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로시

Caerosi

카이로시족(또는 카이로시족)은 철기 시대로마 시대갈리아 벨기카에 거주하는 작은 벨리브 게르마니아 부족이었다. 그들의 민족 정체성은 여전히 불확실하다. 카이사르는 그들을 게르마니 시스르나니의 일부라고 설명했지만, 그들의 부족 이름은 아마도 켈트족 출신일 것이다.[1][2][3] 다른 게르마니 시스르나니 부족과 마찬가지로 그들의 옛 게르만족 내명이 부족 개편 후 버림받거나, 켈트족 이웃으로부터 이름을 받았거나, 기원전 57년 로마가 이 지역을 침공할 당시 켈트족 문화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동화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

이름

카이사르(기원전 1세기 중반)는 카에로스(Caeros, Caeros, Caeroesos, ceros)로, [4]오로시우스(Orosius)는 카에로스(Caerosi)로 언급된다.[5][6][2]

케로시라는 이름은 아마도 *caer-'sheep; cf'로 재구성된 프로토-셀틱 뿌리에서 유래했을 것이다. 이전 *cf의 *caper-(cf)에서 나온 오래된 아일랜드 왕조. 라틴어 캐퍼, 올드 노르드 hafr, '빌리 염소', 그리스 카프로스 '보어'). 변종 카이로시에는 설명되지 않는 접미사(-oeso-)가 있는데, -osso-는 갈리쉬어(예: 로도사, 이보소)에서는 알려진 접미사지만, 켈트어 또는 게르만어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정확한 의미는 아직 확실하지 않지만 '양', '양' 또는 '양들이 풍부하다'로 번역될 수 있다.[7] 카이라카테스, 카에레니 또는 카이레노이(èαi (ααηίί)와 같은 다른 켈트족 민족과 언어학적으로 관련이 있다.[1][3]

파거스 카루쿰의 경계 표시.

Old Islish caera('베리')[8][9] 또는 Middle Islish céar('다크 브라운')[2] 또는 프로토-게르마니아어 *haira-('가치 있고, 고상하고, *회색 머리'); cf와의 대안 관계. 모드. 높은 독일어 her '고블')도 일부 학자들에 의해 제안되었다.[9]

지리

카이로시족은 아르덴과 에이펠 지역, 남쪽의 트레베리 강과 가까운 RhneMeuse 강 사이, 서쪽의 Condrusi, 북쪽의 PaemaniEburones, 동쪽의 Rhenne의 반대쪽 둑에 있는 유비이 강 사이에 살고 있었다.[10]

나중에 프랑크 족 밑에서 파구스 코로아스쿠스로 알려진 트레베리 족의 로마 시대 분파인 파구스 카루쿰 지역은 언어적 연관성은 불확실하지만 [11]부족의 이름을 따서 명명할 수도 있다.[12] 이 이름은 네이덴바흐킬로부르크 근처의 숲이 우거진 지역에 위치한 'FINIS PAGI CARV CVM'('파구스 카루쿰의 경계 또는 끝''이라는 글씨가 새겨진 로마 시대의 경계표지에서 발견되었다.[13]

네이덴바흐의 동쪽에는 라인 강으로 동쪽으로 흐르는 작은 강인 빈xtbach게르마니아 슈페리어게르마니아 하급로마사이의 경계를 표시했다. 빈xtbach라는 이름은 사실상 끝이나 경계를 의미하는 라틴어 finis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된다.[14] 오늘날에도 그곳은 북쪽에 리푸아리아어, 남쪽에 모젤 프랑키쉬가 있는 현대 독일 방언의 경계선이다. 또한 인근에 라인란트-프팔츠노르드르헤인-웨스트팔렌의 현대 독일 랑데르의 현대적인 경계선이 위치해 있다.[citation needed]

참조

  1. ^ a b 세르겐트 1991 페이지 10-11.
  2. ^ a b c d 노이만 1999, 페이지 110–111.
  3. ^ a b 엽기 2003, 페이지 97.
  4. ^ 시저, 코멘타리 벨로 갈리코, 2시 4분 10초
  5. ^ 오로시우스. 역사학 적으로스 파가노스 6시 7분 14초
  6. ^ 팔릴레예프 2010, S.V. 케로시
  7. ^ Sergent 1991, 페이지 10–11; Neumann 1999, 페이지 110–111; Delamar 2003, 페이지 97; Busse 2006, 페이지 199
  8. ^ 노이만 1981년, 페이지 309.
  9. ^ a b 버스세 2006 페이지 199.
  10. ^ 탈버트 2000, 지도 11: 세콰나-레누스
  11. ^ 와이트먼 1985, 페이지 31.
  12. ^ 폰 페트리코비츠 1999 페이지 93.
  13. ^ 코퍼스 비문 13, 4143.
  14. ^ Matijević, Krešimir (2010). Römische und frühchristliche Zeugnisse im Norden Obergermaniens: epigraphische Studien zu unterer Mosel und östlicher Eifel. Verlag Marie Leidorf. pp. 237–239. ISBN 978-3-86757-255-2.

일차 출처

참고 문헌 목록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