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S 윈틀 (DE-25)

USS Wintle (DE-25)
USS Wintle (DE-25) at anchor, circa in 1945.jpg
역사
미국
이름USS 윈틀
빌더마레아일랜드 해군 야드
눕다1942년 10월 1일
시작됨1943년 2월 18일
커미셔닝됨1943년 7월 10일
해체됨1945년 11월 14일
스트리킨1945년 11월 28일
명예와
상을 주다
3개(제2차 세계대전)
운명폐기 처분, 1947년 8월 25일
일반적 특성
유형 에바르트급 구축함 호위함
변위
  • 1,140톤(1,140 t) 표준
  • 1,530톤의 장탄력(1,453 t)이 가득 차 있다.
길이
  • 289ft 5인치(88.21m) O/a
  • 283 ft 6 in (86.41 m) w/l
35피트(11m)
초안11피트(3.4m)(최대)
추진
속도19노트(35km/h; 22mph)
범위4,150nmi(7,690km)
보완장교 15명, 사병 183명
무장을

USS 윈틀(DE-25)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 해군을 위해 건조된 에바르트급 구축함 호위함이다.그것일본 잠수함이나 전투기로부터 호위함과 다른 배들을 보호하기 위해 즉시 태평양으로 보내졌다.전쟁이 끝날 무렵, 미국으로 돌아왔을 때, 그녀는 3개의 전투 별을 받았다.

네임스케이크

잭 윌리엄 윈틀은 1908년 4월 18일 캔자스주 피츠버그에서 태어났다.1928년 6월 14일 미국 해군사관학교중역으로 임명되어 1932년 6월 2일에 졸업했다.그는 1932년 6월 30일 캘리포니아 USS에 출항하여 3년간의 임무를 마치고 17개월 동안 잠수함 입찰 USS 부쉬넬로 이송되었다.1936년 8월 7일, 그는 퍼킨스호의 장착을 감독하기 위해 푸젯 사운드 네이비 야드에 보고했고, 그는 1936년 9월 18일에 이 구축함이 취역한 후에도 그 구축함에 남아 있었다.1939년 여름, 그는 해군 사관학교에서 대학원 교육을 받은 후 필라델피아 해군 야드에서 임무 수행을 위해 보고를 받았다.는 1940년 8월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로 파견돼 NROTC 중대를 지휘했다.

1942년 4월 말, 그는 워싱턴의 항법국에 보고했고, 그곳에서 다음 임무는 사령관, 남태평양 지역, 남태평양 군대의 참모와 국기 소위가 되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1942년 6월 15일 그는 중령으로 진급했고, 나흘 후 남태평양에서 새로운 임무 수행에 대한 보고를 받았다.그는 1942년 말 과달카날 운동 초기 몇 달 동안 남태평양 지역 사령관과 남태평양 군대의 참모장 대니얼 J. 캘러헌 후방 제독 밑에서 복무했다.1942년 10월 말, 캘러헌이 순양함-파괴군 사령관으로 해상에 갔을 때 윈틀은 참모의 일원으로서 그의 주력함USS 샌프란시스코에 합류했다.

11월 12일과 13일 밤, 샌프란시스코는 일본 제국 해군 함정의 맹렬한 함정에 시달렸고, 몇 명의 일본 해군들이 상부 구조물에 점수를 매겨 그녀의 깃발을 지우고 다리를 항해했다.제독의 참모 1명을 제외한 전원이 사망했고, 빈틀도 사상자 중 한 명이었다.그는 사후에 해군 십자 훈장을 받았다.

건설 및 커미셔닝

윈틀은 1942년 10월 1일 마레아일랜드 해군 야드(Mare Island Navy Yard)에 배치됐으며 1943년 2월 18일 발사된 영국 해군에 배치된 구축함 호위함 중 하나인 BDE-25로, 후원자 무명(Lt.컴닥터 윈틀의 미망인은 BDE-25가 발사될 당시 윈틀이라는 배를 실은 DE-266을 후원하고, 1943년 6월 4일 미 해군에 재할당했으며, DE-266이 왕립 해군에 대체 배치되었을 때 1943년 6월 14일에 윈틀을 명명하고, 1943년 7월 10일에 임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극장 작전

윈틀은 7월 말과 8월 초 셰이크다운 훈련을 마치고 마레아일랜드 해군 야드로 돌아와 셰이크다운 후 보수작업을 했다.9월 21일, 그녀는 하와이로 향하는 호송차를 타고 바다로 나갔고 10월 8일 진주만에 도착했다.그녀는 10월 17일 다른 호송차 화면을 통해 거의 즉시 하와이 오아후를 출발하여 귀국했다.25일 미국 샌프란시스코만에서 진주만을 거쳐 피지군도 비티레부로 향하는 호송차량을 위해 건조된 브레톤(CVE-23) 주변에 세워진 화면에는 구축함 호위함이 눈에 띄었다.그녀는 11월 14일 난디 항에서 자신의 혐의를 전달했고, 3일간의 체류 끝에 11월 17일 비티 레부를 떠나 네사니치(AO-71)를 엘리스 제도후나푸티로 호송했다.그녀는 21일 탈룰라(AO-50)를 연료 랑데부로 호송하기 위해 이틀 동안 그 곳에 머물렀다.다음날 후나푸티로 돌아왔을 때 길버트 제도의 침공인 '갈바닉 작전'이 잘 진행되고 있었다.구축함 호위함의 최근의 모든 움직임과 그녀가 그 캠페인에 참여하는 군함을 지원하기 위해 2주 동안 수행한 모든 움직임들이 수행되었다.12월 8일, 윈틀은 '갈바닉'을 대표하여 노동을 마치고 후나푸티 코스를 설정하여 12월 9일부터 12월 사이에 정차한 후, 호송차 화면에서 오아후를 향해 계속 나아갔다.

충돌에 관련된 윈틀

이 군함은 12월 21일에 진주만에 도착했다.항구에서 며칠을 보낸 후, 그녀는 하와이 작전 지역에서 전투 연습 훈련을 시작했다.1944년 1월 3일 윈틀뎀시(DE-26)가 나란히 해상에서 연료 주입 연습을 했다.약 1,000갤런의 연료를 윈틀로 옮긴 뒤 뎀시는 떠날 준비를 했다.갑자기, 그녀는 윈틀을 우현 으로 들이받았다.그녀의 닻은 40 프레임에서 아래 플랫폼 데크에서 메인 데크까지 윈틀의 우현 쪽을 뜯었다.뎀시의 빈틀의 디가우싱 코일을 깨고 복귀 증기선을 끊었다.서둘러 항로를 바꾸려는 그녀의 서두에서 뎀프시는 급커브를 돌면서, 이번에는 윈틀과 다시 준엄하게 충돌하여 윈틀의 프로펠러 가드를 그녀의 선체에 짓눌렀다.파손된 구축함 호위함의 수리대는 재빨리 매트리스를 선체의 틈새에 쑤셔넣고 심각한 홍수를 막기 위해 최대한 잘 감쌌다.윈틀은 물을 너무 많이 선적하지 않고 10노트를 만들 수 있었고 다음날 아침 진주만에 도착해 수리에 들어갔다.그녀는 빠르게 수리를 마치고 1월 11일 다시 바다로 돌아와 훈련을 재개했다.

마셜 제도 침공 지원

열흘 후 윈틀마셜 제도의 침공인 '플린트록 작전'으로 제5수륙부대에 배치되는 명령을 받았다.그녀는 같은탱크 상륙함 4척을 호위하여 진주만을 출발하여 마주로로 향했다.윈틀과 그녀의 혐의는 미군이 전날 반대 없이 그것을 가져갔다는 것을 발견하기 위해 2월 1일에 그 아톨에 도달했다.구축함 호위함은 지난 2일 석호 입구 순찰을 지휘한 뒤 3일 해상에서 칼리엔테(AO-53)를 만나 석호 안으로 호위했다.이어 마주로 앞바다에서 대잠수함전(ASW) 순찰을 재개하고 이후 6일간 임무를 계속했다.지난 9일과 10일에는 콰잘린까지 상애(AE-10)를 호위했다가 23일 다시 진주만으로 향했다.윈틀은 3척의 호위함을 길버트 부대로 호송하기 위해 스타드펠트(DE-29)와 함께 진행 중이던 3월 2일까지 하와이 섬에 머물렀다.그들은 3월 11일에 길버트 부대에 무사히 기소를 했고 그 다음날 솔로몬 부대를 위해 진행되었다.후나푸티를 통해 진행된 두 구축함 호위함은 3월 18일 과달카날 루가 포인트에서 출항해 3함대 근무를 보고했다.그 후 6개월 동안 윈틀은 솔로몬과 해군 군도 사이를 가장 자주 오가는 서남태평양 호위 유조선, 수송선, 화물선 등을 횡단했다.호위 임무에 임하지 않을 때, 그녀는 미국 잠수함과의 훈련에서 ASW 기술을 연마했다.

9월 19일, 그녀는 마지막 솔로몬스-아드미랄티 달리기를 마치고 마누스 섬에 도착했다.22일, 그녀는 중앙 태평양의 팔라우 제도라는 새로운 극장을 위해 시아들러 항구를 떠났다.군함은 사흘 뒤 코솔로 정박지에 도착했다.그녀는 같은 날 마누스로 돌아가기 때문에 그녀의 체류가 짧다는 것이 증명되었다.그녀는 10월 5일에 시들러 항구에 도착했고 피에몬트 (AD-17)와 함께 잠시 자리를 비운 후 10월 15일에 도착한 팔라우스로 돌아갔다.다음 달 동안 윈틀은 팔라우스에서 순찰과 호위 임무를 수행했다.11월 10일, 그녀는 부차난 (DD-484)을 덴지스 통로를 벗어나 항로 위로 별 포탄을 발사했고, 군대를 지원하기 위해 인근 은게르공 섬은 은게르공에서 펠레류까지 적의 증원군이 도착할 가능성에 대비하여 상륙작전에 착수했다.이 임무는 그녀가 켄모어(AK-221)와의 충돌로 파손된 PC-1260을 보조하기 위해 역을 떠난 11월 12일까지 계속되었다.

사이판 순시 작전

구축함 호위함은 11월 18일 코솔 통로를 빠져나와 울리티를 거쳐 마리아나로 향했다.그녀는 지난 28일 압라항에 입항해 사이판 초계대 소속 부대가 됐다.약 12주 동안, 군함은 주로 괌과 사이판 사이에 있는 마리아나족을 순찰했다.크리스마스 밤에, 그녀는 미국 육군 공군 시설에 사이판에 공습 상륙해 물리치는데 도움을 주었다.이틀 후, 그녀는 나프탄 포인트 근처에 추락한 B-29 폭격기에서 생존자 3명을 구출했다.12월 하순의 흥분이 있은 후, 1945년 1월은 에니웨톡으로 왕복하는 두 번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일이 없었다.

1945년 2월 5일, 그녀는 마샬스 길버트 부대로 그녀를 이송하는 명령을 받았다.그녀는 2월 10일 에니웨토크에 도착하여 마샬과 길버츠의 기지에서 전진 지역으로 호송차들을 호위하기 시작했다.괌과 콰잘린, 에니웨톡을 오가는 항해를 자주 했으며 마셜호에서 운용 중인 일본 잠수함을 찾아 사냥꾼과 함께 순항했다고 한다.4월 2일 밤, 윈틀은 일본 해안가 배터리와 우회한 Wotje Atoll에서 난쟁이 잠수함을 사냥하던 중 그녀에게 발포한 후 총격전을 벌였다.4월 말과 5월 초 미국의 적군 밀리, 얄루트, 워트제 공습 때 윈틀은 항공 해상 구조 서비스를 제공했지만 다행히 그녀의 도움이 필요한 비행사는 없었다.5월 5일과 6일 밤, 그녀는 일본인 소유의 얄루이트 환초에서 원주민들의 대피를 취재했다.5월 13일 윈틀은 에니웨톡을 출발하여 팔라우스로 항해하는 두 척의 상선을 검열했다.

빈틀은 18일 코솔 통로에 도착해 이틀 뒤 울리티로 향했다.그곳에서 그녀는 오키나와에서 파손된 하젤우드(DD-531), 라트번(APD-25) 등 2척의 배에 합류해 고향으로 향하는 울리티-에니베톡 항해를 호위했다.배들은 5월 25일 울리티를 출발해 29일 에니웨톡을 만들었다.그곳에서 구축함 호위함은 그녀가 6월 중순까지 계속 수행했던 마샬스-길버트 호위 부대와 함께 순찰과 호위 임무를 재개했다.

대잠초계 작전

6월 17일, 윈틀레비(DE-162)가 에니웨톡과 마리안나스 사이의 항로에서 ASW역을 차지하기 위해 에니웨톡에서 두각을 나타냈다.다음날, 그녀는 Endimion (ARL-9)이 어뢰를 맞았지만, 수리선에 도착하자마자 공격할 잠수함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보고에 응답했다.그녀는 수색에 실패한 후 다시 에니웨톡으로 향했다.이 군함은 그녀가 카산 만(CVE-69년) 주변에 건설된 사냥꾼-킬러 그룹과 만나기 위해 에니웨톡 석호에서 출항한 7월 1일까지 간헐적인 순찰을 계속했다.그녀는 7월 8일 스나이더(DE-745)에 의해 구조될 때까지 에니웨톡-마리아나 항로를 따라 일본 잠수함을 수색했다.윈틀은 미국으로 돌아가는 긴 항해를 준비하기 위해 연료와 물자를 싣고 에니웨톡으로 돌아왔다.구축함 호위함은 7월 12일 석호를 빠져나와 18일과 19일 진주만을 방문한 뒤 26일 샌프란시스코 만에 입항했다.

전후 활동

그 배는 마레아일랜드 해군 야드에 탄약을 내리고 같은 날 수리를 위해 캘리포니아 헌터스 포인트로 들어갔다.그녀는 8월 15일 일본 항복 소식이 전해졌을 때 드라이덕에 있었고, 18일에는 대부분의 작업이 중단되었다.

전후 비활성화

마침내, 1945년 11월 15일 윈틀은 위촉 해제되었고 캘리포니아의 마레아일랜드에 정박되었다.1945년 11월 28일, 그녀의 이름은 해군 명단에서 삭제되었다.구 군함은 1947년 8월 25일 연합광물합금공사에 고철용으로 팔렸다.

수상

Combat Action Ribbon.svg 전투 액션 리본(소급 작동)
American Campaign Medal ribbon.svg 아메리칸 캠페인 메달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아시아 태평양 캠페인 메달(서비스 스타 3명 포함)
World War II Victory Medal ribbon.svg 제2차 세계 대전 승리 메달

참고 항목

참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