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S 와이먼 (DE-38)

USS Wyman (DE-38)
USS Wyman (DE-38) underway on 19 September 1943.jpg
역사
미국
이름USS 와이먼
눕다1942년 9월 7일
시작됨1943년 6월 3일
커미셔닝됨1943년 9월 1일
해체됨1945년 12월 21일
재분류됨DE-38, 1943년 6월 16일
스트리킨1946년 1월 8일
명예와
상을 주다
6개의 전투별(제2차 세계대전)
운명폐기 처분, 1947년 4월 16일
일반적 특성
유형 에바르트급 구축함 호위함
변위
  • 1,140톤(1,140 t) 표준
  • 1,530톤의 장탄력(1,453 t)이 가득 차 있다.
길이
  • 289ft 5인치(88.21m) O/a
  • 283 ft 6 in (86.41 m) w/l
35피트(11m)
초안11피트(3.4m)(최대)
추진
속도19노트(35km/h; 22mph)
범위4,150nmi(7,690km)
보완장교 15명, 사병 183명
무장을

USS 와이먼(DE-38)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 해군에바르트급 구축함 호위함이었다.그녀는 일본 잠수함전투기로부터 호위함과 다른 배들을 보호하기 위해 즉시 태평양으로 보내졌다.일본 잠수함 2척의 침몰에 참여하는 등 위험한 작업을 수행했고, 6개의 전투별을 수여받았다.

그녀는 원래 1942년 9월 7일 워싱턴 브레머튼에서 영국 해군을 위한 푸젯 사운드 네이비 야드에 의해 BDE-38로 배치되었고, 1943년 6월 3일에 발사되었으며, 부인의 후원을 받았다.조 L. 에이프릴그러나 영국으로의 선박 이적은 취소되었다.구축함 호위함은 6월 16일 DE-38, 23일 와이먼으로 명명됐으며 1943년 9월 1일 푸젯 사운드 해군 야드에서 임관했다.로버트 W. 코프랜드 USNR이 지휘한다.

네임스케이크

엘든 P.와이먼은 1917년 1월 11일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 태어났다.그는 1936년부터 1940년까지 오리건 대학에 다녔고, 1940년 8월 22일 포틀랜드에서 미국 해군 예비역에 견습 해군으로 입대했다.USS Tuscaloosa에 대한 훈련에 이어 Wyman은 1941년 3월 17일 해군 예비역에서 해군 중역으로 임명되는 것을 받아들였다.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노스웨스턴대학 해군 예비역 미드십맨스쿨에 재학 중인 와이먼은 6월 12일 해군 예비역 육군 중장으로 임관해 7월 19일 오클라호마함에 보고됐다.오클라호마호는 이후 태평양과 극동 지역에서 긴장이 고조됨에 따라 하와이 작전지역과 서해안에서의 훈련에 대한 군함 1사단 부대로 진주만을 빠져나갔다.1941년 12월 초까지 와이먼은 이 배의 "F"사단의 주니어 감시관으로 근무하고 있었다.

진주만 공격 중에 오클라호마호는 4개의 공중 어뢰에 맞아 정박지에서 전복되었다. 그 중에는 배의 선체에 갇힌 와이먼도 있었다.

2008년 9월 4일, 전쟁포로/실종 인사국은 와이먼과 다른 선원 2명의 유해가 확인되었다고 발표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극장 작전

와이먼은 셰이크다운에 이어 11월 7일 푸젯 사운드를 출발해 하와이로 향했고 14일 진주만에 도착했다.태평양함대 잠수함 임무를 맡은 구축함 호위함은 1943년 12월 1일부터 1944년 봄까지 진주만에서 잠수함 훈련을 받으며 작전했다.

대잠 작전

1944년 6월 22일 이 임무에서 분리된 와이먼은 마셜 군도를 향해 항해했고 에니웨톡사이판 사이의 미국 호송 경로에서 대잠수함전(ASW) 작전을 시작했다.WymanHoggatt Bay(CVE-75)를 중심으로 TG(Task Group) 12.2에 합류해 7월 5일 Eniwetok을 출발해 ASW 작전지역으로 향했다.도중에 그녀는 레이크(DE-301)에 의해 개발되고 심층 충전된 잠수함 접촉을 조사하기 위해 대형을 떠났다.Wyman은 그녀의 "hedgehog"에서 깊이 충전 폭탄 1발을 발사했지만 그녀가 그녀의 적을 손상시키거나 파괴했다는 증거는 내놓지 않았다.

구축함 호위함은 지난 7월 9일 자신의 순찰구역에 도착해 지난 11일 과달루페(AO-32)에서 급유했다.그녀는 지난 7월 12일부터 18일까지 이 지역에 머물다가 지난 19일 0024에서 표면 레이더 접촉 조사를 진행했다.구축함 호위함은 0045에서 레이더 접촉을 끊을 때까지 사거리를 폐쇄하고 곧바로 수중 음파 탐지기로 전환했다.와이먼은 강한 금속성의 메아리를 집어들고 0051년에 부정적인 결과를 가지고 "헤지호그" 발사체의 전체 패턴을 발사했다.그녀는 그 사이에 레이놀즈(DE-42)가 닫히면서 다시 장전하여 레인지를 연 다음 두 번째 공격을 위해 문을 닫았다.

일본 잠수함 침몰로48번길

01:25에 와이먼은 그녀의 고슴도치로부터 두 번째 완전한 패턴을 발사했다. 고슴도치는 목표물에 걸려 죽었다.깊이 폭탄이 잠수함을 산산조각내면서 일련의 격렬한 폭발이 구축함 호위함을 뒤흔들었다.와이먼은 우현으로 선회해 자신의 사격 지점을 통과해 교신을 재개했지만 교신이 파괴됐음을 나타내는 '무시(mush)' 메아리만 들었다.액션 장면에 남아있던 와이먼은 물에서 기름 샘플을 회수하고 파편을 잡기 위해 모터 고래선을 내렸다.크고 퍼지는 기름띠 속에서 뱃속의 남자들이 5갤런짜리 기름통 두 개와 작은 가솔린 깡통 한 개, 티크 나무 한 조각을 집어들었다.

우호세력의 공격

이 마테리엘을 모으고 있을 때, 와이먼의 자동차 포경기는 조종사들이 를 수면 위 잠수함으로 착각했던 호가트 에서 온 두 대의 비행기에 의해 직선으로 고정되었다.(모터 발사에 나선 아버지에 따르면 와이먼의 선장은 무선 침묵을 깨고 호가트 만에게 알렸으며, 만약 그들의 비행기가 그의 부하들에게 또 다른 패스를 한다면 와이먼이 부하들에게 "사격을 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1]사망자는 없었고, 부상자들은 곧 호가트 만으로 이송되어 치료를 받았다.침몰한 잠수함에서 흘러나온 기름은 이후 일본 기록인 Ro-48로 전후 검사에서 확인되었으며, 다음날까지 엄청난 양의 기름이 계속 쏟아져 나왔다.살인이 확실하다고 만족한 와이먼은 TG 12.2에 다시 합류하여 7월 22일 에니웨톡에 도착했다.

일본 잠수함 I-55 침몰

그러나 7월 26일에 다시 진행되었기 때문에 그녀의 휴식은 짧았다.이틀 뒤인 1733년 호가트베이(Hoggatt Bay)와 와이먼(Wyman)에서 동시에 일본 잠수함 I-55가 수면 위를 달리는 것을 목격했다.와이먼과 레이놀즈는 탈출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이면서 적 잠수정의 뒤를 쫓았다.와이먼은 1805년에 음파 탐지기로 도망치는 I보트를 집어들었다.8분 후, 구축함 호위함은 치명적인 정확도로 목표물을 타격하는 "헤지호그" 패턴을 발사했다.와이먼의 음향 조작자들은 I-55가 폭발하기 시작했을 때 바다 밑에서 심한 폭발음을 들었다.1819년에 사거리를 개방하는 동안 더 많은 폭발이 바다를 뒤흔들어 적 I보트의 죽음의 기적을 울렸다.그리고 나서 레이놀즈는 "헤지호그" 패턴을 추가했지만 그녀의 목표는 이미 소멸되어 있었다.와이먼의 두 번째 '살인'의 가시적인 증거물인 많은 양의 파편과 기름이 곧 수면 위로 떠올랐다.

호위 임무로 돌아가다.

8월 9일 TG 12.2가 해체되면서 와이먼은 마샬과 마리아나스 사이의 해역에서 호위 임무를 위해 TG 57.3에 합류했다.8월 31일, 구축함은 TG 38.4와의 랑데부까지 30.8.10호 기동부대의 연료선을 호위하고 다시 TG 38.2 및 기동부대 34와 연결되도록 했다.와이먼은 필리핀 군도에 첫 상륙한 1944년 10월 20일 이 임무를 마친 후 마샬과 마리안나스의 호위작전을 재개했으며, 1945년 초까지 전략섬 이우지마 침공을 지원하며 사냥꾼 살해 작전에도 참여했다.

오키나와 작전 지원

1945년 3월 13일 울리티에서 출발해 오키나와 침공을 위한 물류지원단과 함께 임무를 위해 TG 50.8 연료 보급대로 갔다.1945년 봄까지 계속된 이 임무 수행 중에 그녀는 총으로 떠다니는 일본 광산 3개를 침몰시켰다.

전후 활동

구축함 호위함은 6월 10일까지 5함대에 머물며 화려하지는 않지만 중요한 역할을 계속했으며, 일본 조국에 대항하기 위해 전쟁 지역으로 군인과 군수품을 수송하는 중요한 호위함들을 선별했다.에 들른 와이먼은 진주만과 에니웨톡을 거쳐 미국으로 향했고, 7월 15일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했다.

종전선언 폐로

전쟁이 끝나면서 해군의 선박 계획도 바뀌었다.8월 17일 - 42일간 예정된 그녀의 "초계 승인 무장"을 받는 동안 - 이 무장은 미국 해병대의 침공에 대비해 와이먼을 상륙시키고 일본 본토를 포격할 목적으로 와이먼에 장착할 대형 갑판 총이 될 예정이었다.승무원들은 휴가 중에 그들의 업무를 정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선원들은 결코 일어나지 않았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배로 다시 보고할 예정이었다.원자 폭탄은 그러한 계획을 끝냈고 와이먼 선원들은 다시는 항해를 하지 않았다.)[2] – "안전하고 거주할 수 있는 상태로 배를 배치하는데 필요한 것을 제외하고" 배에서의 모든 작업은 중단되었다.전후 해군의 필요에 따라 흑자로 선언된 와이먼은 1945년 12월 17일 해직되었고 1946년 1월 8일 해군 명단에서 제외되었다.

그녀의 해체에 앞서 벗겨진 이 배의 헐크는 1947년 4월 16일 캘리포니아 터미널 아일랜드에 있는 국립금속 철강 회사에 매각되었는데, 이 과정은 1948년 3월 14일까지 완료되었다.

수상

Combat Action Ribbon.svg 전투 액션 리본(소급 작동)
American Campaign Medal ribbon.svg 아메리칸 캠페인 메달
Silver star
Bronze star
아시아 태평양 캠페인 메달(서비스 스타 6명 포함)
World War II Victory Medal ribbon.svg 제2차 세계 대전 승리 메달

메모들

  1. ^ S1 오라햄프셔, 승무원
  2. ^ S1 오라햄프셔, 승무원

참고 항목

참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