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막창

Pericardial window
심막창
ICD-9-CM37.12

심막 유리창심막 공간에서 흉강까지 누공이 생기는 심장 수술이다.[1] 창문의 목적은 심낭유출이나 심장 탐포네드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공간에서 흉강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것이다.[2]

사용하다

심막유출심장 탐폰레이드를 치료하기 위해 심막유출 창을 사용할 수 있다.[2][3] 특히 으로 인한 경우 심낭유출을 치료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인 시술이다.[4]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심막창은 심장개방 수술 후 수술 후 심막압전증 및 심방세동 발생률을 감소시킨다.[5]

위험

심막 유리창의 창조는 중요한 수술 절차다.[6] 심막 액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심막염과 같은 다른 작은 기법이 우선 고려되어야 한다.[4]

테크닉

심낭창은 보통 심장외과의사에 의해 일반적인 마취하에 시행된다. 그들은 최대 10cm의 열린 수술 절개를 할 수 있다.[6] 이것은 보통 흉골(sub-xiphoid)의 xiphoid 공정 아래에 위치한다.[4] 또는 작은 수술 절개로 흉곽에 접근할 수 있다.[3][7] 심막을 둘러싸고 있는 막인 심막에 1cm에서 2cm 사이의 작은 구멍이 잘려 있다.[6] 이것은 심막액과 다른 액체가 심막에서 빠져나갈 수 있게 해준다.[6]

역사

Pericardial 창은 1829년 도미니크 라레이 남작에 의해 처음 공연되었다.[6][8]

다른동물

심낭 창문은 일반적으로 심낭 유출을 치료하기 위해 수의학에서 사용된다.[7] 사람에겐 아축소성 피부 절개가 선호되는 반면 고양이에게는 왼쪽 파라다이스성 피부 절개가 선호된다.[9]

참조

  1. ^ Stuart J. Hutchison (2008). Pericardial diseases: clinical diagnostic imaging atlas. Elsevier Health Sciences. pp. 93–. ISBN 978-1-4160-5274-6. Retrieved 10 November 2010.
  2. ^ a b Ghavidel, Alireza Alizadeh; Hosseini, Saeid (2018-01-01), Maleki, Majid; Alizadehasl, Azin; Haghjoo, Majid (eds.), "Chapter 37 - Principles of Cardiovascular Surgery", Practical Cardiology, Elsevier, pp. 647–659, doi:10.1016/b978-0-323-51149-0.00037-7, ISBN 978-0-323-51149-0, retrieved 2020-12-02
  3. ^ a b Laste, Nancy J (2009-01-01), Silverstein, Deborah C.; Hopper, Kate (eds.), "Chapter 44 - Pericardial Diseases", Small Animal Critical Care Medicine, Saint Louis: W.B. Saunders, pp. 184–188, doi:10.1016/b978-1-4160-2591-7.10044-x, ISBN 978-1-4160-2591-7, retrieved 2020-12-02
  4. ^ a b c Fashoyin-Aje, Lola A.; Brahmer, Julie R. (2020-01-01), Niederhuber, John E.; Armitage, James O.; Kastan, Michael B.; Doroshow, James H. (eds.), "59 - Malignancy-Related Effusions", Abeloff's Clinical Oncology (Sixth Edition), Philadelphia: Elsevier, pp. 863–873.e4, doi:10.1016/b978-0-323-47674-4.00059-1, ISBN 978-0-323-47674-4, retrieved 2020-12-02
  5. ^ Zhao J (Apr 2014). "Does posterior pericardial window technique prevent pericardial tamponade after cardiac surgery?". J Int Med Res. 42 (2): 416–26. doi:10.1177/0300060513515436. PMID 24553479.
  6. ^ a b c d e Asensio, Juan A.; García-Núñez, Luis Manuel; Petrone, Patrizio; Duran, Dominic; Vara, Alexander D.; Weston, John S.; Gmora, Scott B.; Feinstein, Ara; Robinson, Donald (2008-01-01), Asensio, JUAN A.; Trunkey, DONALD D. (eds.), "CHAPTER 40 - CARDIAC INJURIES", Current Therapy of Trauma and Surgical Critical Care, Philadelphia: Mosby, pp. 304–315, doi:10.1016/b978-0-323-04418-9.50044-8, ISBN 978-0-323-04418-9, retrieved 2020-12-02
  7. ^ a b Clarke, Dana L.; Culp, William T. N. (2015-01-01), Silverstein, Deborah C.; Hopper, Kate (eds.), "Chapter 136 - Minimally Invasive Procedures", Small Animal Critical Care Medicine (Second Edition), St. Louis: W.B. Saunders, pp. 715–721, doi:10.1016/b978-1-4557-0306-7.00136-7, ISBN 978-1-4557-0306-7, retrieved 2020-12-02
  8. ^ Larrey, D. J. (1829). "New surgical procedure to open the pericardium in case of fluid in its cavity". Clinical Chir. 2: 303–307.
  9. ^ van Nimwegen, S. A.; Kirpensteijn, J. (2014-01-01), Langley-Hobbs, Sorrel J.; Demetriou, Jackie L.; Ladlow, Jane F. (eds.), "Chapter 42 - Thoracoscopy", Feline Soft Tissue and General Surgery, W.B. Saunders, pp. 487–493, doi:10.1016/b978-0-7020-4336-9.00042-1, ISBN 978-0-7020-4336-9, retrieved 2020-12-02

외부 링크