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종 전투
Battle of Onjong좌표:40°6′33″N 125°53′47″E/40.10917°N 125.89639°E
온종 전투(한국어: 온리리)는 원징 전투(중국어: 温井战斗; pinyin:툰 쩡 쩡 쩡 쩡 쫑)은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과 한국군의 첫 교전 중 하나였다.1950년 10월 25일부터 29일까지 현재의 북한에서는 온종 주변에서 일어났다.중국 제1단계 공세의 주안점으로 인민의용군(PVA) 40군단은 대한민국 제2군단에 대한 일련의 매복공격을 실시하여 유엔군의 압록강 북쪽 진격을 저지하면서 사실상 미 8군단의 오른쪽 측면을 파괴하였다.
배경
한국전쟁은 1950년 6월 25일 북한 인민군들이 남한을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이 침략은 유엔이 개입하기 전까지 남한 전체를 정복하는 데 거의 성공적이어서 미국의 지휘 아래 지상군을 파병했다.유엔군은 당초 부산 방어선 전투까지 조기 패배를 겪었는데, 이 전투는 유엔군이 KPA의 추진력을 뒤집은 것이다.1950년 10월경, KPA는 인천 상륙, 부산 방어선에서의 이탈, 1950년 9월 유엔 반격 이후 유엔군에 의해 사실상 파괴되었다.[3]북한 북방국경에 대한 중화인민공화국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미 8군은 38선을 넘어 압록강 중-한 국경을 향해 진격했다.[3]전쟁 종식을 위한 공격의 일환으로 1950년 10월 23일 한국 6사단, 7사단, 8사단으로 구성된 한국2군단은 온종 마을을 통해 압록강을 향해 북쪽으로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2]
유엔의 진전에 대응해 중국 공산당 마오쩌둥(毛澤東) 위원장은 인민해방군(PVA)이라는 이름으로 인민해방군 동북전선군에 입북해 유엔군과 교전할 것을 지시했다.[4]위해서 다시는 진격하는 유엔군 추진하는 빠르게 붕괴하는 한국 앞 안정을 위해 마오는 제1단계 캠페인의 생존 2세 Corps,[5]선구자와 미국 8군의 우익, 태백 산맥을 따라 한반도의 와중에 진출한를 파괴할 목적으로bridgehead-building 작업 권한을 부여했다.[6]10월 18일 중국 지도부가 마침내 무력 개입 문제를 해결하자 마오는 극비리에 10월 19일 PVA에 한국 입국을 명령했다.[7]
서곡
위치 및 지형
온종은 운산에서 북동쪽으로 10미(16km) 떨어진 충천강 하류에 위치한 교차로 마을이다.[8]온종 동쪽에는 한국 2군단의 공습을 위한 집결지인 후이촌이 서 있다.[2]북쪽으로는 온종이 압록강에서 50mi(80km) 떨어진 고장읍과 연결되어 있다.[9]한중 국경의 구릉지대로 인해 온종은 압록강 지역으로 들어가는 몇 안 되는 접근 지점 중 하나이다.[9]이 지형은 또한 매복에 이상적인 근거를 제공하면서 군대의 이동을 제한한다.[9]
힘과 전략
10월 24일 한국 제2군단 6사단이 후이촌에서 서쪽으로 진격했고,[2] 같은 날 온종이 포로로 잡혔다.[10]한국 7사단 온종에서는 6사단이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고장을 향해 진격했고,[9] 한국 2사단 6사단은 온종에서 북진 쪽으로 북서진할 계획이었다.[8]유엔군 사령부는 파괴된 KPA의 반대가 없을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에, 이러한 진전은 유엔 부대들 사이에서 조정되지 않았다.[9]그 결과 한국7보병연대는 자신들을 둘러싼 새로운 위협을 완전히 망각한 채 별다른 반대 없이 간신히 적지로 방황할 수 있었다.[11]
한국이 압록강을 향해 진격하는 동안 PVA도 곧 있을 1단계 캠페인에 부대를 투입하려 하고 있었다.펑더화이 PVA 사령관이 태유동에 새 사령부를 설치하기 위해 허둥지둥 움직이자 한국 2보병연대의 계획한 진격은 그의 진지를 초토화시킬 것이라고 위협했다.[12]PVA의 존재를 감추기 위해 근처에 KPA 부대가 한 명도 없는 펑 사령관은 PVA 40군단을 움직여 온종 근처에서 한국 2보병연대를 요격함으로써 1단계 캠페인에 일찍 돌입할 수밖에 없었다.[12]10월 24일 밤 40군단의 PVA 118 사단이 지정된 차단 위치에 도착했다.한편 PVA는 온종북친길이 내려다보이는 능선에 수많은 매복 위치를 설정해 놓았었다.[13]
전투
초기 연락처
10월 25일 아침, 그리고 3대대를 정점으로 한국 제2보병연대는 북친을 향해 북서진하기 시작했다.한국군은 곧 온종 서쪽에 8미(13km)의 포격을 받았다.[8]3대대는 KPA의 작은 병력이 될 것으로 생각한 것을 분산시키기 위해 그들의 차량에서 내렸으나,[8] 높은 지대의 PVA 2개 연대는 즉시 한국의 좌우 측면에 집중 포화를 퍼붓기 시작했다.[10][14]3대대는 순식간에 부서져 대부분의 차량과 포병들을 도중에서 버렸다.[10]400여 명의 생존자들이 가까스로 함정을 빠져나와 다시 온종에게 쓰러졌다.[10]
한국 제2보병연대는 3대대가 중공격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2대대는 앞으로 전진하여 3대대를 지원하게 되고, 1대대는 다시 온종(溫宗)[15]비록 2대대가 강한 저항을 받고 뒤로 돌아섰지만, 한국은 거의 1만 명에 가까운 중국 군인들이 길 아래 대기하고 있다고 밝힌 몇 명의 중국 포로를 가까스로 붙잡았다.[8][15]동시에 PVA 고등사령부는 나머지 40군단들이 온종 일대를 중심으로 도로 봉쇄를 설치하느라 분주한 가운데 40군단 PVA 120사단에 전투 참가를 명령했다.[14]자정까지 모든 차벽이 제자리인 가운데 10월 26일 03시 30분 PVA 118사단과 PVA 120사단 소속 1개 연대가 온종을 공격했고,[14][15] 한국 2보병연대는 30분 만에 해산됐다.[15]한국 제2보병연대 함병선 대령이 온종에서 동쪽으로 5km(3.1mi) 떨어진 곳에서 가까스로 병력을 집결시켰지만 PVA는 여전히 1시간 만에 새로운 진지를 뚫을 수 있었다.[16]이때 연대의 단 한 회사도 그대로 방치되지 않았고, 한국 2보병연대는 조직화된 부대가 되는 것을 중단했다.[8][16]연대의 3,100여 명 중 약 2,700여 명이 결국 충천강으로 피신했다.[17]미군 한국군 고문단(KMAG) 2명도 붙잡혔다.[17]
두 번째 매복
1단계 캠페인의 조기 시작에 따른 놀라움의 손실은 마오를 크게 실망시켰다.[18]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오는 여전히 펭에게 함정에 빠진 부대로 그들을 미끼로 한국군을 파괴할 것을 촉구했다.[19]동시에 한국2군단장 유재흥 소령은 한국 19보병연대와 6보병사단(박광혁 대령 이하), 한국 10보병연대 8보병연대(고근홍 대령 이하)를 보내 온종을 탈환하고 전투로 유실된 장비를 인양했다.[16]임부택 대령의 지휘를 받은 한국 7보병연대도 한국 6사단과 함께 남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16]펭은 나머지 한국 2군단을 개방으로 끌어들이기를 바라면서 PVA 118사단에 북쪽으로 휘둘러 후퇴하는 한국 7보병연대를 함정에 빠뜨리라고 명령했고,[20] PVA 119사단과 120사단은 온종을 지나는 어떤 구조부대라도 매복하기 위해 대기할 것이다.[21]10월 27일 PVA 118사단은 고장과 온종 사이의 도로를 절단하여 한국 7보병연대를 고립시켰으나,[21] 한국 7보병연대는 연료 부족으로 인해 도로 봉쇄에 이르지 못했다.[22]한국 2군단이 속임수에 넘어가지 않았다는 사실을 깨달은 펑 사령관은 119, 120사단에 한국 10, 19 보병 연대를 파괴하라고 명령했다.[23][20]10월 28일 밤, 두 PVA 사단의 매복으로 온종 동쪽에서 진격하는 한국 연대가 순식간에 격멸되었고, 후방의 PVA 도로 봉쇄로 인해 한국군은 탈출하기 위해 모든 차량과 포병을 포기해야 했다.[24]
한국7보병연대는 이제 한국 6사단의 유일한 생존형대가 되었으나, 이 역시 고장에서 남쪽으로 32km 떨어진 10월 29일 PVA 118사단에 의해 매복되었다.[17]PVA 118사단은 50군단으로부터 증원군을 기다리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10월 29일 밤 118사단이 단독으로 공격해 한국군의 도피를 막았다.[20][20]2시간의 전투 끝에 한국7보병연대는 생존자들을 야산으로 흩어지게 한 채 해산할 수밖에 없었다.[25]약 875명의 장교와 3,552명의 다른 군인들이 가까스로 탈출했고, 한국군 자문단의 해리 플레밍 소령은 15차례 부상을 입었고 이후 PVA에 의해 붙잡혔다.[26][27]
여파
한국 6사단과 한국 10보병연대의 패배로 한국 2군단은 초토화됐고, 사실상 조직적인 전투력을 중단했다.[28]이는 미 8군의 오른쪽 측면은 현재 유엔군을 압도하기 위해 남쪽으로 진격하고 있는 PVA에 완전히 개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29]이러한 상황을 악용하여 PVA는 현재 노출된 8군중대에 다시 공격을 개시하여 운산 전투에서 한국 15보병연대와 미 8기병연대를 상실하게 되었다.[29]PVA가 유엔선 후방으로 쏟아져 들어오면서 8군단은 촉천강으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30]11월 4일 미 5연대전투단과 한국7사단의 완강한 구누리의 방어만이 가까스로 PVA 진격을 저지하고 8군단의 참담한 패배를 막았다.[31][32]11월 5일까지 물류난으로 PVA는 1단계 캠페인을 끝내야 했다.[33][34]
PVA가 유엔군 전선의 돌파구를 활용할 수는 없었지만, 8군단 오른쪽 측면에 있는 한국2군단의 약점이 PVA 지휘관들에게 노출됐다.[35]PVA 2단계 공세 계획 중 펭은 다시 한국 2군단을 향해 8군단 오른쪽 측면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고,[35] 이로 인해 쩡춘강 전투에서 유엔군이 참담한 패배를 당했다.[36]이 전투를 중국의 한국전 공식 참가로 기념하기 위해, 10월 25일은 현재 중국에서 '미국 저항 전쟁'과 '에이드 코리아 기념일'이다.[37]
메모들
- 각주
- 인용구
- ^ 중국 군사 과학 아카데미 2000 페이지 359.
- ^ a b c d 채, 정&양 2001, 페이지 124.
- ^ a b Millett, Allan R. (2009). "Korean War". Encyclopædia Britanni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December 2008. Retrieved 2009-02-04.
- ^ 로 2000, 페이지 145.
- ^ 로 2000, 페이지 150.
- ^ 채, 정&양 2001, 114페이지, 124페이지.
- ^ 첸 1996, 페이지 207-209.
- ^ a b c d e f 애플맨 1992 페이지 674.
- ^ a b c d e 애플맨 1992 페이지 673.
- ^ a b c d 채, 정&양 2001, 페이지 125.
- ^ 로 2000, 페이지 156.
- ^ a b 2000년, 페이지 160.
- ^ 중국 군사 과학 아카데미 2000 페이지 21.
- ^ a b c 중국 군사 과학 아카데미 2000 페이지 22.
- ^ a b c d 채, 정 & 양 2001 페이지 126.
- ^ a b c d 채, 정&양 2001 페이지 127.
- ^ a b c 애플맨 1992 페이지 675.
- ^ 라이언, 핀켈슈타인 & 맥데빗 2003, 페이지 101.
- ^ 노루 2000, 페이지 163.
- ^ a b c d 2000년, 페이지 167.
- ^ a b 중국 군사 과학 아카데미 2000 페이지 25.
- ^ 채, 정 & 양 2001 페이지 130.
- ^ Ryan, Finkelstein & McDevitt 2003, 페이지 101–102.
- ^ 채, 정&양 2001, 페이지 129.
- ^ 채, 정&양 2001 페이지 133.
- ^ 채, 정&양 2001 페이지 134.
- ^ 애플맨 1992페이지 675-676.
- ^ 애플맨 1992 페이지 691.
- ^ a b 애플맨 1992 페이지 676.
- ^ 애플맨 1992페이지 695페이지 710.
- ^ 채, 정&양 2001쪽 137~142쪽.
- ^ 애플맨 1992 페이지 712.
- ^ 2000년, 페이지 176.
- ^ 라이언, 핀켈슈타인 & 맥데빗 2003 페이지 102.
- ^ a b 2000년, 페이지 234.
- ^ 애플맨 1989 페이지 74.
- ^ Jin, Yuan (京原) (2000). "War to Resist America and Aid Korea First Phase Campaign (抗美援朝战争第一次战役)" (in Chinese). Beijing: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6-05. Retrieved 2009-11-13.
참조
- Appleman, Roy (1992),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Washington, D.C.: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ISBN 0-16-035958-9
- Appleman, Roy (1989), Disaster in Korea: The Chinese Confront MacArthur, vol. 11, College Station, TX: Texas A and M University Military History Series, ISBN 978-1-60344-128-5
- Chae, Han Kook; Chung, Suk Kyun; Yang, Yong Cho (2001), Yang, Hee Wan; Lim, Won Hyok; Sims, Thomas Lee; Sims, Laura Marie; Kim, Chong Gu; Millett, Allan R. (eds.), The Korean War, vol. II, Lincoln, N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ISBN 978-0-8032-7795-3
- Chen, Jian (1996), China's Road to the Korean War: The Making of the Sino-American Confrontation, New York,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10025-0
- Chinese Military Science Academy (2000), History of War to Resist America and Aid Korea (抗美援朝战争史) (in Chinese), vol. II, Beijing: Chinese Military Science Academy Publishing House, ISBN 7-80137-390-1
- Roe, Patrick C. (2000), The Dragon Strikes, Novato, CA: Presidio, ISBN 0-89141-703-6
- Ryan, Mark A.; Finkelstein, David M.; McDevitt, Michael A. (2003), Chinese Warfighting: The PLA Experience Since 1949, Armonk, New York: M.E. Sharpe, ISBN 0-7656-108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