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진 전투
Battle of Kujin부러진 다리 전투로도 알려진 구진 전투(1950년 10월 25일~26일)는 625전쟁이 시작될 무렵 북한의 남침 이후 유엔군사령부(유엔)의 압록강 공격 때 벌어졌다.이 전투는 북한 구진 부근의 태룡강을 가로지르는 열쇠다리를 놓고 3대대대 호주군 연대(3RAR)와 조선인민군 제17전차여단(KPA)의 호주군 병력이 벌인 전투였다.10월 25일 영국 영연방 여단은 3 RAR을 선두 대대로 하여 정촌강을 건넌 후 박촌을 향해 진격을 재개했다.구진에 도착한 호주인들은 300m(330yd) 콘크리트 다리의 중심경간이 KPA 엔지니어들에 의해 철거되어 강을 가로지르는 통로가 막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소대 규모의 정찰대가 파괴된 경간에서 나온 파편을 이용해 강을 건넜지만, 곧 높은 지대를 잡고 있던 KPA에 의해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이후 17시 15분에 호주인들이 공격을 준비하면서 공습과 포격이 소집되었다.
그날 저녁 19시, D사 3 RAR에 의한 인근 박촌의 통관에 따라 호주인들은 강 건너에 두 회사를 보내 교두보를 구축하고 KPA가 서부 제방에 대한 입지를 공고히 하는 것을 막았다.A사와 B사는 이후 도로 양쪽에 방어적인 위치를 구축했다.직후 B사에 대한 오른쪽 측면 공격을 위해 KPA군이 결성된 것이 포착됐고, 이러한 준비는 박격포와 함께 결렬됐다.그 후 KPA는 호주의 전방 기업들을 박격포 사격에 참여시켰는데 이는 대부분 효과가 없었다.그러나 22시 30분 경에 KPA 활동이 크게 증가하여, 무거운 소형 무기 발화로 인해 호주인들이 다수의 사상자를 냈고, 이로 인해 위험하게도 빠르게 흐르는 조수강을 건너 배를 타고 대피해야 했다.추가 포병 지원은 23:00에 호주인들이 한국 공군의 공격 대비에 대한 새로운 집중력에 대응하여 소집되었다.한편 호주인들은 강 건너편에서 또 다른 소대를 보내 서쪽 둑에 있는 회사들을 보강했다.
10월 26일 04:00에 한국 공군은 두 대의 T-34 탱크의 지원을 받아 A사와 B사에 반격을 가했다.뒤이어 전차, 지프 2대, 오토바이 1대, 보병 60여 명 등 KPA 차량 호송대가 강을 건널 수 있는 능선을 다시 점령할 생각으로 A사를 향해 길을 내려갔다.호주인들은 소형 무기 발포와 박격포로 근접 거리에서 호송차를 매복공격해 전차만이 성공적으로 탈출한 채 차량을 버리고 KPA가 도주할 수밖에 없었다.이후 또 다른 T-34 탱크와 보조 보병들이 B사 본사에서 10m(33ft) 이내로 압입한 뒤 호주인들의 위치를 모른 채 멈춰서 능선 사이에 자리를 잡았다.새벽녘까지 호주인들은 여전히 교두보를 점령하고 있었다.07:00에, 3개의 RAR 위치의 서쪽으로 능선을 잡고 있는 KPA에 추가 공습을 요청했다.보도된 방법이 명확해진 가운데 C사와 D사는 이날 오전 늦게 동부 제방으로부터 강을 건넜다.전투는 오전 중에 계속되었으나, 12시가 되자 한국교원회가 마침내 철수하여 호주인들에게 다리를 내주었다.
배경
군사 상황
한국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새벽 북방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습적인 대한민국 침공 이후 시작되었다.[1]수적으로 우수하고 장비도 잘 갖춰진 KPA는 38선을 넘어 빠르게 남쪽으로 진격해 열세인 대한민국 육군을 쉽게 극복했다.이에 유엔은 한국을 대신해 개입하기로 하고 회원국들을 초청해 사태 복구를 위한 병력을 파견하기로 했다.[2]그 결과, 미군 지상군은 한국군의 붕괴를 막기 위해 급히 배치되었다. 그러나, 그들 역시 체력이 부족하고 장비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 상태였으며, 8월 초에는 한국 공병대에 의해 부산 방어선으로 알려진 부산 주변 지역으로 강제 송환되었다.[3]비록 초기에는 미국의 주요 동맹국들인 영국, 캐나다, 호주도 군사력을 투입했지만, 이러한 군사력은 미국 내에서는 주로 징표적 노력으로 간주되었다.외교적 압력으로 영국은 7월에 보병여단을 배치하기로 합의했고, 이후 위기가 악화되자 2개 여단을 파견하기로 했다.[4]캐나다인들도 1950년 12월에야 1개 대대가 도착하겠지만 보병 여단을 제공하기로 합의했다.[5]총 21개 유엔 회원국들이 결국 힘을 보탰다.[6]
호주는 처음에는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이 이끌었던 유엔군에서 작지만 때로는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이 전투에 부대를 투입한 최초의 국가들 중 하나였다.[7]영국 영연방 점령군의 일부로 일본에 배치된 군대는 7월 2일 77함대 RAF의 P-51 무스탕 전투기가 첫 임무를 수행하며 호주군의 대응 기반을 형성했고, 호위함 HMAS 쇼알하븐과 구축함 HMAS 바탄도 해군 작전에 투입되었다.이 기간 동안 전쟁 발발 전 호주 귀환을 준비하던 제3대대대(3RAR)는 일본에 남아 있었으나, 7월 26일 호주 정부도 전투에 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준비의[7]훈련과 재장비는 즉시 시작되었고, 호주에는 K 포스의 일부로 수백 명의 증원군이 급히 모집되었다. 그들은 곧 대대를 채우기 위해 도착하기 시작했다.그 대대의 지휘관 플로이드 월시 중령은 그 후 찰스 그린 중령으로 교체되었다.제2차 세계대전 당시 뉴기니에서 일본군과 싸운 경험이 풍부한 장교였던 그린은 월시로부터 일본군의 인식 미숙으로 인계받았다.[8]
1950년 9월 23일, 3 RAR은 9월 28일 부산에서 한국으로 출발했다.그곳에서 영국 제27보병여단(British 27보병여단)에 합류했는데, 이는 8월 말 월튼 워커 중장의 휘하에 있는 미 8군을 증강하기 위해 부산 방어선을 중심으로 상황이 악화되자 영국군이 급히 홍콩에서 자행한 주둔군이다.[9]바질 코아드 준장이 지휘하는 이 여단은 제27대 영국연방여단으로 개칭되어 제1대대대, 아질·서덜랜드 하이랜드 연대(1ASHR), 제1대대대대, 미들섹스 연대(1MR), 제3 RAR로 구성되었다.체력이 약한 영국군 2개 대대는 각각 600명만 배치했고, 여단 역시 수송과 중장비가 부족했으며, 필수 포병 지원이 없어 1951년 1월 제16야전 연대인 로열 뉴질랜드 포병대가 도착할 때까지 미국군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이와 같이, 거의 1,000명에 가까운 병력의 힘으로, 3 RAR을 추가함으로써 여단은 전술적 무게를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호주인들이 미국의 형성에 애착을 가지기보다는 친숙한 조직적 환경 내에서 일할 수 있게 되었다.[10]또한 여단의 지휘 아래 90 야전포병대대의 155mm 함포병력, 89 탱크대대의 M4 셔먼 전차, 미 72 전투공병대대의 기업 등 다수의 미군 부대가 있었다.[11]
서곡
대립군

3 RAR이 극장에 도착할 무렵, 맥아더 부대가 인천에서 수륙 양륙작전을 성공적으로 전개하고 한반도 남쪽 끝의 부산 방어선에서 이탈하는 등 KPA가 부서지고 급속도로 후퇴하고 있었다.[12]북한 주민을 38선을 향해 북쪽으로 몰아가는 등 꾸준한 진격이 시작됐다.[9]제27영연방여단은 10월 5일 대구에서 서울 북쪽에있는 김포비행장으로 공수되었지만,그들의 차량은 420km(260mi)를 달리며도로로 이동해야 했고, 10월 9일까지 도착하지 않았다.It was subsequently attached to the US 1st Cavalry Division, under the command of Major General Hobart R. Gay. On 16 October the brigade took over from the US 7th Cavalry Regiment as the vanguard of the UN advance into North Korea, its axis intended to take it through Kaesong, Kumchon and Hungsu-ri to Sariwon, then through Hwangju to the North Kor평양의 수도비록 이전 몇 주 동안 KPA는 심한 고통을 겪었지만, 그들은 계속해서 강하게 저항했고, 반면에 정확한 지도 부족과 도로의 협소함은 전진하는 유엔군들에게 급속한 움직임을 어렵게 만들었다.이 기간 동안 3대의 RAR은 미국 M4 셔먼 전차를 부착하고 야전포 전지를 직접 지원했다.[13]
이어 영국 제27연방여단은 10월 17일 아길스 일행이 사리원을 포획하는 등 금촌에서 70km(43mi)를 이동, KPA 215명이 사망하고 1명이 사망하고 3명이 부상하는 등 많은 포로를 잡았다.[14]이어 여단은 10월 21일 존 H. 교회 소장의 총지휘 아래 미 24사단 사령부로 넘어갔고, 미 1기병사단은 평양에 남아 포획을 완료했다.[15]이어서 제27대 영국연방여단에게 청주를 점령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16]이에 따라 여단은 거의 한숨도 쉬지 않고 북쪽으로 계속 진격했고, 10월 22일 호주인들은 용주에서 첫 번째 대규모 행동을 벌여 한국군 150명을 사살하고 여단 800여명 중 239명을 포로로 잡아 7명의 부상자를 냈다.[17]KPA를 격파하고 전쟁을 종식시키려는 의도로 유엔군은 중국 국경의 압록강을 향해 밀고 나갔다.[18]그러나 여단이 청촌강을 건너자 저항은 계속되었고, 그들은 이제 박촌 쪽으로 이동했다.10월 24일 맥아더는 압록강 이남의 병력 이동에 대한 모든 제한을 해제하고 유엔 진격의 마지막 단계를 준비하면서 미국 합참의 지시에 반항하고 중국의 대북 지원 개입을 무릅썼다.[19]
미들섹스를 필두로 영국 제27연방여단의 선두 요소들이 10월 24일 신안주에 있는 무저항 총촌을 돌격선을 이용해 성공적으로 건넜다.그 후 영국 대대는 여단의 잔여 병력에 대비하여 본교가 내려다보이는 방어 위치를 구축하여 다음 날 진격을 계속하였다.[20]그러나 신안주의 도로와 철도교량 모두 이전에 파손되어 이후 차량과 무장이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고, 조류가 여단에 딸린 미국 기술자들의 경차 래프팅도 막았다.[21]한편 동쪽으로 5km(3.1mi) 떨어진 안주의 도로교도 한국 1사단이 마을로 진입할 때 파손된 것으로 드러났다.이 다리는 수리 후 10월 25일 제27대 영국연방여단의 경륜차량에 사용되었고, 이에 수반되는 셔먼 전차는 상류 4.8km(3.0mi)의 포드를 배치하여 그 지점에서 청촌을 건널 수 있었다.[22]겨울이 다가오면서 영국과 호주인들은 밤이 되면서 기온이 영하로 뚝 떨어지기 시작하면서 추운 날씨 중 첫 번째를 맞았다.그 결과 신안주를 떠나기 전, 목적에 맞게 디자인된 미국식 냉방 의류가 발행되었지만, 며칠 후 두 번째 발행물이 정리된 후에도, 공급 부족 상태의 주식은 소수의 남성들만이 장비를 받았다.[23]
전투
1950년 10월 25일 태룡강변에서 전투
그날 오후 코아드는 3 RAR에게 선두 재개를 명령하고, 태룡강 북쪽 15km(9.3mi)의 다음 주요 도시인 박촌을 향해 진격을 계속하라고 명령했다.[21]이후 호주인들은 미들섹스를 거쳐 D사 89탱크대대의 탱크를 지원받았다.[22]16:00 B 회사 3 RAR은 박촌에서 남쪽으로 3km(1.9mi) 떨어진 구진 마을에 이르렀고, 박촌까지의 주요 서해안 도로는 태룡강을 건너 서쪽으로 돌아서서 청주와 만주 국경 쪽으로 계속 나아갔다.그곳에서 호주인들은 300미터(330yd)의 콘크리트 다리의 중심경간이 KPA 엔지니어들에 의해 철거되어 강을 가로지르는 통로가 막혔다는 것을 발견했다.[21]어쩔 수 없이 서포트 컴퍼니 3 RAR의 3인치 박격포들은 대대에 간접적인 화력 지원을 할 수 있는 위치에 놓였다.[22]한편 다리 잔해에서 대충 만든 목재 사다리를 이용해 앨런 모리슨 중위가 지휘하는 4소대의 2개 구간이 멀리 떨어진 둑을 재조명하기 위해 나머지 B사와 탱크로 덮인 다리를 건넜다.[21][24]강 건너편에서 길은 물 위로 20m(22yd)나 가파르게 솟아 있는 능선을 통과했다.능선 기슭으로 진군한 후 50KPA가 언덕에서 나와 호주인들에게 항복했고, 거의 즉시 그들은 언덕에 숨어 있는 다른 KPA로부터 무겁지만 부정확한 공격을 받았다.항복한 KPA는 그 후 스크럽 속으로 흩어졌고, 호주인들은 다시 불을 뿜었다.[22]미국 공군(USAF) LT-6G 모기의 서부 은행을 넘어 정찰하는 모기의 경사진 항공기는 교두보가 내려다보이는 북쪽으로 KPA 업체 2곳의 존재를 보고했다.[25]
KPA가 고지를 장악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한 그린은 17시 15분부터 공습을 할 수 있도록 모리슨에게 다리를 건너 철수하라고 명령했고, 소대는 그렇게 한 대로 KPA 포로 10명을 데리고 왔다.[17]이어 USAF F-80 슈팅 스타 2명이 17시 30분까지 KPA 위치를 강 건너에 늘어뜨렸다.[26]그 후 A사와 B사는 서부 제방의 KPA 진지를 공격할 준비를 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그러나 황혼이 다가오면서 2차 공습을 막았고, 호주인들이 강을 건너는 보다 실질적인 추격을 하기 전에 미국 포병과 대대 박격포들에 의해 화재 계획이 마련되었다.[22][27]그 동안 그린도 호주의 오른쪽 측면을 보호하기 위해 D사를 박촌으로 보내 마을을 비웠으며, 월터 브라운 소령의 지휘 아래 그들은 17:00에 마을로 들어가는 것을 신고했다.[22]이후 D사는 18시 30분에 돌아와 다음날 사용할 손상된 해저 교량으로부터 포드를 건설하기 시작한 미국 기술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소대를 떠난 후 225명의 죄수들을 데리고 돌아왔다.[25][28]한편 KPA 기관총은 왼쪽에서 호주인들을 산발적으로 교전시켰고, 서쪽 둑에서는 KPA군의 집중력이 강한 것이 감지되었다.[25]
3 RAR이 교두보를 구축함, 1950년 10월 25일/26일
전진하는 8군단이 중요하게 여기는 이 다리를 두고, 호주인들은 강을 건너는 통로를 강제로 통과시키기로 결심했다.그러나 황혼이 지면서 D사 소대만이 박촌포드에서 보잘것없는 교두보를 잡고 있는 상황에서 그린은 다음날 아침 포드를 통해 강을 건너거나 그날 밤 다리를 건너 숙소를 시도할 수 있었다.[29]그는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기로 결심했고 19:00에 A와 B 회사들을 강 건너로 보내 교두보를 확보하고 KPA가 서부 제방에 대한 그들의 입지를 강화하고 공고히 하는 것을 막았다.[30]다시 끊어진 스팬을 이용하여 호주인들은 강을 건너 달빛에 둑을 등반한 뒤, 태룡에서 400m(440yd) 떨어진 산마루에 도로 양쪽에 방어 태세를 갖추었다.[18]그리고 나서 호주인들은 그들의 목표를 달성하면서 왼쪽에는 윌리엄 치츠 선장 휘하의 A 회사와 오른쪽에는 조지 스월웰 소령이 지휘하는 B 회사를 따라 산등성이를 따라 퍼져나갔다.의심할 여지 없이, 호주인들은 한국 경찰청이 철수했다고 의심했고, 여전히 겨울 의복은 거의 없이, 그리고 나서 97 킬로미터 (60 mi) 떨어진 만주로부터 불어오는 영하의 바람 속에서 그들은 파고들기 시작했다.[27]그린은 나머지 대대를 동쪽 둑에 배치했고, D사는 구진 부근 북쪽에, C사는 동쪽으로 신안주로 가는 길과 남쪽에 위치한 대대 본부를 논밭에 배치했다.[31]이후 미군 전차는 C사와 D사 양쪽에 배속되었고, 그들은 밤중에 대대에게 후방 경비를 제공했다.[27]
직후인 19시 30분 B사는 전방 공격을 준비 중인 중대 규모의 KPA 병력을 발견하고 박격포 사격을 불러모아 형체를 해체했고, 호주의 포위망을 막기 위해 다수의 전방 순찰을 철수해야 했다.[25][28][32]이에 대한 대응으로 KPA는 제한된 효과로 호주의 입장을 향해 박격포를 발사했다.[33]30분 후 KPA 포탄이 강 건너편 RAR 대대본부 3곳과 C사 자리를 덮쳤지만 회진은 논밭의 축축한 토양에 떨어져 폭발하지 못했다.주기적으로 기관총 사격의 표적이 되기도 했지만 대부분 높았고 위협은 거의 없었다.[27][31]아마도 또한 호주인들이 철수했다는 인상 아래, KPA는 그들의 공격을 압박하는 데 실패했다.[34]그러나 그들은 곧 자신들의 실수를 깨닫고 22시 30분에 A사와 B사에 대한 KPA 활동이 크게 증가하면서 다시 무거운 소형 무기 화재가 시작되었고, 그 결과 B 회사는 2명 사망과 3명의 부상을 입었다.[33]호주 오른쪽 측면은 이제 노출되었고, Thirlwell의 요청에 따라 Chitts는 B 회사를 보강하기 위해 John Watten 중위 휘하의 1개 소대를 분리했다.[35]23:00에 더 많은 포병과 박격포 발사 임무는 공격에 대비하여 새로이 집중된 집중력에 대응하여 KPA에 대항하는 호주인들의 명령을 받았다.[18]같은 무렵 콜린 타운젠드 중위 휘하의 8소대 C중대를 어둠 속에서 다리를 건너 보내 B중대를 더욱 보강하게 하고, 그들은 다리로 통하는 길 양쪽으로 파고들었다.[32][34]호주인들은 그들의 선도적인 회사에 전화선을 설치했고, 그 싸움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전투 내내 온전하게 남아 있었다.[35]
KPA 활동은 밤새 지속되었고, 이로 인해 A사와 B사에서 추가 사상자가 발생하였지만, 그들은 앞으로 나아가는 호주의 입장을 뚫을 수 없었다.사망자 중에는 와튼이 있었는데, 그의 소대는 노출된 B 회사의 위치를 취재하기 위해 움직인 후 KPA의 공격을 받아 다른 호주인 몇 명도 부상을 당했다.[35]한편, 저녁 동안에 3 RAR 돌격 선구자 소대 또한 강 동쪽 둑에 있는 작은 KPA 무기 저장소를 발견하여 파괴했다.[27]호주인들은 그들의 사상자를 포워드 회사들로부터 대피시키려 했고, 비록 이것이 비교적 가볍지만, 그 일은 위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36]다리가 아직 내려져 있는 상태에서 부상자들은 손으로 들것에 실어 끊어진 경간까지 운반한 뒤 미국 기술자들이 빌린 보트로 6m(20피트)를 낮춰야 했다.그 배는 밧줄에 의해 강 동쪽 둑으로 옮겨졌고, 그곳에서는 사상자들이 지프 구급차에 실려 있었다.[37]여러 가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상자들은 때때로 작은 무기 화재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수단으로 성공적으로 대피했다.그러나 01시경에 최종 부상자를 대피시키던 중 KPA 저격수들에게 다시 공격을 받아 콘크리트 더미에 휩쓸려 침몰했다.부상당한 병사는 빠르게 흐르는 태룡강으로 떨어졌고, 3 RAR 대대장 토마스 머레이 하사는 그 후 얼어붙은 물속으로 뛰어들어 그를 구출했다.머레이는 후에 그의 행동으로 조지 훈장을 받았다.[33][38]
KPA SU-76 자주포가 가끔 갑옷 피어싱으로 구진에게 포격을 가했지만, 저녁 시간 동안 탱크가 탐지되었다는 보고는 없었다.[36]그러나, 10월 26일 04:00에 한국 공군은 T-34 탱크의 지원으로 호주 회사들에게 반격을 가했다.[18]뒤이어 KPA 차량 호송대와 T-34 전차, 지프 2대, 오토바이 1대, 보병 60여 명이 호주인의 처지를 모를 듯 강을 건너고 내려다보이는 능선을 다시 점령할 생각으로 A사를 향해 길을 내려갔다.[32][34]호주인들은 전체 병력이 그들의 사격장 안에 있을 때까지 그들의 불을 잡고 있다가 브렌 경 기관총, 소총, 수류탄, 박격포에서 나오는 작은 무기들로 그것을 가까운 거리에서 격파했다.이어 호송차는 뿔뿔이 흩어졌고 대한공수련은 탱크만 탄 차량을 버리고 탈출에 성공했다.[18]KPA 전사자 중에는 17전차여단 정찰부대 지휘관인 김인식 중령이 다수의 지도와 문서를 들고 있었다.[39]이 항목들은 상당한 지능적 가치를 지녔으며 한국기원이 70km(43mi) 떨어진 청주에서 탱크의 지원을 받으며 마지막 방어선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37]
이후 또 다른 KPA T-34 탱크와 보조 보병들이 B사 본사에서 10m(33ft) 이내로 압입한 뒤 멈춰서 호주인들의 위치를 여전히 모르고 능선 사이의 위치를 잡았다.[32]그러나 호주 보병들이 신형 M20 3.5인치 바주카로 탱크와 교전하려는 시도는 무기가 잘못 발사된 후 실패했고, 이후 사정거리를 벗어났다.그 후 탱크는 효과 없이 밤새도록 아무렇게나 계속 발포했다.[34]예비군인 C사는 이후 B사가 사용하는 바주카들을 교체하기 위해 다수의 바주카들을 전진 배치하기 위해 전투 중 잠에서 깨어났다.[27]그러나, KPA 무기와 첫 밀접하게 관계를 맺으면서, 호주인들 중 일부는 흥분한 나머지 바주카들의 안전 어획물을 사격 위치로 옮기는 것을 잊어버렸을 가능성이 있었다.[36]확고한 지시에 따라 바주카들은 다음 며칠 동안 탱크와의 여러 번의 접촉에서 3 RAR에 의해 좋은 효과를 거두기 위해 사용되었다.[39][Note 1]그럼에도 불구하고, 탱크에 장착된 보병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한국 공군은 호주인들을 퇴치하는데 필요한 조직화된 공격이나 조정된 공격을 수행할 수 없을 것 같았고, 그들은 나머지 밤 동안 상대적으로 의심받지 않았다.[40]
제27차 영국연방여단 통합, 1950년 10월 26일
새벽녘까지 호주인들은 여전히 태룡을 가로지르는 교두보를 점령하고 있었다.[18]이후 위치 앞에서 파손되지 않은 KPA 차량이 대거 발견돼 곧 운행에 들어갔다.[41]07:00에 USAF F-80s의 추가 공습이 3개의 RAR 위치의 서쪽까지 능선을 잡고 있는 KPA에 호출되었고, 이후 그들은 스트레이트로 묶여 네이팜으로 공격당했다.보도된 방법이 명확해진 가운데 C사와 D사는 이날 오전 늦게 동부 제방으로부터 강을 건넜다.[33]이어 C업체는 도로 왼쪽 A업체에서 수백m 전방으로 방어 자세를 취했고, D업체는 박촌에서 강을 건너 2km(1.2mi) 전진해 대대 오른쪽의 우거진 언덕을 점령했다.[41]D사의 4명의 사상자를 낸 전날 저녁의 한국 공보원의 괴롭힘에도 불구하고, 박촌의 미국 기술자들은 수중 다리에서 작업을 계속했고 셔먼 전차는 여전히 바퀴 달린 차량으로는 물이 너무 깊다고 생각되었지만, 그날 아침 11시까지 그곳을 건널 수 있었다.[42]
전투는 오전 중에 계속되었으나, 12시가 되자 한국교원회가 마침내 철수하여 호주인들에게 다리를 내주었다.[43]한편 코아드는 태룡강 건너편 아질스호에서 온 두 회사를 박촌포드의 탱크에 올려놓았고, 그들은 약간의 반대만 만났다.그리고 미들섹스는 그들을 통과하여 남서쪽으로 이동하여 3 RAR 앞의 간선도로로 이동하여 진격을 막고 있던 KPA 탱크를 쓰러뜨렸다.[41][42]해질녘이 되자 그들은 호주인들과 연계하여 그들의 위치를 공고히 하고 그날 저녁 뒤따르던 바퀴 달린 차량을 포함하여 여단의 나머지 사람들을 안전하게 건널 수 있게 되었다.[43]KPA 순찰대는 영국과 호주 전초기지를 괴롭히려고 시도했지만, 그들의 경계선이 봉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27대 영국 영연방 여단에게는 비교적 조용한 밤인 것으로 판명되었다.[36]
여파
사상자
호주인들에게 구진에서의 전투는 '파손된 다리의 전투'로 알려지게 되었고, 그 결과 대룡강을 가로지르는 교두보를 확보하게 되어 제27영연방여단이 압록강을 향해 진격할 수 있게 되었다.KPA 사상자는 100명이 사망하고 350명이 생포된 반면, 한국에서의 첫 전투 사망자가 포함된 호주군은 8명이 사망하고 22명이 부상했다.[18]사망자들은 이후 박촌의 한 기독교 교회 묘지에 매장됐다가 나중에 평양의 묘지로 옮겨졌다.[41]호주인들에게 붙잡힌 사람들 중에는 적어도 한 명의 중국군 병사가 있었고, 비록 이것의 중요성이 당시에는 인식되지 않았지만, 그것은 의심할 여지 없이 나중에 전쟁의 진로를 바꿀 사건들의 징조였다.[44]실제로 10월 마지막 주 동안 중국인들은 펑더웨이 총사령관의 총지휘 아래 인민의용군 18개 사단을 압록강을 가로질러 이동시켰다.한미 정보당국의 눈에 띄지 않은 13군단은 10월 16일 국경을 넘어 최대 100km(62mi)까지 침투했다.[45][46]
후속 작업
한편 10월 27일 미들섹스는 여단의 진격을 계속하여 용송리 마을 인근 강 서쪽 야산에서 날카로운 전투를 벌여 KPA 35명을 사살하고 80명의 포로를 포로로 잡았으며, 미국 항공기는 KPA T-34 전차 10대와 SU-76 자주포 2발을 격파했다.[43][47]다음 날 아질스가 선두 대대로 부임했다.정보는 영국과 호주인, 그리고 비록 대한 석유 협회는 태룡 강에 대한 이전의 전쟁 중 많은 사상자가 났었다, Coad 지금 결과로 좀 더 신중한 전술을 채택하도록 강요당했다, 짧은 범위에 진출하고 도중에 높은 점수를 거둬 대한 석유 협회 17일 탱크 여단, 20연료 탱크가 장착에 직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8]제27차 영국연방여단이 3일간 청주를 향해 KPA를 계속 추격했지만, 만주 국경의 압록강에 접근하면서 탱크와 자주포를 지원하며 KPA 보병대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혔다.[19]
3 RAR은 10월 29일 청주에서 6킬로미터(3.7미) 떨어진 여단의 선두 대대로 취임했다.그날 아침, 한 항공기가 여러 대의 탱크와 적어도 두 개의 자주포 2발을 지원하는 500-600명 규모의 대대 규모의 KPA 편성을 보고했는데, 이 편대는 충주 주변의 울창한 산등성이에 배치되어 있었다.[33]이어 호주인들이 강력한 KPA 기갑부대를 탈환한 뒤 저녁 시간 동안 KPA 반격에 맞서 진지를 방어하면서 청주 전투가 이어졌다.[49]
메모들
각주
- ^ 바틀렛과 파라르-호클리는 이번 무기 오발사고의 실제 원인에 대해 약간의 추측이 있는 반면, 다른 소식통은 호주인들이 흥분한 상태에서 안전 어획물을 옮기는데 실패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34][36] 다른 소식통들은 이것이 무기의 섬세한 발사 메커니즘에 의해 요구되는 조작자 유지보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결과라고 주장한다.[39]실화는 무기의 발사 메커니즘이 고장 난 결과였을 가능성이 크다.로켓 모터의 발화는 권총 손잡이에 위치한 발전기에서 전자적으로 일어났다.그러나 발전기를 보존하기 위해 공장에서 나온 후 기름으로 잔뜩 채워져 가동을 억제했다.운용에 앞서 그리스 제거에 용제를 사용해야 했으며, 3 RAR에 공급했지만 대대의 섣부른 전개 준비로 혼동된 상태에서는 사용하지 않았다.일단 이것이 발견되면 그리스는 제거되고 무기는 제대로 작동하는 것으로 밝혀졌다.[40]
인용구
- ^ 맥도날드 1986, 페이지 30.
- ^ 데니스 외 2008, 페이지 300–302.
- ^ 맥도날드 1986, 페이지 39.
- ^ 맥도날드 1986 페이지 39-40.
- ^ 존스턴 2003, 페이지 55.
- ^ 오닐 1985년, 페이지 706.
- ^ a b 데니스 외 2008, 페이지 302.
- ^ 오도드 2000, 페이지 3.
- ^ a b 1992년, 페이지 8.
- ^ 호너 2008, 페이지 57.
- ^ 파라-호클리 1990, 239페이지.
- ^ 호너 2008, 페이지 58.
- ^ 호너 2008, 페이지 58~61.
- ^ 콜타드-클라크 2001, 257페이지.
- ^ 갤러웨이 1999, 페이지 67.
- ^ 패러-호클리 1990, 248페이지.
- ^ a b 콜타드-클라크 2001, 258페이지.
- ^ a b c d e f g 콜타드-클라크 2001, 259페이지.
- ^ a b 호너 2008, 페이지 62.
- ^ 파라-호클리 1990, 페이지 252–253.
- ^ a b c d 오닐 1985, 페이지 41.
- ^ a b c d e f 파라-호클리 1990, 페이지 254.
- ^ 갤러웨이 1999, 페이지 79.
- ^ 오소리 2009, 페이지 46.
- ^ a b c d 바틀렛 1960, 페이지 32.
- ^ "Kujin/Broken Bridge 25–26 October 1950". Out in the Cold: Australia's Involvement in the Korean War. Australian War Memorial.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July 2009. Retrieved 18 August 2009.
- ^ a b c d e f 오닐 1985, 페이지 43.
- ^ a b 오소리 2009, 페이지 47.
- ^ 오도드 2000, 페이지 12.
- ^ 갤러웨이 1999 페이지 83.
- ^ a b 갤러웨이 1999, 페이지 84.
- ^ a b c d 오도드 2000, 페이지 13.
- ^ a b c d e 오소리 2009, 페이지 48.
- ^ a b c d e 바틀렛 1960, 페이지 33.
- ^ a b c 갤러웨이 1999, 페이지 85.
- ^ a b c d e 파라-호클리 1990, 페이지 255.
- ^ a b 갤러웨이 1999, 페이지 87.
- ^ "No. 39265".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19 June 1951. p. 3411.
- ^ a b c 오닐 1985, 페이지 44.
- ^ a b 갤러웨이 1999, 페이지 86.
- ^ a b c d 오닐 1985년, 페이지 46.
- ^ a b 파라-호클리 1990, 256페이지.
- ^ a b c 바틀렛 1960, 페이지 34.
- ^ 바틀렛 1960, 페이지 37.
- ^ 오닐 1985년 페이지 55-56
- ^ 중국 군사 과학 아카데미 2000 페이지 90.
- ^ 파라-호클리 1990 페이지 256–257.
- ^ O'Neill 1985, 페이지 44-46.
- ^ 콜타드-클라크 2001, 페이지 259–260.
참조
- Bartlett, Norman, ed. (1960). With the Australians in Korea (Third ed.). Canberra, Australian Capital Territory: Australian War Memorial. OCLC 488462542.
- Breen, Bob (1992). The Battle of Kapyong: 3rd Battalion, the Royal Australian Regiment, Korea 23–24 April 1951. Georges Heights, New South Wales: Headquarters Training Command. ISBN 0-642-18222-1.
- Chinese Military Science Academy (2000). History of War to Resist America and Aid Korea (抗美援朝战争史) (in Chinese). Vol. II. Beijing: Chinese Military Science Academy Publishing House. ISBN 7-80137-390-1.
- Coulthard-Clark, Chris (2001). The Encyclopaedia of Australia's Battles (Second ed.). St Leonards, New South Wales: Allen & Unwin. ISBN 1-86508-634-7.
- Dennis, Peter; Grey, Jeffrey; Morris, Ewan; Prior, Robin; Bou, Jean (2008). The Oxford Companion to Australian Military History (Second ed.). Melbourne, Victoria: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51784-2.
- Farrar-Hockley, Anthony (1990). The British Part in the Korean War: A Distant Obligation. Vol. I. London, England: HMSO. ISBN 0-11-630953-9.
- Gallaway, Jack (1999). The Last Call of the Bugle: The Long Road to Kapyong (Second ed.). St Lucia, Queensland: University of Queensland Press. ISBN 0-7022-3106-1.
- Horner, David, ed. (2008). Duty First: A History of the Royal Australian Regiment (Second ed.). Crows Nest, New South Wales: Allen & Unwin. ISBN 978-1-74175-374-5.
- Johnston, William (2003). A War of Patrols: Canadian Army Operations in Korea. Vancouver, British Columbia: UBC Press. ISBN 0-7748-1008-4.
- MacDonald, Callum A. (1986). Korea: The War Before Vietnam. New York City, New York: Free Press. ISBN 0-02-919621-3.
- Odgers, George (2009). Remembering Korea: Australians in the War of 1950–53. Chatswood, New South Wales: New Holland Publishers (Australia). ISBN 978-1-74110-807-1.
- O'Dowd, Ben (2000). In Valiant Company: Diggers in Battle – Korea, 1950–51. St Lucia, Queensland: University of Queensland Press. ISBN 0-7022-3146-0.
- O'Neill, Robert (1985). Australia in the Korean War 1950–53. Combat Operations. Vol. II. Canberra, Australian Capital Territory: Australian War Memorial. ISBN 0-642-04330-2.
추가 읽기
- Forbes, Cameron (2010). The Korean War: Australia in the Giants' Playground. Sydney, New South Wales: Macmillan. ISBN 978-1-405040-01-3.
좌표:39°42′34″N 125°34′08″E/39.70944°N 125.56889°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