팍팍족

Pakpak people
팍팍족
바타크 팍팍 / 팍팍 다일리
총인구
1,200,000[1]
모집단이 유의한 지역
인도네시아(북수마트라 & 아체)
언어들
바탁다라이어, 인도네시아어
종교
수니파 이슬람교 50.3%, 개신교 44.4%, 가톨릭 5%, 전통 신앙[2]
관련 민족
시말룽군족, 나이아족

팍팍족(Pakpak Daii people)은 인도네시아 북수마트라에서 주로 발견되는 바탁족(Hence, 일명 바탁박박박박박족)의 한 민족이다. 이들다일리 리젠시, 팍팍 바라트 리젠시, 험방 하순다탄 리젠시, 북부 수마트라중앙 타파눌리 리젠시북수마트라아체 지역의 몇몇 섭정과 도시에 흩어져 있으며, 아체 싱킬 리젠시수불루살람에도 분포하고 있다.

행정 통치에서 대부분의 팍팍족은 북수마트라 다일리 섭정에 정착하였고, 이후 2003년 7월 28일 두 개의 섭정으로 성장하였다.[3]

팍팍족은 11세기 스리비자야 왕국을 공격한 인도초라 왕국 군인들의 후손일 가능성이 크다.[4]

하위 윤리학

GKPPD는 다이리 인민 교회로, 일반적으로 다이리 섭정에 위치한다.

팍팍족은 5개의 아민족 집단 또는 지역 용어로는 팍팍 실리마 수아크([5]Pak Silima Suak:

팍팍 성

팍팍 성은 다음과 같다.

  • 아나캄펀
  • 앙카트
  • 바코
  • 뱅신
  • 바누레아
  • 베람푸
  • 베라사
  • 베링인
  • 베루투
  • 빈탕
  • 보앙마날루
  • 카파
  • 시브로
  • 가자마니크
  • 가자
  • 카베아켄
  • 케소기헨
  • 칼로코
  • 콤비
  • 쿠다디리
  • 링가
  • 마하
  • 마하라자
  • 마니크
  • 마타나리
  • 메카
  • 마이방
  • 파당
  • 파당바탕하리
  • 파시
  • 페나리크 피나윤간
  • 라민
  • 삼보
  • 새런
  • 시켓탕
  • 시나모
  • 시타카르
  • 솔린
  • 사잉 시
  • 건당
  • 티남부난
  • 티넨둥 시
  • 투망거
  • 투루탄
  • 우정

사회

팍팍족은 사회구조에 얽매여 있는데, 이를 지방용어로 술랑실리마라고 한다. sulang silima)라고 한다. 술랑실리마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6]

  • 시나 테르투아(페리상 이상, 후손 또는 기성세대)
  • 시나 페넨가 (Pertulan Tenga, 후손 또는 중세대)
  • 시나 터붕수(페레쿠르-에쿠르, 최연소 세대)
  • 베루 (가족으로 여자를 받는 킨스맨)
  • 푸앙(여자를 다른 가정에 주는 킨스맨)

이러한 요소들 중 5가지는 특히 친족제도와 전통 의식에서, 단일 성씨 기반 공동체(Lebuh) 또는 마을 기반 공동체(Kuta)의 맥락에서, 삶의 다양한 측면에서 의사결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 중 다섯 가지가 포함되어야만 결정이 관습적인 용어로 유효하다고 간주된다.[7]

전통적인 박박 의식은 "일하는" 용어로 이름 붙여졌지만, 오늘날에는 "축제"라는 용어도 자주 사용된다. 전통 의식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 즐거운 일이 수반되는 전통적인 의식은 "좋은 작품"이라고 일컬어진다.
  • 슬픈 일이 수반되는 전통적인 의식은 "나쁜 작품"이라고 불린다.

"좋은 작품" 의식의 예로는 메르바요, 메난다 타훈, 메르코타스 등이 있다. "나쁜 작품들" 의례의 예로는 멘그룸방짝인 ncayur ntua 의례(장례)가 있다.[8]

참조

  1. ^ "Batak Dairi in Indonesia". Ethnologue. Retrieved 2014-10-07.
  2. ^ "Batak Pakpak in Indonesia". Joshua Project. Retrieved 2014-10-07.
  3. ^ "Mengenal Kabupaten Pakpak Bharat yang Bupatinya di-OTT KPK". Kumparan News. 18 November 2018. Retrieved 2020-06-18.
  4. ^ Ronald Findlay & Kevin H. O'Rourke (2009). Power and Plenty: Trade, War, and the World Economy in the Second Millennium.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67. ISBN 978-1-4008-3188-3.
  5. ^ Lister Berutu (2006). Pertuturen Pakpak: Istilah Dan Adat Sopan Santun Kekerabatan Pada Masyarakat Pakpak. Grasindo Monoratama. OCLC 139777033.
  6. ^ Mariana Makmur; Lister Berutu; Pasder Berutu (2002). Aspek-Aspek Kultural Etnis Pakpak: Suatu Eksplorasi Tentang Potensi Lokal. Monora. ISBN 979-612-106-9.
  7. ^ Lister Berutu (2006). Mengenal Upacara Adat Pada Masyarakat Pakpak Di Sumatera Utara. Grasindo Monoratama. ISBN 978-979-612-114-4.
  8. ^ Lister Berutu; Nurbani Padang (2006). Tradisi Dan Perubahan: Konteks Masyarakat Pakpak. Grasindo Monoratama. ISBN 979-612-2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