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레반 메트로

Yerevan Metro
카렌 데미르첸 예레반 지하철
Yerevan Metro.svg
Republiq Square Metro Station Fountains
개요
네이티브 이름Կարեն Դեմիրճյանի անվան Երևանի մետրոպոլիտեն
소유자아르메니아의 정부
로캘아르메니아 예레반
운송종류급행열차
줄 수1[1]
측점수10[1]
데일리 라이더십41,950 (2016)[2]
연간 기수2020만(2019년)[3]
웹 사이트http://www.yermetro.am/
작전
작업 시작됨1981년 3월 7일; 37년[1]
연산자카렌 데미르첸 예레반 지하철 CJSC
차량수70 (열차 세트당 2대의 객차)
기술
시스템 길이13.4km(8.3mi)[1]
트랙 게이지1,524mm(5ft)
전기화825V DC 3차 레일
최고 속도시속 90km(56mph)
예레반 메트로 지도 (역명의 번역은 프랑스어 철자를 반영한다.)

The Karen Demirchyan Yerevan Subway (Armenian: Կարեն Դեմիրճյանի անվան Երևանի մետրոպոլիտեն, Karen Demirchyani anvan Yerevani metropoliten; since December 1999), colloquially known as the Yerevan Metro (Armenian: Երևանի մետրոպոլիտեն, Russian: Ереванский метрополитен), is a rapid transit system that serves the capital of Armenia, Yerevan. 정부 소유로 교통통신부 카렌 데미르첸 예레반 지하철 CJSC가 운영하고 있다.

1981년 시작된 이 시스템은 대부분의 구소련 고속철도와는 달리, 그것의 역은 매우 깊지 않고, 지상 2개의 역이 있고, 하나는 얕고 나머지는 지하 깊이로 간주되지만, 평균 16-22m(52-72ft)의 깊이가 크지 않다; 오직 3개의 역만이 30m(98개)보다 크다. ft), 바그라마얀 마샬(약 37.5m(약 123ft), 바레카무윤(약 42m(약 138ft), 예리타르다칸(약 37m(약 121ft)) 등이다. 역들은 국가적인 모티브로 복잡하게 꾸며져 있다. 이 지하철은 13.4km(8.3mi)[1] 노선으로 운행되며 현재 10개 역이 운행 중이다.

역사

아르메니아의 수도 예레반은 아르메니아 SSR의 수도였던 전후 시기에 상당한 성장을 경험했다. 도시의 매우 고르지 못한 경관 때문에 지하 시스템만이 수많은 사람들을 효율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든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었다. 빠른 교통 체계의 첫 번째 계획은 1960년대 후반 당시 아르메니아 공산당 제1서기였던 안톤 코치얀의 후원으로 형성되기 시작했다. 처음에 이것은 완전한 지하 지하철 시스템이 아니라 급속 트램 시스템에 집중되었다. 이 기간 동안 소련 도시계획부는 메트로 시스템이 건설 초기(1972년)에 예레반이 부족했던 인구 100만명 이상의 도시에만 수여될 것이라고 분명히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차선이 설치될 터널은 전부 지하의 완전한 지하철 시스템으로의 잠재적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설계로 건설되었다.

1978년 말까지 4킬로미터(2+12 mi)의 터널은 이미 지루하게 통과되어 있었는데, 그 계획은 완전 지하 지하철로 개통되도록 재설계되었다(특별한 관료적 조치를 피하기 위해 이 시스템은 개통 직전까지 공식적으로 "급행전차"라고 계속 불렸다).

1981년 3월 7일 이 시스템은 승리하게 개방되어 제8대 소련 메트로 시스템이 되었으며, 첫 4개 역무대는 7.6km(4.7mi)가 되었다. 이후 이 시스템은 10개 스테이션 네트워크인 13.4km([1]8.3mi)까지 성장했다.

1988년 아르메니아 대지진 당시 메트로가 지진에도 견디다 못해 공화국 전체가 마비되고 다음날도 작은 피해만 입은 채 계속 운행됐다. 그러나 이는 예레반과 아르메니아의 다른 곳에 파괴된 기반시설의 재구축으로 자금이 전용됨에 따라 대부분의 연장사업은 중단되었다.

1999년 12월 28일, 고속전차의 지위를 메트로 시스템으로 바꾼 책임이 있는 카렌 드미르치얀의 이름을 따서 메트로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그는 두 달 전에 아르메니아 의회에 대한 테러 공격으로 살해되었다.

타임라인

라인 세그먼트 개업일
1 바레카무툰-다비드 1981년 3월 8일
1 다비드 오브 사순-고트사라나인 1983년 7월 11일
1 고트사라나인-선가빗 1985년 12월 26일
1 선가빗-가린 은데 광장 1987년 1월 4일
1 싱가빗차르바크 1996년 12월 26일

이름 변경

구소련 해체와 아르메니아 독립에 이어 1992년 3개 방송국의 명칭이 바뀌었다. 아르메니아 출신 소련군 사령관인 이반 크리스토포로비치 바그라미안을 추모하기 위해 10년 전에 네 번째 정거장이 개칭되었다.

예레반 지하철
이전 이름 몇 해
바그라마얀 보안관 사랄란지 1981–1982
공화국 광장 레닌 광장 1981–1992
가레긴 은데 광장 스판다리아 광장 1987–1992
안드라닉 장군 호크템베리안 1989–1992

사실과 숫자

오늘날 지하철은 선가빗-차르바크 지사에서 별도의 셔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일 노선으로 운영되며 13.4km(8.3mi)에 이르며,[1] 오전 6시 30분부터 오후 11시까지 5분마다 열차가 운행된다. 요금인상 전 하루 약 6만 명의 승객을 태웠으며,[4] 2012년에는 1490만 명의 승객이 지하철을 탔으나,[5] 요금이 두 배로 오른 후 하루 5만 명의 승객으로 탑승객 수가 20% 가까이 줄었다.[6] 이 시스템은 약 1,200명의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다. 지하철의 독특한 특징은 디지털 타이머/시계가 계산된다는 것이다. 즉, 열차가 출발할 때 "00:00"으로 리셋하고 다음 열차가 출발할 때까지 계속 카운트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차는 5분 내외에 한 번씩 도착/하차한다는 것을 승객들이 알아둘 필요가 있다.

예레반의 울퉁불퉁한 풍경 때문에 지하철이 지상으로 올라가는 경우도 있다. 10개 역 중 7개 역이 지하에 있으며, 그 중 1개 역은 1볼트 얕은 수준이고, 나머지는 주탑 심층 역이다. 구소련 지하 시스템의 전통을 이어가면서, 대부분의 역들은 정교하게 꾸며져 있으며, 종종 아르메니아 국가 모티브와 후기 소비에트 건축물이 혼합되어 있다.

시스템을 열었을 때 처음에는 디포가 없었으며, 역회전 시드의 서비스 베이를 사용하여 대신 경미한 수리를 했다. 적절한 창고인 샤르바크는 제2연장의 일부로 1985년에 문을 열었다. 1990년대 초 메트로 시스템은 총 70대(모두 Metrovagonmash 81-717/81-714 모델)로 약 12대의 3중대 전동차를 구성했다. 그러나, 그 이후, 중간 객차는 (차르바크가 수행할 시설이나 장치가 없는) 운행 자동차의 정비 수리를 대가로 모스크바와 생페테르스부르크 시스템에 판매되었다.

2000-2001년 경제적인 이유로, 중간 81-714대의 객차가 모두 운행을 중단했고, 현재 시스템은 13대의 81-717대의 2개 객차 열차만 운행하고 있다(본선 12대, 셔틀 서비스 1대). 2002년 예레반 메트로의 연간 예산은 10억 4천만 드램(약 250만 달러)이었다. 이 금액 중 약 8억 드램은 국가에서 자금을 조달했다. 나머지 예산은 티켓 비용과 무역, 광고에서 배분되었다. 예레반 지하철은 현재 100드램(약 25센트)의 비용이 든다.[4]

2012-2014년에 81-717대의 객차가 개조되었다. 정비 후 프라하81-71M 열차와 동일한 외관과 내부가 제공되었다.

계획.

성장하는 도시의 낙관론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메트로는 자금이 부족하고 도시의 주요 교통 동맥을 형성하지 않는다. 1989년 이후 사실상 연장이 없었다(그러나 샤르바크의 단일 플랫폼 스테이션으로 가는 작은 셔틀 서비스였다). 1988년 참혹한 지진으로 입은 피해 복구에 대한 충당금을 여전히 마련해야 하는 시 예산에서 지하철은 우선순위가 부족하다. 다음 연장은 아차프냐크나자르베키아 역(건설은 1990년대 초반부터 동결)이 될 것이다.

더구나 지진 이전 중요한 주택지대와 국가의 독립선언에 따른 경제위기 등을 메트로가 그럭저럭 연결하지 못했기 때문에 미니버스 노선이 예레반 도시교통의 중추로 자리 잡으면서 종종 메트로 노선을 두 배로 늘렸다. 2004년에, 연간 탑승자 수는 1,210만 명이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도시의 정체된 도로 동맥이 통근자들에게 이 지하철을 빠르고 깨끗하고 저렴한 교통 대안으로 보도록 장려하면서 이러한 추세는 역전되었다.[7] 2016년 현재, 지하철의 연간 탑승객 수는 연간 1540만 명으로 증가했다. 2017년까지 연간 이용객이 1620만 명으로 늘어났다.[8] 2019년까지 여객은 연간 2020만 명으로 늘어났다.[9]

현재의 건물 진척도는 멀지만, 도시 중심부에서 교차하는 6개의 라디아의 전형적인 소련의 삼각형 설계 배치를 형성하면서, 결국 제2선과 제3선이 개통될 계획이 있다. 2013년 3월, 시 공무원들이 예레반 메트로 시스템의 확대를 위한 대출을 받기 위해 은행에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 2018년 아르메니아 도시개발위원회 아르메니아 굴라리안 부위원장은 기존 노선에 또 다른 지하철역을 건설할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사순시 데이비드와 안드라닉 역 사이의 이 제안된 정류장은 수르말루와 페탁 쇼핑몰에 직접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이 제안이 새로운 지하철 연장계획에 포함될지는 불투명하다.[7]

2019년 5월 15일 예레반 수석건축가는 현재 예레반 메트로 증설을 위한 계획이 진행 중이라고 확인했다. 그는 아자프냐크지구에 신설된 지하철역 설계공사가 빠른 시일 내에 마무리되고 2020년 초 착공에 들어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10] 또한 2019년에는 예레반 헤이크 마루티안 시장이 다바센 구까지 메트로 북상을 연장하기 위한 예비 단계가 시작되었다고 발표했다.[11]

수리

예레반 메트로는 30년 전 설립 이래 처음으로 철저하게 보수되었으며, 약 4,100만 달러의 자금이 유럽연합에 할당되었다. 지하 보안의 전제조건 중 하나인 배수시설 공사가 먼저 이뤄진다. 또한 유럽재건개발은행의 지원으로 터널을 업그레이드하고, 메트로카를 개보수하고, 물류장비를 새로 설치하였다.[7] 그 보수공사는 2012년까지 완전히 끝났다.[6]

토큰

승차권보다는 승객들이 토큰을 판매하는데, 이는 이후 역 플랫폼에 도달하기 위해 개찰구를 운용하는 데 사용된다. 2009년 이후 발행된 오렌지색 플라스틱 토큰은 한쪽에는 메트로의 로고가, 다른 한쪽에는 사순의 다비드 동상이 그려져 있다.

네트워크 맵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e f g h "Yerevan authorities negotiating new metro line projects with banks". ArmeniaNow.com. 27 March 2013. Retrieved 4 August 2013.
  2. ^ "Основные технико-эксплуатационные характеристики метрополитенов за 2016 год" [Main technical and operational specifications for Subways in Year 2016] (PDF) (in Russian). Международная Ассоциация "Метро"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etros]. Retrieved 7 September 2017.
  3. ^ Основные технико-эксплуатационные характеристики метрополитенов за 2019 год [Main technical and operational specifications for Subways in Year 2019] (PDF) (in Russian). Международная Ассоциация "Метро"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etros]. Retrieved 25 August 2020.
  4. ^ a b "Union of consumers: Doubled fare for Yerevan Metro will reduce number of passengers". ArmeniaNow.com. 22 June 2011. Retrieved 4 August 2013.
  5. ^ "Социально-экономическое положение Республики Армения в январе-декабре 2012г. Транспорт" (PDF) (in Russian). Retrieved 4 August 2013.
  6. ^ a b "Investing deep: Yerevan Metro gets continued assistance from European donors". ArmeniaNow.com. 5 December 2012. Retrieved 4 August 2013.
  7. ^ a b c Elliott, Raffi (26 February 2019). "Yerevan Gearing Up for Subway Extension". The Armenian Weekly. Retrieved 19 June 2019.
  8. ^ [1]
  9. ^ Основные технико-эксплуатационные характеристики метрополитенов за 2019 год [Main technical and operational specifications for Subways in Year 2019] (PDF) (in Russian). Международная Ассоциация "Метро"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etros]. Retrieved 25 August 2020.
  10. ^ "Chief Architect of Yerevan hopes to launch construction works of new subway station in early 2020". armenpress.am. Retrieved 19 June 2019.
  11. ^ "Yerevan Gearing Up for Subway Extension". The Armenian Weekly. 26 February 2019. Retrieved 29 July 201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