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0s(표준)
1100s (decade)밀레니엄: | 제2천년기 |
세기: | |
수십 년: | |
년: | |
카테고리: |
1100년대는 1100년 1월 1일에 시작해서 1109년 12월 31일에 끝난 율리우스력의 10년이다.
이벤트
1100
장소별
레반트
- 1월 - 셀주크 통치자 마흐무드 1세는 그의 형 바키야루크에 의해 바그다드에서 추방당하지만, 마흐무드는 봄 [1]공세 중에 도시를 탈환하는데 성공한다.
- 5월 또는 6월 – 레몽 4세(세인트-길레스)는 [2]트리폴리를 점령하기 위해 알렉시오스 1세(콤네노스) 황제의 지원을 받기 위해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출항한다.
- 8월 1일 – 제노바 함대가 해안 도시를 정복하려는 십자군의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이탈리아를 떠난다; 그 배들은 [3]9월 25일 라타키아에 도착한다.
- 8월 – 멜리텐 전투:보헤몽 1세는 덴마크인들에 의해 붙잡혀 탠크레드는 2년 동안 안티오키아 공국의 섭정으로 남게 된다.
- 8월 20일 – 베네치아 함대의 지원으로 탄크레드가 이끄는 십자군은 해안 도시 하이파를 점령합니다.
- 12월 25일 – 보두앵 1세는 7월 [4]18일 이전 통치자 볼드윈의 동생 부용 고드프리가 사망한 후 베들레헴의 예수탄생교회에서 예루살렘의 새로운 라틴 총대주교인 다임베르트에 의해 예루살렘의 첫 번째 왕으로 즉위했다.
- 킬리시아의 아르메니아인과 알레포의 토후국에 대한 성공 이후, 부르크의 볼드윈은 다임베르트의 지원을 받아 에데사 백작이 된다.
- 제노바, 베니스, 피사는 연안 도시 정복 기간 동안 봉사한 대가로 십자군 국가들로부터 무역 특권을 얻는다.
유럽
- 8월 2일 – 윌리엄 2세(또는 윌리엄 루퍼스)가 뉴 포레스트에서 사냥 사고로 사망한다.월터 타렐 경은 화살을 쏜 혐의를 받고 있지만 재판을 피하기 위해 해외로 도피하고 있다.헨리 1세가 왕좌를 차지합니다.
- 8월 5일 – 헨리 1세는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영국 왕으로 즉위한다.새 군주의 권력은 확고하지 않고, 귀족들을 달래기 위해 그는 [5]유럽 성문헌법의 첫 사례 중 하나인 자유헌장을 그들에게 부여해야 한다.
- 1097년 8월 30일 류베크 평의회가 실패한 후, 비테체프 회의는 키반 루스에 평화와 봉건 체제를 확립한다.왕자들은 그들 사이에 나라를 공유하기로 합의한다.키예프의 스비아토폴크 2세가 첫 번째 대공이 된다.
- 9월 16일 – 말라곤 전투:알모라비드 군대는 카스텔란 [6]군대를 물리친다.
- 9월 23일 – 캔터베리 대주교 안셀름은 헨리 1세의 초대로 망명에서 돌아옵니다.
- 10월 18일 - 아라곤의 페드로 1세가 알모라비드 [7][8]왕가의 손에서 바르바스트로(현대 스페인)를 정복한다.
- 11월 11일 - 헨리 1세는 말콤 3세의 딸이자 색슨 왕 에드먼드 아이언사이드의 직계 후손인 스코틀랜드의 마틸다와 결혼한다.
- 헨리 1세는 노르만 귀족인 리처드 드 레드버스에게 와이트 섬에 있는 카리스브룩 성의 소유권을 부여한다.
- 11월 18일 - 푸아티에 평의회가 열리게 되지만 주교들이 필립 1세를 [9]다시 파문하려고 했기 때문에 아키텐 공작 윌리엄 9세에 의해 곧 강제 폐쇄된다.
- 12월 25일 - 필립 1세는 그의 아들 루이 6세를 왕국의 공동 통치자로 승격시킨다.
- 아이슬란드에서는 Althing이 법이 서면(대략 날짜)로 이전되어야 한다고 결정합니다.
- 북유럽과 중부유럽의 강도 높은 도시활동: 칼마르(쿤겔브)와 바르베르그(스웨덴)가 전세되어 있다.보헤미아의 아흐(독일 남부)와 나클레소프 도시가 탄생했다.Burg Eppstein 성은 독일 중부에 지어졌다.
- 필립 1세는 벡신 지역을 정복하고 부르주 시와 베리 지방을 그의 [10]사유지에 추가한다.
아프리카
- 투아레그 상인들은 니제르 강을 따라 젠네 북쪽에 팀북투(현대 말리)를 건설합니다.팀북투는 나중에 이슬람 학문의 중심지로서 명성을 얻게 될 것이다.Sankore, Djingueerber 및 Sidi Yahya 모스크는 Timbuktu의 가장 유명한 종교 및 학술 기관 중 하나입니다(대략 날짜).
중국
- 2월 23일 – 제종황제는 15년 통치 후 사망한다.그의 뒤를 이어 송나라의 통치자가 되었다.
- 송나라의 수도 카이펑에는 약 105만 명의 등록 시민이 살고 있다.그곳에 주둔하고 있는 군대는 전체 국민을 약 140만 명으로 증가시킨다.
- 요나라가 거란제국의 조공국 주부를 무너뜨리고 칸을 포로로 잡는다.
- 송나라 때 중국 인구는 약 1억 명에 이른다.
아메리카 대륙
- Navajo County의 Hopi 마을인 Oraibi는 오늘날 미국 애리조나에서 가장 오래된 거주지가 되었다.
- 오늘날의 미국 포 코너(Four Corners)에 위치한 푸에블로 문화(Puebloans culture)가 생겨났다.
- 쿠스코(현재의 페루)가 설립되었습니다.
토픽별
종교
- 9월 8일 - 대립 교황 클레멘스 3세는 합법적인 교황 그레고리오 7세, 빅토르 3세, 그리고 우르바노 2세에 반대하여 20년간의 통치 끝에 치비타 카스텔라나에서 선종한다.로마의 헨리 4세 황제의 지지자들은 그의 후계자로 테오도릭을 선택한다.
- 프레데릭 1세는 쾰른의 대주교가 되어 볼마르슈타인 성을 건설하기 시작한다.
- Stift St. 게오르게겐 수도원은 Sankt Georgen am Léngsee(현대 오스트리아) 근처에 세워졌습니다.
- Faroe 교구가 설립되었습니다(대략 연월일).
테크놀로지
1101
장소별
비잔틴 제국
- 1101년 십자군: 두 번째 물결의 유럽 십자군은 아나톨리아를 건너 예루살렘 왕국에 도달하려고 시도합니다.그들은 헤라클라에서 술탄 킬리 아르슬란 1세가 이끄는 셀주크군에 패배했다.레이몬드 4세(세인트 길레스) 휘하의 소수의 십자군들은 [12]할리스 강 하구에 있는 비잔틴의 바프라 항구에 가까스로 도착한다.
- 여름 – 유스타티오스 제독이 이끄는 비잔틴 함대가 서부 킬리키아, 셀레우키아 및 코리쿠스의 항구를 탈환합니다.유스타티오스는 킬리시아 영토(보헤몽 1세에 속함)를 동쪽으로 확장하여 타르수스, 아다나, 마미스트라를 [13]점령한다.
레반트
- 봄 – King Baldwin I은 Genoes 함대와의 동맹을 체결하여 Genoes 함대에게 상업적 특권과 전리품을 제공합니다.그는 아르수프와 카이사레아의 마을을 점령한다.볼드윈의 십자군들은 카이사리아를 약탈하고 지역 주민들의 시장직을 학살한다.
- 9월 7일 – 람라 전투: 볼드윈 1세 휘하의 십자군 부대(약 1,100명)가 람라(현대 이스라엘)에서 파티미드 침략군을 격퇴한다.볼드윈은 파티미드 캠프를 약탈하고 생존자들은 아스칼론으로 도망친다.
유럽
- 6월 22일 – 시칠리아 백작 로제 1세(보소)는 30년 통치 후 칼라브리아의 밀레토에서 사망한다.그의 뒤를 이어 8살 된 아들 시몬이 오트빌의 왕위를 물려받았고, 그의 어머니인 아델레이드 델 바스토가 섭정을 맡고 있다.
- 여름 – 술탄 유수프 이븐 타슈핀이 이끄는 알모라비드 군대가 발렌시아를 포위하고, 발렌시아는 로드리고 디아즈 데 비바르(엘 시드)의 미망인 히메나 디아스가 지킨다.그 도시는 1102년 [14]5월까지 지속된다.
- 가을 – 토스카나 백작 부인 마틸다는 이탈리아 북부에서 성공적인 탐험대를 이끌고 페라라를 점령합니다.
- 독일의 베르그 카운티는 설립되었습니다.
잉글랜드
- 2월 3일 – 더럼의 주교인 라눌프 플라바르가 런던탑을 탈출하여 노르망디로 도주한다.그곳에서 그는 십자군 원정을 마치고 막 돌아온 노르망디 공작 로버트 2세와 합류한다.
- 여름 – 로버트 2세는 동생 헨리 1세로부터 왕위를 빼앗기 위해 군대를 이끌고 포츠머스에 도착한다.그는 영국 왕좌에 대한 권리를 포기한 채 알튼 조약에 서명하도록 강요받는다.
토픽별
문화
종교
- 봄 – 대립교황 테오도릭이 죽자, 헨리 4세 황제의 유신자들은 새로운 대립교황으로 아달버트(또는 알베르)를 선택한다.
- 4월 19일 – 덴마크의 왕 크누트 4세는 산 [15]카누토라는 이름으로 성인으로 시성된다.
- 퐁테브라우 수도원은 프랑스 아르브리셀의 전도사 로베르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1102
장소별
레반트
- 봄 – 파티미드 원정군(약 20,000명)이 팔레스타인을 침공하여 예루살렘 왕국을 공격한다.십자군은 아스칼론 근처에서 파티미드 후위병을 물리치고 3년간의 포위 끝에 도시를 점령한다.십자군은 제노바 함대 카이사리아 마리티마의 지원을 받아 생포한다.지중해 [16]연안을 따라 많은 제노바 무역 식민지가 건설되었다.
- 트리폴리 공성전:레몽 4세(생길레스) 휘하의 십자군은 트리폴리(현대 레바논) 공성전을 시작한다.수비대는 지원을 요청하지만, 다마스쿠스와 홈스에서 온 셀주크 구원군은 레이먼드에게 패배한다.
- 5월 17일 – Ramla 전투:볼드윈 1세가 이끄는 십자군(500명의 기사)은 람라(현대 이스라엘)에서 파티미드군에 패한다.볼드윈과 그의 일행이 적진을 뚫고 아르수프로 [17]도망친다.
- 5월 27일 – 볼드윈 1세가 이끄는 십자군은 파티미드군에 포위된 자파를 탈출한다.프랑스 기병대가 돌격하면 적의 대열을 무너뜨리고 [18]아스칼론으로 후퇴합니다.
- 레몽 4세는 보헤몽 1세의 조카이자 안티오키아 공국의 섭정인 탕크레드에 의해 수감된다.[19]
- 피사의 다고베르트(또는 다임베르트)는 예루살렘 총대주교 자리에서 잠시 물러난다(그는 그 해 말에 복원된다).
- 베네치아는 시돈(현재의 [20]레바논)에 새로운 무역 거점을 설립한다.
유럽
- 5월 5일 – 로드리고 디아즈 데 비바르(El Cid)에 의해 만들어진 단명 공국이 끝납니다: 발렌시아는 술탄 유수프 이븐 타슈핀이 이끄는 알모라비드군에 의해 점령됩니다.그것은 나중에 알폰소 [21]6세에 의해 탈환되고, 대피하고 불태워진다.
- 6월 4일 – 폴란드의 브와디스와프 1세 헤르만 공작은 23년간의 통치 후 프워크에서 사망한다.그는 그의 아들 즈비그니에프와 볼레스와프 3세 브리무트 사이의 논쟁을 위해 왕위를 떠난다.
- 크로아티아 귀족들에 의해 결성된 팩타 콘벤타는 콜로만 왕을 그들의 지배자로 인정하고 두 왕국 사이의 개인적 결합을 시작합니다.콜로만은 크로아티아의 왕위에 올랐다.
잉글랜드
토픽별
종교
- 런던 의회:캔터베리 대주교 안셀름이 소집한 교회협의회는 소도미와 기독교가 아닌 국가에 대한 기독교 노예의 판매를 금지하고 성직자들을 개혁한다.
- 헨리 1세는 에드워드 참회왕의 무덤을 열라고 명령했다; 전 왕의 시신은 아마도 훼손되지 않은 채 발견되었을 것이다.웨스트민스터 승려들은 에드워드를 성인이라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1103
장소별
레반트
- 봄 – 안티오키아의 노르만 왕자 보헤몽 1세는 몸값 10만 개를 지불한 후 닉사르의 셀주크 감옥에서 풀려난다.그가 없는 동안, 탠크레드(보헤몬드의 조카)는 비잔티움을 공격하고 킬리시아의 타르수스, 아다나, 마미스트라를 다시 점령한다.탠크레드는 보헤몽의 귀환으로 영주권을 박탈당하고 안티오키아 [22]공국의 작은 영지를 받는다.
- 레몽 4세(세인트길레스)가 이끄는 십자군은 트리폴리를 고립시키기 위해 베카 계곡을 침공하고 토르토사를 점령한다.레이몬드는 오론테스 강 쪽으로 확장하여 트리폴리 공성전을 돕는 몬스 페레그리누스("순례자의 산")에 성을 짓기 시작한다(1102 참조).알렉시오스 1세(콤네노스)[23] 황제는 트리폴리 항구를 봉쇄하기 위해 비잔틴 함대(함대 10척)를 보내 십자군을 지원한다.
- 여름 – 보헤몽 1세와 쿠르트네의 조셀랭이 이끄는 십자군은 보급품을 얻기 위해 알레포를 습격한다.그들은 무슬림야 마을을 점령하고 많은 공물을 끌어냈다.알레포의 셀주크 통치자인 술탄 파크르 알-물크 라드완은 십자군에 7,000개의 금과 10마리의 말을 지급하기로 동의하고 보헤몽은 무슬림야에서 [24]붙잡힌 모든 셀주크 포로들을 석방하기로 합의한다.
유럽
- 8월 24일 – 마그누스 3세(맨발)는 얼스터에서 울라이드와 싸우다 전사한다.시구르드 조르살파레, 외이슈타인 마그누손, 올라프 마그누손이 그의 뒤를 이어 노르웨이의 공동 왕이 되었다.
잉글랜드
- 4월 27일 – 캔터베리 대주교 안셀름은 헨리 1세와 주교와 수도원장을 중요한 교회 직책에 임명하는 것에 대한 논쟁 끝에 다시 망명길에 올랐다.
- 8월 5일 – 헨리 1세의 부인인 스코틀랜드의 마틸다 여왕이 윈체스터에서 첫째 아들 윌리엄 아델린을 출산한다.그들에게는 이미 딸 마틸다 공주가 있다.
중국
토픽별
종교
1104
장소별
비잔틴 제국
- 여름 – 비잔틴은 타르수스, 아다나, 마미스트라의 킬리시아 도시를 재점령합니다.칸타쿠제누스 제독이 이끄는 해군 함대가 키프로스 해역에서 제노바인 습격 함대를 추격해 라타키아로 향하며, 그곳에서 항구 및 하부 도시를 점령합니다.보헤몽 1세는 [25]요새의 수비대를 보강했다.
레반트
- 봄 – 보헤몽 1세가 이끄는 십자군은 알레포의 영토를 재침략하여 카파르 라타 마을을 점령하려고 한다.지역 바누 부족의 저항 때문에 공격은 실패한다.한편, 쿠르트네의 조셀랭은 알레포와 [26]유프라테스강 사이의 통신을 차단했다.
- 5월 7일 – 하란 전투:볼드윈 2세 치하의 십자군은 셀주크 투르크군에게 패배했다.코트네의 볼드윈과 조슬린은 포로로 잡혔다.탕크레드(보헤몽 1세의 사촌)는 에데사의 섭정이 된다.하란에서의 패배는 십자군 확장의 중요한 전환점이다.
- 5월 26일 – 볼드윈 1세가 아크레를 점령하고, 4월부터 항구가 포위되어 제노아와 피산 함대에 의해 봉쇄된다.볼드윈은 아스칼론으로 이주하려는 사람들에게 자유 통행을 약속하지만, 이탈리아 선원들은 부유한 이슬람 이민자들을 약탈하고 그들 [27]중 다수를 죽인다.
- 가을 – 보헤몽 1세는 증원군을 위해 이탈리아로 떠난다.그는 알렉시오스 1세(콤네노스)에 맞서 군대를 일으키기 위해 금과 은, 그리고 귀중한 물건들을 가지고 다닌다.탠크레드는 안티오키아의 공동 통치자가 되고 그의 처남 살레르노의 리처드를 그의 [28]대리인으로 임명한다.
- 다마스쿠스의 셀주크 통치자(아타베그)인 토그테킨은 시리아에 단명한 공국을 세웠다.
잉글랜드
유럽
- 9월 28일 – 알폰소 1세(배틀러)는 아라곤과 나바라의 왕이 된다(그의 이복형제인 페테르 1세의 죽음 이후).
- 조지아의 다비드 4세(건설자)[citation needed]는 단 1,500명의 전사들로 10만 명의 셀주크 터키인들을 물리친다.
- 럼 술탄국의 술탄 킬리 아르슬란 1세는 덴마크멘디드와 전쟁을 시작한다.
- 베네치아 무기고는 [30]베니스에 설립되었습니다.
토픽별
화산학
종교
1105
장소별
레반트
- 2월 28일 - 레몽 4세(생길레스)는 트리폴리 근처 몬스 페레그리누스('순례의 산') 성에서 사망한다.레이몬드는 그의 두 살배기 아들 알폰소 1세(요르단)를 그의 세 번째 아내인 카스티야의 엘비라에게 맡겨 트리폴리 백국을 통치하게 한다.레이먼드의 조카인 세르다뉴 백작 윌리엄 조단은 알폰소 섭정이 된다.레몽의 장남 베르트랑은 '툴루즈 백작'[32] 칭호를 상속받는다.
- 4월 20일 – Artah 전투:노르만 왕자이자 안티오키아의 섭정인 탕크레드 휘하의 십자군은 아르타(현 레이한리)에서 셀주크군(약 7,000명)을 격파한다.탕크레드는 술탄 파크르 알-물크 라드완의 수도 알레포를 위협하고 소수의 반대세력으로 오론테스 강 동쪽의 더 많은 영토를 정복함으로써 정복 범위를 넓힌다.
- 8월 27일 – Ramla 전투:볼드윈 1세가 이끄는 십자군은 람라에서 파티미드 원정군(약 15,000명)을 물리쳤다.볼드윈은 적진을 약탈하지만 파티미드를 추격하지는 않는다.이 전투는 팔레스타인을 [33]재탈환하려는 파티미드족의 마지막 대규모 시도로 끝난다.
유럽
- 알모라비드의 지도자인 유수프 이븐 타슈핀은 십자군을 물리치고 예루살렘을 정복하기 위해 세비야에서 팔레스타인으로 해양 탐험대를 보낸다.70여 척의 함대가 지중해의 폭풍 속으로 돌진해 다시는 [34]보이지 않는다.
- 노르만족 안티오키아 왕자 보헤몽 1세는 9년 만에 이탈리아 남부 풀리아에 도착한다.그는 로마로 가서 교황 파스칼 2세를 만난다.그의 사촌인 로제 2세는 시칠리아의 백작이 된다.
- 가을 – 보헤몽 1세와 교황 특사 브루노는 프랑스 북부를 여행하고 필립 1세(아모러스) 왕의 궁정을 방문합니다.보헤몽은 [35]왕국에서 사람을 모집할 수 있는 허가를 받는다.
- 대 잉게가 죽고 그의 조카 필립이 스웨덴의 통치자로 승계한다.그와 그의 동생 잉게는 함께 왕국을 통치했다 (1118년 필립이 사망할 때까지).
- 12월 31일 – 황제 헨리 4세는 그의 아들 헨리 5세에 의해 폐위된다.헨리는 왕관을 사임하고 부켈하임 성에 수감된다.
잉글랜드
- 여름 – 헨리 1세는 노르망디를 침공하여 베이외(짧은 포위 후)와 캉을 점령한다.그는 팔레즈로 진격해 로버트 2세 공작(쿠르츠)과 최종적인 평화협상을 시작한다.헨리는 국내의 정치적인 문제들을 다루기 위해 철수한다.
- 헨리 1세는 노르망디 레이글에서 파문 위협을 받고 있는 캔터베리 대주교 안셀름을 만나 앙셀름을 영국에서 추방한 분쟁을 해결한다(1103 참조).
셀죽 제국
- 술탄 바키야루크(또는 바 야루크)는 13년간의 통치 끝에 보루제르드(현대 이란)에서 사망한다.그의 후계자는 아들 말리크샤 2세이지만 삼촌 무함마드 1세(타파르)에 의해 폐위되고 살해된다.무함마드는 셀주크 제국의 통치자가 되지만 그의 형제 아마드 산자르(호라산의 셀주크 통치자)가 공동 통치자로 더 많은 권력을 갖는다.
- 가을 – Rum 술탄의 술탄인 Kilij Arslan I는 Melitene(현대 터키)을 점령하기 위해 셀주크 원정을 이끈다.그는 에데사를 점령하려 하지만, 십자군 요새는 수비대에 의해 너무 강하게 방어되고 있다.킬리 아르슬란은 하란에게 넘어갔고 하란은 그에게 [36]항복한다.
아시아
토픽별
종교
1106
장소별
유럽
- 봄 – 안티오키아의 왕자 보헤몽 1세는 프랑스의 콘스탄스(필립 1세의 딸)와 샤르트르 대성당에서 결혼한다.필립은 그의 둘째 딸인 프랑스의 9살 세실레와 보헤몽의 친척인 탕크레드와 결혼하는 것에 동의한다.한편, 보헤몽은 원정군(약 3만 명)을 동원해 알렉시오스 1세(콤네노스)[37]에 대한 원정을 시작한다.
- 8월 7일 – 황제 헨리 4세는 잉겔하임에서 그의 납치범들을 탈출시킨다.그는 영국, 프랑스, 덴마크 귀족들과 쾰른에서 협상을 시작하고 아들 헨리 5세에 대항하기 위해 군대를 모으기 시작하지만 49년 간의 통치 끝에 리에주에서 사망한다.헨리는 플랜더 백작 로버트 2세에 맞서 성공적인 원정을 이끌며 그에게 충성을 맹세해야 한다.
- 9월 28일 – 틴체브레이 전투: 헨리 1세는 데비즈성에서 그의 형인 노르망디 공작 로베르 2세(쿠르테)를 물리치고 공격한다.에드거 아틀링(헨리 부인의 삼촌)과 로버트의 아들 윌리엄 클리토(3세)도 포로로 잡힌다.헨리는 그의 조카 윌리엄을 아르크 [38]백작 생상스의 헬리아스에게 맡긴다.
- 가을 – 보헤몽 1세는 비잔틴에 대한 공세를 준비하기 위해 원정군과 함께 풀리아(이탈리아 남부)로 돌아간다.그는 신혼부부 콘스탄스와 추종자들과 동행한다.
- 술탄 유수프 이븐 타슈핀은 45년간의 통치 후에 죽었다.그는 알모라비드 제국의 통치자로 그의 22살 아들 알리 이븐 유수프는 알모라비드 제국의 통치자가 되었다.알리는 그의 형 타민 이븐 유수프를 알-안달로스(현 스페인)의 주지사로 임명한다.
- 폴란드의 공작 볼레스와프 3세는 소폴란드와 실레지아의 지배권을 두고 그의 이복동생 즈비그니에프와 내전을 시작한다.
- 발라게르(카탈루냐)는 우르겔 백작 에르멘골 6세에 의해 무어족으로부터 정복되었습니다.
잉글랜드
- 솔즈베리의 주교인 로저 르 푸어는 헨리 1세로부터 웨일즈 남부 땅을 승인받았다.그는 그웬드라스 강둑에 키드웰리 성을 짓기 시작한다.
- 마그누스 에를렌손은 오크니 백작이 된다(1115년까지).[39]
토픽별
천문학
1107
장소별
스코틀랜드
- 1월 8일 – 에드거 왕(발리안트)은 9년간의 통치 후 에딘버러 성에서 사망한다.그의 후계자는 노르망디의 시빌라(앙리 1세의 사생아)와 결혼한 그의 형 알렉산더 1세(맹세)이다.알렉산더와 그의 동생 데이비드 1세 사이의 분열된 통합은 데이빗을 로디언과 스트라스클라이드(스코틀랜드 남부)에서 공동 통치하게 만든다.그는 왕의 칭호를 받지 않고 "컴브리안 왕자"라는 칭호를 받는다.
잉글랜드
- 8월 11일 – 앙리 1세와 앤셀름 캔터베리[41][42][43] 대주교가 화해하고 앤셀름이 웨스트민스터 왕궁에서 주교들을 대거[44] 서임함으로써 서임 논란은 해결되었다.Winchester에는 William Giffard, Salisbury에는 Roger, Hereford에는 Reynelm, Exeter에는 William Warelwast, Landaff에는 Urban to Landaff.[42]솔즈베리의 Roger도 올해 Justiciar로 임명되었습니다.[45]
유럽
- 봄 – 볼레스와프 3세(브리무트)는 동맹국인 헝가리의 콜로만(학식자)과 함께 보헤미아를 침공하여 스바토플루크(사자) 공작이 보헤미아의 왕좌를 차지하도록 돕는다.폴란드 원정은 완전히 성공적이다: 5월 14일 스바토플루크가 프라하에서 보헤미아 공작으로 취임한다.헨리 5세는 스바토플루크에게 신성 로마 제국의 지배자이자 신하로서 조공을 요구한다.
- 가을 – 시구르드 1세(크루세이더)는 노르웨이 팔레스타인 십자군 원정의 첫 단계에서 60척의 배(약 5,000명)와 함께 성지를 향해 항해한다.현재 17세인 그는 레반트에서 십자군을 지원한 최초의 유럽 왕이다.시구르드는 형이 없는 동안 왕국을 통치하기 위해 형 아이슈타인 1세를 떠나 도중에 영국, 프랑스, 갈리시아, 시칠리아를 방문한다.
- 10월 9일 - 안티오키아의 왕자 보헤몽 1세는 그의 군대(약 34,000명)와 함께 아블로나 근처의 에피루스에 상륙한다.그는 시골길을 헤매고 디라키움(현대 알바니아)으로 행군한다.
- 11월 – Dyrachium 포위전:보헤몽 1세는 두크 알렉시오스 콤네노스가 보유한 아드리아 항구도시 디라키움 공성전을 시작한다.
- 겨울 – 볼레스와프 3세는 키예프와 헝가리 동맹국들의 도움으로 그의 이복형제 즈비그니에프에 대한 징벌적 원정을 떠난다.
- 사라센 해적들은 레랑 [46]제도에 있는 생 호나트의 베네딕토 수도원을 습격한다.
레반트
- 6월 – 럼 술탄국의 술탄 킬리 아르슬란 1세가 모술(모술 전투 중)을 정복한다.그러나 그는 오르토키드와 파크르 알-물크 [47]라드완의 지원을 받는 무함마드 1세 타파르 휘하의 셀주크군에 의해 패배하고 죽는다.
- 갈릴리 왕자인 탠크레드가 이끄는 십자군은 3년 전 알렉시오스 1세(콤네노스)가 정복한 킬리시아의 도시 타르수스, 아다나, 마미스트라를 되찾는다(1104 참조).
- 투르베셀의 영주 조슬린 1세는 일가지(마르딘의 아르투키드 통치자)에 의해 몸값 2만 디나르와 군사 [48]원조 약속으로 풀려난다.
- Emir Fadl ibn Rabi'ah는 시리아 다마스쿠스의 지배자 Toghtekin(아타베그)에 의해 추방된다.
아시아
토픽별
커머스
- 중국 당국은 위조 방지를 위해 3가지 색상으로 지폐를 찍어낸다.
문학.
1108
장소별
유럽
- 봄 – 시구르드 1세(크루세이더)는 노르웨이 십자군 원정을 통해 영국에서 팔레스타인으로 항해한다.그는 타구스 강 근처에서 이슬람 함대를 격퇴하고 신트라, 리스본, 알카세르를 공격하여 마침내 남쪽으로 [49]더 떨어진 곳에서 두 번째 이슬람 함대를 격퇴한다.
- 5월 29일 – 우클레스 전투: 알모라비드 군대는 카스티야와 레온의 군대를 격파한다.레콘키스타의 진격은 중단되고 베르베르인들은 우클레스와 쿠엔카, 휴에테와 오카냐의 마을을 다시 점령한다.기독교인들은 많은 귀족들이 [50]참수당한다.
- 7월 29일 - 필립 1세(애모러스)가 48년간의 통치 끝에 멜룬에서 사망한다.그의 후계자는 봉건 도적과 반항적인 강도들로부터 그의 통치 폭동이 시작될 때 직면하게 되는 그의 아들 루이 6세이다.
- 9월 – Dyrachium 포위전:보헤몽 1세가 이끄는 이탈리아-노르만 군대는 병과 보급 부족으로 포위를 풀었다.보헤몽은 데볼 조약에 서명함으로써 비잔틴 제국의 신하가 된다.
- 가을 – 헝가리의 콜로만 왕(학식자)이 크로아티아 공작 알모스를 폐위시킨 후 니트라 공국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 베르가모의 영사는 처음 언급되며, 이는 베르가모가 롬바르디아(이탈리아 북부)[51]의 독립된 공동체가 되었음을 나타낸다.
레반트
- 여름 – 모술의 터키 통치자(아타베그) 자왈리 사카와가 조슬린 1세 백작의 몸값 3만 디나르를 받고 포로로 잡혀 있는 사촌 볼드윈 2세를 석방한다(1104 [52]참조).
- 볼드윈 1세는 이탈리아 여러 도시에서 온 선원 모험가들의 지원으로 시돈에 맞서 행군한다.이집트의 파티미드 함대가 [53]항구 밖에서 벌어진 해전에서 이탈리아를 물리칩니다.
아시아
- 다이라 가문과 미나모토 가문은 교토 근교의 엔랴쿠지의 무사 승려들을 물리치고 일본을 통치하기 위해 힘을 합친다.다이라 가문은 많은 후지와라 귀족을 대신하고 미나모토 가문은 혼슈 북부의 일부를 일본의 지배하에 두면서 더 많은 군사 경험을 쌓는다(대략 연월일).
토픽별
종교
- 치체스터 대성당은 영국 치체스터의 주교인 랄프 드 루파 아래에 봉헌되어 있다.
- 윈체스터 대성당의 탑에서 공사가 시작되어 1120년까지 공사가 계속됩니다.
- 이탈리아의 피스토이아 성당이 큰 화재로 피해를 입었다.
- 6월 13일 - 복원된 이탈리아 페렌티노 대성당이 봉헌되었다.
1109
장소별
레반트
- 7월 12일 – 트리폴리 포위전: 7년간의 포위전 끝에 트리폴리는 십자군의 손에 넘어간다.트리폴리의 카디 파크르 알 물크 이븐 암마르는 툴루즈의 베르트랑(레이몽 4세의 장남)에게 복종한다.그는 중동의 네 번째 십자군 국가인 트리폴리 백국을 설립한다.베르트랑은 레이먼드의 조카 윌리엄 2세(요르단)를 트리폴리의 명목상의 백작으로 임명한다. 그는 포위 과정에서 생긴 화살 상처로 사망한다.
유럽
- 여름 – Almoravid Emir Ali ibn Yusuf는 코르도바 [54]대 모스크 앞에서 알-가잘리의 작품 속죄 의식(오토다페)을 조직합니다.
- 7월 1일 - 레온의 우라카는 아버지 알폰소 6세의 죽음 이후 레온, 카스티야, 갈리시아의 여왕이 된다.그녀는 알폰소 1세와 결혼한다.
- 8월 10일 – 나크워 전투: 볼레스와프 3세(브리무트)가 포메라니아 원정대를 이끈다.그는 나크워 성을 포위하고 포메라니안 구원군을 물리친다.
- 8월 24일
- 알리 이븐 유수프가 이끄는 알모라비드 군대는 톨레도를 탈환하는 데 실패했다.[55]
토픽별
교육
중요한 사람
출생.
1100
- 5월 19일 - 슈바벤 공작부인 바이에른의 주디스 (d. 1130)
- 5월 23일 - 중국 진종(秦宗) (1161년)
- 노르만 주교 성 빅토르의 아차드(1171년 사망)
- 아드리안 4세, 가톨릭 교회 교황(d. 1159년)
- 알베르트 1세(곰), 브란덴부르크 변경백(d. 1170)
- 알렉산드르 3세, 가톨릭 교회 교황(d. 1181년)
- 하벨베르크의 안셀름, 독일 주교 (대략 날짜)
- 아놀드 1세, 쾰른 대주교 (대략 연월일)
- 쾰른 대주교 브루노 2세(1137년 사망)
- Eliza와 Mary Chulkhurst, 영국의 결합 쌍둥이 (d. 1134년)
- 카스티야의 엘비라, 시칠리아의 여왕(대략 연월일)
- 길버트 드 클레어, 제1대 펨브로크 백작 (d. 1148)
- 프랑스의 수도원장이자 학자인 엘로세 다르젠테유(d. 1162년)
- 독일 천문학자 카린시아의 헤르만(1160년)
- 팔마뉴의 힐린, 트리어의 대주교(1169년 사망)
- 아랍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 야비르 이븐 아프라(d. 1150)
- 메다의 요한, 이탈리아의 수도승이자 수도원장 (d. 1159년)
- 무함마드 알 이드리시, 알모라비드 지리학자(1165년 사망)
- 귀네드의 왕 오웨인 귀네드 (대략 연월일)
- 야콥 벤 메이어 탐, 프랑스 유대인 랍비 (d. 1171년)
- 로버트 드 보몽, 제2대 레스터 백작 (1168년 사망)
- 제2대 더비 백작 로베르 드 페를르 (d. 1162년)
- 헤레포드의 주교인 멜룬의 로버트(1167년 사망)
- 영국 수도원장 뉴민스터의 로버트(1159년 사망)
- 이탈리아 구두 제조업자 Teobaldo Roggeri (1150년 경)
1101
- 아부 알 바얀 이븐 알 무다와르, 유대인 의사(1184년 사망)
- 아르슬란 샤 1세, 케르만의 셀주크 술탄 (d. 1142년)
- 아르탈도스(또는 아르토), 벨리아스의 주교(d. 1206)
- 후지와라노 다마코(藤原)子, 1145년 사망)
- 스코브데의 헬레나, 스웨덴의 귀족이자 성녀(d. 1160)
- 이븐 바슈쿠왈, 안달루시아 전기작가(1183년 생)
-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왕 스테판 2세(d. 1131년)
1102
- 2월 7일 - 신성로마황후 마틸다 (d. 1167년)
- 10월 25일 - 윌리엄 클리토, 플랜더스 백작 (d. 1128년)
- 체카와 예셰 도르제 티베트 승려(1176년 사망)
- 샹파뉴의 엘레노르, 프랑스 귀족 여성 (d.[56] 1147년)
- 길라 나엠 우아 두인, 아일랜드 시인 겸 작가 (d. 1160)
- 헨리 2세, 북부 행진의 변경(d. 1128년)
- 클렝구르 오르스테인손, 스카일홀트 주교(1176년 사망)
- 양홍유(red紅 (), 중국 장군(1135년)
- 네르세스 4세(은총한 신), 아르메니아 카톨릭 신(d. 1173년)
- 타렌테즈의 피터, 프랑스 수도원장이자 주교(d. 1174년)
- 제2대 워릭 백작 로저 드 보몽 (1153년 생)
- 송나라의 황후 주씨(1127년 사망)
1103
- 2월 24일 - 도바 천황(재위: 1156년)
- 3월 24일 - 중국 장군 겸 시인 위페이(di) (d. 1142년)
- 8월 5일 - 노르망디 공작 윌리엄 아델린 (d. 1120)
- 루뱅의 아델리자(또는 아델리시아), 영국 여왕(1151년)
- 아키텐 공작부인 에노르 드 샤텔로(d. 1130)
- 알폰소 1세, 트리폴리와 툴루즈 백작 (d. 1148)
- 독일 백작부인 렝겐펠트의 헤이리카(1170년)
- 헨리 2세, 색슨 오스트마르크 변경백(d. 1123년)
- 뢰그발드 칼리 콜슨, 노르웨이 백작 (d. 1158년)
- 프스코프의 브세볼로드, 키예프 왕자(대략 날짜)
- 위비나, 프랑스 베네딕토 수도원장 (d. 1168)
1104
- 폴로츠크의 유프로시네, 키예프 공주 (d. 1167)
- 후지와라 기요스케, 일본 와카 시인(1177년)
- Gens du Beaccet, 프랑스의 은둔자이자 성자 (d. 1127)
- 이븐 자파르 알 시킬리, 아랍계 시칠리아 정치인 (d. 1170년)
- 제2대 레스터 백작 로버트 드 보몽 (1168년 [57]사망)
- 블라디미르 볼로다레비치, 갈리시아 왕자(1152년 사망)
- 월란 드 보몽, 제1대 우스터 백작(1166년 사망)
1105
- 3월 1일 - 레온과 카스티야의 왕 알폰소 7세 (d. 1157년)
- 3월 14일 - 드로고, 플랑드르 은둔자, 성자 (d. 1186년)
- 알렉산드르 3세, 가톨릭 교회 교황(d. 1181년)
- 압바스 왕조 비제르 아운 알딘 이븐 후바이라 (d. 1165)
- 바사바, 인도의 철학자이자 정치가 (d. 1167)
- 후지와라 모토히라 일본 귀족(1157년)
- 후홍(胡弘)
- 이븐 아사키르, 시리아 역사가이자 신비주의자 (d. 1175)
- 이븐 투페일, 아랍의 안달루시아의 박식가 (d. 1185년)
- 존 피츠길버트, 영국 원수 (1165년 사망)
- 조셉 키미, 스페인 유대인 랍비 (1170년)
- 로페 디아스 1세 데 하로, 카스티야 귀족 (1170년 사망)
- 마흐무드 2세, 셀주크 제국의 술탄(d. 1131년)
- 불로뉴의 마틸다, 영국 여왕 (d. 1152년)
- 모리스 피츠제럴드, 영국 귀족(1176년 사망)
- 멜리젠데, 예루살렘의 왕비(d. 1161년)
- 노바라의 오도, 이탈리아의 승려이자 성자(d. 1200)
- 윌튼의 술로, 영국의 시인 겸 작가 (d. 1181년)
- 바이에른의 소피아, 독일 귀족(d. 1145년)
- 빈젠부르크의 소피, 독일 귀족 여성(1160년 사망)
- 브와디스와프 2세(유배), 폴란드 귀족(1159년 사망)
- 선종 승려 학도지전(1192년 사망)
1106
- 알렉시오스 콤네노스, 비잔틴 공동 황제(d. 1142년)
- 가톨릭 교회 교황 첼레스티노 3세(d. 1198)
- 데이비드 피츠제럴드, 세인트루이스 주교입니다 데이비스 (d. 1176년)
- 후지와라 미치노리(藤原 mich,, 1160년)
- 위그 2세(듀 푸제), 프랑스 귀족(1134년)
- 제1대 베드포드 백작 휴 드 보몽(D. 1141년)
- 이븐 아사키르, 시리아 학자이자 역사학자 (d. 1175)
- 정중부(鄭中夫, 1179년 ~ ?)
- 마그누스 1세(닐손), 스웨덴 왕(d. 1134년)
- 노르망디 공작부인 앙주의 마틸다(1154년 사망)
- 미나모토노 요리마사 (1180년)
- 중국 황후 형씨(또는 형씨)(1139년 사망)
1107
- 6월 12일 - 중국 황제 가오종(高宗, 1187년 사망)
- 벨리의 앤델름, 프랑스 출신이자 주교(d. 1178년)
- 베니스의 도제 엔리코 단돌로(또는 헨리) (d.1205)
- 팔라키 쉬르바니, 페르시아의 시인이자 작가(d. 1157년)
- 겐카이( ken海) 일본 신곤 스님
- 스테판 콘토스테파노스, 비잔틴 장군(d. 1149년)
- 빌헬름 3세, 네버와 아우세르 백작 (d. 1161년)
1108
- 안드로니코스 콤네노스, 비잔틴 왕자(d. 1142년)
- 보두앵 4세 (건설자), 에노 백작 (d. 1171년)
- 보헤몽 2세, 이탈리아 노르만 안티오키아 왕자 (d. 1130)
- 더브포갈(또는 더발), 아일랜드 공주(d. 1193)
- 기야트 앗딘 마수드, 셀주크 술탄 (d. 1152년)
- 바이에른 공작 헨리 10세(자랑스러운 자) (d. 1139년)
- 바이에른 공작 레오폴트 4세(관대한 왕)(1141년 사망)
1109
- 7월 25일 - 포르투갈의 왕 아폰소 1세(정복자) (d. 1185년)
- 9월 7일 - 공예왕후(재위: 1183년)
- 10월 29일 - 고려 인종왕(재위: 1146년)
- 아부엘하산 알하산 이븐 알리, 지리드 에미르 (d. 1171년)
- 알-라시드, 아바스 칼리프국의 칼리프(d. 1138년)
- 벨라 2세(블라인드),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왕(d. 1141년)
- 베르트랑 드 블랑쉬포르, 프랑스 그랜드 마스터 (d. 1169년)
- 윌리엄 도비니, 제1대 아룬델 백작(1176년 사망)
사망.
1100
- 2월 23일 - 중국 제종(b宗) (1077년)
- 2월 25일 - 아그리겐토 주교 게를란트
- 3월 28일 – 독일 귀족부인 바이마르-올람ünde의 아델레이드
- 7월 18일 - 프랑스 귀족 부용의 고드프리 (b. 1060년)
- 7월 23일 – 프랑스 귀족 그레즈의 워너
- 8월 2일 – 영국의 왕 윌리엄 2세(또는 윌리엄 루퍼스)
- 9월 8일 - 클레멘스 3세, 로마의 대항마
- 9월 16일 - 독일 연대기 작가 콘스탄스의 베르놀트
- 10월 13일 - 가이 1세(또는 위도), 프랑스 귀족
- 11월 18일 – 요크 대주교 베이유의 토마스
- 12월 22일 - 보헤미아 공작 브레티슬라프 2세
- 아부 알 유스르 알 바즈르다위, 하나피 마투리디 학자 (b. 1030년)
- 스웨덴 귀족 고바츠부르크의 아조(대략 연월일)
- 제프리 드 만데빌, 타워 순경
- 대제프리
- 카마루파 왕국의 인도 통치자 자야 팔라(b. 1075년)
- 진관(秦官), 중국의 시인이자 작가(대략 연월일)
- 쿠트브 알딘 하산, 구르 왕조 지배자(말리크)
- 로버트 드 스태퍼드, 노르만 귀족 (대략 연월일)
- 미스테크시 후아치노국의 여왕 섭정인 여섯 마리 원숭이(d. 1100년)
1101
- 2월 12일 - 중국 도종(ong宗) (b. 1032년)
- 4월 24일 - 키예프 왕자 폴로츠크의 브세슬라프
- 5월 16일 - 브레멘 대주교 리마르
- 6월 22일 - 로저 1세(보소), 노르만 귀족
- 7월 27일
- 8월 24일 - 중국의 정치가이자 시인 수시 (b. 1037년)
- 9월 30일 - 밀라노 대주교 안셀름 4세
- 10월 5일 - 의천 스님(재위 1055년)
- 10월 6일 - 카르타고 기사단의 창설자 쾰른의 브루노
- 10월 18일 - 헨리 1세의 아들 휴 1세 (1057년경)
- 11월 6일 - 벨프 1세, 독일 귀족
- 11월 15일 - 레오나스 공주 토로의 엘비라
- 12월 12일 - 파티미드 칼리프 알 무스타리 (b. 1074년)
- 두클랴의 왕 콘스탄틴 보댕(대략 연월일)
- 트리에르 대주교 에길베르(또는 엥겔베르)
- 후지와라노 모로자네(재위 1042년)
- 겔데마르 카르페넬, 프랑스 귀족
- 프랑스 귀족 앙부아제의 제프리 부렐
- 아일랜드 수석 시인 길라 나엠 우아 두나브라
- 기욤 드 몽포르 파리 주교
- 오스트리아의 아이다, 독일 공작부인이자 십자군 전사
- 니콘 더 드라이, 키반 승려와 은둔자
- 청수(靑,)
- 쑤송, 중국의 정치가이자 과학자 (b. 1020)
- 가톨릭 교회의 대립 교황 테오도릭
- 사모라의 우라카, 레오나 공주
- 알바노의 발터, 이탈리아 추기경
1102
- 4월 9일 - 라울 2세, 노르만 귀족 (토스니 가문)
- 5월 19일 - 스테판 2세, 프랑스 귀족이자 십자군 전사
- 6월 4일 – 폴란드 공작 브와디스와프 1세 헤르만
- 7월 29일 - 알베르 3세, 나무르 백작 (나무르 가문)
- 11월 1일 – Anna Dalassena, 비잔틴 귀족 여성
- 에르멘골 5세(또는 아르멘골), 우르겔 백작(b. 1078년)
- 시칠리아의 펠리시아, 헝가리 여왕(대략 연월일)
- 후지와라 칸시(藤原 kans)
- 지젤베르 2세(또는 기슬라베르), 루시용 백작
- 제노바 상인 굴리엘모 엠브리아코(b. 1040년)
- 휴 6세(악마), 프랑스 귀족이자 십자군 전사
- 쿤쿤초크길포, 티베트 승려 (b. 1034년)
- 마흐무드 알 카슈가리, 터키 사전 편찬자 (b. 1005년)
- 모리스(또는 모리셔스), 포르토 주교
- 부르고뉴 공작 오도 1세 (1060년경)
- 오스티아 주교 오돈 드 샤티용
- 스테판 1세, 부르고뉴 백작 팔레틴 (b. 1065년)
- 월터 기파드 버킹엄 백작
- 중국 황후이자 섭정인 샹(,)(1047년)
1103
- 1월 17일 - 독일 수도승 미켈스베르크의 프루톨프
- 3월 18일 - 노르만 공작 부인 컨버사노의 시빌라
- 7월 10일 – 덴마크의 왕 에릭 1세 (더 굿)
- 8월 24일 - 노르웨이 왕 마그누스 3세(맨발) (b. 1073년)
- 10월 19일 - 움베르 2세 (지방), 사보이 백작 (b. 1065년)
- 페르시아 니자리 선교사 알 하킴 무나짐
- 덴마크 여왕 Boedil Thurgotsdatter(또는 Bodil)
- 에블레스 2세, 프랑스 귀족 (몽디디에 가문)
- 헨리 1세(장자), 독일 귀족(베틴 가문)
- 아이작 알파시, 알제리 탈무디스트와 포섹 (b. 1013)
- 독일 신부 라우텐바흐의 마네골드(b. 1030년)
- 오스본 피츠 오스본, 엑서터 주교 (b. 1032년)
- 부르고뉴 공작부인 부르고뉴의 시빌라(b. 1065년)
- 윌리엄 피르마투스, 노르만 은둔자이자 순례자 (b. 1026년)
1104
- 6월 8일 – 다마스쿠스의 셀주크 통치자 두카크
- 9월 25일 – 시몽 2세, 프랑스 귀족
- 10월 26일 - 슈파이어 주교 요한 1세
- 알만수르 이븐 알나시르, 함마디드의 지배자
- 덴마크멘드의 통치자 덴마크멘드 가지
- 바르바스트로 주교 에본티우스(또는 에본)
- 웨일스 주교 란다프의 헤레스왈드
- 페드로 1세
- 에스테르곰 대주교 세라핀
- 설로, 노르만 성직자, 수도원장
- 예루살렘 주지사 쇠크멘
- 덴마크 왕자 스벤트 트롱크레베르
1105
- 2월 28일 - 프랑스 귀족 레이몽 4세(생길레스)
- 3월 14일 - 폴란드 공작부인 슈바니아의 주디스 (b. 1054년)
- 7월 13일 - 프랑스 유대인 랍비이자 작가 라시 (b. 1040년)
- 11월 10일 - 고려 숙종(재위: 1054년)
- 셀주크 시인 아부 에스마일 모예드오딘 토가라이(b. 1045년)
- 셀주크 제국의 술탄 바키야루크(또는 버크 야루크)
- 피사의 다고베르트(또는 다임베르트), 이탈리아 대주교
- 그레고리오 2세(마티로필레)
- 황정견, 중국 서예가이자 시인 (b. 1045년)
- 갈릴리(또는 1106)의 왕자 포켐버게스의 위그
- 스웨덴의 잉게 대왕(대략 연월일)
- 셀주크 제국의 술탄
- 마리아 로드리게스, 바르셀로나 백작 부인 (1080년경)
- 이탈리아 주교이자 교황 특사인 아나니의 베드로
- 리처드 2세(대머리), 카푸아 왕자(또는 1106)
- 쇼시(shi,)
- 시칠리아 백작 오트빌의 시몬(1093년 경)
1106
- 2월 3일 – 카라프 이븐 물라브, 우카일리드 에미르
- 4월 16일 - 아놀드 1세, 로타링거 귀족
- 5월 1일 - 로타링거 귀족 코논(또는 쿠노)
- 5월 19일 - 프랑스 귀족 제프리 4세(마르텔)
- 6월 16일 - 메이센 주교 베노 (b. 1010년)
- 6월 24일 - 키예프 귀족 Yan Vyshatich
- 8월 7일 – 신성로마제국 황제 헨리 4세 (b. 1050년)
- 8월 23일 - 마그누스, 독일 귀족 (b. 1045년)
- 9월 13일 – 피에르, 프랑스 귀족
- 9월 17일 – 랭스 대주교 마나스 2세
- 10월 7일 - 위그 오브 다이, 프랑스 주교 (b. 1040년)
- 알리 이븐 타히르 알 술라미, 시리아의 법학자, 언어학자
- 돔날 우아 콘초바이르, 코나흐트 왕
- 곤살로 누녜스 데 라라, 카스티야 귀족
- 갈릴리(또는 1105)의 왕자 포켐버게스의 위그
- 지커미시(또는 제커미시), 셀죽 지배자(아타베그)
- 로디의 요한, 이탈리아의 은둔자이자 주교 (b. 1025년)
- 이공린, 중국 화가이자 고서(b. 1049년)
- 로타르 우도 3세, 노르드마크 변경백(b. 1070년)
- 말 무아르 막 케일레, 아일랜드 성직자 겸 작가
- 미나모토노 요시이에 (1039년경)
- 나단 벤 예히엘, 이탈리아 유대인 사전 편찬자
- 리처드 2세(대머리), 카푸아 왕자(또는 1105)
- 모로코의 술탄 유수프 이븐 타슈핀(b. 1009년)
1107
- 1월 8일 – 스코틀랜드의 왕 에드거(용맹한 자)
- 4월 12일 - 바젤 주교 부르샤르트(또는 부르카르트)
- 5월 24일 - 갈리시아 백작 부르고뉴의 레이몽
- 8월 9일 - 호리카와 천황(79川天皇, 1079년 경)
- 9월 26일 - 모리스 런던 주교
- 창루종제(長 buddhist宗 chang
- 청이, 중국의 신교리 철학자 (b. 1033년)
- 킬리 아르슬란 1세, 럼 술탄(b. 1079년)
- 미복, 중국 화가, 시인, 서예가 (1051년 경)
- 리처드 드 레더스, 노르만 전사이자 귀족
- 로버트 피츠하몬, 노르만족 전사이자 귀족
- 로저 비고드, 노르만 기사 겸 귀족
1108
- 1월 4일 - 키예프 대공녀 게르트루데
- 3월 18일 - 일본 사무라이 아베노 무네토 (b. 1032년)
- 5월 21일 – 제라드 요크 대주교
- 5월 29일
- 7월 5일 – 이탈리아 노르만 외교관 오트빌의 가이
- 7월 29일 - 프랑스의 왕 필리프 1세(아모러스)
- 11월 15일 - 카스텔로 주교 엔리코 콘타리니
- 가르시아 알바레스, 카스티야 관리 겸 군 지도자
- 몬도네도 주교 곤살로(대략 연월일)
- 그레고리오 3세, 투스쿨룸 백작(대략 날짜)
- 로체스터 주교 건둘프(대략 날짜)
- 가이 2세(빨간색), 프랑스 귀족이자 십자군
- 풀라칼라브리아의 마팔다, 노르만 귀족 여성 (b. 1060년)
- 우스터셔의 노르만 보안관 우르세 데베토
- 호이살라 제국의 인도 통치자 비라 발랄라 1세
- 중국 송나라의 왕후(b. 1084년)
1109
- 1월 26일 - 프랑스 수도원장 Cteteau의 알베리크
- 4월 14일 - 앙주 백작 풀크 4세 (b. 1043년)
- 4월 21일 - 캔터베리 대주교 안셀름 (b. 1033년)
- 4월 28일 - 클루니 수도원장 휴 대제(b. 1024)
- 5월 12일 – 도미니크 데 라 칼자다, 스페인 신부 (b. 1019)
- 7월 1일 – 레온과 카스티야의 왕 알폰소 6세 (용감한 자)
- 9월 21일 - 보헤미아 공작 스바토플루크(사자)
- 11월 16일 - Norman Benedictine 수도원장 잉굴프
- 키예프의 에우프락시아(프라세디스)
- 응옥 로덴 셰라브, 티베트 승려 (1059년)
- 빌헬름 2세(요르단), 세르다뉴와 트리폴리 백작
레퍼런스
- ^ Maalouf, Amid (1983). La Croisade vue par les Arabes. Paris: Lattès. p. 74. ISBN 978-2-7096-0547-2.
- ^ Hill, John Hugh; Hill, Laurita Lyttleton (1959). Raymond IV de Saint-Gilles, 1041 (ou 1042)-1105. Privat.
- ^ Hagenmeyer, Hendrich (1973). Chronologie de la première croisade, 1094-1100. Olms. ISBN 978-3-487-04756-0.
- ^ "Baldwin I of Edessa". Retrieved 2010-08-05.
- ^ "Communal Cour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ne 2010. Retrieved 2010-08-05.
- ^ Buresi, Pascal (2004). La frontière entre chrétienté et islam dans la péninsule Ibérique. Publibook. ISBN 978-2-7483-0644-6.
- ^ Sénac, Philippe (2000). La frontière et les hommes, VIIIe-XIIe siècle. Maisonneuve et Larose. ISBN 978-2-7068-1421-1.
- ^ Catlos, Brian A. (2004). The victors and the vanquished: Christians and Muslims of Catalonia and Aragon, 1050-1300.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3. ISBN 0-521-82234-3.
- ^ O'Reilly, Patrice-John (1857). Histoire complète de Bordeaux, Volume 1, Parties 1 à 2. Delmas.
- ^ Hoefer, Jean (1862). Nouvelle biographie générale. Firmin Didot frères.
- ^ "The history of checke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22, 2010. Retrieved August 5, 2010.
- ^ 스티븐 런시만(1951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 예루살렘 왕국, 페이지 20ISBN 978-0-241-29876-3.
- ^ 스티븐 런시만(1951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제1권: 제1차 십자군과 예루살렘 왕국의 건국, 페이지 264.ISBN 978-0-141-98550-3.
- ^ Lagardère, Vincent (1989). Les Almoravides jusqu'au règne de Yūsuf b. Tāšfīn (1039-1106). Paris: L'Harmattan. ISBN 978-2-7384-0467-1.
- ^ Klaniczay, Gábor; Eva Pálmai (2002). Holy Rulers and Blessed Princess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42018-1.
- ^ Gaier, Claude (2004). Armes et combats dans l'univers médiéval. Paris: De Boeck Supérieur. ISBN 2-8041-4543-3.
- ^ 스티븐 런시만(1951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 예루살렘 왕국, 페이지 62-63ISBN 978-0-241-29876-3.
- ^ 스티븐 런시만(1951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 예루살렘 왕국, 64페이지ISBN 978-0-241-29876-3.
- ^ 에데사의 매튜(1967).크로이아데스 역사책, Arménien 문서, 57페이지.제1권: 전재: 판버러.
- ^ Touba, Keltoum (2006). Le travail dans les cultures monothéistes: judaïsme, christianisme, islam de l'Antiquité au XVIIIe siècle. Paris: L'Harmattan. ISBN 2-296-00923-9.
- ^ Dozy, R. P. A. (1860). Recherches sur l'histoire et la littérature de l'Espagne pendant le moyen âge. E. J. Brill. p. 27.
- ^ 스티븐 런시만(1951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 예루살렘 왕국, 페이지 31-32ISBN 978-0-241-29876-3.
- ^ 스티븐 런시만(1951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 예루살렘 왕국, 페이지 47-48.ISBN 978-0-241-29876-3.
- ^ 스티븐 런시만(1951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 예루살렘 왕국, 32페이지ISBN 978-0-241-29876-3.
- ^ 스티븐 런시만(1951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 예루살렘 왕국, 37페이지ISBN 978-0-241-29876-3.
- ^ 스티븐 런시만(1951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 예루살렘 왕국, 페이지 32-33ISBN 978-0-241-29876-3.
- ^ 말콤 바버(2012).십자군 국가, 페이지 68~69예일 대학 출판부ISBN 978-0-300-11312-9.
- ^ 스티븐 런시만(1951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 예루살렘 왕국, 페이지 38ISBN 978-0-241-29876-3.
- ^ Kennedy, Maev (28 July 2017). "St Cuthbert's coffin features in new display at Durham Cathedral". The Guardian. Retrieved 27 April 2018.
- ^ Squires, Nick (2018). "Italian navy hires out Venice's feted Arsenale for conventions to make up for government cuts". The Telegraph. Retrieved 27 April 2018.
- ^ "Hekla - volcano, Iceland".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7 April 2018.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 예루살렘 왕국, 페이지 49ISBN 978-0-241-29876-3.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 예루살렘 왕국, 페이지 72-73ISBN 978-0-241-29876-3.
- ^ 피카르 C.(1997년)라메르 엣 레스 무술만 도쿠시덴트 모옌 시대.파리: 프랑스를 압박합니다.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 예루살렘 왕국, 39페이지ISBN 978-0-241-29876-3.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 예루살렘 왕국, 87페이지ISBN 978-0-241-29876-3.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제39쪽 예루살렘 왕국ISBN 978-0-241-29876-3.
- ^ C. 워렌 홀리스터(2003)헨리 1세, 페이지 206 (예일 대학 출판부, 뉴헤이븐 & 런던)
- ^ Muir, Tom (2005). Orkney in the Sagas: The Story of the Earldom of Orkney as told in the Icelandic Sagas. Kirkwall: The Orcadian. p. 63. ISBN 0954886232.
- ^ Cometography.com[영구 데드링크]
- ^ Williams, Hywel (2005).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London: Weidenfeld & Nicolson. pp. 116–117. ISBN 0-304-35730-8.
- ^ a b Barlow, Frank (1979). The English Church 1066–1154: A History of the Anglo-Norman Church. New York: Longman. pp. 78–79. ISBN 0-582-50236-5.
- ^ Hollister, C. Warren; Frost, Amanda Clark, eds. (2001). Henry I.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pp. 209–210. ISBN 0-300-08858-2.
- ^ Fryde, E. B.; Greenway, D. E.; Porter, S.; Roy, I. (1996). Handbook of British Chronology (3r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246. ISBN 0-521-56350-X.
- ^ Palmer, Alan; Veronica (1992). The Chronology of British History. London: Century Ltd. pp. 58–60. ISBN 0-7126-5616-2.
- ^ Unité mixte de recherche 5648--Histoire et archéologie des mondes chrétiens et musulmans médiévaux. Pays d'Islam et monde latin, Xe-XIIIe siècle: textes et documents. Lyon: Presses Universitaires de Lyon.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 예루살렘 왕국(1100–1187), 페이지 110. (캠브리지 대학 출판부).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 예루살렘 왕국, 90페이지ISBN 978-0-241-29876-3.
- ^ Picard, Christophe (1997). La mer et les musulmans d'Occident au Moyen Age. Paris: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ISBN 2130488102.
- ^ McGrank, Lawrence (1981). "Norman crusaders and the Catalan reconquest: Robert Burdet and the principality of Tarragona 1129-55". Journal of Medieval History. 7 (1): 67–82. doi:10.1016/0304-4181(81)90036-1.
- ^ Kleinhenz, Christopher (2004). Medieval Italy: an encyclopedia, Volume 1. New York: Routledge. ISBN 0-415-93930-5.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 예루살렘 왕국, 90페이지ISBN 978-0-241-29876-3.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 예루살렘 왕국, 74페이지ISBN 978-0-241-29876-3.
- ^ 길버트 마이니어(2010).알제리 쿠르 뒤 마그레비크급이야 de louverture islamo-arabe au repli (658-1518).파리: La Découverte; 페이지 86.
- ^ 길버트 마이니어(2010).알제리 쿠르 뒤 마그레비크급이야 de louverture islamo-arabe au repli (658-1518).파리: La Découverte; 페이지 84.
- ^ Martin, Therese (2012). Reassessing the Roles of Women as 'Makers' of Medieval Art and Architecture (2 Vol. Set). BRILL. p. 162. ISBN 978-9004185555.
- ^ "Beaumont, Robert de Earl of Leicester 1104-1168". Worldcat. Retrieved 27 April 2018.
- ^ "Conrad king of the Germans".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31 March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