수 있었다.
비너스는 9월 20일 사마의에 도착했고, 수빅만으로 이동하기 전에 그녀의 화물을 방출했다.그녀는 12월 15일 세부에서 출발해 하와이 섬으로 향했고, 3월 16일 진주만에 도착했다.[4]
전쟁 후 및 해체
1946년 4월 18일 해체된 이 배는 이후 히치티에 의해 서해안으로 예인되어 1947년 12월 5일 진주만을 출발하여 12월 13일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했다.[4]
해군에 대한 흑자로 선언된 그 배는 1948년 2월 19일 해군 명단에서 제외되었다.폐기 처분용으로 옷을 벗은 그녀는 2월 27일 MARCOM으로 복귀했고, 캘리포니아 수이순만에 있는 국방예비함대에 배치되었다.[4]
비너스는 1961년 4월 18일 유니온 광물 및 합금 회사에 폐기 처분으로 59,339.89달러에 매각되었다.그녀는 1961년 8월 21일에 인도되었고,[8] 1961년 10월 21일에 폐기가 완료되었다.[3]
수상
비너스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윌리엄 윌리엄스 역으로 군복무로 별 하나를 받았다.[4]그녀의 승무원들은 다음과 같은 메달을 받을 자격이 있었다.[3]
- 전투 액션 리본 (소급 SS 윌리엄 윌리엄스, 1943년 5월 2일)
- 아메리칸 캠페인 메달
- 아시아 태평양 지역 캠페인 메달(1)
- 제2차 세계 대전 승리 메달
- 필리핀 해방 훈장
메모들
- 인용구
참고 문헌 목록
온라인 리소스
- "Venus". Dictionary of American Naval Fighting Ships.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21 October 2015. Retrieved 3 January 2017.
이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 "Kaiser Permanente No. 2, Richmond CA". www.ShipbuildingHistory.com. 13 October 2010. Retrieved 3 January 2017.
- "USS Venus (AK-135)". Navsource.org. 11 July 2014. Retrieved 3 January 2017.
- "Venu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Retrieved 3 January 2017.
- "WILLIAM WILLIAM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Retrieved 3 January 2017.
책들
- Masterson, Dr. James R. (1949). U. S. Army Transportation In The Southwest Pacific Area 1941-1947. Washington, D. C.: Transportation Unit, Historical Division, Special Staff, U. S. Army.
외부 링크
- NavSource 해군사 비너스 사진 갤러리(AK-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