콕스 미로 절차
Cox maze procedure콕스 미로 절차 | |
---|---|
기타 이름 | 메이즈 프로시저 |
ICD-9-CM | 37.33 |
미로 시술로도 알려진 콕스 미로 시술은 심방세동을 위한 심장 수술의 일종이다.
'마제(Maze)'는 아트리움의 미로 같은 패턴으로 배열된 일련의 절개를 말한다. 오늘날에는 최소침습 미로 시술의 다양한 방법, 즉 집합적으로 최소침습 미로 시술이라고 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역사
제임스 콕스는 미국 심장흉부외과 의사로 TN대학 메디컬 센터에서 의학 학위를 받고 듀크대학 메디컬 센터의 일반외과와 흉부외과에서 모두 훈련을 마쳤다. 콕스와 그의 동료들은 듀크에서, 그리고 후에 세인트 워싱턴 대학교에서. 루이스는 심방세동(AF)을 제거하기 위한 "심장 개방" 심장 수술인 "마제" 또는 "콕스 미로" 시술법을 개발했다. 첫 번째 그러한 절차는 세인트의 콕스 박사에 의해 수행되었다. 1987년 루이스 반스 병원—현재 반스-유위시 병원—1987년.[1] 절개 흉터를 이용해 AF의 비정상적인 전파를 시작하고 영속시키는 비정상적인 전기회로(심방 매크로 진입)를 차단해 AF를 없애겠다는 의도였다. 이를 위해서는 양쪽 아트리움의 벽을 통한 전신 절개술, 중앙 흉골절개술(흉골을 통한 수직 절개), 심폐 우회술(심장폐쇄기, 체외순환) 등이 광범위하게 필요했다. 초기 시술 도입 후 일련의 개선이 이루어져 1992년 콕스 미로 III 시술이 절정에 달했는데, 현재는 AF의 효과적인 수술 치료의 '금본 표준'으로 여겨지고 있다. AF 제거에는 꽤 성공적이었지만 단점도 있었다.[2] 콕스 미로 III는 때로 "전통 미로", "잘라서 꿰는 미로" 또는 단순히 "마제"라고 일컬어지기도 한다.[citation needed]
지난 10년 동안 단극성 무선주파수, 양극성 전파주파수, 마이크로파, 레이저, 고강도집중 초음파, 극저온증 등 여러 에너지원을 다양한 기기에 통합해 실제 심방벽을 절단하지 않고 Cox Mazo III 시술의 일부 병변을 만들어냈다.[when?] 전자레인지와 레이저 치료 모두 시장에서 철수했지만 다른 장치는 계속 AF를 수술로 치료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citation needed]
참조
- ^ Cox J, Schuessler R, D'Agostino H, Stone C, Chang B, Cain M, Corr P, Boineau J (1991). "The surgical treatment of atrial fibrillation. III. Development of a definitive surgical procedure". J Thorac Cardiovasc Surg. 101 (4): 569–83. doi:10.1016/S0022-5223(19)36684-X. PMID 2008095.
- ^ Prasad S, Maniar H, Camillo C, Schuessler R, Boineau J, Sundt T, Cox J, Damiano R (2003). "The Cox maze III procedure for atrial fibrillation: long-term efficacy in patients undergoing lone versus concomitant procedures". J Thorac Cardiovasc Surg. 126 (6): 1822–8. doi:10.1016/S0022-5223(03)01287-X. PMID 146886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