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식

Yaksik
약식
Yaksik.jpg
대체 이름약밥
원산지한국
지역 또는 주한국어를 사용하는 지역
주성분찹쌀, 밤, 대추, 잣
다른 정보정월대보름, 혼례, 황압축전 등에 주로 소비된다.
약식
한글
약식 / 약밥
한자
수정 로마자 표기법약식/약밥
매쿠네-라이샤워약식/약밥

약식이나 약밥찹쌀을 쪄서 , 대추, 을 섞어 만든 달콤한 한국 음식이다. 이나 흑설탕, 참기름, 간장, 때로는 계피로 양념한다. 그것은 전통적으로 음력 1월 15일에 열리는 한국의 명절인 정월 대보름에 먹히지만, 결혼식과 황랍 축제에도 사용된다.[1]

어원

약식은 그 재료에 꿀을 사용했기 때문에 이름을 얻었다. 어원서 A언각비(한글:아언각비, hanja:19세기 초 조선에서 쓰여진 雅言非)는 꿀을 흔히 야크(의약)라고 불렀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하여 꿀메밀주를 약주(藥州), 꿀밥을 약반(藥ban, 약식의 옛말), 꿀떡볶이를 약과(藥科)라고 불렀다.[2]

역사

약식의 기록은 13세기에 쓰여진 삼국유사에서 찾아볼 수 있다.[2] 전설에 따르면 488년 1월 15일 신라 소지왕이 한 까마귀가 위험을 경고했을 때 여행을 떠났다고 한다. 왕은 까마귀의 경고 덕분에 잠재적인 반란으로부터 자신을 구했고 그 후 1월 15일은 기념일로 지정되었다. 찹쌀약식의 기원이 된 제사를 지낼 때 제물로 올렸다.

고려시대에는 잣, 밤, 대추, 꿀, 기름 등이 첨가되었다. 약식동구세시기, 여량세시기, 동국여지승람조선시대의 여러 저서에서 언급되기도 한다. 여량세이지에서는 중국 주재 사신들이 연경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약식을 나누어 먹었으며, 대부분이 이 요리를 즐겼다고 한다.[2]

요리

찹쌀은 쪄서 꿀, 흑설탕, 간장 등을 섞어 밥을 색칠한다. 이 혼합물에 씨를 제거한 반숙 , 잣, 참기름, 4중주 대추를 넣고 전체 혼합물을 다시 데운다. 그리고 나서 약식은 평평한 정사각형처럼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어 놓고 먹기 전에 식혀둔다.[3]

참고 항목

참조

  1. ^ (한국어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약식
  2. ^ Jump up to: a b c (한국어로) 한국문화백과사전 약식
  3. ^ (한국어로) 두산 백과사전 약식
  • Hi Soo Shin Hepinstall; Sonya Hepinstall (2001). Growing Up In A Korean Kitchen: A Cookbook. Ten Speed Press. p. 227p. ISBN 1-58008-281-5.
  • (한국어로) 두산 백과사전 약식
  • (한국어로) 디지털 강릉문화연마락 약식
  • (한국어로) 한국문화백과사전 약식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