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년 월드 시리즈
1979 World Series![]() |
1979년 월드 시리즈 | |||||||||||||
---|---|---|---|---|---|---|---|---|---|---|---|---|---|
![]() | |||||||||||||
| |||||||||||||
날짜 | 10월 10~17일 | ||||||||||||
장소 | 메모리얼 스타디움(볼티모어) 스리 리버스 스타디움 (피트스버그) | ||||||||||||
MVP | 윌리 스타겔 (피트스버그) | ||||||||||||
심판 | 제리 네우데커(AL), 밥 엥겔(NL), 러스 괴츠(AL), 폴 룬지(NL), 짐 맥킨(AL), 테리 타타(NL) | ||||||||||||
명예의 전당 | 해적: 버트 블라이븐 윌리 스타겔 오리올스: 에디 머레이 짐 파머 프랭크 로빈슨 (코치) 얼 위버(매니저) | ||||||||||||
방송하다 | |||||||||||||
텔레비전 | A B C | ||||||||||||
TV 아나운서들 | 키스 잭슨(볼티모어) 알 마이클스(피츠버그) 하워드 코젤과 돈 드라이스데일 | ||||||||||||
라디오 | CBS; WFBR(오리올스 방송) | ||||||||||||
라디오 아나운서 | CBS 빈 스컬리와 스파키 앤더슨, WFBR 빌 오도넬과 톰 마어 | ||||||||||||
ALCS | 볼티모어 오리올스, 캘리포니아 에인절스전(3–1) | ||||||||||||
NLCS | 신시내티 레즈(3-0)를 상대로 한 피츠버그 파이어리츠전. | ||||||||||||
|
1979년 월드시리즈는 메이저리그의 1979년 시즌 챔피언 결정전이었다. 제76회 월드시리즈에서는 내셔널리그(NL) 챔피언 피츠버그 파이어리츠(98–64)와 아메리칸리그(AL) 챔피언 볼티모어 오리올스(102–57)가 맞붙은 7전 4선승제의 플레이오프였다. 파이어리츠가 7경기에서 승리하며 월드시리즈 사상 네 번째로 3게임 대 1의 적자에서 돌아온 팀이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이것은 1970년대에 파이리츠가 1971년 월드시리즈에서 열린 오리오스와의 경기에서 월드시리즈 7차전에서 승리한 두 번째였다. 더 파이어리츠는 1979년 시즌에 슬레지 수녀의 히트곡 "We Are Family"를 주제곡으로 채택한 것으로 유명했다.
Willie Stargell, Rennie Stennett, Frank Taveras, pitchers Bruce Kison and Doc Ellis, and catcher Manny Sanguillén were the only players left over from the Pirates team that defeated the Orioles in 1971, and Orioles' pitcher Jim Palmer, shortstop Mark Belanger, and manager Earl Weaver were the only remaining Orioles from the 1971 team. 그랜트 잭슨은 1971년 시리즈에서는 오리올스를, 1979년 시리즈에서는 파이리츠를 위해 투구했다.
이번 시리즈에서는 지명타자와 오리올스의 투수들이 타구를 치지 않아도 된다는 뜻에서 NL 규정에 의해 경기를 치르는 것이 AL팀의 '턴'이었다. 이로써 팀 스토다드는 4차전에서 메이저리그 첫 안타와 타점을 기록하게 됐으나 시즌 내내 지명타자였고 공격의 핵심이었던 이 메이가 시리즈 전체에서 3번밖에 타석에 서지 못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오리올스에게 타격을 주었다.
월드시리즈 최우수선수(MVP)로 선정된 윌리 스타겔은 4할 4푼 4리의 장타를 기록, 1977년 세운 레지 잭슨의 통산 25개 출루 기록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1979년 파이리츠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가 캔자스시티에서 로얄스를 꺾고 2014년 시리즈 7차전을 승리로 이끌 때까지 도로상에서 월드시리즈 7차전을 마지막으로 우승한 팀이었다.[1] 스틸러스가 이미 슈퍼볼 XIII(나중에 파이리츠 챔피언십에 이어 슈퍼볼 XIV에서도 반복될 것)를 획득한 가운데 피츠버그도 같은 시즌이나 캘린더 해에 슈퍼볼과 월드시리즈를 모두 석권한 세 번째 도시가 됐다. 1969년 달력연도에 뉴욕 제트와 메츠가 우승을 차지했고 1970년 시즌 볼티모어(오리올스와 콜츠), 1986년 시즌 뉴욕(메츠와 자이언츠), 2004년 보스턴/뉴잉글랜드(레드삭스와 패트리어츠)와 2018년 시즌(레드삭스와 패트리어츠)이 뒤를 이었다.
배경
볼티모어 오리올스
이 같은 두 팀은 1971년에도 만났다. 얼 위버의 오리올스는 그 시리즈의 첫 두 경기에서 승리했지만 7년 만에 대니 머토에게 졌다. 이번에는 피츠버그의 척 태너 감독이 자신의 시리즈 우승을 노리고 있었다. 강타자 부그 파웰과 수비 마법사 브룩스 로빈슨과 같은 선수는 사라졌는데, 쇼트스톱 마크 벨랑거와 투수 짐 팔머는 1971년 선수 명단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었다. 젊은(23세)의 '스티디 에디' 머레이는 1루수에서 주종목이자 떠오르는 슈퍼스타였다. 팀의 유일한 진짜 '스타' 타자는 정규시즌 홈런 35개, 타점 111개를 기록한 우익수 켄 싱글턴이었다. 중견수 알 품브리(Al Bumbry)가 37개의 스위프를, 외야수 게리 로엔케(Gary Roenicke)와 3루수 더그 드신체스가 약간의 추가 전력을 공급했다. 그 재능 있는 투수진은 베테랑 포수 릭 뎀시가 포획했다. 1979년 사이영상 수상자인 마이크 플래너건(23–9, 3.08), 스콧 맥그리거(13–6, 3.35), 스티브 스톤(11–7, 3.77)과 짐 파머(10–6, 3.30)가 선발진을 이끌었다. 불펜은 돈 스탠하우스(7–3·21세이브)와 티피 마르티네스(10–3·2.88)가 이끄는 13패에 그쳐 30승을 거들었다. 오리올스는 아메리칸리그 동부지구에서 다소 쉽게 승리해 2위 밀워키 브루어스보다 8경기 앞서 경기를 마쳤다. 많은 사람들은 이 시리즈를 약간 애매모호한 것으로 여겼다.
피츠버그 파이리츠
반면 이들 피츠버그는 시즌 초반 고전하며 결국 몬트리올 엑스포스를 상대로 단 2경기 차로 내셔널리그 동부지구 우승을 차지했다. 내야수 팀 폴리(뉴욕 메츠)와 빌 매드록(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을 영입한 뒤에야 파이리츠가 꾸준히 승리하기 시작했다. 위대한 로베르토 클레멘테는 1971년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고, 1979년 팀의 핵심 요소는 그의 후계자이자 정신적 지도자인 38세의 윌리 '팝스' 스타겔이었다. 그의 클럽하우스 태도는 단순하고 상냥한 태도로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항상 강력한 신시내티 레즈를 깜짝 싹쓸이하며 치열한 디비전시리즈 동안 파이어리츠를 느슨하게 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벅스 라인업에는 내셔널리그 선두 도루, 오마르 모레노(77)의 팀타점, 데이브 파커(94), 2회 타격왕 빌 매드록(1975, 1976년)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매들록은 1981년과 1983년에 두 번의 타격 타이틀을 추가하게 된다. 투수진은 '캔디맨' 존 칸델라리아의 14승(9패)이 이끄는 래그태그 뭉치로 다른 투수 5명이 10승 이상을 거뒀다. 키가 크고 마른 켄트 테쿨베는 31세이브를 기록, 리그 2위, 10승을 거뒀다.
'팝스' 스타겔은 이번 시리즈에서 홈런 3개를 터뜨려 정규시즌 MVP와 월드시리즈 MVP를 모두 차지한 최고령 선수가 된다. 그의 '패밀리'는 첫 4경기 중 3경기에 패한 뒤 인내하며 벅스가 7경기 만에 우승으로 돌아오면 얼 위버와 그의 오리올스에게 데자뷰 악몽을 안겨주곤 했다.
요약
NL 피츠버그 파이어리츠(4) vs. AL 볼티모어 오리올스(3)
게임 | 날짜 | 점수 | 위치 | 시간 | 출석 |
---|---|---|---|---|---|
1 | 10월 10일 | 피츠버그 파이리츠 – 4, 볼티모어 오리올스 – 5 | 메모리얼 스타디움 | 3:18 | 53,735[2] |
2 | 10월 11일 | 피츠버그 파이리츠 – 3, 볼티모어 오리올스 – 2 | 메모리얼 스타디움 | 3:13 | 53,739[3] |
3 | 10월 12일 | 볼티모어 오리올스 – 8, 피츠버그 파이리츠 – 4 | 스리리버 스타디움 | 2:51 | 50,848[4] |
4 | 10월 13일 | 볼티모어 오리올스 – 9, 피츠버그 파이리츠 – 6 | 스리리버 스타디움 | 3:48 | 50,883[5] |
5 | 10월 14일 | 볼티모어 오리올스 – 1, 피츠버그 파이리츠 – 7 | 스리리버 스타디움 | 2:54 | 50,920[6] |
6 | 10월 16일 | 피츠버그 파이리츠 – 4, 볼티모어 오리올스 – 0 | 메모리얼 스타디움 | 2:30 | 53,739[7] |
7 | 10월 17일 | 피츠버그 파이리츠 – 4, 볼티모어 오리올스 – 1 | 메모리얼 스타디움 | 2:54 | 53,733[8] |
매치업
1차 게임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
피츠버그 | 0 | 0 | 0 | 1 | 0 | 2 | 0 | 1 | 0 | 4 | 11 | 3 | |||||||||||||||||||||
볼티모어 | 5 | 0 | 0 | 0 | 0 | 0 | 0 | 0 | X | 5 | 6 | 3 | |||||||||||||||||||||
WP:Mike Flanagan(1–0) LP:Bruce Kison(0–1) 홈런: 핏: 윌리 스타겔(1) BAL: 더그 드신체스(1) |
1차전은 당초 10월 9일 화요일로 예정되었으나 비와 눈이 뒤섞여 연기되었다.[9] 다음 날 밤 경기했을 때, 첫 번째 피치 온도 41°F(5°C)는 1997년 월드시리즈 4차전에서 18년 후 에브리핑되기 전까지 가을 클래식 역사상 가장 추웠다. 대회 내내 내린 꾸준한 비도 각 팀이 저지른 3개의 총 6개의 실책을 반영했다.[10] 2루수 필 가너의 투구 실책 2개, 선발 브루스 키손의 폭투 1개, 더그 데시네스 홈런 2개 등 오리올스 5개의 실점이 모두 1회에 나왔다. 가너(6회 2사 만루)와 윌리 스타겔(4회 땅볼, 8회 리드오프 홈런)의 각각 타점 2개가 파이어리츠의 재기에 불을 지폈다.
2차 게임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
피츠버그 | 0 | 2 | 0 | 0 | 0 | 0 | 0 | 0 | 1 | 3 | 11 | 2 | |||||||||||||||||||||
볼티모어 | 0 | 1 | 0 | 0 | 0 | 1 | 0 | 0 | 0 | 2 | 6 | 1 | |||||||||||||||||||||
WP:돈 로빈슨(1–0) LP:돈 스탠하우스(0–1) Sv:켄트 테쿨브(1) 홈런: PIT: 없음 발: 에디 머레이(1) |
이번엔 빌 매드록의 타점 싱글과 포수 에드 오트의 희생플라이로 파이어리츠가 2회 2사 1루타를 쳤다. 오리올스는 이닝 후반 에디 머레이 홈런으로 맞섰다. 머레이는 또한 켄 싱글톤에서 두 배로 뛰면서 6번째 경기에서 동점을 만들 것이다. 머레이는 같은 이닝에 존 로웬슈타인의 오른쪽 라인아웃에서 태그아웃과 득점을 시도하며 오리올스를 앞지르려 했지만 데이브 파커는 쉽게 그를 내줬다. 머레이를 보내기로 한 결정은 파커의 플레이트 던지기가 그보다 훨씬 앞서 도착했다는 사실 때문에 훨씬 더 이상했다. 머레이는 오트에게 볼링을 치려고 했지만 육중한 오트는 발에 머물며 빠르게 버티고 있었다.
머레이는 8회에도 의문스러운 베이스 러닝 판정을 내렸다. 머레이가 2위, 더그 드신체스가 1위 무아웃 상황에서 로웬슈타인은 유격수 팀 폴리의 땅볼을 잡았다. 머레이는 이상하게도 포스 플레이를 다 써버리지 않고 멈추었다. 폴리는 머레이가 피한 태그를 시도했고, 그리고 나서 두 번째로 필 가너에게 던져서 데시네스를 강제했다. 머레이의 망설임으로 가너는 3루로 던져서 런다운에서 그를 잡을 수 있었다. 머레이는 데시네스가 퇴장당하면서 기지에 오를 자격을 얻었기 때문에 속도를 줄였어야 할 때 2위로 복귀하는 속도를 늦추었다.
머레이는 이 시리즈의 나머지 기간 동안 또 다른 히트곡이나 타점을 수집하지 않을 것이다.
9회엔 오트의 투아웃 싱글과 가너에게 볼넷을 내준 뒤 매니 상길렌이 돈 로빈슨을 대타로 연결, 돈 스탠하우스의 높고 바깥쪽 직구를 오른쪽으로 쳐내 단타를 만들었다. 머레이가 의심의 여지없이 RF 켄 싱글턴의 강투를 끊은 후, 오트는 포수 릭 뎀시의 뻗은 팔을 간신히 지나쳐 결승점을 기록했다. 켄트 테쿨베는 세이브를 위해 9회전에서 퇴장했다.
3차 게임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
볼티모어 | 0 | 0 | 2 | 5 | 0 | 0 | 1 | 0 | 0 | 8 | 13 | 0 | |||||||||||||||||||||
피츠버그 | 1 | 2 | 0 | 0 | 0 | 1 | 0 | 0 | 0 | 4 | 9 | 2 | |||||||||||||||||||||
WP:스코트 맥그리거(1–0) LP:존 칸델라리아(0–1) 홈런: 발: 베니 아얄라(1) PIT: 없음 |
파이어리츠는 1회 데이브 파커 희생플라이와 2회 가너의 1사 2루타로 3-0으로 앞서나갔다. 베니 아얄라에게 1사 2루 홈런을 날린 것은 3회 중반 67분간의 우천 지연 직전 오리올스의 적자를 1개로 줄였다. 오리올스는 키코 가르시아의 만루 3루타로 선발 존 칸델라리아를 추격했던 키코 가르시아의 3루타, 켄 싱글턴의 1타점, 엔리케 로모에서 더그 드신체스의 땅볼로 4회 5실점으로 경기를 재개한 뒤 기세를 올렸다. 가르시아는 7회 투아웃 타점 1루타를 추가, 4타수 4안타 4타점으로 저녁 경기를 마쳤다. 스콧 맥그리거는 2회(윌리 스타겔이 2루타를 친 뒤 6회 빌 매드록의 타점 1루타)에 이어 2타점만 내주고 완봉승을 거두며 오리올스에게 2-1 시리즈 리드를 내줬다.
4차 게임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
볼티모어 | 0 | 0 | 3 | 0 | 0 | 0 | 0 | 6 | 0 | 9 | 12 | 0 | |||||||||||||||||||||
피츠버그 | 0 | 4 | 0 | 0 | 1 | 1 | 0 | 0 | 0 | 6 | 17 | 1 | |||||||||||||||||||||
WP:Tim Stoddard(1–0) LP:Kent Tekulve(0–1) 홈런: 발: 없음 핏: 윌리 스타겔(2) |
파이어리츠는 2회초 스타겔의 리드오프 홈런과 오마르 모레노의 2타점 2루타를 앞세워 4-0으로 앞서나갔다. 첫 2개의 안타는 선발 데니스 마르티네스의 오후를 효과적으로 끝마친 5연타 중 하나였다. 오리올스는 3회말 짐 비비비와의 경기에서 가르시아(2타점)와 켄 싱글턴의 연속 원아웃 2루타로 3실점으로 맞섰다. 파이어리츠는 5회와 6회 각각 존 밀너와 파커의 타점 2루타로 6-3으로 리드를 늘렸다.
8회 1사 만루 상황에서 척 태너 파이어리츠 감독은 잠수함 구조 에이스 켄트 테쿨베를 투입, 게리 로엔케를 우전 안타로 맞섰다. 위버는 좌익 존 로웬슈타인을 꼬집으며 반박했다. 로웬슈타인은 2타점 2루타를 때려내며 이적을 성공시켰다. 볼넷이 다시 만루한 후 위버는 또 다른 왼손 타자 테리 크롤리를 데이브 스카그스의 타자로 보냈다. 크라울리는 또 다른 2타점 2루타를 테쿨베에 쳐내 오리올스에게 선두를 내주었다. 투수 팀 스토다드는 당시 위버가 대타에서 빠졌기 때문에 타자로 나서 타점을 올렸다. 덤브리의 타점 포스가 득점을 끝냈다.
5차 게임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
볼티모어 | 0 | 0 | 0 | 0 | 1 | 0 | 0 | 0 | 0 | 1 | 6 | 2 | |||||||||||||||||||||
피츠버그 | 0 | 0 | 0 | 0 | 0 | 2 | 2 | 3 | X | 7 | 13 | 1 | |||||||||||||||||||||
WP: Bert Blyleven (1–0) LP: Mike Flanagan (1–1) |
세계선수권대회와 1차전 선발투수 브루스 키슨이 부상으로 빠진 가운데 척 태너는 활용도가 낮은 베테랑 좌완 짐 루커를 선발로 내세우기로 했다. 그는 가능한 한 오래 루커를 내보낸 다음 버트 블라이븐을 데려와 경기를 마치게 하고, 어깨 아픈 존 캔델라리아와 짐 비비가 6, 7차전에 출전할 경우 그의 최고의 투수 두 명을 구했다. 루커가 태너에게 5이닝을 잘 내주며 초반 10타자를 은퇴시키고 4이닝 동안 무안타, 게리 로이닉케가 더블플레이 땅볼로 득점한 5회 오리올스를 1실점으로 틀어막는 등 위험천만한 행보가 빛을 발했다. 마침내 해적 박쥐는 윌리 스타겔의 희생플라이와 빌 매드록의 타점 싱글로 6회 마이크 플래너건을 상대로 살아났다. 파이어리츠는 7회 팀 폴리의 3루타, 데이브 파커의 2루타, 8회 필 가너의 1루타, 폴리의 2루타에 3루타를 추가했다. 매드록에서 4일 4타수 4안타, 폴리의 3타점 활약으로 파이어리츠는 패배를 면했다.
척 태너의 어머니는 5차전이 있던 날 아침에 세상을 떠났다(이것은 아나운서 하워드 코셀이 방송하는 동안 언급되었다). 1960년 월드시리즈의 영웅 빌 마저로스키는 스리리버스 스타디움에서 열리는 마지막 월드시리즈 경기인 5차전에서 시구를 했고 현재까지 피츠버그에서 열린 마지막 월드시리즈 경기가 될 것이다.
6차 게임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
피츠버그 | 0 | 0 | 0 | 0 | 0 | 0 | 2 | 2 | 0 | 4 | 10 | 0 | |||||||||||||||||||||
볼티모어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7 | 1 | |||||||||||||||||||||
WP: 존 칸델라리아(1–1) LP: 짐 파머(0–1) Sv: 켄트 테쿨베(2) |
메모리얼 스타디움에서 돌아온 현지 야구 감독 메리 돕킨은 시구를 했다.[11] 존 캔델라리아와 짐 파머가 6이닝 동안 무실점 결투에 갇히면서 오리올레 타선은 예상외로 추위를 이어갔다. 데이브 파커가 7회 타점 1루타로 얼음을 깨고 스타겔 희생플라이가 뒤를 이었다. 파이어리츠는 8회말 빌 로빈슨 백플라이와 오마르 모레노의 타점 싱글로 2점을 추가했다. 켄트 테쿨베는 시리즈에서 두 번째 세이브를 올렸다.
경기 후 리무진에 빠진 하워드 코셀이 면도 크림으로 성난 오리오레 팬들의 공격을 받아 볼티모어 경찰이 7차전에 대한 그의 개인 보안을 보완했다.[12]
7차 게임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
피츠버그 | 0 | 0 | 0 | 0 | 0 | 2 | 0 | 0 | 2 | 4 | 10 | 0 | |||||||||||||||||||||
볼티모어 | 0 | 0 | 1 | 0 | 0 | 0 | 0 | 0 | 0 | 1 | 4 | 2 | |||||||||||||||||||||
WP:그랜트 잭슨(1–0) LP:스코트 맥그리거(1–1) Sv:켄트 테쿨브(3) 홈런: 핏: 윌리 스타겔(3) 발: 리치 다우어(1) |
파이어리츠는 6회말 스코트 맥그리거와의 경기에서 4타수 4안타 2루타 2득점 홈런을 기록한 윌리 스타겔의 힘으로 놀라운 재기를 이뤄냈다. 맥그리거는 8이닝 동안 실점하며 호투했다. 9회 보험에서는 오마르 모레노가 1타점을 챙겼고, 데이브 파커와 빌 로빈슨이 연속 투구에 맞아 모레노를 득점하는 등 또 다른 실점이 나왔다. 오리올스 감독 얼 위버는 9회에 5개의 피칭 변경을 시도하며 경기를 손에 넣기 위한 시도를 했다. 오의 유일한 실점은 최근 3경기에서 팀의 유일한 타점인 리치 다우어 홈런(타자에게 타점으로 인정되지 않는 더블플레이로 5차전에서 실점한 것)이었다. 유의미하게, 오리올스의 주요 공격 위협인 에디 머레이는 시리즈 마지막 5경기에서 0대 21로 패했는데, 파커에게 플라이아웃을 가해 8루를 만루로 끝내는 것(켄 싱글턴에게 고의적인 볼넷에 이은 것)이 그 뒤를 이었다. 4차전 8회 6실점한 데 이어 시리즈 마지막 28이닝 동안 17안타로 2실점하는 데 그쳤다. 파이어리츠 구원투수 그랜트 잭슨이 2년 만에 우승을 차지했다.4이닝을 버틴 짐 비비를 풀어주고 단독 오리올을 허용한 돈 로빈슨을 구원한 뒤 2⁄3 이닝.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은 7차전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는 시구를 했고 경기가 끝난 후 승리한 피츠버그 클럽하우스를 방문했다. 시구에 앞서 빌 슈스티크는 애국가 연주를 했다. 해적이 가까이 있는 켄트 테쿨베가 세이브를 올렸다.[13]
2013 내셔널리그 와일드카드전에서 우승한 것을 제외하고, 이것은 파이리츠가 우승한 마지막 포스트시즌 시리즈다.
합성 상자
1979년 월드시리즈 (4–3): 볼티모어 오리올스 (A.L.)를 제패한 피츠버그 파이리츠 (N.L.)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
피츠버그 파이리츠 | 1 | 8 | 0 | 1 | 1 | 8 | 4 | 6 | 3 | 32 | 81 | 9 | |||||||||||||||||||||
볼티모어 오리올스 | 5 | 1 | 6 | 5 | 1 | 1 | 1 | 6 | 0 | 26 | 54 | 9 | |||||||||||||||||||||
총출석: 367,597 평균출석: 52,514명 우승 선수 몫: 28,264달러선수 몫 손실: 22,114달러[14] |
기록.
- 파이브 파이리츠는 이 시리즈에서 10개 이상의 히트를 기록했는데, 이는 월드시리즈 기록이다. 윌리 스타겔과 필 가너는 각각 12안타, 오마르 모레노 11안타, 팀 폴리와 데이브 파커는 각각 10안타를 기록했다. 빌 매드록은 9안타로 6위까지 올라섰다. 볼티모어 오리올스는 얼 위버 감독이 1이닝(5개)에 사용하는 대부분의 투수에 대해 기록을 세웠다.
유니폼
파이리츠는 시리즈 동안 네 가지 다른 유니폼을 입었다.
- 1차전과 5차전을 위한 골드캡, 블랙저지, 골드팬츠
- 2, 6, 7차전용 검은색 모자, 금색 저지, 검은색 바지
- 3차전을 위한 검은색 모자와 단색 흰색 줄무늬 유니폼
- 4차전을 위한 검은색 모자와 솔리드 골드 유니폼.
오리올스 팀은 그들 자신의 세 가지 다른 유니폼 조합을 입었다.
- 1차 및 7차 경기의 화이트 캡, 오렌지 저지 및 화이트 팬츠
- 2차 및 6차 경기의 흰색 모자, 흰색 저지, 흰색 바지
- 3, 4, 5차전용 흰색 모자, 회색 저지, 회색 바지
방송
이는 참가팀 아나운서들이 전국 라디오에서 플레이콜링에 참여하지 않은 첫 월드시리즈였다. (네트워크 텔레비전은 2년 전에 그 관행을 끝냈다.) 79년 클래식에서는 빈 스컬리와 스파키 앤더슨이 CBS 라디오 방송국의 방송을 맡았다.
이 시리즈는 ABC 스포츠에 의해 텔레비전으로 방송되었고, 플레이 바이 플레이 아나운서 키스 잭슨(볼티모어), 알 마이클스(피츠버그), 컬러 해설가 하워드 코셀과 돈 드라이스데일이 출연했다. ABC의 방송은 ABC의 자회사인 WJZ-TV와 WTAE-TV 외에 오리올스와 파이어리츠의 각 지역 텔레비전 방송사, 볼티모어의 CBS 계열사인 WMAR-TV, 피츠버그의 KDKA-TV를 통해서도 방송되었다.
- 2006년에는 7경기 전 경기 ABC 방송 완성을 담은 '컬렉터 에디션' DVD 박스 세트가 메이저리그와 A&E 홈 비디오에 의해 발행되었다.
메모들
- ^ Eagle, Ed (June 14, 2009). "Bucs honor Stanley Cup champ Pens". MLB. Retrieved February 11, 2011.
- ^ "1979 World Series Game 1 – Pittsburgh Pirates vs. Baltimore Orioles". Retrosheet. Retrieved September 13, 2009.
- ^ "1979 World Series Game 2 – Pittsburgh Pirates vs. Baltimore Orioles". Retrosheet. Retrieved September 13, 2009.
- ^ "1979 World Series Game 3 – Baltimore Orioles vs. Pittsburgh Pirates". Retrosheet. Retrieved September 13, 2009.
- ^ "1979 World Series Game 4 – Baltimore Orioles vs. Pittsburgh Pirates". Retrosheet. Retrieved September 13, 2009.
- ^ "1979 World Series Game 5 – Baltimore Orioles vs. Pittsburgh Pirates". Retrosheet. Retrieved September 13, 2009.
- ^ "1979 World Series Game 6 – Pittsburgh Pirates vs. Baltimore Orioles". Retrosheet. Retrieved September 13, 2009.
- ^ "1979 World Series Game 7 – Pittsburgh Pirates vs. Baltimore Orioles". Retrosheet. Retrieved September 13, 2009.
- ^ 스페셜, 크리스티나. 2013년 10월 10일 일요일, 웨더웍스 "첫 번째 측정 가능한 눈"
- ^ "Looking Back at the Coldest World Series of All Ti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6, 2014. Retrieved October 5, 2014.
- ^ "1979 World Series by Baseball Almanac".
- ^ "The Prescott Courier - Google News Archive Search".
- ^ "Schustik performs anthem 10/17/1979". MLB.com. Retrieved October 13, 2020.
참고 항목
참조
- Cohen, Richard M.; Neft, David S. (1990). The World Series: Complete Play-By-Play of Every Game, 1903–1989. New York: St. Martin's Press. pp. 377–382. ISBN 0-312-03960-3.
- Reichler, Joseph (1982). The Baseball Encyclopedia (5th ed.). Macmillan Publishing. p. 2209. ISBN 0-02-579010-2.
- Forman, Sean L. "1979 World Series". Baseball-Reference.com – Major League Statistics and Inform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7, 2007. Retrieved December 9, 2007.
- "Penguins win game 7 of the Stanley Cup Finals". ABC 15. Associated Press. June 12,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19, 2009. Retrieved June 16, 2009.
외부 링크
- 1979년 월드 시리즈(WorldSeries.com에서 MLB.com를 통해
- 1979년 야구 연감 월드시리즈
- 1979년 월드 시리즈 Baseball-Reference.com
- 1979년 Retro-Sheet에서 열린 포스트 시즌 게임(박스 점수 및 플레이 바이 플레이)
- 월드시리즈의 역사 - 1979년 스포츠 뉴스에서 2006년 5월에 원본으로부터 보관되었다.
- Fimrite, Ron. "A Series Of Ups And Downs," Sports Illustrated, 1979년 10월 22일.
- Fimrite, Ron. "Rising From The Ashes",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1979년 10월 29일.
- 1979년 피츠버그 파이리츠 baseballlibrary.com
- 1979년 볼티모어 오리올스 baseballlibra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