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 전투
Battle of Haman함안 전투는 1950년 8월 31일부터 9월 19일까지 남한 함안군 인근에서 있었던 유엔군사령부(UN군)와 북한군의 대규모 부산 방어선 교전 중 한 차례였다.교전은 미군과 한국군 병력이 하만 시내에 대한 한국 인민군들의 강력한 공격을 격퇴한 후 유엔의 승리로 끝났다.
마산 전투 때 마산을 방어하기 위해 활동했던 미 24 보병 연대는 함안의 서쪽 산등성이에 길게 늘어섰다.KPA 6사단이 마을을 공격하자 미군은 24보병단의 성능이 떨어지는 일주일간의 전투에서 진격을 격퇴하기 위해 싸웠고, 다른 미군 증원군을 투입하여 공격을 막아냈다.
배경
부산 둘레
한국 전쟁 발발과 북한의 남한 침공으로부터 한국군은 한국군과 유엔군이 붕괴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한국에 파견된 한국군에 비해 인력과 장비 모두에서 우위를 점했다.[1]KPA 전술은 남쪽으로 접근하는 모든 수단에 대해 유엔군을 공격적으로 추격하고 공격적으로 교전하여 전방에서 공격하고 부대의 양쪽 측면을 이중으로 봉쇄하는 것이었는데, KPA는 반대 세력을 포위하고 차단할 수 있게 되어 혼란에 빠져 후퇴할 수밖에 없게 되어 종종 mu를 뒤로 하고 물러나게 되었다.그것의 장비들.[2]6월 25일 처음의 공격부터 7월과 8월 초의 싸움에 이르기까지, 한국 공군은 이러한 전술을 사용하여 어떤 유엔군도 효과적으로 물리치고 남쪽으로 밀어붙였다.[3]그러나 8월 미8군 산하의 유엔군이 부산 방어선을 구축하자 KPA군이 옆에 둘 수 없는 반도를 따라 유엔군이 계속 경계선을 유지했고, 우수한 유엔군 병참체계로 유엔군에 더 많은 병력과 물자를 들여오면서 이들의 수적 우위는 매일 줄어들었다.[4]
경찰청은 8월 5일 부산 방어선에 접근했을 때, 경계로 접근하는 네 가지 주요 수단에 대해 동일한 정면 공격 기술을 시도했다.8월 내내 KPA 6사단과 이후 KPA 7사단은 마산 전투에서 미 25보병사단을 교전시켰고, 처음에는 유엔의 반격을 격퇴한 뒤 고마니와[5] 배틀 마운틴에서 전투를 벌였다.[6]이러한 공격은 잘 갖춰져 있고 많은 예비군을 보유하고 있는 유엔군이 KPA 공격을 반복적으로 격퇴하면서 중단되었다.[7]마산 북쪽, KPA 4사단과 미 24사단은 낙통 불게 지역에서 전투를 벌였다.제1차 낙통불지 전투에서는 미군 예비군이 대거 투입돼 이를 격퇴하기 위해 KPA 사단이 강을 건너는 교두보를 잡지 못했고, 8월 19일 KPA 4사단은 50%의 사상자를 내며 다시 강을 건너게 되었다.[8][9]대구지역에서는 대구전투 때 여러 차례 유엔군 3개 사단에 의해 KPA 5개 사단이 격퇴되었다.[10][11]특히 KPA 13사단이 공격으로 거의 완전히 파괴된 볼링장 전투에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12]동해안에서는 포항동 전투 당시 포항동에서 3개 대한 석유 협회 사단이 추가로한국군에 의해 격퇴됐다.[13]전방 내내, KPA 부대는 이러한 패배로 비틀거리고 있었는데, 전쟁에서 처음으로 그들의 전술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14]
9월 푸시
KPA 사령부는 새로운 공격을 계획하면서 유엔 해군의 지원 덕분에 유엔군을 상대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불가능하다고 결정했다.[12]대신, 그들은 경계를 뚫고 그것을 붕괴시키기 위해 정면 공격을 택했다. 이것이 전투에서 성공을 거둘 수 있는 유일한 희망으로 여겨졌다.[4]소련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북한 주민들은 부산 방어선을 따라 구축된 유엔군 병력이 곧 공격을 감행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전투에서 이길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15]두 번째 목표는 대구 지역을 포위하고 그 도시의 유엔 부대를 파괴하는 것이었다.이 임무의 일환으로 한국교원회는 우선 대구에 공급선을 끊었다.[16][17]
8월 20일, 한국노총은 그들의 부하 부대에 작전명령을 분배했다.[15]그 계획은 유엔 라인에 대한 동시적인 5대 공격을 요구했다.이러한 공격은 유엔 수비수들을 압도할 것이고 한국 공군이 적어도 한 곳에서 선을 돌파하여 유엔군을 후퇴시킬 수 있게 할 것이다.다섯 개의 전투 군단이 명령되었다.[18]미 25사단이 유엔 라인을 보유한 남부지역에서는 KPA 1군단이 강력한 공격을 계획해 미 2사단을 북으로 향한 공격으로 조율했다.[19]KPA 6사단과 7사단은 8월 20일 공격명령을 받았다.이 계획은 8월 31일 22:00 KPA I 군단이 전 구간에서 폭행할 것을 요구했다.[20]오른쪽 측면에서 가장 남쪽으로 떨어진 6사단은 9월 3일까지 함안, 마산, 진해를 거쳐 부산에서 15마일(24km) 떨어진 낙통강 삼각주 서쪽 금해를 점령할 예정이었다.[21]공격 구역의 분할 구역은 진주에서 고마니, 마산까지 고속도로 남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었다.[6]6사단의 북쪽에 줄지어 서 있는 7사단은 마산고속도로 북쪽에서 공격하여 낙통까지 좌회전하여 오른쪽에서 6사단과 왼쪽에서 KPA 9사단이 합류하기를 기다리는 것이었다.[21]7사단의 일부는 남강 서쪽 의룡 지역에 집중되었다.이 계획은 미 24 보병 연대와 6사단을, 미 35 보병 연대와 7사단을 맞섰다.[20]이 계획의 일환으로, KPA 6사단은 어느 쪽도 이득을 얻지 못한 채 몇 주 전부터 배틀 마운틴에서 24 보병과 교전하고 있었다.[22]25사단 사령관 윌리엄 B. 기안은 미결된 공세를 의식하고 24보병대의 능력을 불신하는 한편, 연대의 실력향상 방안을 결정하기 위한 연대의 성과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기 시작했다.[23]
전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공격
25사단 라인의 왼쪽 중앙에는 폴 F 중령이 서 있다.로버츠 제2대대대, 제24보병대는 마을에서 1마일(1.6km) 떨어진 함안 서쪽 2부 능선의 볏을 잡고 있었다.KPA 지역인 청암리에서 하만으로 이어지는 2차 도로가 낮은 야산의 어깨를 따라 논밭을 가로질러 진주~마산 간선도로에서 동쪽으로 1.6km 떨어진 곳으로 이어졌다.함안에서 서쪽으로 1.6km 떨어진 지점에서 로버츠 대령의 2대대 위치를 통해 들어왔다.[24]8월 31일 오후 늦게, 24 보병 G 사의 관측자들은 그들의 위치 앞에서 1마일(1.6km)의 활동을 알아차렸다.그들은 해질 무렵 이 지역을 강타한 두 차례의 공습을 불렀다.미군 포병들이 이 지역에 대규모 화력을 집중 투입했지만, 이번 화재의 영향은 알려지지 않았다.전선에 있는 모든 미군 부대에 한국군 공격 가능성에 대한 경보가 내려졌다.[25]
그날 밤 KPA는 유엔군 전체에 대해 연합공격을 개시했다.KPA 6사단이 먼저 진격해 청암리하만 도로의 고갯길 북쪽 F사를 들이받았다.고갯길의 한국군은 진지를 떠나 고갯길 남쪽 G사에 후퇴했다.[25]KPA는 75mm 무반동 소총을 패스에서 포착해 미국 탱크에 켰고, 그 중 2개를 격추시켰다.그리고 나서 그들은 고갯길의 동쪽 끝에 있는 82mm 박격포 구역을 넘겼다.[26]고갯길 남쪽, 새벽에 휴스턴 M 중위.맥머레이는 자신의 소대에 배치된 69명 중 15명만이 자신과 함께 남아 있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미군과 한국군이 섞여 있는 것이다.경찰청은 새벽에 이 자리를 공격했다.그들은 철조망 둘레에 버려진 구멍을 통해 들어왔다.수류탄 투척과 기관총 소사격으로 그 지역에 살포한 공군은 재빨리 그 위치를 넘겼다.[25]수많은 장교들과 부사관들이 그 부하들을 다시 정렬시키려 했지만, 그들은 이 명령들을 따르지 않았다.한 예로, 한국 군대는 그들이 탈출하는 것을 막으려고 할 때 그들 자신의 중대장을 죽였다.[26]
남쪽으로 더 멀리 떨어진 선상에서 KPA T-34 탱크 화재는 자정 무렵 E사를 덮쳤다.[25]중대장인 찰스 엘리스 중위는 부하들을 집결시키려 했으나 그들은 명령도 받지 않고 후퇴하면서 포화에 무너졌다.밤중에 E사의 모든 사람들은 엘리스와 11명의 남자를 제외하고는 언덕에서 도망쳤다.[27]몇몇 E 컴퍼니 남자들이 그들이 설치한 지뢰밭을 통해 도망쳐 죽었다.KPA 화재는 9월 1일 새벽 이후 엘리스의 부하들을 꼼짝 못하게 했다.일행 서너 명이 탈출을 시도하자 KPA 기관총 사격으로 목숨을 잃었다.엘리스와 남은 부하들은 이틀 동안 언덕 위의 여우굴에 머물면서 그 시간 동안 여러 차례의 공격을 물리쳤다.그러자 엘리스는 남쪽으로 철수할 수 있었고, 산 위로 3대대의 위치로 올라갈 수 있었다.그의 철수 과정에서 엘리스는 일찍이 지뢰 폭발로 부상을 입은 한 남자를 발견하고는 그를 구출하기 위해 지뢰밭으로 들어갔다.[25]
24 보병단 붕괴
KPA 공격이 시작된 직후 제24보병부대인 제2대대대 대부분이 자리를 피했다.[28]한 번에 한 대씩 대대는 전방 전체에 걸쳐 강한 공격을 당했고, 각 중대 몇 십 명을 제외하고는 각 대대는 순식간에 무너졌고, 대부분의 병력은 장교들의 명령에 맞서 함안으로 후퇴했다.[17]KPA는 허물어진 미국 전선을 빠르게 통과하여 제2대대대 사령부를 전복시켰고, 그곳에서 여러 명의 병사가 사망하고 대대 장비의 상당부분을 파괴했다.[29]2대대가 부서진 상황에서 함안군은 KPA의 직접 공격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었다.대한제국공사관이 함안을 포위하자 중령이 함안을 포위했다.로버츠는 한 장교에게 대대 잔해를 빼앗고 마을 남쪽 가장자리에 도로 차단막을 세우라고 명령했다.장교는 많은 부하들에게 동행하도록 지시했지만, 8명만이 동행했다.[30]제2대대는 더 이상 효과적인 전투 병력이 아니었다.[28]병사들의 주머니는 그대로 남아 격렬하게 싸웠지만, 대다수가 공격을 받고 도망쳤고, KPA는 울퉁불퉁한 저항 주위를 움직일 수 있었다.그들은 2대대가 혼란에 빠지자 함안을 포위했다.[31]
연대장 아서 S 대령 챔페니는 24연대 지휘부를 함안 북동쪽 3.2km 지점에서 기관사 도로라고 불리는 보급 운동을 개선하기 위해 연대기사들이 건설한 물류 도로에 있는 좁은 방공호로 옮겼다.[32]이때 KPA 집단이 함안에서 1마일(1.6km) 떨어진 야전포대 159번지 C배터리를 공격했다.[33]88전차대대의 전차 2대는 포병들이 호위병을 포획하여 하만을 거쳐 다시 동쪽으로 기술자 도로 위로 탈출할 수 있을 때까지 전지를 방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28]미 27보병연대와 35보병연대의 병력은 경계태세를 갖추고 제24보병단의 붕괴인 2대대를 보상하기 위해 전열을 정비하기 시작했다.[30]당시 지휘관들은 아프리카계 미국군을 수준 이하의 병사로 몰아붙였지만, 후에 장교들은 제2차 바토리오의 빠른 패배의 주요 요인이라고 주장하였다.n, 24 보병.[34]
이번 공격은 존 T. 콜리 중령의 3대대대와 24보병대, 5보병연대가 보유한 라인 남부를 타격하지 않았다.그러나 그 부분은 포격과 박격포 사격과 약간의 교란 광선 공격을 받았다.9월 1일 02시 경, 콜리 부대 오른쪽 측면의 전초기지에 있던 남자들은 하만 방향으로 100야드(91m) 거리에서 600여 명의 KPA 병사들이 몰려드는 것을 지켜보았다.3대대의 고지대에서 밤중에 바라본 하만은 불길에 휩싸인 듯했다.새벽에 대대의 남자들은 약 800명의 KPA 병력이 마을로 들어가는 것을 보았다.[28]
참프니는 KPA 공격이 2대대를 돌파하자 진동리 도로 하만에서 남쪽으로 3마일(4.8km)가량 떨어진 1대대에 반격과 복선을 명령했다.[35]로버츠는 07시 30분에 시작된 이 반격에 가담하기 위해 흐트러진 제2대대에서 찾을 수 있는 전부인 40명의 병력을 집결시켰다.KPA와 접촉하자 1대대는 부서져 후방으로 달아났다.[28]그리하여 대낮에 흩어지고 흐트러진 24보병 제1·2대대의 병사들은 하만 동쪽 2마일(3.2km)의 고지대로 피신해 있었다.[36]KPA 6사단의 2개 연대 중 더 좋은 부분이 함안 틈새로 쏟아져 들어왔다가 지금은 마을을 잡고 있었다.[28]
북한의 돌파구
킨 장군은 하만에서의 KPA 돌파를 사단의 노선에 대한 심각한 위협으로 보았다.9월 1일 새벽, 킨은 월튼 S 8군 사령관에게 허가를 요청했다. 워커는 27보병 연대를 통째로 투입하기 위해 전날 저녁 마산에 도착하여 여전히 8군 예비군에서 억류되어 있다.워커는 이 요청을 부인했지만, 1개 대대의 연대 병력을 킨의 통제하에 풀어주었다.[37]킨은 즉시 길버트 J 중령을 급파했다.마산 인근 집결지에서 함안 방향으로 27사단인 체크 1대대는 연대 지휘소에 도착하는 즉시 24보병대에 붙을 예정이다.[38]27연대 중격포 1소대, B사 89전차 대대, A전지 8전차대대는 체크의 대대를 보강했다.그의 대대와 함께 10:00에 하만에서 동쪽으로 2마일(3.2km) 떨어진 챔프니의 24 보병 사령부에 도착했다.[37]
그곳의 광경은 혼란스러웠다.병사들을 태운 차량들이 대거 후방으로 내려오고 있었다.많은 군인들이 도보로 이동 중이었다.챔프니는 반복적으로 시도했지만 이 사람들을 멈추게 하고 돌아서게 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허사였다.[39]주변에 가끔 떨어지는 몇 발의 KPA 박격포도 24보병 부대와 교전 중인 한국군이 더욱 공황상태에 빠지고 후방으로 속도를 높이는 것 외에는 아무런 피해가 없었다.[40]도로는 후퇴하는 병력으로 꽉 막혀 체크는 반격을 늦출 수밖에 없었다.체크는 이 지점에서 대기한 6시간 동안 1·2대대대의 후퇴하는 병력, 즉 24보병 중 어느 것도 부대로 집결할 수 없다는 것을 관찰했다.헌병대는 병력을 재조립하려다 허사였지만 총구를 겨누고도 거절했다.16:00에 27보병 후방에 집결하고 있는 제2대대대, 제24보병대는 겨우 150~200명을 소집할 수 있었다.[39]
한편 한국병원은 탄약, 식량, 의료 등을 효과적으로 공급하지 못하는 심각한 물류 문제를 겪고 있었다.[17]동시에, 한국에서 강제 징집된 수천 명을 포함한 사단의 요소들은 점점 더 제자리를 지키기가 어려워지고 있었다.사단은 함안에서 입지를 다지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21]
유엔 반격
9월 1일 14시 45분, 킨은 즉시 반격을 명령하여 24보병 진지를 회복시켰다.[41]F-51 무스탕과 F-80 슈팅스타즈 등 미 공군(USAF) 항공기가 30분간 함안 주변의 KPA 위치를 폭탄, 네이팜, 로켓, 기관총 사격 등으로 타격했다.그들은 또한 한국교원회가 장악하고 있는 마을 주변의 능선들을 공격했다.15분 동안 집중 포격이 이어졌다.함안에서는 불이 번졌다.체크의 보병대는 16시 30분에 A사 79전차대대의 전차 소대에 의해 보강되어 서쪽으로 공격했다.KPA군이 대부분 포기했기 때문에, 8대의 탱크를 탑재한 보병들이 함안 공격을 주도하여 쉽게 함안을 점령했다.KPA가 무력으로 마을 서쪽에 있는 능선을 잡았고, 그들의 기관총 사격이 모든 접근로를 휩쓸었다.KPA 화재는 탱크 1대를 파괴했고 공격 보병들은 많은 사상자를 냈다.그러나 체크의 대대는 공격을 압박했고 18:25가 되자 함안에서 서쪽으로 500야드(460m) 떨어진 첫 번째 긴 산등성이를 점령했다.20:00까지 함안에서 서쪽으로 1마일(1.6km) 떨어진 높은 산등성이에 있는 옛 전투지점의 절반을 확보했다.산등성이의 나머지 부분에 있는 볏이 200야드밖에 안 되는 곳에 보병들이 밤새도록 파고들었다.하만을 탈환하여 24대의 옛 위치로 밀치고 있었다.[39]
9월 2일 하루 종일, 공군은 공군을 괴롭혔고, 그들이 그들의 이득을 통합하고 추가적으로 조정된 공격을 위해 재정비하는 것을 막았다.일부 항공기는 320km 떨어진 서해에서 마산 전장을 향해 기선을 제압하는 USS 밸리 포저호와 필리핀 해역에서 왔다.10시 45분, 8군단은 킨에게 27보병대가 미 2사단으로 북상할 가능성에 대해 경계 경보를 발령하라고 통보했다.하만 서쪽에서는 KPA와 미군이 밤 사이 더 이상 전투 없이 대치했으나 KPA는 계속 진지를 둘러싸고 불꽃을 튀겼다.후방지역에서는 24연대 지휘소 KPA 박격포 사격으로 챔프니가 여전히 후방으로 이동했다.[39]
오전에는 육중한 지상안개를 틈타 대한공군이 체크의 대대를 반격했다.이것은 오전 내내 계속된 격렬한 싸움을 시작했다.네이팜을 이용한 공습은 많은 KPA 부대를 소각시켰고 보병들이 능선을 탈환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42]12시, 제1대대대인 제27보병대는 2대대대인 제24보병대의 전 진지를 확보하여, 이틀 밤 전에 부대가 버렸던 것과 같은 여우굴을 점령했다.[38]지난 9월 2일 미 육군 25사단 부대에서 135명의 출격작전을 펼치며 많은 KPA 부대, 여러 대의 탱크와 포병, 그리고 탄약고가 있는 마을 3곳을 파괴한 것으로 알려졌다.[42]
다음날 아침 일찍 9월 3일, 대한제국공사관은 능선을 되찾기 위한 노력으로 체크의 부하들을 무겁게 공격했다.포병, 박격포, 전차포 사격, 대대 지휘부에서 지휘한 공습 등이 이 공격에 맞섰다.대대의 일부는 몸을 돌려 후방을 향해 싸워야 했다.공격이 격퇴된 후 수백 명의 KPA가 대대 진지 주변에 죽어 있었다.한 죄수는 9월 2일과 3일 동안 체크의 대대와 싸우는 한국 경찰 4개 대대가 1,000명을 잃었다고 추정했다.[42]
체크의 대대는 9월 4일 날이 어두워질 때까지 능선을 지켰고, 그 후 후방에서 재편성했던 제2대대대 제1대대와 F 중대, 제24보병대가 이를 완화시켰다.[43]제1대대대인 제27보병대는 함안 동쪽 1.5마일(2.4km) 지점에서 다시 2차 방어 위치로 이동했다.[38]챔프니는 지휘부를 다시 함안으로 옮겨서, 함안 중심부에서 서쪽으로 300미터(980피트) 떨어진 언덕 기슭에 배치했다.[43]
침투
9월 5일 동트기 전에, 두 회사의 KPA 부대가 다시 하만을 상대로 움직였다.[43]이 부대의 일부는 하만 서쪽 가장자리의 언덕에 접근했는데, 하만 서쪽 가장자리에는 H회사가 기지에 위치한 24연대 지휘소 보안요원으로 배치되었다.[40]H사 사내들 대부분이 새 기관총 두 발을 버리고 한 발도 쏘지 않고 자리를 떴다.KPA는 총기를 나포하고 연대 지휘부에 포문을 열었다.KPA 소대가 지휘소로부터 100야드(91m) 이내에 함안에 잠입해 정보정찰대 대원들이 수류탄 교전을 벌여 이들을 쫓아냈다.[43]
약 20명의 KPA 병사들이 발견되지 않은 채 함안 서쪽 1대대대, 24보병대 사령부까지 접근하여 수류탄을 던지고 그 안으로 불을 질렀다.당시 그곳에는 대대 지휘부 45여 명과 한국 신병 20여 명이 배치돼 있었다.KPA는 새벽에 쫓겨났지만, 대대 간부인 유진 카슨 소령은 그가 자신과 함께 그 자리에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 중 7명이 부상을 당했다.언덕을 돌아보던 카슨은 40여 명의 사내들이 논에서 일어나 도로 차단 자세로 탱크로 넘어가는 것을 보았다.이 사람들은 언덕에서 쫓겨났다고 연대에 보고했다.지휘소 근처에 있는 세 대의 탱크가 한국 경찰청의 청산을 도왔다.[43]
이 침투 당시 백인 장교 1명과 아프리카계 미국인 35~40명은 하만 남쪽에 있는 차벽을 타고 진지를 떠나 1.5마일(2.4km) 떨어진 체크 1대대대 제27보병대 사령부에 도착할 때까지 후방으로 도주했다.그곳에서 05:00에 이 장교는 2천 KPA가 24 연대 지휘부를 포함한 함안 근교의 다른 지위와 다른 지위에 초과했다고 말했다.체크는 이 사연을 킨에게 보고하고 나서 보병 소대를 거느리고 탱크 소대를 하만을 향해 보내어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알아보았다.한편 그의 장교들 중 일부는 약 220명의 군인들이 후방으로 스트리밍하는 것을 막았다.체크는 이 병사들에게 그의 탱크와 보병들이 함안으로 순찰하도록 명령했다.그들 중 일부는 총에 맞았다고 위협할 때만 그렇게 했다.탱크 주도의 기둥이 아무런 반대도 없이 함안 안으로 들어갔는데, 그곳에서 그들은 24연대 지휘소가 온전하고 모든 것이 조용하다는 것을 발견했다.[44]다음날인 9월 6일, 하만 서쪽의 최전방 위치를 살피던 중 저격수가 챔프니를 심하게 다치게 했고 챔프니는 대피했다.[40]3대대의 지휘관인 콜리가 연대의 지휘를 이어받았다.[44]
9월 7일 KPA 침투가 격퇴된 후 함안 땅을 향한 KPA 공격은 중단되었다.병참과 인력난에 시달리는 한국 공군은 남강 35보병뿐 아니라 배틀산 24보병 진지에 대한 공격에 더욱 집중했다.하만 24보병대는 9월 18일까지 탐색 공격만 당했다.[45]
북 철수
9월 15일 인천에서의 유엔 반격은 한국노총을 앞질렀고 그들의 주요 공급과 강화 루트를 모두 차단했다.8군단이 부산 포위망에서 철수를 시작한 9월 16일, 25사단은 여전히 전선에서 KPA군과 싸우고 있었고, 전투산, 팔일봉, 소북산의 높은 곳에 KPA의 강점이 존재했다.[46]케안은 분단 전선의 산악 중심이 맑아야만 분단이 진주를 향해 길을 따라 전진할 수 있다는 것을 느꼈다.따라서 그는 25사단의 진격의 열쇠가 KPA가 키를 잡고 24보병연대를 매일 공격받는 그 중심에 놓여 있다고 믿었다.[47]진주와 마산 사이의 도로를 가로지르는 왼쪽 27보병과 오른쪽 35보병은 진주를 사이에 두고 진지를 유지하며 24보병 앞의 상황이 호전될 때까지 진격하지 못했다.[48]
9월 19일 유엔은 한국 공군이 밤중에 배틀 마운틴을 버린 것을 발견했고, 제24보병대대인 제1대대가 움직여 점령했다.오른쪽에는 35보병대가 전진하기 시작했다.[49]거미구멍에 숨어 있던 KPA 병사들이 후방에서 1대대대 병사를 향해 총격을 가한 청암리 앞 고지에 도달할 때까지 가벼운 저항만이 있을 뿐이었다.다음날 1대대는 청암리를 사로잡았고, 2대대는 청암리에서 남강까지 북서진하는 긴 능선( captured線)한편 KPA는 여전히 사단을 강하게 견제하며 27보병단이 전진하기 위해 치열한 전투를 벌였던 곳을 떠났다.[50]
한국교총은 9월 18~19일 밤 마산 지역에서 철수했다.남강 이남에서 KPA 7사단이 철수했고, 6사단은 전선을 커버하기 위해 원소를 옆으로 넘겼다.6사단에 가려진 7단은 9월 19일 오전까지 남강 북쪽을 가로지르고 있었다.그 후 KPA 6사단은 소북산에 대한 입장을 철회했다.[50]미 부대는 더 이상 전략적 요충지가 아닌 배틀 마운틴(Battle Mountain) 진지를 넘나들며 빠르게 북쪽으로 추격했다.[51]
여파
제24보병은 부산 근해에서 근무하던 중 267명이 숨지고 796명이 다쳤으며 1명이 생포되고 2명이 실종됐으며 이 중 450명이 부상하고 150명이 배틀 마운틴에서 사망했다.제24보병대를 지원하는 야전포병 8대대는 18명이 숨지고 26명이 다쳤으며, 제79전차대대는 역시 지원을 받고 있는 전차대대로 2명이 숨지고 20명이 다쳤다.[52]
한국교총은 마산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었고, 대부분은 이 공격으로 사상자가 되었다.9월 중순까지, 한국 경찰 7사단은 단지 4,000명으로 줄어들었는데, 이것은 경계선에 투입되었을 때보다 6,000명의 손실을 입혔다.[53]KPA 6사단 소속 2000여명만 북한으로 복귀해 전력의 80%를 잃었다.최대 3,000명의 병력이 북한으로 돌아가려다 붙잡혔다.2만 명 이상의 공격력은 마산 주변의 싸움이 끝날 무렵에 겨우 6천 명으로 줄어들었다.그러나 각각의 개별 계약에서 얼마나 많은 것을 잃었는지를 계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54]
탈영병은 24보병에게 문제가 되었다; 25보병사단은 27보병 15명과 35보병 12명에 비해 8월에 24보병 116명을 억류해야 했다.[22]지난 8월 말, 킨 장군은 몇 주 전 상주전투에서 부진한 성적을 거두는 등 부대의 행태를 조사하기 시작했으며, 부대의 실적이 다른 부대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23][55]24일 배틀 마운틴과 함안 전투에서 활약한 뒤, 킨은 워커에게 연대를 해산하고 그 부대를 야전 내 다른 부대의 대체품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사실상 연대의 장교와 사병들은 모두 이 생각을 지지하고 있었지만 워커는 연대를 잃을 수 없다고 느끼면서 사양했다.설령 다른 부대가 보강된다 해도 전체 라인을 커버할 수 있도록 연장할 수 있을 것 같지가 않았다.[56]신임 연대장 콜리는 전투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기를 바라며 연대의 통솔력 변화를 주도했다.그는 궁중 무술의 더 엄격한 위협으로 어느 정도 보폭을 줄일 수 있었지만, 이는 연대의 사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57]그는 부대신문을 시작하여 결국 이글 포워드로 불리며 부대장들과 병사들을 위한 더 많은 담론을 허용하기 위해 움직였고, 이것이 사기를 어느 정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58]부대에 대한 자부심을 쌓고 싶은 그는 연대가 본 전투의 강인함을 강조하려 했고, 다른 부진한 경기력을 얕잡아 보면서도 예촌 전투에서 승리를 과시했다.[59]
인용구
참고
- ^ 북한군의 사상자는 함안 전투가 일부인 마산 전투 전체에 대해서만 주어질 수 있다.함안 전투만으로 사상자를 추정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참조
- ^ 1998년 애플맨 페이지 392
- ^ 바르홀라 2000, 페이지 6
- ^ 페렌바흐 2001, 페이지 138
- ^ a b 애플맨 1998 페이지 393
- ^ 애플맨 1998 페이지 367
- ^ a b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49
- ^ 애플맨 1998 페이지 369
- ^ 페렌바흐 2001, 페이지 130
- ^ 알렉산더 2003, 페이지 139
- ^ 애플맨 1998 페이지 353
- ^ 알렉산더 2003, 페이지 143
- ^ a b 캐치폴 2001, 페이지 31
- ^ 페렌바흐 2001, 페이지 136
- ^ 페렌바흐 2001, 페이지 135
- ^ a b 페렌바흐 2001, 페이지 139
- ^ 밀레트 2000, 페이지 508
- ^ a b c 알렉산더 2003, 페이지 181
- ^ 애플맨 1998 페이지 395
- ^ 알렉산더 2003, 페이지 132
- ^ a b 애플맨 1998 페이지 438
- ^ a b c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57
- ^ a b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48
- ^ a b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55
- ^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62
- ^ a b c d e 애플맨 1998, 페이지 440
- ^ a b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63
- ^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53
- ^ a b c d e f 애플맨 1998, 페이지 441
- ^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64
- ^ a b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67
- ^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65
- ^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58
- ^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66
- ^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68
- ^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69
- ^ 알렉산더 2003, 페이지 184
- ^ a b 애플맨 1998 페이지 479
- ^ a b c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70
- ^ a b c d 애플맨 1998 페이지 480
- ^ a b c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71
- ^ 알렉산더 2003, 페이지 183
- ^ a b c 1998년 애플맨 페이지 481
- ^ a b c d e 1998년 애플맨 페이지 482
- ^ a b 1998년 애플맨 페이지 483
- ^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75
- ^ 애플맨 1998 페이지 568
- ^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77
- ^ 애플맨 1998 페이지 569
- ^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79
- ^ a b 애플맨 1998, 페이지 570
- ^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80
- ^ 에커 2004, 페이지 29
- ^ 애플맨 1998 페이지 546
- ^ 애플맨 1998, 페이지 603
- ^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13
- ^ 애플맨 1998, 페이지 572
- ^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72
- ^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73
- ^ Bowers, Hammong & MacGarrigle 2005, 페이지 174
원천
- Alexander, Bevin (2003), Korea: The First War we Lost, New York, New York: Hippocrene Books, ISBN 978-0-7818-1019-7
- Appleman, Roy E. (1998),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United States Army in the Korean War, Washington, D.C.: Department of the Army, ISBN 978-0-16-001918-0
이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 Bowers, William T.; Hammong, William M.; MacGarrigle, George L. (2005), Black Soldier, White Army: The 24th Infantry Regiment in Korea, Honolulu, Hawaii: University Press of the Pacific, ISBN 978-1-4102-2467-5
- Catchpole, Brian (2001), The Korean War, London, England: Robinson Publishing, ISBN 978-1-84119-413-4
- Ecker, Richard E. (2004), Battles of the Korean War: A Chronology, with Unit-by-Unit United States Casualty Figures & Medal of Honor Citations, McFarland & Company, ISBN 978-0-7864-1980-7
- Fehrenbach, T.R. (2001) [1994], This Kind of War: The Classic Korean War History – Fiftieth Anniversary Edition, Washington, D. C.: Potomac Books Inc., ISBN 978-1-57488-334-3
- Millett, Allan R. (2000). The Korean War, Volume 1. Lincoln, Nebraska: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ISBN 978-0-8032-7794-6.
- Varhola, Michael J. (2000), Fire and Ice: The Korean War, 1950–1953, Mason City, Iowa: Da Capo Press, ISBN 978-1-882810-44-4
추가 읽기
- Gugeler, Russell A. (2005). Combat Actions in Korea. University Press of the Pacific. ISBN 978-1-4102-24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