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리카르디오젠테시스
Pericardiocentesis페리카르디오젠테시스 | |
---|---|
![]() | |
ICD-9-CM | 37.0 |
메슈 | D020519 |
메드라인플러스 | 003872 |
심막수프(PCC)라고도 하는 심막수압(Pericardiocentesis, PCC)은 심막수막(심장을 감싸고 있는 주머니)에서 액체를 흡입하는 의료 시술이다.
사용하다
심장 탐포네이드
심근경색증은 심장 탐포네이드를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1][2] 심박동맥류(Cardiac amponade)는 심막 내에 과다하게 축적된 액체가 압력을 증가시키는 의학적 응급상황이다.[3] 이것은 심장이 정상적으로 피로 채워지는 것을 막는다. 이것은 심장에서 펌핑되는 혈액의 양을 심각하게 감소시켜 폐색성 쇼크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것은 치명적일 수 있다. 과다한 유체의 제거는 이러한 위험한 과정을 역전시키며, 종종 그 속도 때문에 심장 탐포네이드의 첫 번째 치료법이 된다.[3]
심막액 분석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액체를 분석하는 데도 사용할 수 있다.[1][2] 유체는 다음을 포함하여 여러 조건을 구별하기 위해 분석할 수 있다.[citation needed]
심막염
심막염은 심막염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1][2] 정상 심낭액이 있을 수 있지만 염증은 여전히 심장의 압박을 유발한다. 이 액체의 일부를 제거하면 심장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킨다.[citation needed]
콘트라-정보
장기배수
Pericardiocentesis는 일회성 시술로 장기 배수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장기간 배수가 필요한 경우 흉부외과 의사가 심낭창을 만들 수 있다. 이것은 심막의 한 부분을 제거하고 흉관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citation needed]
대동맥해부
심근경색증은 심장 탐포네드가 대동맥 절개와 연관되어 있다면 적절하지 않다.[2] 이 경우 출혈을 일으켜 이 대동맥 절개를 악화시킬 위험이 크다.[2]
심낭유출 진단
경미한 경미한 경미한 경미한 심낭유출의 진단에는 대개 심막유출은 유용하지 않다.[1][2]
위험
심막염으로 인한 합병증을 경험하는 환자는 1.5% 미만이다.[4] 가장 흔한 합병증은 관상동맥의 열상과 좌심실의 구멍이다.[4][5] 심초음파검사는 합병증을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5] 블라인드 접근은 일반적으로 응급 상황에만 권고되며 안내식 접근법이 일반적으로 선호된다(심초음파 촬영법 사용).[5][6]
테크닉
포지션
심막염을 앓고 있는 환자는 침대 머리를 30~60도 각도로 올린 채 반듯이 누운 자세다. 이것은 심낭낭에 바늘을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심장을 흉벽에 가깝게 배치한다. 해부학적으로, 위와 왼쪽의 시프호이드 공정에서 절차가 진행된다.[3][7]
과정
Pericardiocentesis는 보통 국소 마취제를 사용하여 시행된다.[6] 넓은 보어 카테터를 삽입한다.[6] 심장 카테터 검사실에서 보다 현대적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3][6]
심막염은 폐에 구멍을 내지 않고 수행할 수 있는 두 가지 위치가 있다.[8]
- 가장 표준적인 위치는 외측각을 통한 것으로서 subxiphoid approach라고도 불린다.[3][8] 바늘은 가슴과 30도에서 45도 사이의 각도로 삽입된다.[9]
- 또 다른 위치는 왼쪽 폐의 심장 노치에서 왼쪽 흉골 경계의 5~6번째 비용간 공간을 통과하는 것으로, 파라소외 접근이라고도 한다.[9] 바늘은 가슴과 90도의 각도로 삽입된다.[9] 일부 증거는 이것이 성인의 혈관 손상 위험을 낮춘다는 것을 암시한다.[9]
수술내 평가
심막염은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초음파 지침에 따라 시행된다.[6] 심전도(ECG)는 심막내시경 중 지속적으로 기록되어 합병증 여부를 평가한다.[3]
참조
- ^ a b c d Gupta, Pooja; Ibrahim, Amar; Butany, Jagdish (2014-01-01), Willis, Monte S.; Homeister, Jonathon W.; Stone, James R. (eds.), "Chapter 16 - The Pericardium and its Diseases", Cellular and Molecular Pathobiology of Cardiovascular Disease, San Diego: Academic Press, pp. 297–314, doi:10.1016/b978-0-12-405206-2.00016-8, ISBN 978-0-12-405206-2, retrieved 2020-12-03
- ^ a b c d e f Jneid, Hani; Maree, Andrew O.; Palacios, Igor F. (2008-01-01), Parrillo, Joseph E.; Dellinger, R. Phillip (eds.), "Chapter 6 - Pericardial Tamponade: Clinical Presentation, Diagnosis, and Catheter-Based Therapies", Critical Care Medicine (Third Edition), Philadelphia: Mosby, pp. 85–92, doi:10.1016/b978-032304841-5.50008-x, ISBN 978-0-323-04841-5, retrieved 2020-12-03
- ^ a b c d e f Fashoyin-Aje, Lola A.; Brahmer, Julie R. (2020-01-01), Niederhuber, John E.; Armitage, James O.; Kastan, Michael B.; Doroshow, James H. (eds.), "59 - Malignancy-Related Effusions", Abeloff's Clinical Oncology (Sixth Edition), Philadelphia: Elsevier, pp. 863–873.e4, doi:10.1016/b978-0-323-47674-4.00059-1, ISBN 978-0-323-47674-4, retrieved 2020-12-03
- ^ a b Sorajja, Paul (2018-01-01), Kern, Morton J.; Sorajja, Paul; Lim, Michael J. (eds.), "17 - Pericardiocentesis", The Interventional Cardiac Catheterization Handbook (Fourth Edition), Elsevier, pp. 438–447, doi:10.1016/b978-0-323-47671-3.00017-x, ISBN 978-0-323-47671-3, retrieved 2020-11-16
- ^ a b c Sovari, Ali S. (2019-01-01), Brown, David L. (ed.), "44 - Pericardiocentesis", Cardiac Intensive Care (Third Edition), Philadelphia: Elsevier, pp. 461–464.e1, doi:10.1016/b978-0-323-52993-8.00044-8, ISBN 978-0-323-52993-8, retrieved 2020-11-16
- ^ a b c d e Balmanoukian, Ani; Brahmer, Julie R. (2011-01-01), Davis, Mellar P.; Feyer, Petra Ch.; Ortner, Petra; Zimmermann, Camilla (eds.), "32 - Pleural and pericardial effusions", Supportive Oncology, Saint Louis: W.B. Saunders, pp. 354–361, doi:10.1016/b978-1-4377-1015-1.00032-1, ISBN 978-1-4377-1015-1, retrieved 2020-12-03
- ^ Sam, Amir H.; James T.H. Teo (2010). Rapid Medicine. Wiley-Blackwell. ISBN 978-1-4051-8323-9.
- ^ a b "Pericardiocentesi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March 2016.
- ^ a b c d Steele, Robert; Thorp, Andrea (2008-01-01), Baren, Jill M.; Rothrock, Steven G.; Brennan, John A.; Brown, Lance (eds.), "Chapter 180 - Pericardiocentesis", Pediatric Emergency Medicine, Philadelphia: W.B. Saunders, pp. 1259–1262, ISBN 978-1-4160-0087-7, retrieved 2020-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