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루족
Buru people![]() 1900년대 초반 민속 의상을 입은 부루족들 | |
총인구 | |
---|---|
35,000 | |
인구가 많은 지역 | |
![]() | |
언어들 | |
술라부루어(부루어), 인도네시아어 | |
종교 | |
이슬람, 기독교, 애니즘 | |
관련 민족 | |
리셀라, 카예리, 암벨라이 |
부루족(인도네시아어:수쿠부루)는 인도네시아의 부루 섬과 다른 말루쿠 제도에 주로 사는 민족이다.그들은 또한 자신들을 "세계의 사람들" 또는 "땅의 사람들"이라는 뜻의 "게브후카" 또는 "게브엠리아르"라고 부르기도 한다.부루족은 인도네시아 동부의 인류학 그룹과 관련이 있으며 민족지학적 관점에서 부루 섬의 다른 원주민들과 유사하다.그들은 부루어를 [1][2]사용합니다.
분배
약 35,000명의 부루족 중 33,000명이 부루 섬에 살고 있다; 그들은 섬 인구의 약 4분의 1(2009년 현재 약 135,000명)을 차지하며 가장 많은 부루 민족이다; 약 2,000명은 암본 섬에 살고 수백명은 인도네시아 말루쿠 지방의 다른 섬들과 수도 자카르타에 흩어져 있다.네덜란드에는 South Moluccas(인도네시아어:1950년 [2]인도네시아에서 자칭 국가가 된 후 그곳으로 이주한 Republik Maluk Selatan).
북부 해안의 일부와 인구가 적은 중부 산간 지역을 제외하고, 부루 사람들은 부루 섬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그들의 [3]상대적인 비율은 다른 인도네시아 민족들의 유입으로 인해 Namrole과 Namlea와 같은 마을에서 다소 낮다.17세기 중반 네덜란드가 섬을 식민지화한 초기, 부루 부족의 많은 귀족들이 동부로 이주했고, 후에 카예리 [4]민족의 민족 형성에 한 요소가 되었다.부루족에는 라나족(주로 섬 중부에서 14,258명), 마사레테족(주로 남쪽에서 9,600명), 와에사마족(주로 남동부에서 6,622명), 포기족(서부에서 [3]약 500명) 등 여러 민족이 있다.
언어
이 민족은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의 [2]중앙말루쿠어파에 속하는 부루어를 사용한다.라나, 마사레테, 와에사마의 주요 민족에 따라 세 가지 방언이 구별된다.게다가, 3,000명에서 5,000명의 라나 사람들이 그들의 주요 방언과 함께 소위 "비밀 방언"인 리가한을 사용합니다.서양 사투리 포기는 이제 [5]멸종되었다.사투리 사이의 어휘 차이는 비교적 작다: 마사레테와 와에사마의 약 90%, 마사레테와 라나의 88%, 와에사마와 라나의 80%.모국어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부루족, 특히 해안 지역과 마을의 부루족은 인도네시아어라는 공용어를 구사할 수 있습니다.연안 인구는 또한 말레이어의 크레오화된 형태인 암보네즈어를 사용하며 현지 어휘를 [1][2]추가한다.
종교
종교적으로, 부루족은 섬 북쪽에 주로 사는 수니파 이슬람교도들과 남쪽의 기독교 개신교도들과 비슷한 비율로 나뉜다.전통적인 지역 신앙의 잔재가 거의 모든 곳에서 지속되고 있으며, 섬의 중심부 지역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최고신 오포 헤베 스눌라트와 그의 전령 나비아트의 [6]숭배를 공공연히 공언하고 있습니다.1990년대 경제위기는 종교적 근거를 둘러싼 부루족의 잦은 갈등을 야기했다.그래서 1999년 12월 며칠 안에 43명이 사망하고 적어도 150채의 집이 불에 탔다.[7][8]
라이프스타일
대부분의 부루 사람들은 쌀, 기장, 사고, 고구마 그리고 향유에 사용되는 올스파이스, 육두구, 유칼립투스 나무와 같은 다양한 향신료 농사에 종사한다.내륙에서는 야생돼지 부루바비루사, 사슴, 주머니쥐 등을 사냥하고 해안에서 [1]참치잡이에 참가한다.도시에서는, 산업 [9]기업에 종사하는 부루족이 증가하고 있다.전통적인 부루 집은 대나무로 만들어지는데, 종종 기둥에 얹혀 있다.지붕은 야자수 잎이나 갈대로 덮여 있고 기와가 점차 인기를 끌고 있다.전통적인 부루 의상은 다른 많은 인도네시아 사람들과 비슷하다.남자는 사롱(킬트의 일종)과 롱 스키트의 튜닉을 입고, 여자는 사롱과 짧은 재킷을 입는다.그러나 마사레테, 와에사마, 라나에 따라 색상과 장식품이 상당히 다르다.전통적인 부루 무기는 곧은 칼과 짧은 창이다.과거에, 부루 사냥꾼들은 창 던지기 [10]기술로 유명했다.무슬림이나 기독교 이름과 함께 부루족도 전통적인 이름을 사용하며, 가장 흔한 것은 레스누사, 라트부알, 누르라투, 레할리마, 와엘, 시그마르라투입니다.
레퍼런스
- ^ a b c "Buru people" (in Russian). Encyclopedia of people and religions of the world. Retrieved 18 May 2010.
- ^ a b c d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Buru: A language of Indonesia (Maluku)".
- ^ a b "Buru Island 6 Trib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10-11.
- ^ Thomas Reuter (2006). Sharing the Earth, Dividing the Land: Land and Territory in the Austronesian World. ANU E Press. p. 144. ISBN 19-209-4270-X.
- ^ 토마스 에드워드 더튼, 대럴 T. 트라이언 언어의 접촉과 오스트로네시아 세계의 변화, Walter de Gruyter (1994) ISBN 3110127865 페이지 276 ff
- ^ Tetalogi (2015). "Animisme dan Dinamisme di Indonesia dan Suku-Suku yang Masih Menganutnya". Boombastis. Retrieved 21 April 2018.
- ^ "KMP — Kerusuhan Pecah" (in Indonesian). Hamline University. 22 December 199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09-16.
- ^ "KMP — Pertikaian di Buru Selatan, Tiga Tewas" (in Indonesian). Hamline University. 28 February 200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09-07.
- ^ Thomas Reuter (2006). Sharing the Earth, Dividing the Land: Land and Territory in the Austronesian World. ANU E Press. pp. 150–153. ISBN 19-209-4270-X.
- ^ Muhammad Asri Amin (20 September 2014). "Memelihara Calon Istri sejak Bayi". Kompa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March 2016. Retrieved 7 March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