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자르족

Banjar people
반자레스
  • 우랑반자르
  • اورڠ بنجر
  • 갈암방 반자르
  • ݢلمبنڠ بنجر
PengantinBanjar.jpg
인도네시아 남칼리만탄있는 반자르족 전통 의상(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바가지야 가무링 바울루루트, 바바주 갈루 파시난, 바마르 갈룽 판카 수리야)을 입은 세 커플
총인구
570만
인구가 많은 지역
인도네시아4,440,440 (2010)[1]
남칼리만탄2,686,627
중부 칼리만탄 주464,260
동칼리만탄 주440,453
리아우227,239
북수마트라 주125,707
잠비102,237
서칼리만탄14,430
동자바12,405
리아우 제도11,811
서자바 주9,383
자카르타8,572
말레이시아27,000[citation needed]
싱가포르8,210[citation needed]
언어들
종교
관련 민족

Banjare 또는 Banjarese (Banjare:우랑반자르(Urang Banjar)는 인도네시아 [1]남동부 칼리만탄 반구에 있는 반자르 지역(특히 반자르마신, 반자르바루, 반자르 리젠시 등)의 토착 민족이다.오늘날, 반자르 디아스포라는 코타바루 리젠시, 중앙 칼리만탄의 남동부 지역, 동 칼리만탄의 최남단 지역, 그리고 인도네시아의 일부 지방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Banjarese 디아스포라 공동체는 브루나이, 말레이시아(특히 사바페락), 싱가포르[2]같은 인도네시아 인접 국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어원학

어원적으로, 반자르라는 단어고대 자바어에서 유래 마안어의 잔야와이 방언에서 유래했다.처음에는 자바인들칼리만탄 남동부 지역에 도착해 문명을 확립했을 때 이미 자반화 된 마안족, 메라투스 다야크족, 은가주족식별하는 데 사용된다.자바어로 반자르(banjar)라는 용어 자체는 문자 그대로 "분리하여 재배치하다"는 뜻의 동사 mbanjarke의 짧은 형식이다.남부 칼리만탄 지역 사회에서는 반자레스 사람들이 한때 더 다야크 지역 사회의 일부였다는 것은 '공통 비밀'이다.

역사

말레이조족은 기원전 2500년에 보르네오로 이주했고 다야크족의 조상이었다.기원전 2500년에 독일계 말레이시아인들이 보르네오로 이주했다.수마트라에서 온 말레이인들은 서기 400년에 보르네오로 그들의 문화를 가져왔다.그 문화의 융합으로 상부 반자르어가 탄생했다.그 후 520년에 말레이인들은 현재[3][4]타발롱 탄중 지역에 탄중푸리 불교 왕국을 형성했다.

서기 937년, 엠푸 잣미카는 [5]타핀 강 옆에 힌두 왕국인 네가디파를 건설했다.이것이 남칼리만탄의 자바식 법정의 시작이었다.남칼리만탄의 힌두 시대는 남칼리만탄의 역사에서 가장 기억되는 기간으로 남아있었다.네가라 디파의 영광은 서기 [6]1400년 네가라 다하 힌두 왕국에 의해 계승되었다.

역사에 따르면, Negara Daha 왕국의 정당한 상속자인 사무데라 왕자는 그에 [7]대한 삼촌의 반란 때문에 궁궐에서 도망쳐야 했다.그는 반다르 마시(Bandar: port, Masih: Malay people)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졌다.데막의 술탄국의 지원을 받은 그는 1526년 반다르 마시흐를 [8]수도로 하여 새로운 이슬람 반자르 왕국을 형성하였다.반다르 마시라는 이름은 나중에 현재의 반자르마신으로 바뀌었다.

19세기 이후 반자르족의 이주는 수마트라와 말레이시아동쪽 해안까지 이어졌다.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서는 반자르네족이 말레이계 민족으로 분류된다.

하위 민족

반자르족은 말레이시아인, 현지 다야크족(다약 부킷, 다약 마안얀, 다약 라완간, 다약 은주, 다약 바랑가스, 바쿰파이)과 자바인 사이의 동화의 위치에 따라 세 개의 민족으로 나눌 수 있다.

  1. 메라투스 산맥 상류의 계곡에 사는 반자르네 파훌루안족입니다.
  2. 네가라 강가의 계곡에 사는 반자르 바탕 반유족입니다.
  3. 반자르마신과 마르타푸라에 사는 반자르 쿠알라족.

언어

아랍어 기반 스크립트로 작성된 Banjarese Wikipedia 에디션 로고

Banjarese 사람들의 모국어는 Banjarese 언어(Basa Banjar; Jaku Banjar)이며, 주로 칼리만탄 남동부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입니다.반자레어는 특히 남칼리만탄에서 다양한 원주민 커뮤니티를 위한 사실상언어 프랑카이며, 중앙칼리만탄(특히 스루얀 리젠시와 수카마라 리젠시)과 동칼리만탄에서도 사용된다.

샘플 텍스트

세계 인권 선언

다음은 반자르어로 된 세계인권선언문과 영문으로 된 원본 선언문이다.

영어[9] 반자레스
세계 인권 선언 프라냐탄 학우랑 바라타안
제1조 우자 1호
모든 인간은 자유롭고 존엄성과 권리에서 평등하게 태어났다.그들은 이성과 양심을 타고났으며 형제애의 정신으로 서로에게 행동해야 한다. 사갈라 우랑 히푸트 바바르 사팔라 각성 바라타안.우랑산야안디바리누가라하바아칼마이군가칸,한닥바카와수망갓사파딩단.

간단한 대화

다음은 Banjarese 언어로 간단한 대화를 하는 예입니다.

반자레스 사파 은가란 이캄?
영어 네 이름이 뭐니?
반자레스 은가란 울룬...
영어 제 이름은,
반자레스 울룬한닥바일랑카시딘
영어 가보고 싶다

종교

대부분의 Banjarese는 이슬람 신봉자들이다.이슬람교는 15세기경 [4]남칼리만탄 지역에 처음 들어왔습니다.

요리.

Dayaks와의 관계

사상간은 반자르족이 전통 의식에서 사용했던 청동 그릇이다.

Banjar 사람들과 이웃 Dayaks 사이의 관계는 항상 좋았다.이슬람으로 개종한 일부 다야크인들 또한 반자르 문화에 동화되어 자신들을 반자르라고 부른다.Dayaks는 또한 Banjars를 그들의 형제자매로 생각한다.이것은 왕족들 사이에서도 반자르족과 데이악족 사이에 많은 혼인이 있다는 사실로 더욱 강화된다.예를 들어, 반자르 왕의 부인인 비앙 라와이는 다약 은주족이었다.이것은 반자르 왕들과 왕비들이 그들의 혈통에 다약 혈통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Meratus Dayak 전설에 따르면, Banjarese와 Meratus는 Meratus Dayak의 조상인 Datung Ayuh나 Sandayuhan의 친척 형제인 Bambang Bassiwara나 Bajarese의 조상인 Intingan의 후손이다.전설에서 산다유한은 강하고 싸움을 잘하는 반면, 인틴간은 체격이 약하지만 지능이 더 높다.이 관계는 두 민족이 18세기에 네덜란드의 식민화에 직면했을 때 강해졌다.반자르 전쟁에 관련된 전사들 중 일부는 다야크 민족이거나 다야크 혈통을 가지고 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Kewarganegaraan, Suku Bangsa, Agama, dan Bahasa Sehari-hari Penduduk Indonesia (Hasil Sensus Penduduk 2010) [Citizenship, Ethnicity, Religion, and Languages of the Indonesian Population (Results of the 2010 Population Census)] (in Indonesian), Jakarta: Central Bureau of National Statistics of the Republic of Indonesia, 2010, ISBN 978-979-064-417-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
  2. ^ "Etnik Banjar Di Perak" (in Malay). The Malaya Post. 7 December 2020.
  3. ^ M. Suriansyah Ideham (2007). Urang Banjar Dan Kebudayaannya. Pemerintah Propinsi Kalimantan Selatan. ISBN 978-979-98892-1-8.
  4. ^ a b Minahan, James (2012). Ethnic Groups of South Asia and the Pacific: An Encyclopedia. ABC-CLIO. pp. 28–29. ISBN 978-1-59884-659-1.
  5. ^ H. Iberamsyah Barbary (2015). Bayu Novri Lianto (ed.). 1001 Gurindam. EnterMedia. ISBN 978-979-780-783-2.
  6. ^ Deni Prasetyo (2009). Mengenal Kerajaan-Kerajaan Nusantara. Pustaka Widyatama. ISBN 978-979-610-309-6.
  7. ^ Ahmad Gazali Usman (1989). Urang Banjar Dalam Sejarah. Lambung Mangkurat University Press. ISBN 979-8128-16-8.
  8. ^ Mohamad Idwar Saleh (1981). Banjarmasih: Sejarah Singkat Mengenai Bangkit Dan Berkembangnya Kota Banjarmasin Serta Wilayah Sekitarnya Sampai Dengan Tahun 1950. Museum Negeri Lambung Mangkurat, Propivsi [i.e. Propinsi] Kalimantan Selatan. OCLC 19940334.
  9. ^ "OHCHR -". www.ohchr.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August 2016. Retrieved 16 August 2016.

추가 정보

  1. 드 브윈, W.K.H.F.; Bijdrage tot de kennis van de Afdeeling Hoeloe Sengai, 19-.
  2. 브로어스마, R.1927년 S'Gravenhage, G. Naff, Zuiz Oost 보르네오의 Handel en Bedrijf.
  3. Eisenberger, J.; Kroniek de Zuider en Ooster Afdeeling van Borneo, Bandjermasin, Drukkerij Lim Hwat Sing, 1936년.
  4. A.H.K. 본단; Suluh Sedjarah Kalimantan, Padjar, Banjarmasin, 1953.
  5. 라스, JJ;N.V. de Ned. 말레이 히스토그래피 연구서 Hikajat Bandjar.Boken, Steen Drukkerij van H.L. Smits S'Graven Hage, 1968년
  6. 히케렌, C. 밴Helen, Hazen en Honden Zuid Borneo 1942, Den Haag, 1969.
  7. 리우트, 치리크, 칼리만탄 메망길, 페네르빗 엔사이저드, 자카르타.
  8. 살레, 이드와르; 세자라 대라 테마티스 자만 케방키탄 나시온(1900~1942) di Kalimantan Selatan, 자카르타, 뎁딕부드, 1986.

외부 링크

  • Wikimedia Commons의 Banjar 관련 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